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43B1 -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 Google Patents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243B1
KR100803243B1 KR1020060119434A KR20060119434A KR100803243B1 KR 100803243 B1 KR100803243 B1 KR 100803243B1 KR 1020060119434 A KR1020060119434 A KR 1020060119434A KR 20060119434 A KR20060119434 A KR 20060119434A KR 100803243 B1 KR100803243 B1 KR 10080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site powder
mixture
porous silica
glyce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178A (ko
Inventor
박세준
이승환
전상훈
권순상
김경남
김덕희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08000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4Tetrahydroxylic alcohols, e.g. pentaerythrito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고급알콜, 글리세린, 2-옥틸도데카놀, 물, 수분 보유력, 수분 함유력, 보습력,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

Description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도 1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성분의 안정한 영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성분의 안정한 영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각질층은 외부의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피부 내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피부가 촉촉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피부의 노화에 따른 피부 각질층의 기능 저하로, 피부에 있는 수분 이탈로 인해 피부가 건조함을 느끼기 쉬워지며, 더욱이 건조한 환절기나 겨울철에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이유로 피부가 느끼는 건조감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보습제들이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인 예로서 수용성 유래의 보습제와 세라마이드를 들 수 있다. 아미노산, 유기산, 요소 등과 같은 수용성 유래의 보습제들은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 각질층에 수분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인 보습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겨울철과 같이 습도가 낮은 건조환경에서는 보습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일 뿐만 아니라, 건조환경에서의 낮은 수분 보유력으로 인하여 보습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수분 공급이 적어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보습제로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글리세린의 경우에는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가지고 있어 각질층 기능 저하로 이탈되는 수분과 공기 중의 수분을 구조적으로 함유하여 보습력을 나타내고 있으나, 건조한 환경에서는 글리세린이 구조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공기 중의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한 건조한 환경에서 글리세린이 구조적으로 함유한 수분을 급격히 손실함으로써 실제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함량을 사 용하는 경우 제형안정성이 떨어지며, 건조한 환경에서 글리세린이 함유할 수 있는 수분함량이 적기 때문에 보습제로써의 역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글리세린을 제형에 적용하더라도 립스틱 제형과 같은 오일 분산 제형에 적용할 경우에는 제형에 사용되는 오일류들과 상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특성 때문에 제형에 적용하여 분산시키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으며, 소량의 사용할 경우에는 고속혼합에 의한 강제 분산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여전히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높은 함량을 적용하기에는 다른 오일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단점 때문에 사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
세라마이드의 경우 피부 각질층 세포간 지질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서 피부 장벽기능 강화를 통해 피부의 수분 유지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지만, 화장료에 사용되는 오일들과의 상용성이 떨어져 유효함량을 적용시에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져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건조환경에서도 피부 각질층 및 표피에서 높은 함량의 수분을 보유하고 높은 보습력과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여 피부의 수분 유지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립스틱류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오일들과 상용성이 용이한 보습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24704호에는 새로운 형태의 보습제인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자체만으로는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함량이 적어 다량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제형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어려움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94794호에 이를 개선하여 다공 성 실리카에 포집된 한 새로운 형태의 보습제를 개발하였으나, 건조한 환경에서의 수분 보유력은 글리세린에 비하여 향상되었지만 수분 함유력이 글리세린보다 떨어지는 한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오일분산 제형인 립스틱 제형에서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실정이다.
