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044B1 -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044B1
KR100806044B1 KR1020060137616A KR20060137616A KR100806044B1 KR 100806044 B1 KR100806044 B1 KR 100806044B1 KR 1020060137616 A KR1020060137616 A KR 1020060137616A KR 20060137616 A KR20060137616 A KR 20060137616A KR 100806044 B1 KR100806044 B1 KR 100806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valve body
housing
valve device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만
Original Assignee
신동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만 filed Critical 신동만
Priority to KR10200601376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0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6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 F16K11/07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sliding valves, i.e. sliding closure element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 하나의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정ㆍ역순환유로가 임의로 전환 조성되므로 밸브장치 자체 비용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설치가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켜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며, 관이음 개소를 줄여 누수 등의 하자발생 요인을 줄이고 소형화시켜 취급 및 관리가 간편하고 공간점유를 줄이도록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단 중심에 처리수 탱크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주면 일측에 배치되며 처리조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와 대향하는 180도 위치에 배치되는 제3연결구와 상기 제3연결구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4연결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회전은 자유롭게 밀착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연결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제3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굴곡유로가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구와 연통되는 위치의 전둘레에 요입형성되는 전둘레유로와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제3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둘레유로와 연통되는 패스유로가 구비된 밸브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FORWARD/REVERSIBLE CIRCULATING VALVE DEVICE}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밸브몸체 다른 시선방향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도 6의 가변 상태도
도 8은 종래 기술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10: 하우징 11 ∼ 14: 제1연결구 ∼ 제4연결구
15: 마개 16: 통공 17: 스토퍼
21 ∼ 24: 제1관 ∼ 제4관 31: 오링 50: 밸브몸체
51: 굴곡유로 52: 걸림돌조 53: 전둘레유로
55: 패스유로 57: 축공 59: 손잡이
70: 자동콘트롤 회전수단 71: 모터 73: 감속기
3: 처리수탱크 5: 처리조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단 하나의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정ㆍ역순환유로가 임의로 전환 조성되므로 밸브장치 자체 비용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설치가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켜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며, 관이음 개소를 줄여 누수 등의 하자발생 요인을 줄이고 소형화시켜 취급 및 관리가 간편하고 공간점유를 줄이도록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금도금 또는 금합금도금시에 세척수에 휩쓸려 유실되는 금이온 회수 장치에는 금회수 처리조 내에 미립자로된 금흡착수지를 충진시키고 금이 포함된 처리수를 통과시켜 금이온이 수지에 흡착되도록 하되, 효율성을 위하여 처리수의 순환이 정ㆍ역순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처리수의 정ㆍ역순환을 위한 밸브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2구 솔레노이드 밸브가 상호 결합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의 정ㆍ역순환 밸브장치(100)는 처리조(5)와 처리수탱크(3) 사이에 시계방향으로 배설되는 A,B,C,D 4개의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각 솔레노이드밸브 사이를 연결하는 a,b,c,d관으로 이루어지는 서클관로를 설치하고, 상기 a관에 처리수조에서 인촐되는 제1관(121)이 연결되고, 상기 a관과 대향하는 c관에 처리수조(3)로 회수되는 제4관(124)이 연결되며, 상기 b관에서 처리수탱크(3)의 하방으로 연결되는 제3관(123)이 연결되고, 상기 d관에서 처리수탱크(3)의 상부로 연결되는 제2관(122)이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처리수가 처리조(5)의 상부로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는 정방향 순환유로를 살펴보면, A,C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고, B,D솔레노이드밸브는 잠금상태로 됨에 따라 처리수탱크(3)로부터 - 제1관(121) - a관 - A솔레노이드밸브 - d관 - 제2관(122) - 처리조(5) - 제3관(123) - b관 - C솔레노이드밸브 - c관 - 제4관(124) - 처리수탱크(3)의 순으로 순환된다.
