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5235B1 -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5235B1
KR100805235B1 KR1020070084198A KR20070084198A KR100805235B1 KR 100805235 B1 KR100805235 B1 KR 100805235B1 KR 1020070084198 A KR1020070084198 A KR 1020070084198A KR 20070084198 A KR20070084198 A KR 20070084198A KR 100805235 B1 KR100805235 B1 KR 100805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oad
signal
generator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식
Original Assignee
(주)한일에스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일에스티엠 filed Critical (주)한일에스티엠
Priority to KR1020070084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5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5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5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7Controlling traffic signals
    • G08G1/075Ramp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입사되는 광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서로 다른 소정 칼라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안료를 가지는 발광도료를 이용하여 도로에 마련된 표시마크로 소정 파장의 비 가시광을 출사하는 광발생기와; 광발생기에서 소정 주파수의 비 가사광선을 출사하도록 제어하는 광발생기 제어부와;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신호장치에 연동하여 광발생기 제어부로 연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광발생기 제어부는 신호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연동신호를 근거로, 신호장치의 점등 색상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상으로 표시마크가 발광되도록 광발생기에서 특정 주파수의 비가시광이 출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도로, 안전관리, 도료, 발광, 비가시광, 형광안료, 신호등

Description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A road safety control system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에 운전자가 신호위반을 하지 않고 안정되게 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자동차의 기능과 수량은 놀라울 만큼 발전을 하였으나, 이에 비하여 교통안전 장치는 대부분 교통안전표지 하나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교통안전표지는 보통 도로 양쪽 사이드나 도로 노면에 표시가 되어 있어서 특히, 초행길, 밤길 운전 시에는 운전자가 교통안전 정보를 거의 활용하지를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도로 안전장치들은 신호등, 도로노면표시, 도로가의 표지판 정도가 있는데, 이 장치들은 크기, 가격, 주위 미관, 관리 등의 문제들로 인하여 설치의 한계가 있으며, 운전자가 장치들로부터의 정보 획득에 문제가 있다.
즉, 야간에는 운전자가 표지판, 도로노면 정보들을 놓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며, 또한 신호등을 통과할 때 앞서 가는 큰 차(버스/트럭) 혹은 주변의 조명광으로 인해 신호등의 교통정보 획득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운전자가 교통정보를 원할 때 즉시 얻을 수 없게 되며, 밤에는 신호등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장치는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운전자는 야간에는 조도확보가 여의치 않기 때문에 신호등의 신호에 크게 의존하여 운전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발견하지 못하거나, 또는 도로 노면정보를 용이하게 획득하지 못하여 제때에 차량을 감속하거나 급정거를 하지 못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횡단보도에서의 보행자 안전을 위한 방법으로서, 기존에는 횡단보도 부근에 가로등을 설치하여 횡단보도가 있는 부분을 주위보다 밝게 유지하여 먼 거리의 운전자가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를 확인하거나, 횡단보도의 유무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횡단보도가 있는 부분만 밝고 다른 부분은 어둡기 때문에, 운전자가 주위보다 밝은 횡단보도를 지난 직후에는 순간적으로 주변이 더 어두워지므로 위험요소나 돌발상황에 미처 대처하지 못하고 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즉, 운전자가 야간에 실내등을 끄고 운전하는 것과 실내등을 켜고 운전할 때의 시야 확보에 큰 차이점이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 할 수 있다.