한편,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는 메조포어 분자체(mesoporous molecular sieve)들 중 하나로, 균일한 크기의 메조포어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메조포어 분자체이다. 1991년도에 모빌(Mobil)사의 연구진에 의하여 구조유도체로 이온성 계면활성제(ionic surfactants)를 이용하여 제조된 M41S 군(M41S family)이라고 명명된 새로운 형태의 메조포러스 분자체 물질들이 미합중국 특허 제5,057,296호 및 제5,102,643호 등에 발표된 이래로, 이러한 메조포러스 분자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현재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분자체의 합성과는 다르게 이 메조포어 분자체들은 액정 주형 경로(liquid crystal templating mechanism)를 통하여합성 과정 중 주형 물질(templating material)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농도 및 합성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기공의 크기를 16~100Å까지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미합중국 특허 제6,027,706호, 제6,054,111호 및 1998년 Science지, volume 279, 페이지 548에는 비이온계열의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s)인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amphiphilic block copolymers)를 이용하여 제조된 메조포러스 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제올라이트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유/무기 분자 하나가 기공 구조를 유도하여 만들어지는 반면, 메조포러스 물질은 단분자가 아닌 여러 개의 계면활성제 분자들이 집합된 마이셀(micelle) 구조가 거푸집 역할을 하여 기공을 유도한다.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의 머리 부분과 소수성의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수용액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기 조합된(self-assembled) 마이셀 및 액정 구조를 이룬다고 알려져 있다. 마이셀 또는 액정 구조의 표면에 위치한 친수성 부분과 무기 물질의 전구체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유기/무기 나노 복합체가 형성되고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 메조포러스 기공 구조를 갖는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메조포러스 물질은 기공의 크기가 1.5nm이하인 미세기공성(micropore)를 갖는 제올라이트나 AIPO 계통의 물질과는 다르게 기공의 크기가 중형기공(mesopore)의 범위(2~50nm)로 확장시킴으로써 그 동안 분자체 물질의 응용에 있어서 제한이 되어왔던, 큰 크기를 갖는 분자들의 흡착 및 분리, 촉매전환 반응 등에 대한 분자체 물질의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규칙적인 기공을 가지는 메조포러스 물질은 또한 미세기공성을 가지는 제올라이트와 마찬가지로 표면적이 매우 커서(>700m2/g) 원자나 분자의 흡착 특성이 우수하지만, 제올라이트와는 달리 기공의 크기가 일정함으로써 전이금속 화합물, 아민류 산화물 등의 촉매 활성체들의 담체로 응용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제인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를 립스틱 유형의 화장료로 사용할 때 나타나는 초기 수분 함유력 저하 및 낮은 수분 보유력을 극복하고 자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자체의 수분 함유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제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파우더 타입의 보습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통상의 알려진 건식 코팅공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을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혼합물을 많은 세공을 가진 다공성 실리카,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조포러스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하고 립스틱류 화장료의 제형 내 오일과의 상용성 및 수분 보유력을 확보할 수 있는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상기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흡착하여 높은 초기 수분 함유를 유지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높은 수분 함유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동시에 부여하고 제형안정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시킴으로서 립스틱류 화장료의 제형 내 오일과의 상용성을 확보하거나 수분함유력을 높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을 많은 세공을 가진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2차 흡착시켜 립스틱류 화장료의 제형내 오일과의 상용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수분 함량, 높은 보습력,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내부 세공 직경 2~50 nm 범위의 세공을 갖는 메조포러스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시켜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여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는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거나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여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것으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흡착'이라 하며, 다공성 실리카의 다공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포집'이라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6024704호에 공지되어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각질층의 수분 유지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24개의 포화, 불포화 및 직쇄, 분지쇄를 포함하는 알킬기이고; m은 0 내지 10, n은 1 내지 10의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 이외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은 이온수, 증류수 또는 초순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최대 42%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물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2 중량%로 함유되어지며, 사용목적 및 적용하는 제형에 따라 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펜타에리스리톨 우도체와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9:1 ~ 6:4의 범위 내로 혼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9:1 ~ 7:3의 범위 내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혼합 비율이 9:1 보다 적은 즉 수분 10% 미만 영역에서는 수분 보유력이 떨어지며, 혼합 비율이 6:4 보다 많은 수분을 가지는 영역에서는 제형 안정도가 떨어지며 오히려 수분 보유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고점도 인하여 다공성 실리카의 세공 내에 포집 및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고르게 흡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더 포함하는 3성분의 혼합 비율(도 1) 및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3성분의 혼합 비율(도 2)은 각 3성분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영역에서 진행되며, 각 3성분의 안정한 영역을 도시화하여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더 포함되는 경우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글리세린이 더 포함되는 경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1에서 A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각각의 최대 중량을 10으로 봤을 때,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은 7,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2.5, 물은 0.5의 비율로 혼합되는 지점이 바로 A점이다.
