KR100806452B1 - 멀티 천공 fec 기술 - Google Patents

멀티 천공 fec 기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452B1
KR100806452B1 KR1020017006869A KR20017006869A KR100806452B1 KR 100806452 B1 KR100806452 B1 KR 100806452B1 KR 1020017006869 A KR1020017006869 A KR 1020017006869A KR 20017006869 A KR20017006869 A KR 20017006869A KR 100806452 B1 KR100806452 B1 KR 100806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bit
bit block
puncturing
bit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406A (ko
Inventor
슈람페터
바흐스만우도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filed Critical 텔레폰악티에볼라겟엘엠에릭슨(펍)
Publication of KR20010087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3/00Coding, decoding or code conversion, for error detection or error correction; Coding theory basic assumptions; Coding bounds; Error probability evaluation methods; Channel models; Simulation or testing of codes
    • H03M13/0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 H03M13/23Error detection or forward error correction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i.e. code words containing more digits than the source words using convolutional codes, e.g. unit memor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59Convolutional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 Transmitter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콘볼루션 방식이 데이터 블록의 제 1 부분의 비트에 이용되고, 제 2 천공 방식이 데이터 블록의 제 2 부분내의 비트에 이용되며, 상기 제 2데이터 블록 부분은 데이터 블록의 일부 또는 상기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데이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하기 위한 순방향 오차 정정 기술을 수반한다. 제 1 및 제 2 부호화 방식은 제 1 및 제 2 천공 방식을 각각 이용한 동일한 콘볼루션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부호화 방식이 제 1 부호율을 이용하는 반면, 제 2 부호화 방식은 제 1 부호율보다 높은 제 2 부호율을 이용한다. 부호율이 더 높음으로써, 데이터 블록의 제 2 부분에 하나 이상의 테일 비트를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과 같은 추가 심볼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천공 방식, 순방향 오차 정정, 콘볼루션, 부호율

Description

멀티 천공 FEC 기술{MULTI PUNCTURED FEC TECHNIQUE}
본 발명은 무선 근거리 통신망(wireless local area networks)과 같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통신 시스템내에서 전송되는 정보 비트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저렴한 비용, 짧은 범위, 높은 용량의 무선 링크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는 것에 부응하여, 유럽 전기 통신 표준 협회{European Telecommunications Standards Institute:ETSI)가 광대역 무선 접속망(Broadband Radio Access Networks:BRAN)에 대한 표준화 계획을 설립하였다. ETSI BRAN의 명목하에 개발되고 있는 광대역 무선 접속망 중 하나가 HIPERLAN 유형 2(HIPERLAN/2)이다. HIPERLAN/2는,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UMTS) 코어 네트워크, 비동기 전송 모드(Asynchronous Transfer Mode:ATM) 네트워크 및 인터넷 프로토콜(IP)을 기반으로한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높은 속도(즉, 최대 54 Mbit/sec)의 액세스를 제공하는 짧은 범위의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의 시스템이다.
HIPERLAN/2의 중요한 특징은 이용가능한 스펙트럼의 효과적인 이용을 제공하기 위한 집중화된 매체 액세스 제어(medium access control:MAC) 프로토콜이다. MAC 프로토콜에 따라, 기지국이라고도 하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AP)는 자신이 통신하는 다양한 이동국(MT)에 다운링크와 업링크 타임 슬롯을 할당함으로써 채널 액세스를 제어한다. 여기서, MT는 다운링크 타임 슬롯 동안 액세스 포인트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업링크 타임 슬롯 동안 액세스 포인트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HIPERLAN/2의 특징은 데이터가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PDU)에 의해 전달된다는 점이다. 상이한 PDU 유형이 존재한다. 예컨대, 제어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제어 PDU와, 실제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PDU가 있는데, 소정의 유형의 PDU 각각은 고정된 크기를 갖는다.
HIPERLAN/2 표준은 세 개의 시스템 계층, 즉 물리 계층, 논리 링크 제어(LLC)와 MAC를 포함하는 데이터 링크 제어(DLC) 계층, 및 컨버전스 계층(convergence layer:LC)을 규정한다. CL은 상위 계층와 DLC 계층 사이의 인터페이스이다. 예컨대, IP 패킷을 데이터 PDU로 분할하는 TCP/IP용 CL이 있을 수 있다. DLC 계층은 PDU가 물리 계층으로 전달되기 전에 헤더 정보를 추가한다. 이하의 설명은 데이터 PDU를 중심으로 하지만, 이와 동일한 것이 제어 PDU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HIPERLAN/2의 물리 계층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FDM)와 콘볼루션 인코딩을 기반으로 한다. 따라서, 물리 계층 상의 데이터 유닛의 입자는 OFDM 심볼이다. BPSK, QPSK, 8PSK, 16QAM, 또는 64QAM 과 같은 부반송파 변조 방식에 따라, 하나의 PDU를 전달하는데 필요한 OFDM 심볼의 수는 각기 다르게 된다.
HIPERALAN/2의 또 다른 특징은 다수의 물리 계층 모드가 제공된다는 점이다. 예컨대, 시스템은 상기 언급된 변조 방식과 1/2, 9/16 및 3/4 비율의 콘볼루션 부호를 기반으로한 물리 계층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DLC 설계에 있어 중요한 조건은, 각 PDU가 정수개의 OFDM 심볼에 맞도록 물리 계층 모드가 설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패딩 비트(padding bit) 등을 이용함으로써 용량이 낭비된다.
