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054B1 -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054B1
KR100806054B1 KR1020027007729A KR20027007729A KR100806054B1 KR 100806054 B1 KR100806054 B1 KR 100806054B1 KR 1020027007729 A KR1020027007729 A KR 1020027007729A KR 20027007729 A KR20027007729 A KR 20027007729A KR 100806054 B1 KR100806054 B1 KR 100806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characteristic
setpoint
setpoint selection
driv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2551A (ko
Inventor
게르하르트위르겐
맨헤르베른하르트
킨트베르너
헤쓰베르너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20072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2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 F02D41/26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computer, e.g. microprocessor the computer being backed-up or assisted by another circuit, e.g. analog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1/0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 F02D11/06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 F02D11/10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 F02D11/105Arrangements for, or adaptations to, non-automatic engine control initiation means, e.g. operator initiated characterised by non-mechanical control linkages, e.g. fluid control linkages or by control linkages with power drive or assistance of the electric type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converting demand to actuation, e.g. a map indicating relations between an accelerator pedal position and throttle valve opening or target 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1/00Use of speed-sensing governors to control combustion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1/001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 F02D31/002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 F02D31/003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 F02D31/005Electric control of rotation speed controlling air supply for idle speed control by controlling a throttle by-p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02Controlling intak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45Detection of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st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97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09Addres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02D41/2422Selective use of one or more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2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 F02D41/34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low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4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a transient phase, e.g. acceleration, deceleration, gear chan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차량 구동 유닛의 제어를 위한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설정값 선택 변수 및 설정값 선택 변수의 설정 방식을 나타내는 특성 변수가 수신된다. 조정기에서는 설정값 선택 변수 및 특성 변수가 상호 독립적으로 조정되고 구동 유닛 제어의 기본이 되는 변수가 선택된다. 변환기에서는 선택된 설정값 선택 변수 및 특성 변수가 조절 신호로 변환되며, 설정값 선택 변수 및 특성 변수를 기초로 상기 조절 신호가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작동 변수, 특히 구동 유닛의 작동 상태를 고려하여 선택된다.
설정값 선택 변수, 특성 변수, 변환기, 조정기, 작동 변수

Description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신 차량 제어장치에서, 다수의, 때로는 상반되는 선택(selection)이 기존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구동 유닛, 변속 장치 등)에 주어진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차량의 구동 유닛은 운전자에 의해 선택된 주행 의도와, 예를 들어 구동 트랙션 제어, 엔진 슬립 방지 제어, 변속장치 제어, 속도 제한 및/또는 공회전 속도 조절과 같은 외부 및/또는 내부 조절 및 제어 기능의 설정값을 기초로 제어된다. 이러한 설정값 선택은 부분적으로 상반되는 결과를 가질 수 있어서, 구동 유닛이 상기 설정값 선택 중 하나만 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설정값 선택은 조정되어야만 한다. 즉, 하나의 실현될 설정값이 선택되어야 한다.
구동 유닛의 제어와 관련하여, 독일 특허 공개 제 197 39 567 A1 호에는 다양한 토크 설정값들의 상기와 같은 조정(coordination)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간행물에서, 설정값은 최대 및/또는 최소값의 선택을 통하여 토크 설정값으로부터 선택되고, 이는 예를 들어 내연기관에서, 충전, 점화 각도 및/또는 분사될 연료량과 같은 구동 유닛의 개별 제어 파라미터 변수들을 결정하는 것에 의하여 순시 작동 상태에서 실시된다. 설정값 선택 변수들 외에, 다양한 특성이 예를 들어 조절에 필요한 동적 특성(dynamic), 우선 순위 등과 관련하여 상기 설정값 선택과 관련될 수 있고, 상기 특성들은 마찬가지로 상반된 특성일 수 있으며, 설정값 선택의 공지된 조정에 고려되지 않을 수 있다.
