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991B1 - 집진기의 댐핑 장치 - Google Patents

집진기의 댐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991B1
KR100803991B1 KR1020060105808A KR20060105808A KR100803991B1 KR 100803991 B1 KR100803991 B1 KR 100803991B1 KR 1020060105808 A KR1020060105808 A KR 1020060105808A KR 20060105808 A KR20060105808 A KR 20060105808A KR 100803991 B1 KR100803991 B1 KR 100803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haft
unit
dust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05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39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집진 설비의 여과실로부터 컨베이어 체인으로 배출되는 통로에 장착되는 구성을 개선하여 더스트 고착을 방지하고 여과실에서 탈진된 더스트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집진기의 여과실 하부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 내측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이중으로 단속하는 댐핑부, 댐핑부의 더스트 배출 단속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와 댐핑부를 연결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댐핑부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여과실, 분진, 가이드부, 댐퍼

Description

집진기의 댐핑 장치{DAMPING DEVICE OF DUST COLLECTOR}
도 1은 건식 집진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여과실과 로터리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댐핑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링크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상부 댐퍼가 열려있고 하부 댐퍼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더스트가 하부 댐퍼에 쌓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상부 댐퍼가 닫혀있고 하부 댐퍼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더스트가 상부 댐퍼에 쌓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2 ; 컨베이어 체인 하우징 304 ; 컨베이어 체인
310 ; 가이드부 320 ; 제1 댐퍼
322 ; 제1 댐퍼 축 330 ; 제2 댐퍼
332 ; 제2 댐퍼 축 340 ; 구동 모터
344 ; 보조 스프로킷 346 ; 보조 스프로킷 축
350 ; 제1 캠 링크 352 ; 제1 연결부
360 ; 제2 캠 링크 362 ; 제2 연결부
본 발명은 건식 집진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건식 집진 설비는 조업 중 발생된 분진을 포집하여 대기오염 방지 및 작업 환경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공해방지 시설이다.
도 1은 건식 집진 설비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진 발생 장소로부터 분진 함유가스가 집진 후드(10)와 함진가스 인입덕트(12)를 통해 흡입팬(14)의 유인 압력에 의해 흡입된다. 여과실(16)에 설치된 여과포를 통과하면서 여과된 가스는 청정실과 배기 덕트(18)를 거쳐 스택(20)을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여과실(16) 하부에 낙하된 더스트는 여과실(16) 하부에 부착된 로터리 밸브(22)가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체인(24)으로 배출된다. 컨베이어 체인(24)으로 이송된 더스트는 버킷 엘리베이터(26, bucket elevator)에 의해 더스트 호퍼(28)로 이송되어 저장된다.
도 2는 도 1에서 여과실과 로터리 밸브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여과실(16)내에는 여과포(17)가 장착된다. 여과포(17)에 부착된 더스트(29)는 압축 에어라인의 에어 펄스 밸브(19)가 동작되면서 압축 에어 가 순간적으로 분출됨에 따라 여과포(17)로부터 탈진되어 여과실(16) 하부로 낙하된다.
로터리 밸브(22)는 여과실(16) 하부에 탈진된 더스트(29)를 배출하는 설비로서 가동 중 습기가 함유된 더스트의 유입이나 장시간 가동시 로터리 밸브(22)의 블레이드(23)에 더스트(29)가 고착되어 탈진된 더스트(29)의 원활한 배출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여과실(16)에 더스트(29)가 누적된다. 이렇게 누적된 더스트(29)는 제거시 많은 시간과 수작업을 해야 하는 관계로 안전사고 위험이 있다. 또한, 로타리 밸브(22)의 블레이드(23)에 부착된 더스트(29)를 제거해야 하는 추가 작업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집진 설비의 여과실로부터 컨베이어 체인으로 배출되는 통로에 장착되는 구성을 개선하여 더스트 고착을 방지하고 여과실에서 탈진된 더스트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집진기의 여과실 하부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가이드부 내측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이중으로 단속하는 댐핑부, 댐핑부의 더스트 배출 단속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구동부와 댐핑부를 연결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댐핑부로 전달하는 링크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댐핑부는 가이드부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는 제1 댐퍼 축, 제1 댐퍼 축에 장착되어 제1 댐퍼 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가이드부의 상부측 더스트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댐퍼, 제1 댐퍼 축의 하부에 이격되어 제1 댐퍼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이드부 내부에 장착되는 제2 댐퍼 축, 제2 댐퍼 축에 장착되어 제2 댐퍼 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가이드부의 하부측 더스트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댐퍼 축에 축 결합되어 가이드부와 접하는 제1 베어링, 제2 댐퍼 축에 축 결합되어 가이드부와 접하는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구동 모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메인 스프로킷, 메인 스프로킷의 회전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컨베이어 체인, 메인 스프로킷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며, 컨베이어 체인의 회전에 연동되는 보조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스프로킷에 축 결합되는 보조 스프로킷 축, 보조 스프로킷 축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어 보조 스프로킷에 접하는 보조 스프로킷 베어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는 제1 댐퍼 축과 보조 스프로킷 축을 연결하는 제1 링크부, 제2 댐퍼 축과 보조 스프로킷 축을 연결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제1 댐퍼의 개폐상태와 제2 댐퍼의 개폐상태가 서로 상반되게 장착되며, 보조 스프로킷 축의 축 방향 양단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 치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1 링크부는 제1 댐퍼 축의 일측과 보조 스프로킷 축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캠 링크, 각각의 제1 캠 링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며, 제2 링크부는 제2 댐퍼 축의 타측과 보조 스프로킷 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캠 링크, 각각의 제2 캠 링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의 이동 길이는 제1 댐퍼와 제2 댐퍼의 열림각에 각각 비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댐핑 장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와 링크부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댐핑 장치는 가이드부(310), 댐핑부, 구동부, 링크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310)는 집진기의 여과실(300) 하부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안내한다. 가이드부(310)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여과실(300)의 하부에 연결되고, 하부는 컨베이어 체인 하우징(302)에 연결된다.