상기 도 2에서 A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각각의 최대 중량을 10으로 봤을 때,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6, 글리세린은 1, 물은 3의 비율로 혼합되는 지점이 바로 A점이다.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더 포함하는 경우 펜타에리스티톨 유도체의 최대 수분 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3성분이 안정한 영역을 나타내기 때문에 물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어진다.
상기 3 성분, 즉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8 : 2~6 : 0.1~4의 범위 내로 혼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수분 10% 미만 영역에서는 3~7.5 : 2.5~6 : 0.1~1.0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10% 영역에서는 4~5 : 4~5 : 1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15% 영역에서는 3~4 : 4~5 : 1~1.5의 범위 내로 혼합한다. 도 1에 나타낸 동그라미들은 실험을 통해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성분계의 안정한 영역을 확인한 비율이다.
상기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 비율을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층분리가 없는 투명한 상태의 안정한 상태를 나타내지 않으며, 현탁액 상태로 유지되다가 2가지 방향으로 형태가 변화하게 된다. 첫 번째는 2상(phase) 상태로, 투명하나 층분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제형 내에 적용시 제형의 수분 보유력과 제형 안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나타나며, 두 번째는 1상(phase) 상태로, 고점도의 현탁액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고점도로 인하여 다공성 실리카 내에 포집 및 흡착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 펜타에리스톨 유도체는 최대 42%의 수분을 함유하지만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갖는 글리세린으로 인하여 수분 함유력이 상승하였으며, 물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5 중량%로 함유되어진다.
상기 3 성분 즉,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혼합 비율은 중량기준으로 5~9 : 0.1~1 : 0.1~4의 범위 내로 혼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수분 10% 영역에서는 8~9 : 0.1~1 : 1 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20% 영역에서는 7~9 : 0.1~1 : 2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30% 영역에서는 6~9 : 0.1~1 : 3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40%영역에서는 5~9 : 0.1~1 : 4의 범위로 혼합한다. 도 2에 나와 있는 동그라미들은 실험을 통해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성분계의 안정한 영역을 확인한 비율이다.
상기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 비율을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층분리가 없는 투명한 상태의 안정한 상태를 나타내지 않으며, 현탁액 상태로에서 2상(phase)상태로 투명하게 층분리가 나타나는데, 제형 내에 적용시 제형의 수분 보유력, 수분 함유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나타낸다.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중량비로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자기교반을 통해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제조되며,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추가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시간은 성분들의 무게비율에 따라 달라지나, 혼합 후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안정한 투명한 상태가 될 때까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1 내지 180분정도 혼합한다.
