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162B1 - 전화통화와 관련한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전화통화와 관련한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162B1
KR100804162B1 KR1020057022192A KR20057022192A KR100804162B1 KR 100804162 B1 KR100804162 B1 KR 100804162B1 KR 1020057022192 A KR1020057022192 A KR 1020057022192A KR 20057022192 A KR20057022192 A KR 20057022192A KR 100804162 B1 KR100804162 B1 KR 100804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ssion initiation
terminal device
information
data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2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3130A (ko
Inventor
에사 넷타모
믹코 니르하모
사미 파이호넨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60023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3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1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4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40Network security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4Negotiation of communication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9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application layer [OSI layer 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Exchange Systems With Centralized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 또는 통상적인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세션 개시를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2)의 단말 장치(14,15)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채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 및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에 포함되는 이동 단말 장치(14,15,4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화통화와 관련한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A method for updating session initiation information in connection with a telephone call and a terminal device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통상적인 전화번호 또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되어 있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단말 장치 및 상기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되며 상기 방법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설정될 전화 접속은 전화번호를 사용하여 제어 및 개시된다. 각각의 단말 장치 또는 사용자는 고유한 일련번호를 지니며, 이러한 번호를 다이얼링함으로써, 사용자는 단지 이러한 하나의 단말 장치에만 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게만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사실상, 이러한 기법은 통상적인 회선 교환 전화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접속을 설정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여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출현으로 2개의 단말 장치 간의 통신 접속을 제어 또는 설정하도록 하는 또 다른 방법들이 제시되어 왔다. 현재에는, 더욱더 많 은 통상적인 전화통화들이 원래 데이터 전송용으로 의도된 이러한 네트워크들을 통해 또한 송신되고 있다. 이는 데이터 통신 비용이 상당히 낮은 패킷 교환 데이터 전송 접속들을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러한 네트워크들 중 한가지 예는 인터넷이다. 인터넷에서는, 다른 측 당사자의 연락 정보가 대체로 통상적인 전화번호와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정의 또는 표현된다. 이러한 데이터 네트워크들에서 통신 접속을 설정하는 한가지 가능한 방법은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을 사용하는 것이다. 세션 개시 프로토콜은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IETF)에 의해 표준화되었으며, 그의 표준 번호는 RFC 2543이다. SIP에 따른 수신자 또는 사용자의 주소는 user@network station[parameters][additional information]과 같은 형태를 갖는다. 다시 말하면, SIP에 따른 수신자 또는 사용자의 주소는 전자 메일 주소의 형태와 유사하다. 따라서, SIP 프로토콜은 또한 음성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전자 메일 주소들과 유사한 여러 주소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심지어 현재에는, 연락을 받을 사람들 중 한 사람이 통상적인 전화번호를 사용하고 연락을 받을 다른 몇몇 사람이 SIP 프로토콜에 의해 허용되는 "전화번호", 또는 접속 식별자를 사용하는 상황에 전화기 사용자가 직면할 수 있다. 사실상, 이는 전화기 사용자에게 고도한 자격 요건들을 부과하는데, 그 이유는 다른 측 당사자의 연락 정보가 위에서 언급된 표현 방식들 중 어느 한 방식일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떻게든, 전화기 사용자는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다른 측 당사자의 연락 정보를 아주 빈번하게 최신 상태로 유지 및 업데이트하 여야 한다. 이러한 업데이트 작업은 시간이 소요되며 힘이 들고, 그럼으로써 상기 업데이트 작업이 종종 소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 접속이 설정된 사람의 연락 정보의 최신 상태를 보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 및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절차에서는, 새로운 음성 접속을 설정할 때 항상 최신인 가장 적합한 세션 개시 절차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단계별로 세션 개시 이전에 필요한 세션 개시 정보를 찾아 볼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활성적인 통신 접속 동안, 이러한 통신 접속을 이루는 단말 장치들이 서로와 관련한 최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는 절차에 의해 달성된다. 사용자가 최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기를 소망할 경우, 상기 단말 장치들은 단말 장치에 의해 사용되는 전화 메모 따위의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를 당해 단말 장치/사람 측에서 송신/저장한다. 