한 예로서, 48 부반송파가 데이터에 이용되고 각 PDU가 54 바이트를 포함하면, 1/2 부호율을 가진 BPSK 변조 방식이 이용된다. 이러한 경우, 각 심볼에 의해 48 비트가 전달된다. 432(즉, 54 바이트 * 8 비트/바이트 = 432 비트) 입력 비트에 대해 1/2 부호율을 이용하면 결과적으로 테일 비트(tail bit)를 가지지 않은 864 인코더 출력 비트가 나타난다. 상기 864 인코더 출력 비트는 정확히 18 OFDM 심볼(즉, 864 비트/(48비트/심볼) = 18 심볼)에 의해 전달된다. 정수개의 OFDM 심볼이 존재하므로, 패딩 비트가 전혀 필요없다. 이것은, 테일 비트가 제거되기만 한다면 HIPERLAN/2 내의 다른 모든 모드에 맞는다.
HIPERLAN/2에 대해 개시되어 있는 부호율(1/2, 9/16 및 3/4)은 단지 테일 비트를 무시하는 때에만 정확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 문제는 이하에 개시되어 있다.
현재 표준화되고 있는 또 다른 WLAN 시스템으로는 IEEE802.11 시스템이 있다. IEEE802.11 시스템은 HIPERLAN/2에 대한 것과 유사한 물리 계층 파라미터를 가지게 되는 5GHz 모드를 이용하여 설계된다. 그러나, IEEE802.11 시스템은 특별히 무선으로 IP 패킷을 전송하도록 설계된다(이 경우, 프로토콜 원리는 이더넷(Ethernet)과 유사함); 따라서, MAC 프로토콜이 HIPERLAN/2와 매우 상이하게 된다. IEEE802.11 시스템에서는, 예컨대 가변 길이를 가진 IP 패킷 또는 그 세그먼트(segment)가 전송된다. 현재 IEEE802.11에 고려되고 있는 부호율은 1/2, 2/3 및 3/4이다.
HIPERLAN/2의 유연성있는 MAC 프레임(100)에 대한 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MAC 프레임(100)은 광대역 제어 채널(BCCH)을 포함하며, 이것은 하나의 AP에 의해 커버되는 전 영역(예컨대, 셀)에 걸쳐 전송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이한 MT로의 논리 채널 할당은, 종종 자원 허가 채널이라 하는 프레임 제어 채널(FCCH)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각 MT는 다운링크 버스트를 수신하고 및/또는 업링크 버스트를 송신하는 것이 예상되는 MAC 프레임(100)내의 지정된 정확한 시간 주기를 알고 있다. 임의 액세스 채널(RACH)이 각 MAC 프레임(100) 끝에 놓인다. MT는 자신의 할당된 업링크 버스트 채널내에 또는 임의 액세스 채널을 통해 요구를 전송함으로써 용량을 요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상기 MAC 프레임(100)은 한 가지 가능한 필드(field)의 배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사실, 필드는 상기와 다른 순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MAC 프레임(100) 내의 필드 중 어떤 것이 전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는 반면, 다른 것이 추가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하 기술되는 본 발명이 여전히 이용될 수 있다.
각 MAC 프레임 필드에서, 데이터는 AP에서 하나 이상의 MT로 전송되며, 이것의 역도 성립한다. 하나의 MT로 예정된 또는 이것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블록을 "버스트"라 한다. 각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PDU를 포함한다. DLC 계층에서, 다수의 PDU의 접합을 PDU 트레인(train), 또는 ATM 셀 전송이 수반되는 때는 '셀' 트레인이라 한다. 물리 계층 상에는, 동기화 및 채널 추정을 위해 각 버스트 처음에 프리앰블(preamble)이 추가될 수도 있다. 채널 액세스 방식이 동적인 TDMA인 경우에는, 버스트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콘볼루션 부호(CC)는 데이터의 블록을 인코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CC가 사용되면, 테일 비트(예컨대, 0비트)가 정보 비트열에 부가된다(append). 테일 비트는 미리 정해진 상태, 예컨대 0 상태로 인코딩 과정이 종료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블록 내의 마지막 비트를 보호한다. 구속장(constraint length)(7, 6)을 가진 CC의 경우, 테일 비트가 종단(termination)에 필요하다. 이것은 결과적으로 추가 리던던시를 일으킨다. 그러나, 종종 CC의 부호율은 테일 비트를 고려하지 않고 제공된다. 예컨대, HIPERLAN/2에 대해 논의되는 부호율(1/2, 9/16, 3/4)은 테일 비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추가 테일 비트를 이용함에 따라 일어나는 리던던시 증가로 인해 실제 부호율은 약간 더 낮아진다.
GSM과 같이 고정된 타임 슬롯을 가진 TDMA 시스템에서, 타임 슬롯은 고정된 시간을 가지며, 정보 비트의 수가 변할 수 있다 하더라도, 변조 비트의 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것은 종종 각 물리 계층 모드마다 하나씩 다양한 천공 방식에 의해 제공된다. 테일 비트는 구체적인 천공 방식 설계시 포함된다.
IEEE802.11은 규칙적인 프레임 구조를 가지지않은 임시(ad-hoc) 네트워크이다. 가변 길이, 또는 좀 더 엄밀히 IEEE802.11 프로토콜 위의 IP 계층에 의해 보편 적으로 결정되는 길이를 가진 IP 패킷 또는 그 세그먼트가 전송된다. 전체 패킷에 대한 부호율을 이용하여 선택된 부호화 방식에 따라 인코딩이 수행된다. 패킷 마지막에는, 테일 비트가 부가되어 데이터처럼 인코딩된다. 테일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데이터는 OFDM 심볼에 매핑된다. 마지막 OFDM 심볼이 전체적으로 채워지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비트 패딩이 이용된다.