독일 특허 공개 제 197 09 317 A1호에는 차량 전체에 대해 조정기들을 제공하는 조치가 공지되어 있고, 상기 조정기들은 특히 예를 들어 필요한 동적 특성과 같은 전달된 경계 조건을 기초로 차량 전체의 제어 시스템의 리소스 요구와 리소스 분배를 실행한다. 구동 유닛의 제어를 위한 조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상기에 언급된 설정값 선택의 특성의 고려에 제공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값 선택 변수들 외에, 이와 관련된 특성 변수들의 조정을 돕고 및/또는 제어 변수로 특성 변수들의 변환시에 구동 유닛의 제어를 위해 특성 변수들을 고려하는 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달성된다.
특성 변수와 설정값 선택 변수를 서로 관계없이 조정하는 것에 의해, 구동 유닛의 제어에 있어서 상반되는 요구들의 최적의 조정이 구현되고, 선택된 특성 변수 또는 선택된 특성 변수들을 가지는 하나의 적절한 설정값 변수는 구동 유닛의 상응하는 제어 파라미터로 변환되고, 그 결과, 설정값 선택을 사용하여 전달된 경계 조건의 범위 내에서 설정값 선택이 실현된다.
변수들의 조정은 설정값 선택 변수 및 이들의 특성 변수의 조정시에 실행되는 구동 유닛의 제어 파라미터(내연기관에서 예를 들어 충전, 점화각, 분사량, 분사 시점 등)의 구체적인 선택없이 이루어지는 바람직하다.
상기 조치는 가솔린 직접 분사 시스템에서, 종래의 흡입관 분사 시스템에서, 디젤 분사 시스템에서, 또는 대안적인 구동 시스템(전기 구동, 연료셀 구동 등)에서, 설정값 선택 변수 및 특성 변수들을 바람직하게 조정 및/또는 변환할 수도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 구동 유닛을 위한 토크 지향 제어 시스템에서, 전달된 경계 조건을 포함하는 모든 외부 및 내부 토크 요구 조건은 조정되어 우선순위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조치는 다양한 동적 특성 요구를 바람직하게 조정하고, 동적 특성 변환의 한계는 조정기(coordinator)에 의해 고려된다. 이러한 조정기는 구획화(partitioning)와 관계없이 다수의 제어 유닛을 통하여 분할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결과적 특성 변수를 포함하는 조정기에 의해 결정되는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는 구동 유닛의 작동점과 작동 상태의 함수로서 구동 유닛의 제어 경로(제어 변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설정값에 의해 변환된다. 전달된 특성 변수(들) 및 구동 유닛의 순시 작동 상태가 변환 및 사용된 제어 경로의 선택 동안 고려되어서,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에서의 최적의 변환은 결과적 특성(들) 및 엔진의 현재 작동 상태의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다른 장점은 하기의 실시예 설명 또는 종속 청구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블록선도.
도 2 내지 4는 제어 경로의 선택에 의한, 기존 설정값 선택 및 특성의 조정 또는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 및 특성(들)의 변환을 도시한 블록선도.
도 1은 구동 유닛, 특히 가솔린 직접 분사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제어 유닛(1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입력 회로(14),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유닛(16) 및 출력 회로(18)를 포함한다. 통신 시스템(20)은 상호 데이터 교환을 위해 상기 부품들을 연결한다. 제어 유닛(10)의 입력 회로(14)에는 입력 라인(22-26)이 제공되고, 상기 입력 라인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버스 시스템으로 구현된다. 상기 입력 라인을 통해 제어 유닛(10)에 신호들이 공급되며, 상기 신호들은 구동 유닛의 제어를 위해 분석될 작동 변수를 나타낸다. 상기 신호들은 측정 장치(28-32)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작동 변수들은 가속 페달 위치, 엔진 속도, 엔진 부하, 배기 가스 조성, 엔진 온도 등이다. 제어 유닛(10)은 출력 회로(18)의 출력 라인(34, 36, 38)을 통하여 구동 유닛의 출력을 제어한다. 적어도 분사될 연료량, 내연기관의 점화각, 및 내연기관으로의 공기 공급을 조절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로틀 밸브가 상기의 구동 유닛의 출력 제어를 통하여 작동된다. 상기 입력 변수 외에, 예를 들어, 토크 설정값과 같은 선택 변수를 입력 회로(14)에 전달하는 차량의 다른 제어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예를 들면 구동 슬립 제어기, 주행 동적 특성 제어기, 변속장치 제어기, 및 엔진 트랙션 제어기를 포함한다. 도시된 제어 경로를 통하여, 내연기관으로의 공기 공급, 개별 실린더의 점화각, 분사될 연료량, 분사 시점, 공기/연료 비 등이 조절된다. 도 1에 도시된 설정값 선택에 더하여, 즉 주행 의도와 같은 운전자에 의한 설정값 선택을 포함하는 외부 설정값 선택 변수에 더하여, 예를 들어 공회전 속도 제어기의 토크 변경, 상응하는 설정값 선택 변수를 출력하는 회전수 제한, 속도 및/또는 토크 변경 제한, 부품 보호를 위한 제한 또는 시동시 별도의 설정값 선택 변수들과 같은, 구동 유닛 제어를 위한 내부 설정값 선택 변수들이 존재한다.