다음에 마지막으로 업데이트된 정보가 세션을 개시할 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새로운 통신 접속을 설정할 때, 이전의 통신 접속을 기반으로 하여 가장 최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은 정보의 업데이트 절차가 단말 장치 사용자와는 무관하게 이루어질 수 있지만, 사용자가 다른 장치에 대한 자신의 연락 정보의 업데이트를 항상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더군다나, 본 발명은 단말 장치의 사용자가 수동으로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수고가 덜어진다는 이점을 갖는다.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의 세션 개시 정보를 갱신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설정되는 통신 접속 동안, 상기 통신 접속을 이루는 단말 장치들이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에서 설정되는 통신 접속 동안, 상기 통신 접속을 이루는 단말 장치들이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 장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통신 접속 동안, 제1 단말 장치가 자기 자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다른 한 단말 장치에 전송하며 다른 한 단말 장치의 세션 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통신 접속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경우에 단말 장치들 간의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는 소프트웨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종속 청구항들에서 언급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다음과 같다. 단말 장치는 서로와의 통신 접속을 이루는 2개의 단말 장치 간에 단말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설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주소 정보의 형태들 및 절차들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그러한 통신 접속 동안, 단말 장치는 단말 장치가 다른 한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한 연락 정보를 수신 및 검사하고, 이러한 정보를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 내재해 있을 수 있는 이전의 정보와 비교한다. 정보 일부가 서로 다르거나 아직 내재해 있지 않을 경우,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는 당해 사람 또는 단말 장치의 새로운 연락 정보로서 단말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된다. 다음에 동일한 사람 또는 단말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소망할 때에는,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연락 정보가 세션 개시용 디폴트값으로서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첨부도면들을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네트워크 구조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2개의 단말 장치 간의 세션 개시 절차를 신호 흐름 선도로서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단말 장치들에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플로차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는 일례를 보여주는 도 면이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또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에 따른 세션 개시 메시지들이 한 단말 장치로부터 다른 한 단말 장치로 전송될 수 있는 기타의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의 예에는 3개의 서로 다른 데이터 전송 네트워크, 즉 인터넷(13),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12), 및 통상적인 전화 통신 네트워크(11)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예에 도시되어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들은 적어도 한정된 방식으로 한 네트워크로부터 다른 한 네트워크로 메시지들 및 신호들을 전송할 수 있다.
참조부호들(14,15)은 음성 접속 기능을 갖는 2개의 이동 단말 장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이동 단말 장치들은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12)에 접속되며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12)의 코어를 통해 무선 통신 접속들(140,150)을 설정한다. 참조부호(17)는 고정 접속(170)을 통해 통상적인 전화 통신 네트워크(11)에 접속되는 전화기를 나타낸다. 전화기(17)는 아날로그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전화기일 수도 있고 변형적으로 종합 정보 통신 네트워크(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기법을 기반으로 하는 전화기일 수도 있다. 참조부호(16)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나타내며, 이러한 데이터 처리 장치는 통신 접속(160)을 통해 인터넷(13)에 접속된다. 이러한 통신 접속(160)은 고정 또는 무선 통신 접속 중 하나일 수 있다. 데이터 처리 장치(16)는 또한 음성 접속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전화기(17) 또는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14,15) 또는 대응하는 다른 장치에 개시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의 예에서는, 그러한 결과로 임의의 2개의 단말 장치 간의 음성 접속, 예컨대 단말 장치(14)와 단말 장치(15) 간의 음성 접속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적어도 상기 접속을 요구하는 단말 장치(14)가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세션 개시 절차 동안, 상기 접속을 요구한 단말 장치(14)는 다른 한 수신 단말 장치(15)에 사용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2)를 통해 자기 자신의 연락 정보를 전송한다.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2)는 다른 한 수신 단말 장치(15)가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다른 한 수신 단말 장치(15)가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경우, 상기 접속을 요구한 단말 장치(14)의 정보는 다른 한 수신 단말 장치(15)에 전송된다. 다른 한 수신 단말 장치 또는 수신자(15)가 자기 자신의 연락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할 경우, 상기 연락 정보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12)를 통해 상기 접속을 요구한 단말 장치(14)에 송신된다. 다른 측 당사자의 수신된 연락 정보는 필요하다고 생각될 경우, 단말 장치들(14,15) 모두에 저장될 수 있다.
