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271B1 -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271B1
KR100805271B1 KR1020030065141A KR20030065141A KR100805271B1 KR 100805271 B1 KR100805271 B1 KR 100805271B1 KR 1020030065141 A KR1020030065141 A KR 1020030065141A KR 20030065141 A KR20030065141 A KR 20030065141A KR 100805271 B1 KR100805271 B1 KR 100805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anion
minerals
mixed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5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8640A (ko
Inventor
권기진
Original Assignee
권기진
권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기진, 권선영 filed Critical 권기진
Priority to KR1020030065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271B1/ko
Publication of KR20050028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2605Treating the starting powders individually or as mixtures
    • C04B35/62645Thermal treatment of powders or mixtures thereof other than sint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2Forming processe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626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 C04B35/63Preparing or treating the powder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preparing or treating macroscopic reinforcing agents for ceramic products, e.g. fibres; mechanical aspects section B using additiv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the products, e.g.. binder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025Aspects relating to the protection of the health, e.g. materials containing special additives to afford skin prote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각종 천연 광물을 분쇄 혼합하고, 숙성 및 치환 등의 제조공정을 거쳐 고순도의 음이온이 발생되어지는 분말 및 액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공지의 천연 광물과 모라자이트(morazite), 제노타이트(zenotin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제올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토르마린(tourmaline), 그리고 한방 약제 광물을 분쇄 혼합하고, 혼합된 광물에 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 후 숙성 및 수분이 완전히 기화될 때까지 가열하며, 상기 가열에 따라 발생되는 천연 혼합 덩어리를 다시 분쇄 후 촉매하며, 분쇄 후 미열로 중화 치환한 다음 원심분리기에 의해 농도를 조정하여 고순도와 저순도로 분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때 각종 광물의 혼합은 혼합비율을 100%로 하였을 때 천연 광물은 56.3%, 모라자이트는 20%, 제노타이트는 4%, 일라이트-운모는 9%, 제올라이트는 2.7%, 벤토나이트는 3%, 토르마린은 5%, 한방 약제 광물은 소량이 첨가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광물에 물을 광물 7 : 물 3의 비율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한다.
천연 광촉 음이온, 모라자이트, 제노타이트, 일라이트-운모,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Description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ion for bright native}
본 발명은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종 천연 광물을 분쇄 혼합하고, 숙성 및 치환 등의 제조공정을 거쳐 고순도의 음이온이 발생되어지는 분말 및 액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음이온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에 생존하는 인간이나 동.식물에 음(-)이온이 미치는 효능을 살펴보면, 통상 공기의 질이 인간을 비롯한 모든 생물의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교외의 산림 속 밝은 햇빛, 맑은 공기, 은은하고 기분 좋은 수목의 향기, 폭포 주위의 상쾌한 공기 속에는 음(-)이온이 많다.
이러한 상쾌한 공기 환경에서는 이상하게 마음이 안정되고 치유되며, 전신에 솟아오르는 활력의 기분을 느낄 수 있어 그러므로 공기 음(-)이온을 공기의 비타민 이라고도 한다.
이와 같이 인간이나 동물에게 음(-)이온이 많은 환경은 성장을 돕고 환원작용으로 산화, 노화, 부패를 억제하게 된다.
또한 음(-)이온은 정신을 안정시키고 특히 호흡기의 기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대기 중에 음(-)이온이 강해지면 호흡기뿐만 아니라 총체적으로 인체의 생리작용이 좋아지고, 자연 치유력이 높아져서 세포가 활성화된다.
더욱이 자율신경의 기능이 좋아지므로 대기 중의 이온은 인체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음(-)이온은 특히 부교감신경에 우세하게 작용하므로 음(-)이온이 많은 공기는 신체를 편히 쉬게 하고 맥박을 안정시키며, 혈압이 떨어지고 피로가 회복되기 쉽다.
