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366B1 -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 Google Patents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366B1
KR100804366B1 KR1020070015512A KR20070015512A KR100804366B1 KR 100804366 B1 KR100804366 B1 KR 100804366B1 KR 1020070015512 A KR1020070015512 A KR 1020070015512A KR 20070015512 A KR20070015512 A KR 20070015512A KR 100804366 B1 KR100804366 B1 KR 10080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support
lid
guid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5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선복
Original Assignee
황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선복 filed Critical 황선복
Priority to KR1020070015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achable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5Packages or dispensers for scalpel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17/3217Devices for removing or collecting used scalpel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61B2017/32113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with extendable or retractable guard or blad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용절감을 위해 수술칼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와 칼날을 분리형으로 제작한 뒤 필요시마다 칼날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료용 수술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체 사용되는 칼날을 사용자가 접촉하지 않고도 분리케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시켜 사용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도록 한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는, 상기 케이스몸체(31)는, 상부와 일측벽이 개방되게 3방면의 측벽(312)과 바닥면(311)이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직사각형 케이스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벽이 개방된 입구측 바닥면(311)에 3방면이 절취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하는 칼날해제편(313)이 형성되고, 칼날해제편(313) 위치의 양 측벽(31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20)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해제시키는 칼날해제가이드부(31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32)은, 후단이 케이스몸체(31)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절곡가능하도록 절곡부(321)를 형성하며, 전단은 자유단으로써 양측 칼날해제가이드(317)에 걸리도록 조립한 뒤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지지대(11)에 걸려서 함께 후퇴하면서 칼날해제가이드(317)의 안내를 받아 칼날해제편(313)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그 선단이 칼날해제편(313)에 걸려서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휘어진 칼날(20)의 후단이 칼 날해제편(313)에 동시에 걸리도록 하여 칼날(20)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사이에 남겨지고 칼날지지대(11)만 벗어나 분리되도록 하는 칼날가압부(322)를 형성한 것이다.
손잡이부, 칼날, 케이스몸체, 칼날해제편, 칼날해제가이드부, 절곡부, 칼날가압부

Description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separation case of medical operation knife}
도 1은 수술칼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은 본 발명의 수술칼 분리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케이스에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초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분리케이스에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중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측단면도이며,
도 6a는 발명의 분리케이스에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완료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분리케이스로 부터 분리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손잡이부 11:칼날지지대
20:칼날 30:분리케이스
31:케이스몸체 32:뚜껑
311:바닥면 312:측벽
313:칼날해제편 314:칼날걸림턱
315:가압부 316:칼날해제가이드부
317:칼날해제가이드 317:가이드
318:걸림턱 319:이탈방지턱
321:절곡부 323:가이드돌기
324:가압돌부 325:안내홈
326:칼날지지대걸림홈
본 발명은 비용절감을 위해 수술칼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와 칼날을 분리형으로 제작한 뒤 필요시마다 칼날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료용 수술칼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체 사용되는 칼날을 사용자가 접촉하지 않고도 분리케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시켜 사용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도록 한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수술칼은 수술시 많은 수량의 수술칼이 필요하게 되는 데, 수술의 집도가 완료된 수술칼을 세척하여 재사용할 경우 에이즈, 간염 등 각종 감염성 병원균으로부터 감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수술칼은 재사용하지 않고 버리는 일회용으로 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수술을 집도하는데 사용한 일회용 수술칼은 버릴 때 손잡이부로 부터 칼날만을 분리시켜 버려야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실수 및 부주의에 의해서 상기 의료 수술칼의 칼날이 신체에 접촉될 경우 사용자는 상처를 입거나 인체가 베어짐에 따라 다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교차 감염의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