HIPERLAN/2 및 이와 유사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PDU는 테일 비트를 무시하고 채널 인코딩 이전에 일정한 수의 정보 비트를 포함한다. 또한, PDU가 정수개의 OFDM 심볼 또는 어떤 다른 물리 계층 유닛에 매핑하도록 다수의 물리 계층 모드가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천공 방식의 수는, 예컨대 부호율(1/2, 9/16, 3/4)에 상응하는 간단한 세 가지 천공 방식으로 적절히 제한되며, 인코딩은 PDU-양식(wise)이나 버스트-양식 원리로 수행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이라면, 추가 OFDM 심볼을 낭비하지 않고, 또는 버스트-양식 인코딩의 경우 물리 계층 모드와 버스트 길이에 대한 가능한 모든 조합에 대해 (예컨대, 구현하기에) 불편한 다수의 복잡한 천공 방식을 이용하지 않고, 인코딩된 샘플 스트림에 추가 테일 비트를 수용하는 것이 문제이다. 이 문제는 PDU-양식 인코딩의 경우인 도 2에 예를 통해 설명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PDU는 부호율(3/4)을 가진 물리 계층 모드(I)에 대한 4 OFDM 심볼과 부호율(1/2)을 가진 물리 계층 모드(II)에 대한 6 OFDM 심볼에 각각 매핑된다. 여기서, 물리 계층 모드(I)와 물리 계층 모드(II)는 예이며, 임의의 HIPERLAN/2 모드와 반드시 상응하는 것은 아니다. 이용가능한 모든 물리 계층 모드에 대한 부호율이 1/2, 9/16, 3/4과 같이 비교적 "간단한" 부호율로 한정되므로, 오로지 가능한 것은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 OFDM 심볼을 이용하여 테일 비트를 전송하는 것이다. HIPERLAN/2와 같이 PDU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 인코더의 최종 상태를 정의하는데 많은 양의 리던던시가 나타나게 된다. 선택적으로, GSM에서는 각 모드마다 한 가지 소정의 천공 방식이 이용된다. 이러한 접근은 특히 PDU가 보다 많은 수의 비트를 포함하므로 구현 동기로서 관심을 끌지 못한다.
상기 문제점은 본래 버스트-양식 인코딩과 관련된 것과 동일한 것이다. 이것은 3/4의 부호율이라고 가정한 도 3의 예를 통해 더 설명된다. 도 3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버스트는 길이상 2 또는 3 PDU이다. 따라서, 한 버스트에 포함된 PDU는 정수개의 OFDM 심볼로 매핑되며, 추가 테일 비트는 전송을 위해 추가 OFDM 심볼을 필요로한다. 소정의 많은 천공 방식을 이용한다고 하면, 필요한 천공 방식의 수는 물리 계층 모드의 수와 각 버스트마다 가능한 PDU의 수를 곱한 것과 동일하다. 이것은 대략 512 개(즉, 8 모드 * 64 PDU/버스트) 이상의 방식이다.
추가 OFDM 심볼을 이용하여 테일 비트를 전송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해결방법이 필요하다. 테일 비트는 추가 OFDM 심볼 또는 그 밖의 물리 계층 유닛을 이용하지 않고 일정한 길이의 PDU로 구성된 일반적인 버스트 구조내에서 전송된다. 다수의 불규칙하고 또는 복잡한 천공 패턴을 전체 PDU나 버스트에 걸쳐 이용하는 것은 피한다. PDU-양식 또는 버스트-양식 인코딩은 물론 상이한 물리-계층 모드에 대한 천공 방식의 수는, 추가 테일 비트를 이용하지 않는 것과 비교할 때 약간만 증가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908,827호에는, 위성 전송 시스템에서 전송을 위해 입력에 수신되는 데이터 블록을 인코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데이터는 각각 규정된 비트 수(N)를 포함하는 프레임내에 전송된다. 이 방법은, R=I/O < 1(여기서, I는 인코더에 공급된 상기 각 데이터 블록 내의 부호화되지 않은 비트 수이고, O는 인코더의 부호화된 출력 비트 수임)을 만족하도록 설계된 인코더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을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인코딩 단계는, 부호화되지 않은 I 비트와 L 개의 테일 비트로 이루어진 상기 각 블록을 상기 인코더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인코더내의 부호화되지 않은 상기 I+L 비트에 작용하여, 상기 테일 비트의 부호화로 인해 N보다 더 큰 O개의 인코딩된 출력 비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N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데이터의 상기 프레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인코딩된 데이터로부터 O-N 개의 비트를 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특히, 미합중국 특허 제 4,908,827 호는 데이터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균등하게 간격을두고 비트를 천공하도록 지시한다.