또한, 보행자 입장에서도 주위보다 횡단보도가 밝기 때문에 건너기는 수월할지 몰라도, 밝은 부분에 있는 관계로 주변의 어두운 곳에서의 교통상황 등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여 안전사고를 일으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횡단보도를 밝게 비추도록 가로등을 설치한 경우, 3거리나 4거리와 같은 도로에서는 보행자와 차량 운전자가 가로등으로 인한 사각 지대가 발생하여 차량 또는 보행자를 서로 확인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사고가 종종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야간에 신호등 체계와 연계하여 도로상의 표시상황이 변하게 하여 운전자가 안전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입사되는 광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서로 다른 소정 칼라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안료를 가지는 발광도료를 이용하여 도로에 마련된 표시마크로 소정 파장의 비 가시광을 출사하는 광발생기와; 상기 광발생기에서 소정 주파수의 비 가사광선을 출사하도록 제어하는 광발생기 제어부와; 상기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신호장치에 연동하여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로 연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연동신호를 근거로, 상기 신호장치의 점등 색상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상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되도록 상기 광발생기에서 특정 주파수의 비가시광이 출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 상에 도포된 횡단보도 표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장치는, 상기 도로 상에 설치되는 보행자 신호등과; 상기 도로 상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광안료는, 입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장에 따라서 적색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제1발광안료와 제2발광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적색안료에 의해 상기 표시마크가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1파장광과, 상기 녹색안료에 의해 상기 표시마크가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며 상기 제1파장광과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파장광을 출사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발광안료는, 입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장에 따라서 주황으로 발광하는 제3발광안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제3발광안료에 의해 상기 표시마크가 주황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장광과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3파장광을 출사 가능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신호장치가 보행신호등인 경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신호등의 점등색에 연동하여 반대의 신호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신호장치가 교통신호등인 경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신호등의 점등색에 연동하여 동일한 신호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 상의 차선별로 도포되어 차량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방향 표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도로의 차선별로 서로 다른 파장의 파장광을 출사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광출사부를 가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 상의 차선별로 도포되어 차량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방향 표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파장광을 동시에 출사하여 상기 방향 표시 각각이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 상에 형성된 차량 정지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신호를 근거로 상기 광발생기에서 상기 차량 정지선으로 특정 파장의 파장광을 출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신호장치에 대응되는 색으로 상기 차량 정지선이 발광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광발생기에서 출사되는 특정 파장광의 파워가 상기 신호장치의 변환주기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마크의 발광조도가 시간에 비례하여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광발생기에서 출사되는 파장광의 파장이 상기 신호장치의 변환주기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마크의 발광색이 시간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광발생기의 온/오프 신호와, 출사광의 파장에 대한 신호 및 출사광의 광파워 신호를 원격지에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광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지에 마련된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광발생기를 원격에서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은, 소정 주파수 대역의 광에 반응하여 소정 칼라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안료를 가지는 도료를 이용하여 도로에 마련된 표시마크를 발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로 상에 설치된 신호등의 점등색에 대한 정보를 광발생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인가된 점등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점등색에 대응하여 발광하도록 설정된 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광발생기로부터 비가시광을 출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도로 상에 설치되는 보행신호등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행신호등의 점등색과 반대의 신호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해당 비가시광을 출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도로 상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 신호등의 점등색과 동일한 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해당 비가시광을 출사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도로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 신호등의 점등색에 따라서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을 가이드하도록 차선별로 그려진 방향표시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각각의 해당 차선으로 서로 다른 파장의 비가시광을 독립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조도환경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출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워를 시간에 비례하여 가변시켜 발광조도를 가변시키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출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장을 시간에 비례하여 가변시켜 발광색을 가변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도로에 표시된 마크 예를 들어, 횡단보도 표시, 차량 진행 방향 안내표시등이 신호등과 연계하여 소정 색으로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야간 운전시 운전자에게 먼 곳에서부터 도로상에서 특정 색으로 발광하는 노면상황을 신호등과 연계시켜 환기시키고, 교통신호를 보다 명확하고 정확하게 안내할 수 있어서 도로 교통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 단일 차선 뿐만이 아니라, 3거리 및 4거리와 같은 교차로에서도 여러 개의 차량신호등과 보행자 신호등 각각을 연예시켜서 복수의 도로 상에 마련된 횡단보도 표시 및 차량 진행방향 표시를 소정 색으로 발광시켜 교통흐름을 원활하게 유도할 뿐만 아니라, 보행자의 안전성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 표시뿐만 아니라, 차량 정지선도 함께 발광시킴으로써 차량이 횡단보도 표시로 진입하기 전에 차량을 멈추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탁월하게 되어 보행자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처에 따라서 광발광기의 광출사부를 하나 또는 복수 마련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경우의 신호 체계 및 횡단보도 표시 등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행자 신호등의 점멸 주기 등에 대응시켜서 횡단보도 표시의 발광패턴 즉, 발광 조도를 가변시키거나, 또는 발광색의 농도를 가변시킴으로써 보행자 및 운전자에게 보다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로(10) 상에 도포되어 표시된 표시마크 즉, 횡단보도 표시(11)가 신호장치(20)에 연동하여 소정 색으로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도로(10)를 운전중인 운전자에게 도로(10)의 신호상태와 도로상황을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인식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비가시광을 출력하는 광발생기(110)와, 상기 광발생기(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광발생기 제어부(120)와, 상기 신호장치(20)를 구동제어하는 신호제어기(130)를 구비한다.