즉, 음(-)이온은 세포의 부활작용과 세포막의 물질교류를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 줌으로써 세포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혈액의 정화작용, 혈액중의 Ca, Na의 이온화량을 증가시켜 혈액을 약알칼리성으로 만들어주며, 자율신경 조정작용, 신진대사를 지배하며 생명신경이라 부르는 자율신경의 기능이 좋아져 그 결과 내분비선의 기능이 좋아지고 중추, 말초신경에도 영향을 주며 조혈기능도 향상시키게 되며, 또한 항체도 증가되므로 신체의 방위력은 증가하고 병균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지는 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근래에는 기밀성이 높은 주택, 사무실 등이 일반화되어 외기가 들어 오지도 않고 내부공기가 바깥으로 배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음(-)이온은 소비만 되고 보급되는 일이 없게 된다.
더욱이 실내에서는 다수의 전기기구, 전자제품이 있으며 이것이 음(-)이온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실내의 공기 중에는 먼지 및 각종 이물질뿐만 아니라 다종의 유해세균이 존재하고 있으며, 실질적으로 이들 유해세균이 인체에 많은 해약을 끼지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공기오염과 폐쇄공간에서는 양이온과 음이온의 비율이 적절한 상태의 이온 구성비가 파괴되어 대체로 양이온이 우세한 조건으로 변하며, 이는 공기를 생물학적 활성작용을 갖지 못하는 입자 덩어리로 만들어 신체의 혈액 정화작용, 세포의 활성화, 저항력, 자율신경 조절 작용 등을 방해하게 되므로 오염된 공기 상태에서는 음이온의 공급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유익한 고순도의 음이온이 같은 조건상에서 통상의 음이온수보다 다량으로 방출되게 함으로 인체의 신진대사를 더욱 활성화시켜 모든 지병의 치료에 근본적인 자연 치유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황운모 등과 같은 공지의 천연 광물과 모라자이트(morazite), 제노타이트(zenotin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제올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토르마린(tourmaline), 각각 분쇄한 후 서로 혼합한 후 자수정, 노감석 등과 같은 한방약제광물을 혼합하고, 혼합된 광물에 물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 후 숙성 및 수분이 완전히 기화될 때까지 가열하며, 상기 사열에 따라 발생되는 천연 혼합 덩어리를 다시 분쇄 후 촉매제를 투입하고 상기 천연 혼한 덩어리 분말을 100°미만으로 3시간 이상 처리하여 분말의 음이온들과 양이온이 서로 결합하여 중화/치환되도록 한 후 원심분리기에 의해 농도를 조정하여 고순도와 저순도로 분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에서 천연광물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광물로 일정 조건에서 방사하는 에너지 파장 중 원적외선의 파장을 90% 이상 가지고 있는 광물로서 주로 황운모가 이에 해당된다.
상기에서 한방약제광물은 자수정, 노감석, 자석 증 인체에 유익한 효능을 유발하는 광물로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첨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촉매제는 에너지의 전달을 촉진시키어 활발한 이온화를 유발하는 촉매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으로 주로 은, 알루미늄, 백금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이 이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음이온 분말 제조공정
황운모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천연 광물과 모라자이트(morazite), 제노타이트(zenotin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제올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토르마린(tourmaline)을 각각 분쇄한 후 서로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에 한방약제광물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혼합한다.
이때 혼합비율을 100%로 하였을 때 천연 광물은 56.3%, 모라자이트는 20%, 제노타이트는 4%, 일라이트-운모는 9%, 제올라이트는 2.7%, 벤토나이트는 3%, 토르마린은 5%로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물 100% 에 대하여 한방 약제 광물 20%가 첨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의 광물들을 혼합 후 이 광물에 물을 광물 7 : 물 3의 비율로 혼합하여 36시간 숙성한 다음 150°로 수분이 완전히 증발할 때까지 가열한다.
그리하면 천연의 혼합 덩어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천연 혼합 덩어리를 다시 분쇄 후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 촉매제를 투입한다.
상기 분쇄된 광물을 100°미만으로 3시간 이상 가열처리하여 광물에 내제된 음이온과 양이온의 결합에 따른 중화/치환되도록 하여 음이온 분말을 제조하는 것이다.