본 발명은, 제 1콘볼루션 부호화 방식이 데이터 블록의 제 1 부분 내의 비트에 이용되고, 제 2콘볼루션 부호화 방식이 데이터 블록의 제 2 부분 내의 비트에 이용되며, 상기 데이터 블록의 제 2 부분이 데이터 블록의 일부, 또는 상기 제 1 부분을 포함한 전체 데이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는 데이터 무선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기술을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부호화 방식은 각각 제 1 및 제 2 천공 방식과 동일한 콘볼루션 부호화 방식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부호화 방식이 제 1 부호율을 이용하는 반면, 제 2 부호화 방식은 상기 제 1 부호율보다 더 높은 제 2 부호율을 이용한다. 부호율이 높으면, 하나 이상의 테일 비트를 데이터 블록의 제 2 부분에 통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하여,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 심볼과 같은 추가 심볼의 발생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장점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항의 특징에 따른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장점은 특허 청구 범위 제 6항의 특징에 따른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제 3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과 관련된 다양한 장점은 특허 청구 범위 제 18항의 특징에 따른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을 이용하여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이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동적인 시분할 다원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A)/시분할 이중(Time Division Duplex:TDD) 시스템에서의 전형적인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PDU-양식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스트-양식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PDU-양식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양식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인코딩된 비트 블록의 처음에 "추가 천공" 방식이 이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U-양식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인코딩된 비트 블록 처음에 "추가 천공" 방식이 이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버스트-양식 인코딩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제 1 천공 방식이 블록의 처음 부분에 이용되고 제 2 천공 방식이 전체 블록에 이용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두 단계의 천공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 1 천공 방식이 블록의 끝 부분에 이용되고 제 2 천공 방식이 전체 블록에 이용되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두 단계의 천공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에 기술되어 있는 본 발명 방법은 유연성있는 MAC 프레임 구조와 일정한 길이의 PDU를 이용하는 HIPERLAN/2와 같은 시스템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을 HIPERLAN/2로 한정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이 이용될 수 있는 그 밖의 시스템으로는, 예컨대 일반 무선 ATM 시스템과 범용 이동 통신 시스템(UMTS)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하나 또는 복수의 PDU(본원에서 이것을 버스트라 함)와 같은 정보 비트의 블록은 1/2, 9/16, 또는 3/4 등의 다수의 "공칭" 부호율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전부 또는 일부가 인코딩된다. 정보 비트 블록에 부가된 테일 비트는 정보 비트와 함께 인코딩된다. 테일 비트는 정보 블록내의 마지막 비트가 다른 모든 비트와 동일한 품질로 보호되는 트렐리스 종단(trellis termination)을 보장한다. 그러나, 추가 OFDM 심볼의 필요성을 없애고, 인코딩된 테일 비트를 이전 심볼에 수용하기 위해서, 인코딩된 정보 비트의 나머지 부분과 비교하여 상이 한 천공 방식을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이전 심볼이 천공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각각 다르게 천공된 인코딩된 블록 부분과 관련된 부호율은 추가 천공으로 인해 증가한다. 따라서, 인코딩된 비트의 총 수가 감소하여, 인코딩된 비트의 수는 상기와 같이 하지 않을 경우 필요한 것보다 더 적은 정수개의 OFDM 심볼에 맞는다.
블록의 나머지 부분과는 다른 천공 방식을 이용하여 천공되는 인코딩된 블록 부분은 블록의 처음, 마지막, 또는 심지어 중앙에 놓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코딩된 블록 부분은 인코딩 블록 전체에 걸쳐 임의로 놓이는 다수의 인접하지 않은(non-contiguous) 부분으로 분리될 수도 있다. 구현 복잡성과 관련하여, 바람직한 위치는 블록의 처음인 한편, 블록의 상기 부분내의 인코딩된 비트 수는 모든 모드에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가 천공 방식은 모든 모드에 하나의 단일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각기 다르게 천공된 인코딩된 블록의 상기 부분과 관련된 OFDM 심볼의 수가 적다는 것을 유념해두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한 가지 장점은, 영향을 받은 OFDM 심볼의 수가 최대로 기존의 모든 물리 계층 모드의 그리고 모든 PDU 유형 중의 각 PDU마다 최소 수의 OFDM 심볼이라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소정의 예에서는, 모든 물리적 모드와 PDU 유형에 이용될 수 있는 단 하나의 추가 천공 방식이 필요하다. 또한, 물리 계층 모드(I(및 II)라 함)는 단지 간략한 예일 뿐이며 임의의 HIPERLAN/2 모드에 상응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PDU-양식 인코딩의 경우(즉, 각 정보 비트 블록이 단일 PDU에 상응함)에 관한 제 1실시예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4의 부호율이 모든 OFDM 심볼(1-5)에 이용된다면, 인코딩된 테일 비트는 보통 각 PDU 끝에 있는 추가 OFDM 심볼(5)에 의해 전달된다. 그러나, 상기 제 1실시예에 따르면, 인코딩된 테일 비트는, 이러한 경우가 아니라면 OFDM 심볼(5)인 것에서 제거되어 이전의 두 심볼(3-4)에 수용된다. 이것은 이전 두 OFDM 심볼(3-4)과 관련된 부호화된 비트에 상이한 천공 패턴을 이용함에 따라 결과적으로 상기 심볼에 대한 부호율을 더 높임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OFDM 심볼(5)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버스트-양식 인코딩(즉, 각 정보 비트 블록이 복수의 PDU에 상응함)의 경우와 관련된 제 2실시예는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여기서, 버스트 내의 마지막 두 OFDM 심볼(3-4)과 관련된 부호 비트만 상이하게 천공되어, 인코딩된 테일 비트를 수용한다. 대조적으로, 제 1실시예의 PDU-양식 인코딩 방식에서는 각 PDU 내의 마지막 두 OFDM 심볼(3-4)이 상이하게 천공되었다.