반대로, 역순환은 A,C솔레노이드밸브는 잠금상태로 되고, B,D솔레노이드밸브가 개방되어 처리수탱크(3)로부터 - 제1관(121) - a관 - B솔레노이드밸브 - b관 - 제3관(123) - 처리조(5) - 제2관(122) - a관 - D솔레노이드밸브 - c관 - 제4관(124) - 처리수탱크(3)의 순으로 순환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밸브장치는 솔레이노이드 밸브(A,B,C,D)가 4개나 수반될 뿐만 아니라 이 4개의 솔레노이드밸브 사이를 시계방항으로 연결하는 서클관로(a,b,c,d)가 배관되어야 하므로 부품비가 고가로 소요되고 배관 연결이 복잡하여 자재는 물론 인력과 시간이 막대하게 낭비되므로 비용부담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배관 연결개소가 많아 누수발생 요인이 많아져 고장 염려가 있으며 규모가 커지게 되어 점유공간 및 면적을 크게 차지하는 등 소형화에 역행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 하나의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정ㆍ역순환유로가 임의로 전환 조성되므로 밸브장치 자체 비용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설치가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키고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토록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관이음 개소를 줄여 누수 등의 하자발생 요인을 줄이고 기기를 소형화시켜 취급 및 관리가 간편하고 공간점유를 줄이도록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는,
원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단 중심에 처리수 탱크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가 형성되고, 주면 일측에 배치되며 처리조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와 상기 제2연결구와 대향하는 180도 위치에 배치되는 제3연결구와 상기 제3연결구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4연결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주면에 회전은 자유롭게 밀착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제1연결 구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제3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굴곡유로가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구와 연통되는 위치의 전둘레에 요입형성되는 전둘레유로와 상기 제2연결구 또는 제3연결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둘레유로와 연통되는 패스유로가 구비된 밸브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도 1a의 밸브몸체 다른 시선방향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1)는 4개의 관 연결구가 형성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구에 가변적으로 연통되는 유로가 형성된 밸브몸체(5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원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단 중심에 처리수탱크(3)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11)가 형성되고, 주면 일측에 배치되며 처리조(5)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12)와 상기 제2연결구(12)와 대향하는 180도 위치에 배치되는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3연결구(13)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4연결구(14)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50)는 상기 하우징(10) 내주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밀착설치되며, 일단(51a)이 상기 제1연결구(11)와 연통되고 타단(51b)이 상기 제2연결구(12) 또는 제3연결구(13)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굴곡유로(51)가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구(14)와 연통되는 위치의 전둘레에 요입형성되는 전둘레유로(53)와 상기 제2연결구(12) 또는 제3연결구(1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둘레유로(53)와 연통되는 패스유로(55)가 구비된다.
즉, 상기 밸브몸체(50)는 유입구인 굴곡유로의 일단(51a)과 배출구인 전둘레유로(53)가 각각 고정적으로 처리수탱크(3)와 연통되고 상기 굴곡유로의 타단(51b)과 전둘레유로(53)로 연통되는 패스유로(55)의 위치가 가변되어 정ㆍ역순환유로를 조성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굴곡유로(51)는 "ㄴ"자로 굴곡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밸브몸체(5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연결구(11)와 공간(S)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0)과 밸브몸체(50) 사이에는 유로를 밀폐하기 위한 오링(31)이 일개소 이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링(31)은 밸브몸체(50)의 일측선단 및 전둘레유로(33)의 외측단과 하우징(10)의 내주면 사이에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하우징 내주면 해당위치에는 오링장착 요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밸브몸체(50)는 타측단에 모터(71)를 포함하는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이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정ㆍ역회전이 제 어되는 모터(71)에 감속기(73)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또는 유로에 설치되는 유속감지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는다.