이후 제조되어진 음이온 분말을 원심분리기에 의해 농도를 조정하여 고순도와 저순도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의 공정으로 제조되어진 본 발명의 음이온 분말 10g을 전하입자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1℃, 습도 50%, 대기중 음이온수 102/㏄ 조건으로 측정대상물에서 방출되는 음이온을 측정하여 단위체적당 ION수로 표시한 결과는 아래 표 1에서와 같다.
표 1. 음이온수 시험결과
시료명 \ 항목 음이온(ION/cc)
음이온 분말( 천연광촉) 42460
따라서, 동일한 조건상에서 종래에는 음이온이 대략 4,000/cc가 방출되어지는데 비해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어진 음이온 분말에서는 상기 표 1의 결과에서와 같이 42,460/cc가 방출되어짐으로 적은 양으로도 다량의 음이온이 방출되어져 음이온의 효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시예 2. 제조되어진 음이온 분말을 액체화하는 공정
먼저 완성된 음이온 분말에 정제수를 분사방식으로 분사하여 혼합한다.
이때 음이온 분말과 정제수는 7 : 3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36시간 숙성 후 목초액을 전체함량의 25% 첨가한 상태에서 200°로 10시간 가열 및 고압력 처리한다.
이때 순간적 냉각처리로 음이온 분말의 활동성을 저하시켜 음이온의 발생이 활발한 중화과정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에서 중화과정이란 음이온 분말의 활동성에 따라 음이온의 발생이 활발하게되는바 음이온의 발생이 활발할 수록 음이온 분말은 음이온을 방출하고 중성화되며 중성화되는 중화과정에 음이온의 발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후 정밀 여과기로 정제하여 음이온 분말을 천연 광촉으로 액체화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공정으로 추출되어진 천연 광촉액체를 습식분석 및 기기분석 방법으로 시험한 결과는 아래 표 2와 표 3에서와 같다.
표 2. 천연 광촉액체 시험결과(Wt %)
시료명\시료항목(Wt %) SiO2 Al2O3 Fe2O3 CaO MgO K2O Na2O Ig.loss
기능성 도료 (N.G.O. 천연 광촉액체) 3.93 0.27 0.12 18.7 1.47 불검출 0.27 56.3
표 3. 천연 광촉액체 시험결과(ppm)
시료명\시험항목(ppm) Pb Cd As
기능성 도료 (N.G.O. 천연 광촉액체)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이와 같이 표 2 및 표 3의 시험결과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천연 광촉 음이온은 인체에 유익한 성분은 다량으로 배출되어지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억제하여 줌으로써 인체의 활성화 등을 높여주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공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천연 광촉 음이온 분말 및 천연 광촉액체는 건축, 건설, 전기제품 및 모든 생활용품이나 농.축.수산물 등에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이온수가 다량으로 방출되어지고 인체에 유익 한 성분이 다량 배출되어지게 되는 천연의 광촉 음이온 분말을 제조함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 등을 촉진시켜 인체를 활성화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통상의 천연 광물과 모라자이트(morazite), 제노타이트(zenotine), 일라이트-운모(illite-mica), 제올라이트(zeolite), 벤토나이트(bentonite), 토르마린(tourmaline), 각각 분쇄한 후 서로 혼합한 후 한방약제광물을 혼합하는 공정;
    상기의 광물들을 혼합 후 이 광물에 물을 혼합하여 36시간 숙성한 다음 150°로 수분이 완전히 증발하여 천연의 혼합 덩어리가 이루어지도록 가열하는 공정;
    상기 천연 혼합 덩어리를 다시 분쇄 후 촉매제를 투입하는 공정;
    상기 분쇄 후 상기 천연 혼한 덩어리 분말을 100°미만으로 3시간 이상 처리하여 분말의 음이온들과 양이온이 서로 결합하여 중화/치환되어 음이온 분말이 제조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광물들은 혼합비율을 100%로 하였을 때 황운모로 이루어지는 천연 광물은 56.3%, 모라자이트는 20%, 제노타이트는 4%, 일라이트-운모는 9%, 제올라이트는 2.7%, 벤토나이트는 3%, 토르마린은 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혼합된 혼합물100%에 한방 약제 광물 20%를 첨가하여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광물들을 혼합 후 이 광물에 물을 광물 7 : 물 3의 비율로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4. 