상기 기술된 본 발명의 두 가지 실시예에 있어서, 각 PDU의 끝 또는 각 버스트의 끝에 놓인 OFDM 심볼에 "추가" 천공이 이용된다.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추가" 천공은 각 PDU 또는 각 버스트의 처음에 놓여있는 하나 이상의 OFDM 심볼에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선택적인 실시예는 각각 PDU-양식 인코딩/종단 및 버스트-양식 인코딩/종단 도면(6과 7)에 나타나있다. "공칭" 또는 "단순" 천공 방식이 블록 내의 나머지 OFDM심볼에 이용된다는 것이 도 6과 7에 더 기술되어 있는데, 여기서, "추가" 천공 양식은 "공칭" 또는 "단순" 천공 방식과 관련된 천공 패턴과 상이 한 천공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선택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인코딩된 비트 블록은 두 개보다 많은부분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 "공칭" 및/또는 "추가" 천공 방식이 두 개 이상의 인접하지 않은 부분과 관련된 OFDM 심볼에 이용된다. 또한, "추가" 천공 방식 및 "공칭" 천공 방식과 관련된 천공 패턴이 서로 다를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서는, 제 1 천공 방식, 예컨대 "추가" 천공 방식이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제 1 부분에 이용되고, 제 2 천공 방식, 예컨대 "공칭" 천공 방식이 사실상 상기 인코딩 블록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정보 비트 블록에 이용되는 두 단계의 천공 방식이 이용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제 1 천공 방식이 제 1단계동안 전체 정보 비트 블록에 이용되고, 제 2 천공 방식이 제 2단계 동안 전체 블록의 일부에 이용되는 상기와 반대 순서로 구현될 수도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도 8은, 단계 801에 따라 처음에 데이터 비트 블록이 DLC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확인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블록도를 도시하는 것이다. 상기 비트 블록은 단일 버스트내에서 전송될 다수의 PDU일 수도 있고, 또는 다른 PDU와 별도로 인코딩되는 하나의 PDU일 수도 있다. 상기 소정의 예에서 구속장(7)을 가진 콘볼루션 인코더가 취해지므로, 이 데이터 비트 블록에는 6개의 테일 비트(예컨대, 모두 0임)가 부가된다. 테일 비트를 포함한 전체 정보 비트 블록은 단계 810에 따라 1/2 부호율을 가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된다. 버스트-양식 인코딩은 PDU-양식 인코딩보다 더 적은 리던던시를 삽입한다는 장점이 있는데, 이것은 PDU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향이 있을 때 특히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설명에서는, 버스트-양식 인코딩이 취해진다.
1/2, 9/16 및 3/4 부호율의 소정의 천공 방식이 인코더 바로 다음에 이용된다면, 인코딩된 비트의 총 수는 정수개의 OFDM 심볼에 맞지 않는다. 상기 삽입된 6개의 테일 비트로 인해, 각 버스트의 마지막에는 항상 12개의 인코딩된 비트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것은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추가 OFDM 심볼을 필요로한다. 이것은 물론, 본 발명이 극복할 문제이다. 따라서, 제 1 천공 방식(P1)(즉, "추가" 천공 방식)이 소정의 수의 부호화된 비트를 포함하는 각 버스트 일부에 이용되는데, 상기 부분은 단계 8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버스트의 처음에 놓인다. 단지 설명을 위해, 부호화된 비트 부분은 버스트의 끝보다는 처음에 놓인다. 분명히, 제 1 천공 방식(P1)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호화된 비트 부분의 위치는 버스트의 끝(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음)이나 버스트의 중간에 있을 수도 있고, 또는 버스트에 걸쳐 인접하지 않는 부분에 흩어질 수도 있다.
제 1("추가") 천공이 이용되는 부호화된 비트의 수는, 한 PDU가 상이한 모드 및/또는 상이한 PDU 유형마다 각기 다른 수의 부호화된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더라고 완함한 복잡성 증가를 가지며, 모든 모드에 대해 동일한 "추가" 천공 패턴을 이용하도록 하기 위해 적당히 낮아야 한다.
구현예로서, "추가" 천공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호화된 비트 블록의 길이는, 이것이 모든 PDU 유형 중에서 가장 적은 수의 부호화된 비트와 일치할 수 있으므로 96 개의 부호화된 비트(즉, 6바이트/PDU * 8비트/바이트 * 2부호화된 비트/입력 비트)로 될 수 있다. 각각의 P1 천공 패턴은 12번 반복되는 (11111110)일 수 있으며, 이 경우 8개의 부호화된 비트로 구성되는 버스트의 처음 12 블록 각각은 모든 8번째 비트가 제거되므로 전송되지 않는다.
본 발명 방법은 두 가지 일반적인 유형의 실시예, 즉 두-부분 및 두-단계의 천공을 포함한다. 두-부분 천공은 부호화된 비트 블록을 두 부분으로 분할한다. 전체 블록의 처음, 중간, 또는 끝이 될 수 있는 한 부분은 "추가" 천공 방식으로 천공된다. 다른 나머지 부분은 "공칭" 천공 방식에 의해 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인 두-단계의 천공인 경우, 천공은 두 단계로 분리된다. 제 1단계에서, 블록의 처음, 끝, 또는 그 밖의 어떤 장소에 놓일 수 있는 부호화된 비트 블록의 일부에만 "추가" 천공이 이용된다. 또한, 블록을 분할할 수 있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는데, 이 경우 전체 블록의 임의의 위치에 놓여있는 다수의 부분에 "추가" 천공 방식이 이용된다. 제 2단계에서, "공칭" 천공이 전체 블록에 이용된다. 그러나, 처리 순서는 상기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단계는 전체 블록에 대한 "공칭" 천공이고, 제 2단계는 블록의 적은 부분, 또는 적은 부분들에 대한 "추가" 천공이다.