상기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몸체(50) 타측단에는 자동콘트롤 회전수단의 회전축(75)이 키이결합되는 축공(57)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은 타측단에 통공(16)이 관통형성된 마개(15)가 밀폐 결합되고, 상기 밸브몸체(50)는 타측에 상기 통공(16)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59)가 결합될 수도 있다. 이는 밸브몸체(50)의 회전이 수동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몸체(50)의 회전범위를 180도 구간으로 제한ㆍ안내하기 위하여 하우징(10)에는 스토퍼(17)가 형성되고 밸브몸체(50)에는 상기 스토퍼(17)에 대응하는 걸림돌조(52)가 구비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기는 상기 스토퍼(17) 및 걸림돌조(52)는 상기 공간부(S) 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지닌 본 발명에 따른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1)의 설치예 및 작용상태를 살펴본다.
본 발명은 하우징(10)의 제1연결구(11) ~ 제4연결구(14)와 밸브몸체(50)의 굴곡유로(51), 패스유로(55), 전둘레유로(53)가 상호 어떻게 연통되느냐에 따라 정방향 순환유로(C1) 또는 역방향 순환유로(C2)를 조성하게 되고, 그 결정은 밸브몸체(50)를 180도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제1연결구(11)는 제1관(21)을 통하여 처리수탱크(3)와 연결되고, 제2연결구(12)는 제2관(22)을 통하여 처리조(5)의 상부와 연결되며, 제3연결구(13)는 제3관(23)을 통하여 처리조(5)의 하부와 연결되고 제4연결구(14)는 제4관(24)을 통하여 처리수탱크(3)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관(21)에는 펌프(25)가 설치된다.
그리고, 처리수가 처리조(5)의 상부로부터 유입되어 하방으로 배출되는 정방향 순환(C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50)의 굴곡유로 타단(51b)이 상기 제2연결구(12)와 연통되고 상기 패스유로(55)는 제3연결구(13), 전둘레유로(53)는 제4연결구(14)와 연통되어 결과적으로 제3연결구(13)는 패스유로(55) 및 전둘레유로(53)를 거쳐 제4연결구(14)와 연통되는 상태로 배치된다.
이에 따라 처리수탱크(3)로부터 제1관(21)을 통하여 하우징(10) 내로 유입된 처리수는 밸브몸체(50)와 하우징(10) 사이가 오링(31)으로 밀폐되어 있으므로 굴곡유로(51)로 유입되고 이후 제2관(22)을 통하여 처리조(5) 상부로 유입되어 처리가 이루어진 후 처리조(5) 하부로 배출되어 제3관(23)을 통하여 하우징(10)의 제3연결구(13)로 유입되고 패스유로(55) 및 전둘레유로(53)를 통하여 제4관(24)으로 배출되어 처리수탱크(3)로 회수된다.
이를 명확하게 정리하면 처리수탱크(3) → 제1관(21) → 제1연결구(11) → 굴곡유로(51) → 제2연결구(12) → 제2관(22) → 처리조(5) → 제3관(13) → 제3연결구(13) → 패스유로(55) → 전둘레유로(53) → 제4연결구(14) → 제4관(24) → 처리수탱크(3)로 이어지는 정방향 순환유로(C1)이다.
그리고 이러한 정방향 순환유로가 조성된 상태에서 처리가 이루어진 후 수동 또는 제어부의 신호에 의하여 자동제어되는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에 의하여 밸브몸체(50)가 180도 회전되면 이번에는 처리수가 처리조(5)의 하부로부터 유입되어 상부로 배출되는 역방향 순환유로가 조성된다.