세션 개시 동안 수신자, 예컨대 전화기(17)가 SIP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될 경우, 사용되고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는 수신자의 세션 개시 정보를 통신 접속이 설정될 수 있는 형태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세션 개시 방식에 관한 정보 및 생성되는 주소/번호는 통신 접속을 요구한 단말 장치로 반환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2는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SIP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들과 관련하여 채용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신호 흐름 선도를 예시하는 도 면이다. 도 2는 2명의 가입자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즉, 도 2의 예에 의하면, 제1 가입자 A는 UserA@here.com 및 IP 주소(100.101.102.103)인 세션 개시 정보를 지니며 제2 가입자 B는 UserB@where.com 및 IP 주소(110.111.112.113)인 세션 개시 정보를 지닌다. 물론,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다른 몇몇의 가능한 고유 사용자 식별자는 가입자 정보에의 추가가 가능한 대안이다. 이러한 2명의 가입자 A 및 B 간의 데이터 통신은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속하는 프록시 서버(PROXY.com) 및 IP 주소(120.121.122.123)에 의해 제어 및 관리된다.
도 2의 예에서, 가입자 A는 가입자 B에 대한 통신 접속을 개시하기를 소망한다. 가입자 A는 프록시 서버(PROXY.com)로 안내되는 초대장(21)을 전송한다. 초대장(21)은 가입자 A가 알고 있는 가입자 B의 연락 정보 중 적어도 일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프록시 서버는 초대장(22)을 가입자 B로 안내한다. 가입자 B는 경보를 받으며, 이러한 경보를 통해 가입자 B는 가입자 A에 대한 메시지(24)로서 상기 프록시 서버를 통해 안내되는 메시지(23)를 송신한다. 가입자 B가 데이터 전송 준비를 하고 있을 때, OK 신호가 송신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B의 세션 개시 정보는 이러한 OK 신호(25)에 포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B의 세션 개시 정보는 완전히 자동으로 송신될 수 있거나, 또는 가입자 B는 각각의 경우에 개별적으로 세션 개시 정보의 송신을 허용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정보의 자동 송신은 이미 알고 있는 호출 가입자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정보는 단지 가입자 B의 승인을 통해서만 사전에 알지 못하는 호출자에게 송신된다.
프록시 서버(PROXY.com)로부터, 가입자 B의 정보가 이때 신호(26)와 관련하 여 가입자 A에 송신된다. 가입자 A가 메시지(26)를 수신한 경우, 가입자 A는 확인 응답 메시지(ACK; 27)를 전송한다. 가입자 A의 세션 개시 정보는 이러한 확인 응답 메시지(ACK; 27) 내에 포함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상기 프록시 서버로부터, 확인 응답 메시지(ACK)는 메시지(28)로서 가입자 B에 송신된다. 따라서, 각각의 당사자의 세션 개시 정보는 필요하다고 생각될 경우에 다른 측 당사자에게 전송된다.