"추가" 천공 패턴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분은 전체 PDU 또는 전체 버스트에 비해 더 짧아야한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추가" 천공 방식이 이용되는 심볼의 수가 PDU마다의 최소 심볼의 수보다 작거나 적어도 이것과 일치한다면, 모든 물리 계층 모드 및 모든 PDU 유형에 대해 동일한 두-부분 천공 액세스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므로, 천공 패턴의 수는 부호화된 비트의 "추가"로 천공된 부분에 필요한 하나(또는 몇 개)의 추가 천공 패턴 이외에 상기 주어진 "공칭" 부호율(예컨대, 1/2, 9/16, 3/4)의 수를 초과하지 않는다.
부호화된 비트의 수와 관련된 "추가" 천공에 의해 영향을 받은 부분의 길이를 정하는 것은 구현 복잡성과 관련하여 훨씬 더 관심을 끄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경우, 상기 언급된 부분의 부호화된 비트와 관련된 길이는 소정의 물리 계층 모드 및/또는 PDU 유형과 각각 관계없다. 따라서, 이용하는데 있어 단 하나의 "추가" 천공 패턴만 이용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방식이 테일 비트가 전체 정보 블록(예컨대, PDU 또는 버스트)에 걸쳐 분산되어 있다는 사실로 인해 복잡한 천공 방식을 수반하므로 종래의 방식보다 더 주목을 받는다. 종래의 방식은 또한, 대역폭을 낭비하는 결과를 가져오는 마지막 OFDM 심볼에 테일 비트 부가와 비트 패딩을 수반한다. 종래의 방식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유연성 증가, 구현 복잡도 감소, 및 비트 패딩을 없앰으로써 대역폭 효율의 증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는 설명적인 것으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든 제한적인 것으로 여겨져서는 않는다. 본 발명 범위는 상기 기술된 것 외에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와, 본원에 포함시키고자 한 특허 청구 범위의 범위내에 놓이는 모든 변형 및 이에 상당하는 것에 의해 제공된다.

Claims (36)

  1. 통신 시스템에서의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비트 블록에 다수의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단계,
    부가된 테일 비트와 함께 정보 비트 블록을 소정의 부호율로 인코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부호율로 나뉜 상기 테일 비트의 수와 동일한 수의 인코딩된 테일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405)을 발생시키는 단계,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천공 방식 및 상기 제2 천공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405)의 제 1 부분(410)에 이용되고,
    상기 제 2 천공 방식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405)의 나머지 부분(415)에 이용되어, 상기 인코딩된 테일 비트의 수와 동일한 수의 비트에 대한 천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와 함께 정보 비트 블록을 소정의 부호율로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와 함께 정보 비트 블록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부호율이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은 "공칭" 천공 방식이고, 상기 제 2 천공 방식은 "공칭" 및 "추가" 천공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6. 통신 시스템내에서 전송될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비트 블록에 다수의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605)을 발생시키는 단계,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상기 제1 천공 방식 및 상기 제2 천공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605)의 일부(610)에 이용됨으로써,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2 천공 방식은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는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상기 인코딩하는 단계는,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1/2의 부호율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시작 부분에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마지막 부분에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상기 부분에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1/2의 부호율에 따른 천공 패턴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9/16의 부호율에 따른 천공 패턴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3/4의 부호율에 따른 천공 패턴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상기 부분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비트 수 보다 사실상 더 적은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8. 통신 시스템내에서 전송될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정보 비트 블록에 다수의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단계,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는 단계,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
    상기 공칭 천공 방식 및 상기 추가 천공 방식에 따라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통신 시스템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칭" 천공 방식은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 전체에 이용됨으로써, 천공되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며,
    상기 "추가" 천공 방식은 상기 천공되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한 부분에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1/2의 부호율로 인코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시작 부분에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 방법.
  22. 통신 시스템내에서 전송될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로서,
    정보 비트 블록에 다수의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수단,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와 함께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소정의 부호율로 인코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부호율로 나뉜 상기 테일 비트의 수와 동일한 수의 인코딩된 테일 비트를 포함하는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는 수단,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수단은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제 1 부분에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며,
    상기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인코딩된 테일 비트의 수와 동일한 수의 비트를 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천공 방식을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나머지 부분에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와 함께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소정의 부호율로 인코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와 함께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5.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은 "공칭" 천공 방식이고, 상기 제 2 천공 방식은 "공칭" 및 "추가" 천공 방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6. 통신 시스템내에서 전송될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로서,
    정보 비트 블록에 다수의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수단(805, 905),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는 수단(810, 910),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815, 915),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820, 920)을 포함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한 부분에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천공된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되고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상기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정보 비트 블록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시작 부분(825)에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29.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마지막 부분(925)에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 보호하는 통신 장치.
  30.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상기 부분에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31.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은 상기 부분적으로 천공되고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32.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부분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나머지 부분에 포함된 비트 수보다 사실상 더 적은 비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33.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매체 액세스 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며, 상기 정보 비트 블록은 하나 이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34. 통신 시스템내에서 전송될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로서,
    정보 비트 블록에 다수의 테일 비트를 부가하는 수단,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함으로써,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는 수단,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수단은, 인코딩된 전체 정보 비트 블록에 상기 "공칭" 천공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천공되고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을 발생시키며,
    상기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은 상기 천공되고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에 상기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정보 비트 블록을 인코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부가된 테일 비트수를 포함하여 정보 비트 블록을 콘볼루션 인코더를 이용하여 인코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3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인코딩된 정보 비트 블록의 시작 부분에 "추가" 천공 방식을 이용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비트 블록을 보호하는 통신 장치.