여기서, 횡단보도 표시(11)는 보행자를 한쪽으로 유도하여 쌍방향으로 질서있게 이동할 수 있도록 2개의 횡단보도 블록(11a, 11b)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로(10)가 단순 직선 도로인 경우에, 상기 도로(10) 상에 도포되어 형성된 표시마크는 횡단보도(11)를 기준으로 양쪽 차량 진행 차선에는 차량 정지선(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횡단보도 표시(11) 및 차량 정지선(12) 각각은 페인트(paint) 및 바니시(varnish)를 포함하는 도료에 소정 비율로 발광안료(發光顔料)를 혼합한 발광도료(發光塗料; luminescent paint)를 도로(10) 표면에 도포 내지는 칠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안료는, 특정 파장을 가지는 비 가시광선 예컨대, 자외선을 받았을 때 해당 파장에 반응하여 서로 다른 색의 가시광을 발하는 복수의 발광안료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안료는 예컨대, 제1파장광을 받아서 적색광을 발하는 제1발광안료와, 제2파장광을 받아서 녹색광을 발하는 제2발광안료 및 제3파장광을 받아서 주황광을 발하는 제3발광안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안료는 황화물계, 유기계 및 무기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적색광을 발하는 제1발광안료로는 한국 공개특허 2002-0058119에 개시된 바와 같이, 무기계로서 Y2O2:Eu계 등이 있으며, 녹색광을 발하는 제2발광안료로는 무기계로서 Zn2GeO2:Mn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황색광을 발하는 제3발광안료로는 황화물계인 ZnSCDs:Cu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내지 제3발광안료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비가시광선을 받아서 특정 색광을 발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종류 이외에 산업 전반에서 이미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제품을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그 발광안료를 발광시키는 비가시광선은 안료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서 자외선 또는 적외선이 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의 파장은 서로 다르되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특성을 가지는 제1 내지 제3발광안료를 상기 도료와 소정 비율로 혼합한 발광도료를 이용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보도 표시(11) 및 차량 정지선(12)을 도로(10) 상에 형성하되, 횡단보도 표시(11)의 경우에는 좌측표시(11a)와 우측표시(11b)를 구분하여 마련할 수 있다.
상기 광발생기(110)는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120)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것으로서, 구동신호에 따라서 특정 파장의 광을 상기 횡단보도 표시(11) 및 차량 정지선(12) 쪽으로 출사한다. 즉, 상기 광발생기(110)는, 상기 횡단보도 표시(11) 및 차량 정지선(12)이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제1발광안료와 반응하는 제1파장광과, 횡단보도 표시(11)가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제2발광연료와 반응하는 제2파장광과, 상기 횡단보도 표시(11)가 황색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제3발광안료와 반응하는 제3파장광을 각각 출사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 및 제3파장광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지는 광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비가시광선으로서 자외선 또는 적외선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3파장광 각각의 구체적인 주파수 대역은 본 발명을 특징짓는 구성이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광발생기(110)는 횡단보도 표시(11)가 있는 도로(10)의 양쪽 도로변에 각각 하나씩 설치될 수 있으며, 그 각각은 동시에 구동되거나 시간차를 두고 구동되어 횡단보도 표시(11)의 좌측표시(11a)와 추측표시(11b) 각각을 주 출사영역으로 설정하여 광을 출사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광발생기(110)는 상기 차량 정지선(12)으로도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내지 제3파장광을 선택적으로 출사하도록 제어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발생기(110)는 제1파장광을 출사하는 제1광출사부(111)와, 상기 제2파장광을 출사하는 제2광출사부(112)와, 제3파장광을 출사하는 제3광출사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각 광출사부(111, 112, 113)는 서로 다른 파장의 광을 독립적으로 출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광출사부(111, 112, 113)는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 광을 출사하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광발생기(110)는 상기 차량 정지선(12)으로 파장광을 출사하기 위한 제4광출사부(11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제4광출사부(114)는 상기 제1 내지 제3광출사부(111, 112, 113) 각각에 연동하여 차량 정지선(12)이 적색, 주황색, 녹색으로 