또한 상기 성분들의 혼합 중 기포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 전에는 반드시 탈기 과정이 필요하나, 통상은 자연 탈기가 바람직하며, 통상 1 내지 12시간 정도 정치하여 완전 탈기를 확인한 후 상기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제조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다공성 실리카의 물리흡착 특성을 이용하여 통상의 건식 코팅방법을 응용하여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다.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중량비로 1 : 0.5~3.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5~2.0의 범위 내로 포함한다. 상기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면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외부 즉, 입자 표면에 존재하게 되므로 세공 내에만 포집했을 경우보다 수분 보유력이 다소 떨어지며 제형 안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분 보유지속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에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지속력을 향상시키고, 립스틱류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오일 및 왁스 성분과의 상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의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대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만을 중량 기준으로 1 : 0.2~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3~0.8의 범위로 흡착시킬 수 있다. 상기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상기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면 수분 보유력이 떨어지거나 주위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시킨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는 0.2 내지 50㎛의 입자크기, 1 내지 50 nm의 기공 및 500~900㎡/g의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 및 물의 성분들이 피부 보습력 및 사용감을 개선시키고, 제형을 안정화시키므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립스틱류 오일 화장료 조성물 등에 첨가하여 제형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분체 중,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중량%로 함유되어진다. 또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로 함유되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층의 수분 유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높은 수분 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며,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통하여 립스틱류 오일 화장료의 상용성 및 응집현상을 개선하고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분체는 립스틱류 오일 화장료 제형화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실리카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졸-겔 법을 사용하거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는 약 0.2~50㎛의 입자이며, 약 2~50nm의 기공이고, 약 500~900㎡/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제조 (1)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락(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16.41g을 1차 증류수 615.27g에 용해시켜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테트라 오르토 실리케이트 125g 및 NaOH 83.2g을 1차 증류수 291.79g에 용해시킨 후, 이중 100g을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에 첨가하고 자력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격렬히 교반후 25.4g의 초산과 1차 증류수 50.8g이 혼합된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용액을 45℃에서 24시간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 및 1차 증류수로 수세한 후 10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료 내에 들어있는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탄올과 염산 5% 용액으로 자력교반 2시간 후 여과 및 에탄올로 깨끗하게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550℃로 10시간 동안 소성 처리하였다.
[실시예 1] 펜타 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로 다공성 실리카 외부 표면 흡착된 메조 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의 제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을 중량기준으로 7:3로 혼합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10.5g을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물이 세공 내부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35.5g을 얻었다.
[실시예 2]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로 다공성 실리카 외부 표면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제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을 중량기준으로 5:4:1로 혼합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물 10g과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35g을 얻었다.
[실시예 3]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로 다공성 실리카 외부 표면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제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을 중량기준으로 6:1:3로 혼합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 10.5g과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35g을 얻 었다.
[비교예 1] 글리세린이 포집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제조
글리세린과 물을 중량기준 9:1로 혼합제조한 혼합용액 10g과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글리세린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35g을 얻었다.
[시험예 1] 건조환경에서의 수분 잔존량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건조환경에서의 수분 잔존 함유량을 측정 및 비교하였다.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20%)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하여 실시예 1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분체; 실시예 2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2-옥틸도데카놀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분체; 및 실시예 3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 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분체;와 비교예 1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각각의 절대 수분 함유량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다공성 실리카 분체의 수분 잔존 함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2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실시예 2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도데카놀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및 실시예 3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는 8시간이 지난 후 각각 2.71g, 2.14g 및 2.26g의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는 8시간이 지난 후 0.38g의 수분이 잔존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 분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복합 분체의 절대 수분함유량이 높게 나타나 더 높은 보습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2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건조환경에서의 수분유지력을 측정 및 비교하였다.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20%)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하여 실시예 2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 및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분체와 비교예 1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각각의 수분이탈량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다공성 실리카 분체의 수분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경우 8시간이 지난 후 1.5g의 수분이 이탈되었으나, 비교예 1의 보습 및 수분 보유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의 경우에는 3.01g의 수분이 이탈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복합 분체는 비교예 1의 분체에 비해 수분 이탈량에서 1/2 정도 높은 수분 유지력을 보였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수분 보유력으로 보습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3] 고습 환경에서의 수분 함유력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1 및 3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대하여 고습 환경에서 수분 함유력을 측정 비교 하였다.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은 상기 실시예 1 및 3에서 제조한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90%)에 16시간 보관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실시예 1 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및 실시예 3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각각의 수분함유량 변화를 관찰하여 수분 함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4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의 경우 원래 가지고 있는 수분의 약 250%의 수분을 추가로 함유하였으나, 실시예 1의 복합 분체는 원래 가지고 있는 수분의 약 12%의 수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복합 분체 즉,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보다 높은 수분 함유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포함하는 립스틱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로 사용하여 통상의 립스틱 제조방법에 따라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립스틱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립스틱의 보습력, 건조감 및 번짐을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20~3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5일간 사용하게 한 후,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실제 사용효과를 하기의 평가방법으로 비교하였다.