예컨데, 기존의 분리형 일회용 수술칼은, 도 1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손잡이부(10)는 선단에 폭이 일정한 칼날지지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칼날지지대(11)의 양측면에는 선단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조립홈(12)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날(20)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후방에 칼날지지대(11)가 끼워지는 안내장공(21)과, 그 안내장공(21)과 연결되어 양측에 단턱(23)이 형성되는 조립장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에 칼날(20)을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칼날(20)의 안내장공(21)으로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의 선단부를 끼우게 되면 조립장공(22)의 양측 단턱(23)이 칼날지지대(11)의 양측 조립홈(12)에 끼워지게 되며, 이때 칼날(20)의 후단부는 칼날지지대(11)의 일측면상에 접촉하게 되므로 부분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칼날(20)을 계속 밀어 넣게 되면 상술한 단턱(23)이 조립홈(12)의 안내를 받아 자연스럽게 전진하게 되고, 칼날지지대(11)의 선단이 조립장공(22)의 끝단부까지 도달하게 되면 안내장공(21)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의 걸림턱(13) 위치에 도달하게 되므로 일측면에 접촉되어 휘어져 있던 칼날(20)의 후단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상복귀하는 동시에 안내장공(21)의 후단이 걸림턱(13)에 걸려서 칼날(20)이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에 빠지지 않도록 조립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0)의 칼날(20)의 조립하여 사용한 후에 칼날(20)을 분리시켜 버리고자 하는 경우, 상술한 역순으로 분리시키면 되는 데, 이는 일단 칼날(20)의 후단이 손잡이부(10)의 걸림턱(13)으로 부터 벗어나도록 옆으로 밀어 주게 되면 칼날(20)의 후단부는 자체 탄성력에 의하여 휘어지게 되고, 칼날(20)의 안내장공(21)이 걸림턱(13)으로부터 벗어난 뒤에는 칼날(20) 자체를 전방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칼날(20)의 단턱(23)이 칼날지지대(11)의 조립홈(12)의 안내를 받아 슬라이딩하면서 빠져나가게 되며, 칼날(20)의 단턱(23)이 칼날지지대(11)의 조립홈(12)으로 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칼날지지대(11)는 칼날(20)의 안내장공(21)에 위치하게 되어 손잡이부(10)와 칼날(20)은 서로 별개의 상태로 분리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0)와 칼날(20)의 분리시 칼날(20)을 사용자가 직접 잡고 분리시켜야 되므로 직접적인 접촉에 의하여 한순간의 부주의에 의한 상처의 발생시 각종 병원균에 의한 2차 감염의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고, 또한 매번 칼날을 사용자가 일일이 직접 분리시켜야 되는 불편함도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비용절감을 위해 수술칼을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와 칼날을 분리형으로 제작한 뒤 필요시마다 칼날만을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의료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의료용 수술칼에 있어서, 교체 사용되는 칼날을 사용자가 접촉하지 않고도 분리케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시켜 사용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하도록 한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는, 손잡이부의 칼날지지대에 칼날이 분리 및 조립되도록 하는 의료용 수술칼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케이스몸체와 뚜껑으로 형성한 뒤 분리시키고자 하는 수술칼의 칼날지지대와 칼날을 케이스몸체와 뚜껑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케이스몸체와 뚜껑의 자체적인 탄발력으로 칼날의 후단을 밀어서 칼날지지대로 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칼날벗김수단과, 칼날의 후단이 칼날지지대로 부터 벗어난 뒤 손잡이부만을 빼낼 때 칼날이 케이스몸체와 뚜껑사이에 남겨지도록 하는 칼날분리수단으로 구성한 것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특징이다.
상기 칼날벗김수단은, 상부와 일측벽이 개방되게 3방면의 측벽과 바닥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직사각형 케이스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벽이 개방된 입구측 바닥면에 3방면이 절취되어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하는 칼날해제편과, 칼날해제편 위치의 양 측벽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시 칼날의 후단이 칼날지지대로 부터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칼날해제가이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몸체와;
후단이 케이스몸체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와, 전단은 자유단으로써 양측 칼날해제가이드에 걸리도록 조립한 뒤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시 칼날지지대에 걸려서 함께 후퇴하면서 칼날해제가이드의 안내를 받아 칼날해제편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칼날지지대로 부터 벗어나도록 칼날의 후단을 밀어서 휘어지도록 하는 칼날가압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뚜껑; 으로 구성한다.