이후에도, 데이터 전송은 단말 장치들 간에 계속 이루어지며 사용자들 중 어느 한 사용자가 데이터 전송의 종료를 요구할 때 종료된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개시 정보는 실제 데이터 전송 동안 또는 세션 종료 절차의 일부분으로서 또한 송신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또는 세션 종료 동안에 이루어지는 세션 개시 정보의 교환은 어느 한 사용자의 요구시에 또는 어느 한 사용자에 의해 허용됨에 따라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3은 가입자의 단말 장치에서 이루어지는 다른 측 당사자의 세션 개시 정보를 핸들링하는 단계들에 대한 플로차트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단계(31)에서, 통신 접속은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절차를 사용함으로써 2개의 단말 장치 간에 설정된다. 그러한 경우에, 제1 가입자의 세션 개시 정보는 다른 가입자의 사용을 위해 전송되는 것이 유리하며 역으로 다른 가입자의 세션 개시 정보는 제1 가입자의 사용을 위해 전송되는 것이 유리하다. 단계(32)에서, 정보가 실제로 수신되었는지 그리고 마지막 세션 개시 이래로 정보가 변경되었는지가 검사된다. 단계(33)에서, 수신된 정보의 저장에 관한 결정이 내려진다. 수신된 정보의 저장이 소망되지 않거나 또는 정보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다음 단계는 참조부호(35)이며, 이러한 단계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세션 개시 정보의 저장이 단계(33)에서 자동으로 또는 단말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허용됨에 따라 결정될 경우, 단계(34)에서는 저장이 이루어진다. 저장이 수행된 경우, 다음 단계는 참조부호(35)이며, 이러한 단계에서는 상기 데이터 핸들링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구조의 일부분인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의 이동 단말 장치(40)의 주요 부품들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단말 장치(40)는 신호의 송신 및 수신용 안테나(41)를 사용한다. 참조부호(42)는 상기 이동 단말 장치(40)가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1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RX)를 구성하는 기기를 나타낸다. 수신기(42)는 모든 메시지들 또는 신호들이 수신되게 하는 선행 기술의 기기를 포함한다.
참조부호(43)는 상기 이동 단말 장치의 송신기(TX)를 구성하는 기기를 나타낸다. 송신기 수단(43)은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12)와 함께 작동할 경우 필요한 모든 신호 처리 기능들을 송신될 신호에 관해 수행한다.
상기 단말 장치에 있어서, 본 발명의 채용에 관한 핵심적인 동작 유닛은 상기 단말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44)이다. 제어 유닛(44)은 상기 단말 장치(40)의 모든 핵심 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유닛(44)은 수신 및 송신 모두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 유닛(44)은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45) 및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46) 양자 모두를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구조에 있어서, 제어 유닛(44)은 다른 일부 단말 장치 로부터 수신되는 본 발명에 따른 세션 개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40)에서 저장되는 때와 자기 자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다른 한 단말 장치에 전송해야 할지를 결정한다. 다른 측 당사자/단말 장치의 세션 개시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제어 유닛(44)은 또한 수신된 정보에 관한 경보를 상기 단말 장치(40)의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절차들은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45) 내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로서 도 2 및 도 3의 절차들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6)는 상기 단말 장치의 기능들을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경보들 및 메시지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46)를 통해, 상기 단말 장치(40)의 사용자는 자기 자신의 세션 개시 정보의 송신을 허용하기도 하고 방지하기도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46)는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에 관한 저장 명령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의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언급되었다. 본 발명은 방금 언급된 해결 방안들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전자 메일 주소들, 웹 페이지 주소들 또는 한 측 당사자와 관련된 가능한 이미지 파일들을 당사자들 간에 교환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되는 범위 내에 다른 여러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 또는 통상적인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세션 개시를 위해 사용되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제1 단말 장치 내에 저장되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SIP 프로토콜을 통해 개시되는 데이터 통신 접속 동안, 상기 데이터 통신 접속을 이루는 단말 장치들이 단말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이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주소 정보들을 포함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개시 정보가 세션 개시 절차 동안 교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될 세션 개시 정보는 SIP 프로토콜에 따른 접속 식별자, 유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화번호,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의 전화번호, 전자 메일 주소 또는 웹 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2 단말 장치의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만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와는 다른 이전의 세션 개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에서 발견될 경우에 항상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 하기 위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제2 단말 장치의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는 단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승인을 통해서만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방법.