KR1020017006869A 1998-12-07 1999-12-04 멀티 천공 fec 기술 KR1008064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15398P 1998-12-07 1998-12-07
US12086799P 1999-02-19 1999-02-19
US60/111,153 1999-09-17
US09/397,512 1999-09-17
US09/397,512 US6553540B1 (en) 1998-12-07 1999-09-17 Efficient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 error correction
US60/120,867 1999-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406A KR20010087406A (ko) 2001-09-15
KR100806452B1 true KR100806452B1 (ko) 2008-02-21

Family

ID=2738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869A KR100806452B1 (ko) 1998-12-07 1999-12-04 멀티 천공 fec 기술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553540B1 (ko)
EP (1) EP1138135B1 (ko)
JP (1) JP4603693B2 (ko)
KR (1) KR100806452B1 (ko)
CN (1) CN1248444C (ko)
AT (1) ATE407488T1 (ko)
AU (1) AU758691B2 (ko)
BR (1) BR9915997B1 (ko)
CA (1) CA2353611C (ko)
DE (1) DE69939489D1 (ko)
ES (1) ES2313802T3 (ko)
MY (1) MY121764A (ko)
TW (1) TW525362B (ko)
WO (1) WO20000351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4652B1 (en) * 2000-06-02 2007-09-25 Conexant, Inc. Dual packet configur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s
US6674787B1 (en) * 1999-05-19 2004-01-0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aising random access channel packet payload
DE10001147A1 (de) * 2000-01-13 2001-07-19 Siemens Ag Verfahren zum Fehlerschutz bei der Übertragung eines Datenbitstroms
KR20020096048A (ko) * 2000-05-15 2002-12-28 톰슨 라이센싱 소시에떼 아노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등시성 데이터 전송 방법
CA2310188A1 (en) * 2000-05-30 2001-11-30 Mark J. Frazer Communication structure with channels configured responsive to reception quality
AU768016B2 (en) * 2000-07-05 2003-11-27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figuring transmissio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I115178B (fi) 2000-10-31 2005-03-15 Nokia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bittien suojaamiseksi parhaalla mahdollisella tavalla tiedonsiirtovirheitä vastaan
KR100830494B1 (ko) * 2001-02-20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트래픽 볼륨 측정방법
US6956836B2 (en) * 2001-05-17 2005-10-18 Ericsson, Inc. Asymmetric frequency allocation for packet channels in a wireless network
KR100830492B1 (ko) * 2001-11-05 2008-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부호 비트 펑처링 방법
US7573942B2 (en) * 2001-11-16 2009-08-11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DE10202090B4 (de) * 2002-01-21 2010-08-12 Infineon Technologies Ag Elektronische Sender-Empfänger-Vorrichtung
US8325590B2 (en) * 2002-02-27 2012-12-04 Apple Inc. OFDM communications system
IL154739A0 (en) * 2003-03-04 2003-10-31 Bamboo Mediacasting Ltd Segmented data delivery over non-reliable link
IL157885A0 (en) * 2003-09-11 2004-03-28 Bamboo Mediacasting Ltd Iterative forward error correction
IL157886A0 (en) * 2003-09-11 2009-02-11 Bamboo Mediacasting Ltd Secure multicast transmission
IL158158A (en) 2003-09-29 2012-05-31 Bamboo Mediacasting Ltd Distribution of multicast data to users
US7684507B2 (en) 2004-04-13 2010-03-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select coding mode
US7606222B2 (en) * 2004-05-19 2009-10-20 Agere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creasing the range or bandwidth of a wireless digital communication network
US7607073B1 (en) * 2004-08-04 2009-10-20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s, algorithms, software, circuits, receivers and systems for iteratively decoding a tailbiting convolutional code
WO2006020934A2 (en) * 2004-08-13 2006-02-23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creasing latency in a digital transmission system
US20060218459A1 (en) * 2004-08-13 2006-09-28 David Hedberg Coding systems and methods
JP2006109270A (ja) * 2004-10-07 2006-04-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無線パケット通信機
US8693540B2 (en) * 2005-03-10 2014-04-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of temporal error concealment for P-frame
EP2019554A3 (en) * 2005-03-10 2009-03-11 Qualcomm Incorporated A decoder architecture for optimized error management in streaming multimedia
US7925955B2 (en) * 2005-03-10 2011-04-12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t driver in communication system
JP5074411B2 (ja) * 2005-12-05 2012-11-14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マルチキャストメッセージのための階層的な符号化
US8363738B2 (en) 2005-12-05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Hierarchical coding for multicast messages
US20070286103A1 (en) * 2006-06-08 2007-12-13 Huaning Niu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puncture cycle based multiplexing scheme with unequal error protection (UEP)
US20070288980A1 (en) * 2006-06-08 2007-12-13 Huaning Niu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a frame format and parsing scheme with parallel convolutional encoders
US8107552B2 (en) 2006-06-28 2012-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of uncompressed video having a fast fourier transform-based channel interleaver
US8194750B2 (en) 2006-10-16 2012-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communication having a circulant bit interleaver for equal error protection (EEP) and unequal error protection (UEP)
US20080285496A1 (en) * 2007-05-14 2008-11-20 Bamboo Mediacasting Ltd. Data download in wireless network
WO2008144001A1 (en) 2007-05-16 2008-11-27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signals
WO2009051691A2 (en) 2007-10-15 2009-04-23 Thomson Licen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burst mode activity
EP2521295A3 (en) 2007-10-15 2013-10-23 Thomson Licensing High definition television transmission with mobile capability
EP2395691A4 (en) 2009-02-05 2017-06-21 Panasonic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8934568B2 (en) * 2012-09-14 2015-01-13 Cambridge Silicon Radio Limited Data encoding method and apparatus