상기 칼날벗김수단은, 상기 칼날해제가이드부에는 칼날가압부의 후퇴시 하강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양 측벽에 상호 대칭되게 하향경사진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칼날가압부는 칼날해제가이드부의 가이드에 접촉되어 뚜껑의 후퇴시 슬라이딩되면서 안내되도록 자유단 양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와, 칼날해제편을 가압시켜 칼날해제편의 자유단이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양측에 뚜껑자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가압돌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칼날가압부는, 양측 가압돌부사이의 중앙부에 칼날지지대의 삽입시 안내를 위한 안내홈과,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시 칼날지지대의 후단부가 걸려서 칼날가압부를 밀어 후퇴되게 안내홈의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안내홈과 연통되는 칼날지지대걸림홈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칼날분리수단은, 상기 칼날해제편에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시 칼날 가압부에 의하여 탄력있게 하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가압돌부의 선단이 걸려서 휘어짐을 유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자유단측 상면에 칼날지지대로 부터 벗어나도록 휘어진 칼날의 후단이 걸리도록 칼날걸림턱을 형성하여 칼날이 케이스몸체와 뚜껑사이에 남겨지고 칼날지지대만 벗어나 분리되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몸체의 양 측벽에 형성된 가이드의 상부에 칼날가압부의 조립 후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림턱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양 측벽에 이탈방지턱을 형성하여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시 뚜껑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뚜껑의 절곡부는 뚜껑의 탄력있는 후퇴를 위하여 다단계로 절곡되게 하며, 그 절곡부는 2곳 이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사출성형과정을 고려하여 4곳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에서 도 1은 수술칼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 은 본 발명의 수술칼 분리전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분리케이스에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초기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는 본 발명의 분리케이스에 칼날지지대와 칼날의 삽입중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측단면도이며, 도 6a는 발명의 분리케이스에 칼날지 지대와 칼날의 삽입완료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측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를 분리케이스로 부터 분리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측단면도이다.
도면 1 은 의료용 수술칼을 도시한 것으로, 그 수술칼은 손잡이부(10)와 칼날(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부(10)는 선단에 폭이 일정한 칼날지지대(1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칼날지지대(11)의 양측면에는 선단에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서 조립홈(12)이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걸림턱(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칼날(20)은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후방에 칼날지지대(11)가 끼워지는 안내장공(21)과, 그 안내장공(21)과 연결되어 양측에 단턱(23)이 형성되는 조립장공(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손잡이부(10)에 칼날(20)을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칼날(20)의 안내장공(21)으로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의 선단부를 끼우게 되면 조립장공(22)의 양측 단턱(23)이 칼날지지대(11)의 양측 조립홈(12)에 끼워지게 되며, 이때 칼날(20)의 후단부는 칼날지지대(11)의 일측면상에 접촉하게 되므로 부분적으로 휘어지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칼날(20)을 계속 밀어 넣게 되면 상술한 단턱(23)이 조립홈(12)의 안내를 받아 자연스럽게 전진하게 되고, 칼날지지대(11)의 선단이 조립장공(22)의 끝단부까지 도달하게 되면 안내장공(21)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의 걸림턱(13) 위치에 도달하게 되므로 일측면에 접촉되어 휘어져 있던 칼날(20)의 후단 부가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원상복귀하는 동시에 안내장공(21)의 후단이 걸림턱(13)에 걸려서 칼날(20)이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에 빠지지 않도록 조립이 완료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2 내지 도 7 에서 부호 30은 본 발명의 수술칼 분리케이스를 나타낸 것으로,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으로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몸체(31)는, 상부와 일측벽이 개방되게 3방면의 측벽(312)과 바닥면(311)이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직사각형 케이스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벽이 개방된 입구측 바닥면에 3방면이 절취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하는 칼날해제편(313)이 형성된다.
상기 칼날해제편(313)은, 자유단측 상면에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휘어진 칼날(20)의 후단이 걸리도록 칼날걸림턱(314)을 형성하며, 그 칼날걸림턱(314)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후술하는 칼날가압부(322)에 의하여 탄력있게 하향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칼날가압부(322)의 선단이 걸리도록 하는 동시에 가압되는 칼날(20)의 후단이 자연스럽게 휘어지도록 하는 가압부(315)를 형성한다.
또한 칼날해제편(313) 위치의 양 측벽(31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20)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칼날가압부(322)를 안내하여 주는 칼날해제가이드부(316)를 형성한다.
상기 칼날해제가이드부(316)는, 양 측벽(312)에 상호 대칭되게 칼날가압 부(322)의 후퇴시 하강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하향경사진 가이드(317)가 형성되며, 그 가이드(317)의 상부에 칼날가압부(322)의 조립 후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림턱(318)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걸림턱(318)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양 측벽에 이탈방지턱(319)을 형성하여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뚜껑(32)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을 가압하도록 한다.