  6.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 또는 통상적인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가 세션 개시를 위해 사용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세션 개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을 지니는 단말 장치들이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상기 SIP 프로토콜을 통해 설정되는 데이터 통신 접속 동안, 상기 데이터 통신 접속을 이루는 상기 단말 장치들이 단말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이루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주소 정보들을 포함하는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개시 정보는 상기 세션 개시 절차 동안 상기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단말 장치들 간에 교환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될 세션 개시 정보는 상기 SIP 프로토콜에 따른 접속 식별자, 유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화번호,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의 전화번호, 전자 메일 주소 또는 웹 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
  9. 신호들을 수신하는 수단, 신호들을 송신하는 수단, 제어 유닛, 메모리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 또는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세션을 개시하는 수단을 또한 포함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SIP 프로토콜을 통해 개시되는 데이터 통신 접속 동안, 제1 단말 장치가 자기 자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제2 단말 장치에 송신하며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세션 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이루어져 있고, 상기 세션 개시 정보는 단말 장치 간의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주소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장치에 의해 송신 또는 수신되는 세션 개시 정보는 상기 SIP 프로토콜에 따른 접속 식별자, 유선 통신 네트워크의 전화번호,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의 전화번호, 전자 메일 주소 또는 웹 페이지 주소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는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만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와는 다른 이전의 세션 개시 정보가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메모리에서 발견될 경우에 항상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메모리 내에 저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는 상기 제1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승인을 통해서만 저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말 장치는 셀룰러 전화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
  14.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의 단말 장치의 처리 수단에 의해 실행되어 상기 단말 장치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세션 개시 정보를 제2 단말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제2 단말 장치에 의해 전송된 세션 개시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 세션이 개시된 경우에 단말 장치들 간에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코드들을 또한 포함하고, 상기 세션 개시 정보는 단말 장치와의 통신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유형의 주소 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세션 개시 동안 상기 단말 장치들 간에 세션 개시 정보를 교환하도록 하는 코드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단말 장치의 주소 정보를 포함하지만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와 다른 이전 세션 개시 정보가 상기 단말 장치의 메모리 내에서 발견될 경우에 상기 단말 장치가 항상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단말 장치로 하여금 상기 단말 장치의 사용자의 승인을 통해서만 상기 수신된 세션 개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057022192A 2003-05-22 2004-05-13 전화통화와 관련한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 KR1008041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0776 2003-05-22
FI20030776A FI114680B (fi) 2003-05-22 2003-05-22 Menetelmä yhteydenmuodostustietojen päivittämiseksi puhelun yhteydessä ja menetelmää hyödyntävä päätela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3130A KR20060023130A (ko) 2006-03-13
KR100804162B1 true KR100804162B1 (ko) 2008-02-19

Family

ID=8566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2192A KR100804162B1 (ko) 2003-05-22 2004-05-13 전화통화와 관련한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29478B2 (ko)
EP (1) EP1625722B1 (ko)
KR (1) KR100804162B1 (ko)
CN (1) CN1795655B (ko)
AT (1) ATE357804T1 (ko)
DE (1) DE602004005445T2 (ko)
ES (1) ES2282863T3 (ko)
FI (1) FI114680B (ko)
WO (1) WO20041053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0636B2 (ja) * 2005-03-18 2010-09-22 富士通株式会社 電子機器、その登録方法及び登録プログラム
KR100814397B1 (ko) * 2006-11-28 2008-03-18 삼성전자주식회사 최적화된 인터컴 서비스를 제공하는 VoIP 단말 및 이를이용한 세션 설정 방법
CN101690117B (zh) * 2007-06-18 2013-06-19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客户端和电话服务器中的方法和设备
EP2178038A1 (en) * 2008-08-12 2010-04-2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formation of social type and for opportunistic forwarding
US9176214B2 (en) * 2011-08-10 2015-1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ximity detection for shared computing experienc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528A (en) 1999-02-11 2000-11-28 Amerite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tokens in a low network communication