역방향 순환유로(C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몸체(50)의 굴곡유로 타단(51b)이 상기 제3연결구(13)와 연통되고 상기 패스유로(55)는 제2연결구(12), 전둘레유로(53)는 제4연결구(14)와 연통되어 결과적으로 제2연결구(12)는 패스유로(55) 및 전둘레유로(53)를 거쳐 제4연결구(14)와 연통되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처리수탱크(3) → 제1관(21) → 제1연결구(11) → 굴곡유로(51) → 제3연결구(13) → 제3관(23) → 처리조(5) → 제2관(22) → 제2연결구(12) → 패스유로(55) → 전둘레유로(53) → 제4연결구(14) → 제4관(24) → 처리수탱크(3)로 이어지는 역방향 순환유로가 조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구성이 대단히 간단하며 또한 단 하나의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처리조의 정ㆍ역순환이 자유롭게 전환되므로 솔레이노이드밸브가 4개나 수반되던 종래기술에 비하여 장치 자체의 비용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종래기술에서 수반되었던 4개 밸브 사이의 시계방향 관이음이 불필요하여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켜 설치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준다.
또한, 관이음 개소가 줄어 누수 등의 하자발생 요인이 현저히 줄어든다.
또한, 단 하나의 밸브장치로서 정ㆍ역순환 전환이 이루어지므로 장치가 소형화되어 취급 및 관리가 간편하고 공간점유를 줄여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는 단 하나의 밸브장치를 이용하여 정ㆍ역순환유로가 임의로 전환 조성되므로 밸브장치 자체 비용절감은 말할 것도 없고 설치가 용이하여 인력과 시간을 현저히 감축시켜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켜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관이음 개소가 줄어 누수 등의 하자발생 요인이 줄고, 장치가 소형화되어 취급 및 관리가 간편하고 공간점유를 줄여 주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원통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일측단 중심에 처리수탱크(3)와 연결되는 제1연결구(11)가 형성되고, 주면 일측에 배치되며 처리조(5)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12)와 상기 제2연결구(12)와 대향하는 180도 위치에 배치되는 제3연결구(13)와 상기 제3연결구(13) 일측으로 배치되는 제4연결구(14)가 구비된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내주면에 회전이 자유롭게 밀착설치되며, 일단(51a)이 상기 제1연결구(11)와 연통되고 타단(51b)이 상기 제2연결구(12) 또는 제3연결구(13)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굴곡유로(51)가 일측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연결구(14)와 연통되는 위치의 전둘레에 요입형성되는 전둘레유로(53)와 상기 제2연결구(12) 또는 제3연결구(13)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둘레유로(53)와 연통되는 패스유로(55)가 구비된 밸브몸체(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50)는 상기 하우징(10)의 제1연결구(11)와 공간(S)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10)과 밸브몸체(50) 사이에는 유로를 밀폐하기 위한 오링(31)이 일개소 이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50)는 타측단에 모터(71)를 포함하는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은 제어부에 의하여 정ㆍ역회전이 제어되는 모터(71)에 감속기(73)가 결합되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 또는 유로에 설치되는 유속감지 압력센서로부터 신호를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자동콘트롤 회전수단(7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밸브몸체(50) 타측단에는 자동콘트롤 회전수단의 회전축이 키이결합되는 축공(57)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타측단에 통공(16)이 관통형성된 마개(15)가 밀폐 결합되고,
    상기 밸브몸체(50)는 타측에 상기 통공(16)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손잡이(59)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50)의 회전범위를 180도 구간으로 제한ㆍ안내하기 위하여 하우징(10)에는 스토퍼(17)가 형성되고 밸브몸체(50)에는 상기 스토퍼(17)에 대응하는 걸림돌조(52)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KR1020060137616A 2006-12-29 2006-12-29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KR100806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616A KR100806044B1 (ko) 2006-12-29 2006-12-29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616A KR100806044B1 (ko) 2006-12-29 2006-12-29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044B1 true KR100806044B1 (ko) 2008-02-26

Family

ID=3938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616A KR100806044B1 (ko) 2006-12-29 2006-12-29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04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3643A (zh) * 2012-09-29 2013-02-06 奉化市新华液压件厂 一种换向阀改进结构
KR101437126B1 (ko) * 2012-11-20 2014-09-02 한국기계연구원 비례제어밸브
CN107138022A (zh) * 2017-07-10 2017-09-0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脱碳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158883A (zh) * 2017-07-10 2017-09-15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干燥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185355A (zh) * 2017-07-10 2017-09-22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o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48A (zh) * 2017-07-10 2017-09-29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co提纯系统及旋转阀