각각 발광하도록 하는 서로 다른 파장의 파장광들을 출사하도록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내지 제3광출사부(111, 112, 113)도 하나의 광출사부로 통합하여 제1 내지 제3파장광을 선택적으로 출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구성의 광발생기(110)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21)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120)는 상기 신호제어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신호장치(20)의 신호와 연동되는 신호를 전달받고, 그 전달된 신호장치(20)의 점등신호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하여 상기 광발생기(110)에서 특정 파장의 광을 출사하도록 광발생기(110)를 제어한다. 이러한 광발생기 제어부(120)는 각각의 광발생기(110)에 대응되게 마련될 수도 있고, 하나의 광발생기 제어부(120)에 의해 복수의 광발생기(110)가 구동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신호제어부(130)는 상기 신호장치(20)의 점등을 제어하며, 또한 그 신호장치(20)의 점등신호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120)로 인가함으로써, 상기 신호장치(20)의 점등에 연동하여 상기 광발생기(110)에서 소정 파장의 광을 출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신호 제어부(130)는 각 신호장치(20)와 하나의 시스템을 이루도록 도로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경찰청과 같은 원격지에 마련되어 원격으로 통제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현장의 신호제어기(130)는 경찰청 상황실의 원격제어기(140)로 신호를 송수신하여 정보를 송신하고, 정보를 수신하여 원격으로 신호장치(20) 및 광발생기(11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장치(20)는 보행자 신호등(21)과, 차량신호등(23)을 구비한다. 상기 보행자 신호등(21)은 도로(10)의 건널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횡단보도 표시(11)를 사이에 두고 양측 도로변에 소정 높이로 설치된다. 이러한 보행자 신호등(21)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차량신호등(23)의 점등색과는 반대로 점등하도록 상기 신호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된다. 즉, 보행자 신호등(21)은 도로(10)를 보행자가 횡단할 때는 녹색등이 켜지고, 보행자가 도로를 건너지 못하도록 할 때는 적색등이 켜진다. 이러한 보행자 신호등(21)은 양측 도로변에 한 쌍이 마련되어 동시에 연동하여 동작 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차량 신호등(23)은 통상적으로 도로를 오가는 차량을 상기 보행자 신호등(21)의 점등에 따라 통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적색등, 황색등 및 적색등이 나란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 신호등(230)은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도 로 표면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설치되며, 횡단보도 표시(11)에 인접된 위치에 중앙차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신호등(23)은 상기 신호 제어부(13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제어되며, 상기 보행자 신호등(21)의 점등색에 연동하여 반대의 색등이 켜지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차량의 운행과 보행자의 이동을 서로 연계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차량의 운행을 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보행자 신호등(21)과 차량 신호등(23) 각각의 점등색깔과 연계하여 광발생기(110)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상기 횡단보도 표시(11)는 차량 신호등(23)의 점등색과 동일한 색으로 동시에 발광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야간이나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차량 운전자는 도로 상황과 더불어서 차량 신호등(23)을 확인하기가 힘든 경우에, 도로(10)의 표면에서 횡단보도(11)가 특정 색으로 발광하게 되면, 운전자는 도로(10)를 운행하면서 쉽게 도로 신호상황을 확인 및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차량을 운전할 수 있으며, 횡단보도를 건너는 보행자는 보다 안전하게 건널 수 있게 된다.
또한, 횡단보도 표시(11)가 발광하면서 주변의 조도를 높이게 되므로, 운전자가 보다 밝은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행자 신호등(21)의 경우 신호가 바뀌는 시간을 알려주기 위해서, 음성으로 시간을 카운팅하여 출력하거나, 신호등의 점등을 깜빡거리게 하거나, 또는 여러 개의 등을 단계적으로 소등시킴으로써 보행자에게 신호의 변환시점을 알 려주는 시스템이 채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보행자 신호등(21)에 연동하는 광발생기(110)는 광발생기 제어부(120)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광발생기(110)에서 출사되는 광의 파워(power)를 단계적으로 가변(줄이거나 증가시켜)시켜서 발광조도를 신호주기에 따라서 가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발생기 제어부(120)는 광발생기(110)에서 파장광이 소정 간격을 두고 