상기 뚜껑(32)은, 후단이 케이스몸체(31)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절곡가능하도록 절곡부(321)를 형성하며, 전단은 자유단으로써 양측 칼날해제가이드부(316)에 걸리도록 조립한 뒤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지지대(11)에 걸려서 함께 후퇴하면서 칼날해제가이드부(316)의 안내를 받아 칼날해제편(313)을 하향으로 가압하여 그 선단이 가압부(315)에 걸려서 전진하지 못하도록 하는 동시에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휘어진 칼날(20)의 후단이 칼날걸림턱(314)에 동시에 걸리도록 하여 칼날(20)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사이에 남겨지고 칼날지지대(11)만 벗어나 분리되도록 하는 칼날가압부(322)를 형성한다.
상기 뚜껑(32)의 절곡부(321)는 뚜껑(32)의 원활한 후퇴를 위하여 다단계로 절곡되게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곳에 형성하였다.
상기 칼날가압부(322)는, 자유단 양측에 가이드돌기(323)를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시켜 칼날해제가이드부(316)의 가이드(317)에 접촉되어 뚜껑(32)의 후퇴시 슬라이딩되면서 안내되도록 하며, 또한 양측을 뚜껑(32)자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가 압돌부(324)를 형성하여 조립시에는 칼날해제가이드부(316)의 걸림턱(13)에 걸려서 조립되도록 하는 동시에 칼날해제편(313)의 가압부(315)를 가압시켜 칼날해제편(313)의 자유단이 탄력있게 휘어진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고 후퇴 후에는 가압부(315)에 걸리도록 하며, 양측 가압돌부(324)사이의 중앙부에는 칼날지지대(11)의 삽입시 안내를 위한 안내홈(325)을 형성하며, 안내홈(325)의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안내홈(325)과 연통되는 칼날지지대걸림홈(326)을 형성하여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지지대(11)의 후단부(목부분)가 걸려서 칼날가압부(322)를 밀어 후퇴되게 한다.
그리고 뚜껑(32)을 케이스몸체(31)에 조립하기 용이하도록 케이스몸체(31)의 이탈방지턱(319)을 통과할 수 있도록 뚜껑(32)의 양측에 끼움홈(327)을 형성하며, 이는 칼날손잡이부(11)와 칼날(20)의 삽입시 뚜껑(32)이 케이스몸체(31)를 벗어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에 칼날(20)을 조립하여 사용하다가 칼날(20)만을 분리시켜 버리도록 할 때에는 도 2 와 도 4와 같이 칼날지지대(11)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사이로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을 삽입하는 동시에 칼날가압부(322)의 안내홈(325)으로 칼날지지대(11)에 끼워 넣어 계속 전진하게 되면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칼날지지대(11)의 후단부(목부분)가 칼날지지대걸림홈(326)에 걸려서 결국은 손잡이부(10)가 뚜껑(32)의 칼날가압부(322)를 밀어주게 된다.
이때 칼날가압부(322)의 가이드돌기(323)는 케이스몸체(31)의 가이드(317)에 걸려 있는 상태에서 칼날가압부(322)가 손잡이부(10)에 의하여 후퇴함에 따라 밀리게 되므로 결국 가이드돌기(323)는 가이드(317)의 안내를 받아 후퇴하면서 점차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계속적인 손잡이부(10)의 전진으로 칼날가압부(322)가 후퇴 및 하강을 하면서 가이드돌기(323)가 가이드(317)로 부터 벗어나 케이스몸체(31)의 저면에 도달하게 된다.
한편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은 계속 삽입이 되는 과정이며, 칼날가압부(322)의 후퇴시 절곡부(321)가 탄력있게 절곡되어 칼날가압부(322)의 후퇴를 원활하게 한다.