댐핑부는 가이드부(310) 내측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이중으로 단속한다.
댐핑부는 제1 댐퍼 축(322), 제1 댐퍼(320), 제2 댐퍼 축(332), 제2 댐퍼(330)를 포함한다.
제1 댐퍼 축(322)은 가이드부(31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된다.
제1 댐퍼(320)는 제1 댐퍼 축(322)에 장착되어 제1 댐퍼 축(322)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가이드부(310)의 상부측 더스트 통로를 개폐한다. 제1 댐퍼(320)는 가이드부(31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의 판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댐퍼 축(332)은 제1 댐퍼 축(322)의 하부에 이격되어 제1 댐퍼 축(322)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이드부(310) 내부에 장착된다.
제2 댐퍼(330)는 제2 댐퍼 축(332)에 장착되어 제2 댐퍼 축(332)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가이드부(310)의 하부측 더스트 통로를 개폐한다. 제2 댐퍼(330)는 가이드부(31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댐퍼(320)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댐퍼 축(322)과 제2 댐퍼 축(332)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하기 위해 각각의 축 단부에 제1 베어링(324)과 제2 베어링(334)을 장착한다.
제1 베어링(324)은 제1 댐퍼 축(322)에 축 결합되어 가이드부(310)와 접하며, 제2 베어링(334)은 제2 댐퍼 축(332)에 축 결합되어 가이드부(310)와 접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가이드부(310)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제1 댐퍼 축(322)과 제2 댐퍼 축(332)에 각각 제1 베어링(324)과 제2 베어링(334)을 축 결합 한다. 제1 베어링(324)과 제2 베어링(334)은 가이드부(310)의 양측에서 각각 제1 댐퍼 축(322)과 제2 댐퍼 축(33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일측에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베어링(32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310)의 좌측에서 제1 댐퍼 축(322)에 장착되며, 제2 베어링(334)은 가이드부(310)의 우측에서 제2 댐퍼 축(332)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는 댐핑부의 더스트 배출 단속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는 구동 모터(340), 메인 스프로킷(342), 컨베이어 체인(304), 보조 스프로킷(344)을 포함한다.
메인 스프로킷(342)은 구동 모터(340)에 연결되어 구동 모터(34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컨베이어 체인(304)은 컨베이어 체인 하우징(302) 내에 장착되며, 메인 스프로킷(342)의 회전에 연동되어 구동된다.
보조 스프로킷(344)은 메인 스프로킷(342)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며, 컨베이어 체인(304)의 회전에 연동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조 스프로킷(344)에 축 결합되는 보조 스프로킷 축(346)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어 보조 스프로킷(344)에 접하는 보조 스프로킷 베어링(348)을 더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보조 스프로킷(344)의 원활한 회전을 유지할 수 있다.
링크부는 구동부와 댐핑부를 연결하여 구동부의 동력을 댐핑부로 전달한다.
링크부는 제1 링크부, 제2 링크부를 포함한다.
제1 링크부는 제1 댐퍼 축(322)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을 연결하는 부분이며, 제2 링크부는 제2 댐퍼 축(332)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을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링크부와 제2 링크부는 제1 댐퍼(320)의 개폐상태와 제2 댐퍼(330)의 개폐상태가 서로 상반되게 장착되며,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축 방향 양단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된다.
제1 링크부는 제1 캠 링크(350), 제1 연결부(352)를 포함한다.