출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횡단보도 표시(11)가 깜박거리면서 발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광발생기 제어부(120)는 광발생기(110)에서 출사되는 파장광의 파장을 신호 주기에 대응시켜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함으로써, 횡단보도 표시(11)의 발광색이 예를 들어, 적색의 농도치를 절대값으로 하여 10 -> 9 -> 8-> ... -> 1 순으로 변하도록 하여 점진적으로 적색에서 주황색으로 가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제어기(140)는 상기 광발생기(110)의 온/오프 신호와, 출사광의 파장에 대한 신호 및 출사광의 광파워 신호를 원격지에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120)로 전달하여 상기 광발생기(11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원격제어기(140)는, 상기 광발생기(110)를 원격에서 제어하되,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14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경찰서의 상황실 등에 마련된 서버 즉, 원격제어기(140)에서는 제어프로그램을 구동시킴으로써 해당 경찰서에서 관리하는 도로들 전체의 보행자 신호등(21)와 차량 신호등(23)에 연계시켜 횡단보도 표시(11)를 소정 색으로 발광되도록 자동 제어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할 뿐만이 아니라 관리에 필요한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신호제어부(130)도 원격에서 제어신호를 전달하여 자동으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되도록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3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로(10)의 3거리 갈림길에서 횡단보도 표시(11)와 차량 정지선(12)을 보행자 신호등(21) 및 차량 신호등(25)에 연계하여 소정 색으로 발광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각 횡단보도 표시(11)로 소정 파장의 파장광을 출사하기 위한 복수의 광발생기(110)(110')와, 각 광발생기(110, 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복수의 광발생기 제어부(120)와, 보행신호등(21) 및 차량신호등(25)을 연계하여 구동제어하는 신호 제어부(130)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각 횡단보도 표시(1) 마다 한 쌍의 광발생기(110, 110')가 설치되며, 그 중에서 하나의 광발생기(110)는 앞서 도 2a 내지 도 2c를 통해 설명한 광발생기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다른 광발생기(1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광출사부(111, 112, 113)을 구비한 구성으로서, 적색, 주황색, 및 녹색으로 횡단보도 표시(11)를 발광시키기 위한 파장광들을 각각 출사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즉, 상기 광발생기(110)는 차량 정지선(12)에 대응되는 제4광출사부(114; 도 2b 참조)를 구비하고 있으나, 상기 3거리 쪽에 치우치게 설치되는 광발생기(110')에는 차량 정지선에 대응되는 제4광출사부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도로(10)의 3거리에서 복수의 차량신호등(25) 및 복수의 보행자 신호등(21) 각각에 연동시켜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횡단보도 표시(11)를 소정 색으로 서로 다르게 발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4거리 교차로(30)에서 각각의 교차로 진입로마다 마련된 횡단보도 표시(11)를 보행자 신호등(21) 및 차량 신호등(25)에 연계시켜 적색, 주황색, 녹색 등으로 발광시킬 수 있다. 도 4에서 앞서 도 2a 내지 도 3b를 통해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교차로(30)를 진입하는 지점의 도로상에 표시된 표시마크(31)를 교차로(30)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25)에 연동시켜 소정 색으로 발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표시마크(31)는 차량의 이동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방향 표시로서, 좌회전 표시(31a), 직진표시(31b) 및 우회전 표시(31c)를 구비할 수 있으며, 그 길이와 폭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표시마크(31)는 앞서 도 2a를 통행 설명한 횡단보도 표시(11)와 마찬가지로, 제1, 제2 및 제3발광안료가 혼합된 발광도료를 이용하여 도로상에 도포되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차량 신호등(25)은 교차 4거리인 경우에는 각각의 도로마다 설치되어 모두 4개가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차량 신호등(25)은 신호제어부(230)에 의해 모두 연동하여 구동됨으로써 교차로에서 원활한 교통 흐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차량 신호등(25)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제어부(230)와, 상기 신호 제어부(230)로부터 차량 신호등(25)의 점등 신호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 광발생기 제어부(220)와,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220)의 구동신호에 따라서 소정 주파수의 비가시광을 상기 표시마크(31)로 출사시키는 광발생기(210)를 구비한다.