상기 1 항의 공정에 의해 완성된 음이온 분말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음이온 분말에 음이온분말 30% 대비 정제수 70%를 분사하고, 36시간 숙성 후 목초액을 첨가한 상태에서 200°로 10시간 가열 및 고압력 처리하되 순간적 냉각처리로 음이온 분말의 활동성을 저하시켜 음이온의 발생이 활발한 중화 과정을 억제하여 음이온 발생을 저하시키며, 이후 정밀 여과기로 정제하여 음이온 분말을 천연 광촉으로 액체화시키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목초액은 전체함량의 25%가 첨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KR1020030065141A 2003-09-19 2003-09-19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KR100805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141A KR100805271B1 (ko) 2003-09-19 2003-09-19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5141A KR100805271B1 (ko) 2003-09-19 2003-09-19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40A KR20050028640A (ko) 2005-03-23
KR100805271B1 true KR100805271B1 (ko) 2008-02-28

Family

ID=3738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5141A KR100805271B1 (ko) 2003-09-19 2003-09-19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2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256A (ja) * 1995-12-15 1997-06-24 Mutenka Shokuhin Hanbai Kyodo Kumiai セラミック焼成品の製法
JP2000073226A (ja) 1998-08-21 2000-03-07 Koichi Nishikawa 人造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20020097322A (ko) * 2001-06-20 2002-12-31 학교법인 호서학원 바이오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65256A (ja) * 1995-12-15 1997-06-24 Mutenka Shokuhin Hanbai Kyodo Kumiai セラミック焼成品の製法
JP2000073226A (ja) 1998-08-21 2000-03-07 Koichi Nishikawa 人造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20020097322A (ko) * 2001-06-20 2002-12-31 학교법인 호서학원 바이오 세라믹 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640A (ko)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438B1 (ko) 친환경 기능성 도배풀 조성물
CN101293005B (zh) 负离子无烟艾条及其制备方法
KR100890070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
KR101237700B1 (ko) 탈취·제습·항균기능을 갖는 다기능성의 기공성 구상 소성체
KR19990012115A (ko) 황토, 불석 및 분쇄볏짚의 3성분함유 조성물 및 그 사용
KR100309182B1 (ko) 활성 기능을 갖는 다용도 자화소성 세라믹 분말의 제조 방법
KR100719857B1 (ko) 탈취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77064B1 (ko)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KR100805271B1 (ko) 천연 광촉 음이온 제조방법
KR100807239B1 (ko)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방출되는 식음료 용기용 플라스틱수지 조성물
KR20070042247A (ko) 입상활성탄용 천연광석물 조성물 및 이로부터 기능성친환경 입상활성탄 필터부재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필터부재
KR20070017746A (ko) 머드팩 조성물
CN101953511A (zh) 清除卷烟烟气毒害的纳米富硒锗负离子安全防癌香烟
CN104924997A (zh) 具有驱蚊、抗菌兼远红外线保健功能的轿车顶棚装饰板材
KR20030016154A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 작용을 하는 고기능성 조성물
CN101638845A (zh) 一种具诱生负离子发射远红外及抗菌复合功能的芯片
KR100968279B1 (ko) 몬모릴로나이트를 이용한 미용 마사지 팩의 제조방법
KR101295405B1 (ko) 세라믹의 제조방법
KR20040008152A (ko) 원적외선 방사파동수의 제조방법 및 원적외선 방사파동수
KR200326158Y1 (ko) 탄소성형체 패널을 이용한 침대
KR101394956B1 (ko) 스프레이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벽지 시공방법
KR20030084255A (ko) 다수의 목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바이오 세라믹 및 그의제조방법
KR100855069B1 (ko) 천연재료를 이용한 아토피 습진 완화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562597B1 (ko) 탄화코르크를 이용한 친환경 필터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8255B1 (ko) 건식 찜질용 효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