경계 조건, 또는 설정값 선택 변수들의 변환 방식을 나타내는 특성들은 개별 설정값 선택 변수들과 관련된다. 적용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특성들이 설정값 선택 변수들과 관련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성은 특성 벡터에 관계될 수 있으며, 상기 특성 벡터로 다양한 특성 변수들이 표시된다. 설정값 선택 변수의 특성들은 예를 들면 설정값 선택 변수들의 설정 동안 요구되는 동적 특성, 설정값 선택 변수들의 우선 순위, 설정될 예비 토크(torque reserve) 및/또는 조절 편의성(예를 들어 변경 제한) 등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특성들이 존재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더 많거나 더 적은 특성 또는 단 하나의 특성만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특성들을 포함할 수 있는 상응하는 특성 벡터는 외부 제어 또는 조절 장치나 또는 내부 기능으로부터의 각 설정값 선택 변수들과 함께 전달된다.
도 2는 제어 유닛의 컴퓨터 유닛(16)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나타낸 흐름도를 도시한다. 상기 흐름도는 설정값 선택 및 그 특성의 조절 및 변환을 도시한다. 상기 컴퓨터 유닛(16)에는 가속 페달 위치(β)를 나타내는 변수들이 제공된다. 상기 컴퓨터 유닛(16)은 경우에 따라서 엔진 회전수와 같은 추가의 작동 변수들을 고려하여 상기 변수를 연산 단계(100)에서 운전자 의도 토크(MiFA)로 변환하고, 이 토크는 조정기(102)에 제공된다. 또한, 컴퓨터 유닛(16)에는 외부 토크 설정값(Mil-MiN)이 전달되고, 상기 설정값은 마찬가지로 조정기(102)에 제공된다. 각각의 토크 설정값과 함께, 선택된 특성 변수(e1~eN, 또는 개별 특성 변수로 구성되는 특성 벡터)들이 전달되어, 조정기(102)에 제공된다. 또한, 내부 기능부(110)가 제공되고, 상기 기능부는 마찬가지로 토크 설정값을 상응하는 특성 변수들과 함께 조정기(102)에 제공하거나, 또는 토크 설정값에 대한 한계값(Mlim) 또는 특성 변수들에 대한 한계값(egrenz)을 지정하고, 상기 한계값들도 조정기(102)에 제공되어, 설정값과 특성값의 조정시에 고려된다. 조정기(102)의 출력은 최종적으로 조정되는 결과적 토크 설정값(MiSOLL), 및 한계값을 고려하여 공급되는 특성 변수들로부터 선택되는 결과적 특성 변수(들)(eSOLL)이다. 설정값은 상기 변수의 범위 내에서 구현된다. 상기 변수는 변환기(104)에 제공되고, 상기 변환기에는 또한 엔진 회전수 등과 같은 추가의 작동 변수들이 제공된다. 상기 변환기는 공급된 작동 변수 및 결과적 특성 변수(들)를 고려하여 결과적 토크 설정값(MiSOLL)을 조절 변수로 변환시킨다. 상기 조절 변수들은 연료 조량, 점화각, 공기 공급 등에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선택된 토크 설정값은 결과적 특성(들)의 범위에서 구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조정기(102)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 기능부의 토크 설정값을 또한 포함하는 토크 설정값(Mil-MiN)이 조정기에 제공된다. 