상기 신호제어부(230)는 교차로(30)에 연결되는 각 차로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차량 신호등(25)을 동시에 연동시켜 점등시킨다. 그리고 신호제어부(230)는 복수의 차량 신호등(25)을 동시에 연동시켜 구동시키는 신호정보를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220)로 인가한다. 이러한 신호제어부(230)는 원격제어기(24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기(240)는 경찰청의 종합상황실에 마련된 종합관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기(240)로부터 상기 신호제어부(230)의 차량신호등(25) 구동신호를 설정할 수 있으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25)로의 연계신호 인가 여부도 원격으로 설정 및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220)는 신호제어부(23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를 근거로 하여 상기 광발생기(210)의 구동을 제어하여 소정 주파수 대역의 광을 출사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광발생기(210)는 각각의 차선(32, 33, 34)에 표시된 표시마크들(31a, 31b, 31c)을 독립적으로 발광시킬 수 있도록 해당 차선들(32, 33, 34)을 독립적으로 담당하여 광을 출사하도록 복수의 광출사부(211, 212,213)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광발생기(210)는, 차량 신호등(25)의 점등 색이 적색이면, 적색광으로 표시마크들(31a, 31b)이 발광하도록 하는 제1파장광을 해당 차선(33, 34)으로만 출사하고, 차량 신호등(25)의 점등 색이 녹색이면, 직진 및 우회전을 위한 표시마크들(31b, 31c)이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해당 차선(33, 34)에 제2파장광을 출사하도록 구동 제어된다. 그리고 광발생기(210)는 차량 신호등(25)의 점등 색이 황색이면 모든 표시마크들(31a, 31b, 31c)이 황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3파장광을 모든 차선(32, 33, 34)으로 출사하도록 구동제어된다. 그리고 차량 신호등(25)에 녹색 좌회전 신호가 들어오면, 광발생기(210)는 좌회전을 나타내는 표시마크(31a)만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제3파장광을 상기 표시마크(31a)가 그려진 안쪽 차선(34)으로만 출사하고, 다른 차선들(32, 33)로는 적색 또는 황색으로 표시마크들(31b, 31c)이 발광하도록 제1 또는 제2파장광을 해당 차선으로만 출사하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광발생기(210)는 광발생기 제어부(220)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제어되면서 각 차선으로 독립적으로 제1 내지 제3파장광 중 어느 하나를 출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광발생기(210)는 바람직하게는 도로상의 차선의 수 또는 표시마크(31)의 종류 수에 대응되는 수로 광출력부(211, 212, 213)를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구동제어될 수 있는 것이 좋다.
그리고 광발생기(210)는 출사되는 광이 차선별로 구분된 영역으로 출사될 수 있도록 차선의 전방 즉, 차량 신호등(25)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발생기(210)는 차량신호등(25)과 함께 설치 되거나, 그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교차로(30)에서 각 차선별로 그려진 표시마크(31)를 교통신호에 따라서 독립적으로 소정 색으로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야간 등에 교차로(30)에서의 신호 상황을 보다 정확하고 명확하게 운전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으며,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신호제어부(130)는 도로(10) 상의 신호장치(20)의 신호등 색깔에 대한 정보를 광발생기 제어부(120)로 인가한다(S10).
그러면 광발생기 제어부(120)는 입력된 신호등 색에 대응하여 해당 파장광을 횡단보드 표시(11)로 출사한다(S11).
그러면 횡단보도 표시(11)는 출사된 파장광에 반응하여 신호등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으로 발광하게 된다(S12). 예를 들어, 차량 신호등(23)이 적색등이면, 횡단보도 표시(11)가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1파장광을 출사하게 됨으로써, 차량 운전자는 적색으로 발광하는 횡단보도 표시(11)를 먼 거리에서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속도를 낮추어 사고 예방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신호제어부(130)는 신호장치(20)의 변화가 있는지를 판단하고(S13), 신호등이 바뀌게 되면 상기 단계들(S10, S11, S12)을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단계(S13)에서 신호등의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광발생기(110)의 동작을 계속할 것인지를 판단하고(S14), 상기 단계들(S11, S12, S13)을 계속해서 수행함으로써 신호등과 동일한 시간단위로 발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S14)에서 더 이상 진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 예를 들어서 미리 설정된 시간대(낮시간대)인 경우에는 신호등만 동작되도록 하고, 광발생기(110)의 동작은 중지시킨다.