CN107213749A (zh) * 2017-07-10 2017-09-29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co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50A (zh) * 2017-07-10 2017-09-29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h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24840A (zh) * 2017-07-10 2017-10-03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n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4007A (ja) * 1992-10-30 1994-07-15 Nippondenso Co Ltd 流路切替バルブとそれを使用する空調装置
US20030196713A1 (en) 2002-04-19 2003-10-23 Qi-Feng Ma Flow-diverting rotary valves of multiple paths
JP2004257509A (ja) 2003-02-27 2004-09-16 Toshiba Tec Corp ロータリーバルブ及びそれを備えたマッサージ装置
KR20060005860A (ko) * 2004-07-14 2006-01-18 신동만 금회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4007A (ja) * 1992-10-30 1994-07-15 Nippondenso Co Ltd 流路切替バルブとそれを使用する空調装置
US20030196713A1 (en) 2002-04-19 2003-10-23 Qi-Feng Ma Flow-diverting rotary valves of multiple paths
JP2004257509A (ja) 2003-02-27 2004-09-16 Toshiba Tec Corp ロータリーバルブ及びそれを備えたマッサージ装置
KR20060005860A (ko) * 2004-07-14 2006-01-18 신동만 금회수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13643A (zh) * 2012-09-29 2013-02-06 奉化市新华液压件厂 一种换向阀改进结构
KR101437126B1 (ko) * 2012-11-20 2014-09-02 한국기계연구원 비례제어밸브
CN107138022A (zh) * 2017-07-10 2017-09-0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脱碳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158883A (zh) * 2017-07-10 2017-09-15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干燥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185355A (zh) * 2017-07-10 2017-09-22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o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48A (zh) * 2017-07-10 2017-09-29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co提纯系统及旋转阀
CN107213749A (zh) * 2017-07-10 2017-09-29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co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50A (zh) * 2017-07-10 2017-09-29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h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24840A (zh) * 2017-07-10 2017-10-03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n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138022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气体脱碳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49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co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185355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o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50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h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24840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n2提纯系统及气体处理系统
CN107213748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co提纯系统
CN107158883B (zh) * 2017-07-10 2023-07-18 成都赛普瑞兴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干燥系统及气体处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044B1 (ko) 정ㆍ역순환용 밸브장치
US4371003A (en) Swimming pool/spa selector valve
US20070044856A1 (en) Diverter valve for water systems
US4169491A (en) Three port two-way diverter valve with integral drain on one output port
CN100374764C (zh) 附件
KR100556611B1 (ko) 복수 압축기의 균유 시스템
WO2007076225A2 (en) Bypass valve with blending feature
EP2025981B1 (en) Fluid device unit structure
KR101690079B1 (ko) 이양 토출방식의 양방향 펌프
KR20120042200A (ko) 정ㆍ역 순환용 4구밸브를 구비한 귀금속 회수장치
US7788914B2 (en) Apparatus operating hydraulic actuator for valve
US4964434A (en) Dual control valve suitable for high pressure fluids
CN212003822U (zh) 液压油路系统
CN212672479U (zh) 一种用于多路控制阀的接头保护结构
CN210440619U (zh) 一种双向四通阀及其前置过滤器连接结构
KR100455051B1 (ko) 연수기
CN211715836U (zh) 一种整体式流道控制结构
CN216590084U (zh) 一种双切开关
CN218378997U (zh) 废水取样模块
CN211256403U (zh) 一种台式洗衣机用排水阀
CN212509659U (zh) 竖向低压力管道水封装置
CN210978614U (zh) 分支管用t形软密封闸阀
CN220101645U (zh) 水泵反吹装置
KR200440794Y1 (ko) 4웨이 밸브
CN217502637U (zh) 一种快开式ppr阀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