EP1100250A2 (en) 1999-11-09 2001-05-1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 telephony session
WO2003021387A2 (en) 2001-09-04 2003-03-13 Emerson Harry E Iii Stored profile system for storing and exchanging user communications profile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2263B1 (en) 1997-04-23 2002-08-27 Nortel Networks Limited Electronic business cards
US6446127B1 (en) * 1998-10-30 2002-09-03 3Com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mobility services on a telephony network
DE60045016D1 (de) * 2000-07-13 2010-11-04 Nokia Corp Verarbeitung von sofortigen Nachrichten während Empfangersunerreichbarkeit
US20020049644A1 (en) * 2000-09-28 2002-04-25 Kargman James B. Method for simplified one-touch ordering of goods and services from a wired or wireless phone or terminal
US20020147818A1 (en) * 2001-04-04 2002-10-10 Michael Wengrovitz Session initiation protocol routing using voice cookies
JP2003125451A (ja) * 2001-10-12 2003-04-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装置
US7633896B2 (en) * 2002-01-23 2009-12-15 Alcatel-Lucent Us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optimized gateway selection for inter-working between circuit-switched and internet telephon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4528A (en) 1999-02-11 2000-11-28 Ameritech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and transferring information tokens in a low network communication
EP1100250A2 (en) 1999-11-09 2001-05-16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about a telephony session
WO2003021387A2 (en) 2001-09-04 2003-03-13 Emerson Harry E Iii Stored profile system for storing and exchanging user communications profi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105342A1 (en) 2004-12-02
DE602004005445D1 (de) 2007-05-03
CN1795655B (zh) 2012-04-04
CN1795655A (zh) 2006-06-28
ATE357804T1 (de) 2007-04-15
US20080102891A1 (en) 2008-05-01
EP1625722B1 (en) 2007-03-21
ES2282863T3 (es) 2007-10-16
KR20060023130A (ko) 2006-03-13
FI114680B (fi) 2004-11-30
US8229478B2 (en) 2012-07-24
DE602004005445T2 (de) 2007-12-06
EP1625722A1 (en) 2006-02-15
FI20030776A0 (fi) 2003-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637B1 (ko)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통신들
US80095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781257B2 (en) Technique for obtain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RU2414082C2 (ru) Ассоциирование телефонного вызова с диалогом, основанным на компьютерном протоколе, таком как sip
US20070230678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US200800628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conditioned on personal calendar information
US84009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common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1244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aring event-triggered, location-related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US20070237320A1 (en) Technique for provid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in circuit-switched communications
US7450572B2 (en) Intelligent terminal SIP enabled devices
US854801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ent-based synchronization of information between communication devices
EP1592219B1 (en) IP telephone system, IP telephone apparatus and calling method
US8014383B2 (en) Communication system
US8320362B2 (en) Tele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of initiating file transfers from voice endpoints
KR100804162B1 (ko) 전화통화와 관련한 세션 개시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단말 장치
JP2002305588A (ja) Ip電話との相互接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US7711380B2 (en) PoC communication server apparatus, terminal apparatus and PoC communication method
US20020107014A1 (en) System and method relating to telecommunications
US20070230676A1 (en) Technique for delivering caller-originated alert signals in ip-based communication sessions
KR20010028512A (ko) 단대단 통신 연결 방법
JP5769909B2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サーバ装置
JP4111393B2 (ja) Ip電話システム及びip電話装置
JP4560530B2 (ja) 通知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通知システムの通知方法、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3976712B2 (ja) 発信元端末識別情報通知システム、着呼装置、サーバ装置、発呼装置、登録装置、端末装置、及びゲートウェイ装置
JP2005086544A (ja) 通信制御システム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