한편, 이상에서는 광발생기(110, 110')가 복수의 광출력부(111, 112, 113, 114)를 구비하여, 각각에서 서로 다른 파장의 파장광을 출사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자 신호등(21)이 지지된 기둥(24)에 광발생기(310)를 설치하되, 상기 광발생기(310)는 적색, 주황색 및 녹색으로 횡단보도 표시(11)를 발광하도록 하는 제1 내지 제3파장광을 모두 출사하도록 제어될 수 있으며, 그 출사 방향 및 각도는 파장광의 파장에 따라서 미리 설정하여 가변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신호등(25)에 광발생기(310)를 설치하되, 상기 광발생기(310)는 하나의 광출사부를 가지면서도, 하나의 광출사부로부터 소정 파장의 파장광을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출사시킬 수 있도록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발생기(310)는 적색, 주황색 및 녹색으로 도로상에 발광도료로 표시된 표시마크(차량 방향표시)가 차선마다 서로 다른 색으로 동시에 표출될 수 제1 내지 제3파장광을 순간적으로 순차적으로 출사 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재1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광발생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광발생기가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광발생기가 보행자 신호등에 설치된 예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5b는 도 5a의 광발생기를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5c는 도 5a에 도시된 광발생기의 설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도 2a에 도시된 광발생기의 다른예들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도로 11..횡단보도 표시
20..신호장치 21..보행자 신호등
23, 25..차량 신호등 110,110', 210,310..광발생기
120,220..광발생기 제어부 130,230..신호제어부
140,240..원격제어기

Claims (21)

  1. 입사되는 광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서 서로 다른 소정 칼라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안료를 가지는 발광도료를 이용하여 도로에 마련된 표시마크로 소정 파장의 비 가시광을 출사하는 광발생기와;
    상기 광발생기에서 소정 주파수의 비 가사광선을 출사하도록 제어하는 광발생기 제어부와;
    상기 도로 주변에 설치되는 신호장치에 연동하여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로 연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신호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연동신호를 근거로, 상기 신호장치의 점등 색상에 대응되게 설정된 색상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되도록 상기 광발생기에서 특정 주파수의 비가시광이 출사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상에 도포된 횡단보도 표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장치는,
    상기 도로상에 설치되는 보행자 신호등과;
    상기 도로상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안료는,
    입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장에 따라서 적색 및 녹색으로 발광하는 제1발광안료와 제2발광안료를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적색안료에 의해 상기 표시마크가 적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제1파장광과, 상기 녹색안료에 의해 상기 표시마크가 녹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며 상기 제1파장광과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2파장광을 출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안료는,
    입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장에 따라서 주황으로 발광하는 제3발광안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제3발광안료에 의해 상기 표시마크가 주황으로 발광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파장광과는 서로 다른 파장을 가지는 제3파장광을 출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장치가 보행신호등인 경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신호등의 점등색에 연동하여 반대의 신호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장치가 교통신호등인 경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보행신호등의 점등색에 연동하여 동일한 신호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상의 차선별로 도포되어 차량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표시를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방향 표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상기 도로의 차선별로 서로 다른 파장의 파장광을 출사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광출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상의 차선별로 도포되어 차량진행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표시를 포 함하며,
    상기 광발생기는,
    상기 방향 표시 각각이 독립적으로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파장의 파장광을 동시에 출사하여 상기 방향 표시 각각이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마크는,
    상기 도로상에 형성된 차량 정지선을 더 포함하며,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연동신호를 근거로 상기 광발생기에서 상기 차량 정지선으로 특정 파장의 파장광을 출사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신호장치에 대응되는 색으로 상기 차량 정지선이 발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광발생기에서 출사되는 특정 파장광의 파워가 상기 신호장치의 변환주기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마크의 발광조도가 시간에 비례하여 가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는, 상기 광발생기에서 출사되는 파장광의 파장이 상기 신호장치의 변환주기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상기 광발생기를 제어하여 상기 표시마크의 발광색이 시간에 비례하여 점진적으로 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발생기의 온/오프 신호와, 출사광의 파장에 대한 신호 및 출사광의 광파워 신호를 원격지에서 상기 광발생기 제어부로 전달하여 상기 광발생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지에 마련된 원격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제어기는,
    상기 광발생기를 원격에서 제어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15. 소정 주파수 대역의 광에 반응하여 소정 칼라의 광을 발광하는 발광안료를 가지는 도료를 이용하여 도로에 마련된 표시마크를 발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로상에 설치된 신호등의 점등색에 대한 정보를 광발생기 제어부로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인가된 점등색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상기 점등색에 대응하여 발광하도록 설정된 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광발생기로부터 비가시광을 출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도로상에 설치되는 보행신호등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보행신호등의 점등색과 반대의 신호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해당 비가시광을 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도로상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차량 신호등의 점등색과 동일한 색으로 상기 표시마크가 발광하도록 해당 비가시광을 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등은 상기 도로의 교차로에 설치되는 차량 신호등을 포함하며,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는,
    상기 차량 신호등의 점등색에 따라서 교차로로 진입하는 차량의 진행을 가이 드하도록 차선별로 그려진 방향표시 각각이 서로 다른 색을 발광하도록 상기 각각의 해당 차선으로 서로 다른 파장의 비가시광을 독립적으로 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는 기 설정된 조도환경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출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워를 시간에 비례하여 가변시켜 발광조도를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21.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사시키는 단계에서는,
    상기 출사되는 비가시광의 파장을 시간에 비례하여 가변시켜 발광색을 가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제어방법.