US9661657B2 (en) * 2013-11-27 2017-05-23 Intel Corporation TCP traffic adaptation in wireless systems
JP6462593B2 (ja) * 2014-01-31 2019-01-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受信方法
CN110415713B (zh) * 2018-04-28 2021-11-09 北京紫光展锐通信技术有限公司 Dmr系统的编码方法及装置、存储介质、数字对讲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827A (en) * 1987-07-27 1990-03-13 Tiw System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system
US5197061A (en) * 1990-03-23 1993-03-23 Etat Francais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with at least two levels of protection and corresponding reception device
KR950007304A (ko) * 1993-08-18 1995-03-21 양승택 길쌈 부호기
US5416787A (en) * 1991-07-30 1995-05-16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nvolutional cod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75853A (ja) * 1991-12-25 1993-07-13 Toshiba Corp 音声信号の誤り訂正符号化方式
JPH0783355B2 (ja) * 1993-02-22 1995-09-06 日本電気株式会社 同期語多重化装置
US5903554A (en) * 1996-09-27 1999-05-11 Qualcomm In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ink quality in a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system
KR19990012821A (ko) * 1997-07-31 1999-02-25 홍성용 전자기파 흡수체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전자기파 흡수용도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도포 방법
US5907582A (en) * 1997-08-11 1999-05-25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System for turbo-coded satellite digital audio broadcasting
US6141388A (en) * 1998-03-11 2000-10-31 Ericsson Inc. Received signal qua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systems for convolutionally encoded communication channels
US6339834B1 (en) * 1998-05-28 2002-01-15 Her Majesty The Queen In Right Of Canada, As Represented By The Minister Of Industry Through The Communication Research Centre Interleaving with golden section increments
WO2000013323A1 (en) * 1998-08-27 2000-03-09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for a general turbo code trellis termination
US6202189B1 (en) * 1998-12-17 2001-03-13 Teledesic Llc Punctured serial concatenated convolutional coding system and method for low-earth-orbit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8827A (en) * 1987-07-27 1990-03-13 Tiw Systems, Inc. Forward error correction system
US5197061A (en) * 1990-03-23 1993-03-23 Etat Francais Device for the transmission of digital data with at least two levels of protection and corresponding reception device
US5416787A (en) * 1991-07-30 1995-05-16 Kabushiki Kaisha Toshiba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convolutional codes
KR950007304A (ko) * 1993-08-18 1995-03-21 양승택 길쌈 부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8135A1 (en) 2001-10-04
CA2353611C (en) 2011-02-01
CN1248444C (zh) 2006-03-29
JP4603693B2 (ja) 2010-12-22
KR20010087406A (ko) 2001-09-15
MY121764A (en) 2006-02-28
EP1138135B1 (en) 2008-09-03
CN1335001A (zh) 2002-02-06
AU758691B2 (en) 2003-03-27
TW525362B (en) 2003-03-21
ES2313802T3 (es) 2009-03-01
ATE407488T1 (de) 2008-09-15
WO2000035136A1 (en) 2000-06-15
BR9915997B1 (pt) 2013-04-02
DE69939489D1 (de) 2008-10-16
CA2353611A1 (en) 2000-06-15
AU1970500A (en) 2000-06-26
US6553540B1 (en) 2003-04-22
BR9915997A (pt) 2001-09-04
JP2002532955A (ja) 200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452B1 (ko) 멀티 천공 fec 기술
JP4128452B2 (ja) 複数キャリア送信ダイバーシティ・システムの多重化方法
CN1906892B (zh) 在无线通信系统中提供高效控制信道结构的方法和装置
Hoymann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OFDM-based metropolitan area network IEEE 802.16
US732456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hannel multiplexing or demultiplexing
RU237876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запаздывания и служебных данных прохождения сигнала в прямом и обратном направлениях в системе связи
US7359403B1 (en) Data segmentation method in a telecommunications system
US718095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distributing energy over a packet data channe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or high rate packet transmission
US200401203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ternet protocol data via satellite
JP201050645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の制御チャネルにおける、無線リソース割当方法
Doufexi et al. A Comparison of HIPERLAN/2 and IEEE 802.11 a Physical and MAC Layers
KR101136718B1 (ko) 낮은 메모리 요구사항들을 가지는 harq인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RU2328828C1 (ru)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сигналов, соответствующих адаптивному формату пакета, системы локальной сети радиосвязи со многими входами и многими выходами (mimo-wlan)
US6928065B2 (en) Methods of addressing and signal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units in a single slot
US85206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cating and identifying frequency resources in 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US7936715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reconfiguration in a wireless system
KR100415497B1 (ko) 실시간 비디오 서비스를 갖는 이동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
EP1400050B1 (en) Communications system
KR100782591B1 (ko) 무선 시스템에서의 재구성을 위한 방법 및 디바이스
EP1420541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internet protocol data via satellite
Nakanishi et al. An OFDM Based Adaptive Modulation Scheme Employing Variable Coding Rate in Dynamic Parameter Controlled-OF/TDMA Systems
Gyselinckx When people agree on OFDM: Wireless OFDM standards
IL160235A (en) Methods of addressing and signal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units in a single slot
ZA200602745B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reconfiguration in a wireless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