제1 캠 링크(350)는 제1 댐퍼 축(322)의 일측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제1 연결부(352)는 각각의 제1 캠 링크(35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1 캠 링크(350)와 제1 연결부(352)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캠 링크(350)와 제1 댐퍼 축(322) 및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연결부분에도 각각 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제2 링크부는 제2 캠 링크(360), 제2 연결부(362)를 포함한다.
제2 캠 링크(360)는 제2 댐퍼 축(332)의 타측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타측에 각각 결합된다. 제2 연결부(362)는 각각의 제2 캠 링크(360)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제2 캠 링크(360)와 제2 연결부(362)의 연결부분에는 각각 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캠 링크(360)와 제2 댐퍼 축(332) 및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연결부분에도 각각 핀 결합되는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연결부(352)와 제2 연결부(362)의 이동 길이는 제1 댐퍼(320)와 제2 댐퍼(330)의 열림각에 각각 비례한다.
도 4를 참조하면, 구동 모터(340)에 의해 구동되어지는 컨베이어 체인(304)의 중간 부분에 보조 스프로킷(344)이 장착되며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양단부에 각각의 베어링이 결합된다. 또한, 제1 댐퍼 축(322)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에 각각 캠 링크가 결합된다. 제2 댐퍼 축(332)과 보조 스프로킷 축(346)에도 각각 캠 링크가 결합된다. 그리고, 보조 스프로킷 축(346)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 캠 링크와 연결부의 구성은 제1 댐퍼(320)와 제2 댐퍼(330)의 열림각과 같은 비율로 구성된다. 이때 제1 댐퍼(320)와 제2 댐퍼(330)의 열림과 닫힘을 서로 반대로 하여 조립한다.
도 5는 제1 댐퍼가 열려있고 제2 댐퍼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더스트가 제2 댐퍼에 쌓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도 6은 제1 댐퍼가 닫혀있고 제2 댐퍼가 열려있는 상태에서 더스트가 제1 댐퍼에 쌓여있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건식 집진기의 여과실 하부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댐핑 장치를 이용하여 더스트(100) 배출을 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기의 댐핑 장치는 구동 모터(340)가 가동되면 구동 모터(340)측 메인 스프로킷(342)이 회전하면서 회전력이 컨베이어 체인(304)을 구동하게 된다. 컨베이어 체인(304)이 회전됨에 따라 컨베이어 체인(304)에 연결된 보조 스프로킷(344)도 메인 스프로킷(342)과 같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보조 스프로킷(344)의 회전력에 의해 보조 스프로킷 축(346)에 연결된 각각의 캠 링크가 연동되어 회전한다. 캠 링크의 회전에 따라 연결부는 왕복 운동하게 된다. 캠 링크에 연결된 제1 댐퍼 축(322)과 제2 댐퍼 축(332)은 해당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 댐퍼 축(322)과 제2 댐퍼 축(332)이 회전됨에 따라 제1 댐퍼(320)와 제2 댐퍼(330)는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초기 조립시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댐퍼(320)가 열리고 제2 댐퍼(330)가 닫힘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댐퍼(320)가 열려있고 제2 댐퍼(33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 더스트(100)가 제2 댐퍼(330)에 쌓여있게 된다. 즉, 가이드부(310) 내측에서 제1 댐퍼(320)와 제2 댐퍼(330) 사이 공간에는 여과부에서 탈진된 더스트(100)가 담겨져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컨베이어 체인(304)이 회전되면서 보조 스프로킷(344)이 회전되면, 보조 스프로킷 축(346)에 연결되는 링크부의 구동으로, 제1 댐퍼(320)가 닫히고, 제2 댐퍼(330)가 열리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링크부를 구성하는 제2 캠 링크(360)와 제2 연결부(362)가 구동되어 제1 댐퍼(320)가 닫혀있게 한다. 그리고, 제1 링크부를 구성하는 제1 캠 링크(350)와 제1 연결부(352)가 구동되어 제2 댐퍼(330)가 열려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1 댐퍼(320)가 닫히게 됨에 따라 여과부에서 탈진된 더스트(100)가 제1 댐퍼(320)에 쌓여있는 상태가 되며, 제2 댐퍼(330)에 쌓여있던 더스트(100)는 컨베이어 체인(304)으로 배출된다. 컨베이어 체인(304)으로 배출된 더스트(100)는 컨베이어 체인(304)과 버킷 엘리베이터를 통해 이송되어 저장호퍼에 저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기의 댐핑 장치는 건식 집진 설비의 여과실로부터 컨베이어 체인으로 배출되는 통로에 이중 댐핑 장치를 구성하여 기존 로타리 밸브의 블레이드 사이에 더스트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과실에서 탈진된 더스트가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여 더스트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집진기의 여과실 하부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안내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 내측에 장착되어 더스트 배출을 이중으로 단속하는 댐핑부;
    상기 댐핑부의 더스트 배출 단속 동작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댐핑부를 연결하여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댐핑부로 전달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메인 스프로킷;
    상기 메인 스프로킷의 회전에 연동되어 구동되는 컨베이어 체인;
    상기 메인 스프로킷과 이격된 위치에 장착되며, 상기 컨베이어 체인의 회전에 연동되는 보조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핑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는 제1 댐퍼 축;