KR1020070084198A 2007-08-21 2007-08-21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805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98A KR100805235B1 (ko) 2007-08-21 2007-08-21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198A KR100805235B1 (ko) 2007-08-21 2007-08-21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5235B1 true KR100805235B1 (ko) 2008-02-21

Family

ID=39382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198A KR100805235B1 (ko) 2007-08-21 2007-08-21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52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64B1 (ko) * 2023-02-08 2023-07-28 전청민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면표시 발광 시스템 및 빔 프로젝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651A (ko) * 1994-08-12 1996-03-22 석효식 레이저 또는 가시광선을 이용한 교통안전 구조물
JPH10289395A (ja) 1997-04-15 1998-10-27 Mitsuo Chihara 交通信号機及び交通信号機の信号時間調節管理システム
JPH11161898A (ja) 1997-11-25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交通信号装置及びその交通信号装置を用いた交通信号システム
JP2001109995A (ja) 1999-10-05 2001-04-20 Rabo Sufia Kk 敷設物認識表示システム及び横断歩道認識表示システム
JP2002008192A (ja) 2000-06-27 2002-01-11 Sekisui Jushi Co Ltd 交通信号補助用発光装置
KR200274423Y1 (ko) 2001-12-11 2002-05-08 명현식 조광장치가 구비된 보행자 신호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8651A (ko) * 1994-08-12 1996-03-22 석효식 레이저 또는 가시광선을 이용한 교통안전 구조물
JPH10289395A (ja) 1997-04-15 1998-10-27 Mitsuo Chihara 交通信号機及び交通信号機の信号時間調節管理システム
JPH11161898A (ja) 1997-11-25 1999-06-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交通信号装置及びその交通信号装置を用いた交通信号システム
JP2001109995A (ja) 1999-10-05 2001-04-20 Rabo Sufia Kk 敷設物認識表示システム及び横断歩道認識表示システム
JP2002008192A (ja) 2000-06-27 2002-01-11 Sekisui Jushi Co Ltd 交通信号補助用発光装置
KR200274423Y1 (ko) 2001-12-11 2002-05-08 명현식 조광장치가 구비된 보행자 신호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464B1 (ko) * 2023-02-08 2023-07-28 전청민 빔 프로젝터를 이용한 노면표시 발광 시스템 및 빔 프로젝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2839B2 (ja) 交通標識投影システム
US6847306B2 (en) Emergency traffic signal attachment
JP2006525590A (ja) 情報を運転者に伝達する交通情報システム
US20070200730A1 (en) Integrated traffic signal, sign and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200446856Y1 (ko) 교통신호 시스템
CN109989365B (zh) 一种用于城市地下道路的复合功能灯光警示引导系统
KR102072530B1 (ko) 회전교차로 차량 진행 방향 표시 시스템
KR100805235B1 (ko) 도로 안전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2163374A (zh) 一种便于色盲人识别的道路交通信号指示方法及装置
KR101330836B1 (ko) 시선유도등 및 이를 이용한 시선유도장치
KR20110055882A (ko) 도로 표지병, 교차로 안전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100577932B1 (ko) 통합형 교통정보 표시장치
CN2809757Y (zh) 导向式交通信号灯
KR20160093154A (ko) Led등을 이용한 교차로 주행안내 시스템
KR20160094529A (ko) 광섬유를 이용한 가변 색상 및 문양 발광 표시장치
KR100212603B1 (ko) 매설형 가변차로 표시방법 및 표시장치
KR200425808Y1 (ko) 다기능복합신호등
KR20150137355A (ko) 보행자 신호 연동형 횡단보도 안전 유도시스템
KR20190052741A (ko) 횡단보도 안전선표시장치
CN208580504U (zh) 交通信号光源
KR20220056905A (ko) 표지병을 적용한 스마트 신호등 제어시스템
KR101228191B1 (ko) 방향표시의 움직임이 구현되는 시선유도장치
KR20150064398A (ko) 스쿨존의 안전경고 장치
CN210561824U (zh) 一种用于城市地下道路的复合功能灯光警示引导装置
CN100383830C (zh) 导向式交通信号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