내부 설정값 선택에 대해서도, 특성 변수(el-eN)들이 상기 토크 설정값에 할당된다. 토크 설정값은 토크 조정기(102a)에 제공되고, 상기 조정기는 언급된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작동한다. 특성 변수(특성 벡터)(el-eN)들은 특성 조정기(102b)에 제공되어 조정된다. 조정기(102b)의 구체적인 실시는 사용된 특성에 의존한다. 특성 "우선 순위"는 조정기에 의해, 최고의 우선 순위가 변환기에 전달되도록 선택된다. 특성 "동적 특성"은 최고의 동적 특성 요구가 특성으로서 변환기에 출력되도록 선택된다. 특성 "예비 토크"에도 상응한 것이 적용된다. 이 경우에도 최대의 설정 예비 토크가 전달된다. 특성 "편의성"은 예를 들어 설정된 운전자 유형(역동적 운전자, 정적 운전자 등)에 따라서 정적으로 또는 역동적으로 선택된다. 이러한 설정값 선택과 선택된 특성들은 조정기(102a, 102b)로부터 리미터(102c)로 전달된다. 리미터에서 설정값 선택은 선택된 모멘트 한계값(Milim)으로 한정되고, 상기 한계값은 부품 보호와 배기 가스 등의 이유로 형성된다. 이에 상응하게, 전달된 특성값들은 한계값(egrenz)으로 한정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한계값은 현재 작동 상태에서 조절의 최대 가능 동적 특성 및 예비 토크의 최대 가능 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특성 한계값은 고정되거나, 또는 작동 변수들 및 작동 상태를 기초로 특성 맵, 연산 등의 범위에서 계산된다. 설정을 위하여 변환기에 전달되어 제한될 수도 있는 결과적 값(MiSOLL, eSOLL)은 리미터(102c)에 의해 출력된다.
따라서, 토크 설정값과 특성값은 별도로 그리고 서로에 관계없이 조정된다. 따라서, 토크 설정값이 조정기(102)에 의해 선택되면, 다른 특성이 중요한 것으로서 조정기(102b)에 의해 선택되기 때문에, 그것의 입력 특성은 변경된다. 특성값들은 토크 설정값과 관계없이 변경 가능하다.
도 4는 변환기(104)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록선도를 도시한다. 도 3에 따라서 결과적 값(MiSOLL, eSOLL)이 상기 변환기에 제공된다. 먼저, 제어 경로는 라인(104b-104c)을 통해 제공될 수도 있는 다른 작동 변수들을 고려하여 104a에서 선택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설정값 및 설정값의 일부를 설정할 때 각 제어 경로에 대해 실시될 특성에 따라 수행된다. 예를 들어, 동적 특성에 관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순시 작동 상태의 함수로서, 설정값의 달성에 필요한 최소 시간이 표로 제시되므로, 적절한 제어 경로가 동적 특성 요구를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즉, 조절 변수는 전달된 설정값과 특성을 참조하여 발생되고, 작동 방식(가솔린 직접 분사 엔진), 속도 및/또는 추가의 입력 변수들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균일 작동일 때, 예비 토크는 점화각 조절로서 설정되는 한편, 층상 작동에서 실시되지 않는다. 