이와 동시에 칼날가압부(322)의 후퇴 및 하강시 양측 가압돌부(324)가 칼날해제편(313)의 가압부(315)를 하방으로 밀어 주게 되므로 칼날해제편(313)의 자유단은 탄력있게 하방으로 휘어지게 되며, 가압돌부(324)가 상술한 바와 같이 후퇴 및 하강하여 가압부(315)를 밀어 주다가 가압부(315)로 부터 가압돌부(324)의 끝단부가 벗어나게 되면 탄력있게 절곡되어 있던 절곡부(321)의 탄발력이 작용하여 칼날가압부(322)의 후퇴를 정지시키는 동시에 "딸깍"하고 가압부(315)와 가압돌부(324)의 부딪치는 소리가 발생하면서 가압돌부(324)가 가압부(315)에 걸려서 고정되며, 절곡부(321)의 탄발력이 계속 작용하여 뚜껑(32)의 칼날가압부(322)가 결국 칼날해제편(313)을 탄력있게 밀어 준 상태로 머물게 되어 칼날해제편(313)은 상술한 바와 같이 휘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칼날가압부(322)가 칼날해제편(313)을 가압하고 있을 때 상술한 작동에 의하여 가압돌부(324)가 가압부(315)를 가압하는 동시에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에 끼워져 있던 칼날(20)의 후단을 밀어서 칼날(20)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하여 칼날(20)이 칼날해제편(313)과 같이 동일하게 휘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칼날(20)의 후단이 칼날해제편(313)의 칼날걸림턱(314)에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부(10)를 후퇴시키게 되면, 즉 손잡이부(10)를 수술칼 케이스로 부터 빼내게 되면 칼날(20)의 후단은 칼날걸림턱(314)에 걸려서 손잡이부(10)와는 같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된다.
즉, 종래의 설명에서 손잡이부(10)로 부터 칼날(20)의 분리과정을 설명한 바와 같은 상태(칼날의 후단이 칼날지지대로 부터 벗어나도록 휘어진 상태)를 하고 있다가 도 7a 및 도 7b와 같이 손잡이부(10)를 빼내게 되면 칼날(20)은 칼날걸림턱(314)에 걸려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나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은 조립의 역순으로 분리가 되므로 자연스럽게 칼날지지대(11)는 칼날(20)로 부터 빠져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손잡이부(10)와 칼날(20)을 분리시킨 뒤 수술칼 분리케이스는 별도로 관리하다가 쓰레기종합처리장에서 처리하도록 하면 되는 것이며, 인체부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 손잡이부만 별도로 소독처리하여 다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손잡이부와 칼날의 분리시 칼날을 사용자가 직접 접촉하지 않고도 분리케이스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가 있어 사용자의 2차 감염을 예방할 수가 있는 것이며, 매번 칼날을 교체할 때마다 간단하게 분리케이스내로 칼날을 삽입하여 분리시키면 되므로 분리작업의 편리함과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손잡이부(10)의 칼날지지대(11)에 칼날(20)이 분리 및 조립되도록 하는 의료용 수술칼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으로 형성한 뒤 분리시키고자 하는 수술칼의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을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사이로 밀어 넣게 되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의 자체적인 탄발력으로 칼날(20)의 후단을 밀어서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하는 칼날벗김수단과, 칼날(20)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난 뒤 손잡이부(10)만을 빼낼 때 칼날(20)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사이에 남겨지도록 하는 칼날분리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벗김수단은, 상부와 일측벽이 개방되게 3방면의 측벽(312)과 바닥면(311)이 일체로 형성되어 길이가 긴 직사각형 케이스를 이루도록 하며, 일측벽이 개방된 입구측 바닥면에 3방면이 절취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하는 칼날해제편(313)과, 칼날해제편(313) 위치의 양 측벽(31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20)의 후단이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안내하는 칼날해제가이드부(31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몸체(31)와;
    후단이 케이스몸체(31)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하는 동시에 탄력있게 절곡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절곡부(321)와, 전단은 자유단으로써 양측 칼날해제가이드부(316)에 걸리도록 조립한 뒤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지지대(11)에 걸려서 함께 후퇴하면서 칼날해제가이드부(316)의 안내를 받아 칼날해제편(313)을 하향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칼날(20)의 후단을 밀어서 휘어지도록 하는 칼날가압부(322)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뚜껑(32); 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벗김수단은, 상기 칼날해제가이드부(316)에는 칼날가압부(322)의 후퇴시 하강과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양 측벽(312)에 상호 대칭되게 하향경사진 가이드(317)를 형성하고, 상기 칼날가압부(322)는 칼날해제가이드부(316)의 가이드(317)에 접촉되어 뚜껑(32)의 후퇴시 슬라이딩되면서 안내되도록 자유단 양측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323)와, 칼날해제편(313)을 