    상기 제1 댐퍼 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댐퍼 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부의 상부측 더스트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댐퍼;
    상기 제1 댐퍼 축의 하부에 이격되어 상기 제1 댐퍼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 내부에 장착되는 제2 댐퍼 축;
    상기 제2 댐퍼 축에 장착되어 상기 제2 댐퍼 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상 기 가이드부의 하부측 더스트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 축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제1 베어링;
    상기 제2 댐퍼 축에 축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와 접하는 제2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프로킷에 축 결합되는 보조 스프로킷 축;
    상기 보조 스프로킷 축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되어 상기 보조 스프로킷에 접하는 보조 스프로킷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1 댐퍼 축과 상기 보조 스프로킷 축을 연결하는 제1 링크부;
    상기 제2 댐퍼 축과 상기 보조 스프로킷 축을 연결하는 제2 링크부를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댐퍼의 개폐상태와 상기 제2 댐퍼의 개폐상태가 서로 상반되게 장착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와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보조 스프로킷 축의 축 방향 양단에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상기 제1 댐퍼 축의 일측과 상기 보조 스프로킷 축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캠 링크;
    상기 각각의 제1 캠 링크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를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2 댐퍼 축의 타측과 상기 보조 스프로킷 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제2 캠 링크;
    상기 각각의 제2 캠 링크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포함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의 이동 길이는 상기 제1 댐퍼와 상기 제2 댐퍼의 열림각에 각각 비례하는 집진기의 댐핑 장치.
KR1020060105808A 2006-10-30 2006-10-30 집진기의 댐핑 장치 KR100803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08A KR100803991B1 (ko) 2006-10-30 2006-10-30 집진기의 댐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808A KR100803991B1 (ko) 2006-10-30 2006-10-30 집진기의 댐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3991B1 true KR100803991B1 (ko) 2008-02-15

Family

ID=39343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808A KR100803991B1 (ko) 2006-10-30 2006-10-30 집진기의 댐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62B1 (ko) 2011-09-28 2013-04-0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6150Y1 (ko) 1999-10-29 2000-03-15 송근용 고압 집진기용 댐퍼
KR20000012058U (ko) * 1998-12-14 2000-07-05 이구택 집진기 댐퍼에 부착된 스케일 제거장치
KR20010048089A (ko) * 1999-11-25 2001-06-15 이구택 집진기 로터리밸브의 고착 더스트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058U (ko) * 1998-12-14 2000-07-05 이구택 집진기 댐퍼에 부착된 스케일 제거장치
KR200176150Y1 (ko) 1999-10-29 2000-03-15 송근용 고압 집진기용 댐퍼
KR20010048089A (ko) * 1999-11-25 2001-06-15 이구택 집진기 로터리밸브의 고착 더스트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062B1 (ko) 2011-09-28 2013-04-0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기 호퍼의 막힘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578B2 (en) Filter exchange device, control method of filter exchange device, and gas turbine equipment
US9855523B2 (en) Smoke filter
JP6251700B2 (ja)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回収方法並びに装置並びにこの装置を具えた舗装材切断装置
KR20070004548A (ko) 공기조화기의 필터장치
CN111810159A (zh) 露天矿智能化连续开采装备
KR100803991B1 (ko) 집진기의 댐핑 장치
CN106765383B (zh) 一种吸油烟机面板结构
KR100925779B1 (ko) 다연식 집진기 구조
CN219050670U (zh) 脉冲袋式除尘器及除尘系统
CN215372799U (zh) 一种造纸车间用通风装置
KR100336695B1 (ko) 방진망 청소기가 부착된 공조기
JP2008023043A (ja) 縦型の電気掃除機
KR100893263B1 (ko) 분진 다량 발생 부위로 이동되는 이중 집진 후드 장치
KR20140004521A (ko) 건식 및 습식 겸용 진공 청소장치
JP6346871B2 (ja) 舗装材切断装置における切断ダスト捕集装置 並びにその舗装材切断装置
CN113404115A (zh) 工程机械
KR100516979B1 (ko) 여과집진시설
JP4875998B2 (ja) 解体装置
JP3784191B2 (ja) ゴミ焼却炉
KR100967711B1 (ko) 집진설비의 더스트 고착 방지장치
KR200344689Y1 (ko) 청소차량의 먼지 비산방지장치
JP2004232961A (ja) 焼却炉のダスト排出装置
CN216296485U (zh) 一种隧道用垃圾处理设备
WO2003055576A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leaning filters for dust collector
KR20150083299A (ko) 분진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