현재 작동 방식에 관련한 정보는 변환기(104)에서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예는 안티 벅킹(anti bucking) 기능이고, 이러한 기능은 특정 시간, 예를 들어 50ms 내에 토크의 요구를 변환한다. 이러한 것은, 상기 제어 경로만이 필요한 동적 특성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낮은 속도에서 점화각 조절에 의해서만 또는 층상 작동에서는 연료량의 변경에 의해 가능하다. 높은 속도에서는, 연료 경로에서의 사각(dead angle)이 필요한 동적 특성보다 작은 무효 시간(dead time)을 초래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변경은 연료량을 통해서도 가능하고, 균일 작동에서도 가능하다. 즉, 변환기는 각각의 개별 제어 경로에 대해 설정 토크를 결정한다. 따라서, 도 4에는 제어 경로, 공기(ML), 점화각(MZW) 및 연료(MQK)가 도시되어 있다. 조절 변수들의 구현을 특징화하는 특성(eL,eZW,eQK, 예를 들어 각각의 조절 변수들의 조절의 필요한 동적 특성 등)이 각각의 조절 변수와 함께 전달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토크 조절의 필요한 동적 특성이 특성 변수로서 전달된다. 제어 경로(들)를 선택하기 위해 실시예에서는 표가 제공되고, 특정 토크의 변경에 대한 개별 제어 경로의 최소 조절 시간이 속도의 함수로서 상기 표에 기재되어 있다. 50Nm의 토크 변경을 위하여 예를 들어 2000rpm의 회전 속도에서 공기 경로에 대해 67msec의 조절 시간이, 연료 경로에 대해서는 33msec, 점화각 경로에 대해서는 14msec의 조절 시간이 주어지고, 4000rpm의 회전 속도에서는 상응하는 값은 각각 27msec, 13msec, 6msec 이다. 따라서, 30msec의 특성 변수에 대해, 점화각 경로는 2000rpm의 회전 속도에서, 공기 경로는 4000rpm의 회전 속도에서 선택된다. 토크 변경이 하나의 경로를 통해서만 이루어질 수 없다면, 제어 경로의 조합(예를 들어 토크 변경의 일부는 점화각을 통해, 나머지는 연료를 통해)이 선택되며, 각각의 제어 경로에 대해 상응하는 특성 변수가 전달된다. 토크 변경 후에, 하나의 실시예에서 점화각은 개시 시점에 리셋되고, 공기 공급은 적절하게 조절된다. 다른 특성들은 상응하게 실시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λ= 1의 균일 작동일 때, 충전 증가 및 점화각의 지연 조정에 의하여 예비 토크가 얻어진다. 층상 작동에서, 예비 토크의 선택은 작동 방식의 전환을 일으키거나 (예비 토크는 얻어지지 않음) 또는 λ- 한계로 인하여, 요구되는 예비 토크가 층상 작동에서 이미 존재한다.
설정값 조절 변수들은, 라인(104e-104f)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 변수들을 고려하여 그리고 연료 조량, 점화각 및/또는 공기 공급을 설정하기 위한 조절 신호의 전달된 특성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선택에 따라 고유의 변환기(104d)에서 출력된다. 이 경우에, 전송된 설정값은 선행 기술에 공지된 방법으로 조절 변수들로 변환되는 한편, 조절 변수를 변경하는 방식은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사전 제어된 경로의 효율은 선행 기술에 상응하게 고려된다.