가압시켜 칼날해제편(313)의 자유단이 탄력있게 휘어지도록 양측에 뚜껑자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가압돌부(324)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가압부(322)는, 양측 가압돌 부(324)사이의 중앙부에 칼날지지대(11)의 삽입시 안내를 위한 안내홈(325)과,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지지대(11)의 후단부가 걸려서 칼날가압부(322)를 밀어 후퇴되게 안내홈(325)의 후방측에 위치하도록 안내홈(325)과 연통되는 칼날지지대걸림홈(326)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분리수단은, 상기 칼날해제편(313)에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칼날가압부(322)에 의하여 탄력있게 하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가압돌부(324)의 선단이 걸려서 휘어짐을 유지하도록 양측에 돌출되는 걸림돌기(315)와, 자유단측 상면에 칼날지지대(11)로 부터 벗어나도록 휘어진 칼날(20)의 후단이 걸리도록 칼날걸림턱(314)을 형성하여 칼날(20)이 케이스몸체(31)와 뚜껑(32)사이에 남겨지고 칼날지지대(11)만 벗어나 분리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몸체(31)의 양 측벽(312)에 형성된 가이드(317)의 상부에 칼날가압부(322)의 조립 후 분리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걸림턱(31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318)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양 측벽에 이탈방지턱(319)을 형성하여 칼날지지대(11)와 칼날(20)의 삽입시 뚜껑(32)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8. 제 2 항에 있어서, 뚜껑(32)의 절곡부(321)는 뚜껑(32)의 탄력있는 후퇴를 위하여 다단계로 절곡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KR1020070015512A 2007-02-14 2007-02-14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KR10080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12A KR100804366B1 (ko) 2007-02-14 2007-02-14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5512A KR100804366B1 (ko) 2007-02-14 2007-02-14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366B1 true KR100804366B1 (ko) 2008-02-15

Family

ID=3934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5512A KR100804366B1 (ko) 2007-02-14 2007-02-14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3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712B1 (ko) 2021-01-18 2021-09-08 추현범 칼날 교체식 의료용 메스홀더
KR200497052Y1 (ko) * 2022-05-11 2023-07-12 (주)디엑스엠 메스 블레이드 리무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88A (ko) * 2001-08-27 2003-03-06 신현달 칼날 교체식 안전 수술 칼 세트.
US20050203555A1 (en) 2004-03-12 2005-09-15 Griffin Michael D. Safety scalpe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288A (ko) * 2001-08-27 2003-03-06 신현달 칼날 교체식 안전 수술 칼 세트.
US20050203555A1 (en) 2004-03-12 2005-09-15 Griffin Michael D. Safety scalp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712B1 (ko) 2021-01-18 2021-09-08 추현범 칼날 교체식 의료용 메스홀더
KR200497052Y1 (ko) * 2022-05-11 2023-07-12 (주)디엑스엠 메스 블레이드 리무버
WO2023219391A1 (ko) * 2022-05-11 2023-11-16 (주)디엑스엠 메스 블레이드 리무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03390A (en) Scalpel blade remover and blade storage apparatus
JP4635002B2 (ja) ランセットアッセンブリ
US10806485B2 (en) Scalpel handle sheath with blade remover
JP4528767B2 (ja) 解剖刀用脱刃具
JP2012527909A (ja) 外科用円刃刀のためのブレードユニット
KR20160030973A (ko) 절단 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개선된 클램프
JP2007159939A (ja) 外科用メス刃用ホルダ
KR102190219B1 (ko) 의료용 메스 칼날 제거기
KR20090101367A (ko) 환자용 피부천자기
KR100804366B1 (ko) 의료용 수술칼 분리케이스
BRPI0712846A2 (pt) montagem de lanceta
KR200473610Y1 (ko) 물티슈케이스용 반자동 개폐덮개
JP4814893B2 (ja) ブレード収納ケース
CA2121463A1 (en) Scalpel blade extractor and disposal unit
KR20090090659A (ko) 재사용이 불가능한 일회용 자동채혈장치
KR20180010817A (ko) 배농관 삽입기
KR100613271B1 (ko) 일회용 의료 수술칼
KR101312416B1 (ko) 손톱깎이
JP2007159938A (ja) メス刃用ホルダ及びメス刃のホルダへの装着方法
KR101253017B1 (ko) 모발이식용 식모기
CN220511905U (zh) 一种负离子针布梳
CN214857236U (zh) 一种带保护性刀鞘的一次性手术刀片
KR101602633B1 (ko) 채혈기
JP4277107B2 (ja) カッターナイフ
KR200456675Y1 (ko) 분리된 날의 수거가 용이한 커터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