특히 가솔린 직접 분사 내연기관에서 상기 조절 변수들에 더하여, 분사 시간, 와류 댐퍼 위치, 밸브 위치 등과 같은 다른 조절 변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조치는 가솔린 직접 분사 내연기관에 제한되지 않고, 상응하는 방식으로 디젤 내연기관 및/또는 예를 들어 전기 모터 등과 같은 대안적인 구동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치는 단지 토크 설정값의 선택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출력, 출력 속도 등과 같은 구동 유닛의 다른 출력 변수들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Claims (9)

  1. 토크에 대한 다수의 설정값 선택 변수, 구동 유닛의 출력 또는 출력 회전 속도가 제 1 조정기에 제공되고, 상기 제 1 조정기(102a)에 의해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로부터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가 결정되어 변환기(104)에 의해 설정되는,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의 변환을 위한 조절 시간, 설정될 예비 토크 변수 및/또는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의 변환을 위한 조절의 편의성을 나타내는,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에 할당된 특성 변수 또는 특성 벡터가 제 2 조정기(102b)에 제공되고, 상기 제 2 조정기(102b)에 의해 결과적 특성 변수 또는 결과적 특성 벡터가 결정되고, 상기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는 상기 결과적 특성 변수 또는 상기 결과적 특성 벡터에 따라 상기 변환기(104)에 의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유닛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는 상기 구동 유닛의 토크에 대한 설정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유닛 제어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컴퓨터 유닛에는 토크에 대한 설정값 선택 변수, 상기 구동 유닛의 출력 또는 출력 회전 속도가 제공되고, 상기 컴퓨터 유닛은 제 1 조정기(102a)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조정기는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로부터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를 설정하는 변환기(104)를 포함하는,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유닛은 제 2 조정기(102b)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조정기(102b)에는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를 위한 조절 시간, 설정될 예비 토크 변수 및/또는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의 변환을 위한 조절의 편의성을 나타내는, 상기 설정값 선택 변수에 할당된 특성 변수 또는 특성 벡터가 제공되고, 상기 제 2 조정기(102b)는 결과적인 특성 변수 또는 특성 벡터를 결정하고, 상기 변환기(104)는 상기 결과적 특성 변수 또는 결과적 특성 벡터에 따라, 상기 결과적 설정값 선택 변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구동 유닛 제어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27007729A 1999-12-18 2000-11-28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06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61291 1999-12-18
DE19961291.9 1999-12-18
DE10016649.0 2000-04-04
DE10016649A DE10016649A1 (de) 1999-12-18 2000-04-04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551A KR20020072551A (ko) 2002-09-16
KR100806054B1 true KR100806054B1 (ko) 2008-02-21

Family

ID=793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729A KR100806054B1 (ko) 1999-12-18 2000-11-28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6054B1 (ko)
DE (1) DE100166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2875B4 (de) 2002-07-19 2012-05-0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Steuereinheit zur Steuerung der Antriebseinheit eines Fahrzeugs
DE102005022690A1 (de) 2005-05-18 2006-11-2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1103693A1 (de) * 2011-06-09 2012-12-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Verfahren zur Regelung eines Verbrennungsmotors zur Schonung der Kupplung
DE102015212709B4 (de) * 2015-07-07 2020-03-05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rennkraftmaschine, Steuereinrichtung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und Brennkraftmas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1635A (en) 1993-08-10 1996-02-13 Dr. Ing. H.C.F. Porsche Ag Arrangement and a process for controlling a starting device of a vehicle drive
JPH1016605A (ja) 1996-03-23 1998-01-20 Robert Bosch Gmbh 車両の走行速度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095945A (en) 1997-01-24 2000-08-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bined engine and transmission control for a motor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91635A (en) 1993-08-10 1996-02-13 Dr. Ing. H.C.F. Porsche Ag Arrangement and a process for controlling a starting device of a vehicle drive
JPH1016605A (ja) 1996-03-23 1998-01-20 Robert Bosch Gmbh 車両の走行速度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095945A (en) 1997-01-24 2000-08-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Combined engine and transmission control for a mot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2551A (ko) 2002-09-16
DE10016649A1 (de) 2001-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0376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700678B2 (ja) 車両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585228A (ja) 車両の電子装置
CN102124201A (zh) 内燃机的控制装置
JPH11141388A (ja) 内燃機関の駆動ユニットのトルク制御方法および装置
US68426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US6778883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US67861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JP4065236B2 (ja) 車両駆動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KR100749193B1 (ko)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6494179B1 (en) Method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ith direct gas injection
KR100806054B1 (ko) 차량의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US6314359B1 (en) System for modifying a load bias function based on transient engine operation
US68457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CN103732893A (zh) 内燃机的控制装置
JP4070719B2 (ja) 車両駆動機関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JP2001349229A (ja) 車両の駆動ユニット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H07257219A (ja) アイドリング中の自動車の駆動装置の回転速度を調整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6341594B1 (en) Method for setting a specifiable target speed in a vehicle
US694192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US69019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e unit
KR100806055B1 (ko) 자동차 구동 유닛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07514092A (ja) 駆動ユニットの運転方法および装置
US200301680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an operating variabl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768359B1 (ko) 엔진의 작동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