1) 보습감 :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가 실제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을 입술에 도포시 나타나는 보습감을 평가하였음.
2) 건조감 :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가 실제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을 입술에 도포후 8시간 동안 건조감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입술 당김을 평가하였음.
3) 번짐: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가 실제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을 입술에 도포후 8시간동안 색 번짐을 평가하였음.
[표 4] 립스틱 제형예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5
[표 5]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6
상기 표 5로부터 본 발명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이 흡착 및 포집되고 2-옥틸 도데카놀로 표면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인 실시예 3를 포함하는 제형예 3;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도 데카놀l 및 물의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실리카인 실시예 2을 포함하는 제형예 2; 펜타 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실리카인 실시예 1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은 초기 도포시에는 보습감을 동등하게 느끼나,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 보유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우수한 수분 보유력으로 화장후 시간이 지난 후에 나타나는 건조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립스틱 제형에 비해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경우 메조포러스 실리카가 적용되어 립스틱의 번짐 현상이 적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우,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수분 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과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가지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하며, 메이크업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시 장시간 도포 후에도 건조감을 느끼지 않는 보습효과와 더불어 번짐현상의 저하로 화장 지속성증대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여러 제형의 화장료의 조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4~6] 립스틱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7
[제형예 7~9] 립글로스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8
[제형예 10~12] 립밤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9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는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수분 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과 높은 수분 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며, 특히 건조환경에서 우수한 수분 보유력으로 장시간 도포 후에도 건조감을 느끼지 않는 보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을 40%까지 함유할 수 있어 높은 초기 보습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립스틱 제형에 적용시 다공성 실리카에 의해 번짐 현상이 현저히 저하되어 화장 지속성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
    [화학식 1]
    Figure 112007068129715-pat00013
    [상기 식에서, R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24개의 포화, 불포화 및 직쇄, 분지쇄를 포함하는 알킬기이고; m은 0 내지 10, n은 1 내지 10의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정수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2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8. 삭제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으로 3~8 : 2~6 : 0.1~4 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으로 5~9 : 0.1~1.0 : 0.1~4 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1. 제 1항 내지 제 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1 : 0.5~3.5의 중량비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건식코팅법으로 흡착 및 포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4. 제 1항 내지 제 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분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1 : 0.2~1.0의 중량비로 더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5. 삭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분체는 0.2 내지 50㎛의 입자크기, 1 내지 50 nm의 기공 및 500 내지 9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
  17. 제 1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8. 제 2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9. 제 3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0. 제 17항 내지 제 19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1. 제 14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60119434A 2006-06-30 2006-11-30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KR100803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60961 2006-06-30
KR1020060060961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78A KR20080003178A (ko) 2008-01-07
KR100803243B1 true KR100803243B1 (ko) 2008-02-14

Family

ID=3921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34A KR100803243B1 (ko) 2006-06-30 2006-11-30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2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3B1 (ko) 2004-04-10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베이스
KR20070039668A (ko) * 2005-10-10 2007-04-13 (주)아모레퍼시픽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가 포집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복합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3B1 (ko) 2004-04-10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액정베이스
KR20070039668A (ko) * 2005-10-10 2007-04-13 (주)아모레퍼시픽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가 포집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복합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78A (ko) 200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Synthesis, functionalization, and applications of morphology-controllable silica-based nanostructures: A review
Ding et al. A convenient route to synthesize SBA-15 rods with tunable pore length for lysozyme adsorption
Llusar et al. One-pot synthesis of phenyl-and amine-functionalized silica fibers through the use of anthracenic and phenazinic organogelators
Zheng et al. Synthesis of mesoporous titanium dioxide materials by using a mixture of organic compounds as a non-surfactant template
CN109790040B (zh) 一种层级结构多级孔沸石及其制备方法
Nakanishi et al. Formation of hierarchical pore structure in silica gel
US7923030B2 (en) Agent-encapsulating micro- and nanoparticles,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EP0948395B1 (de) Organisch modifizierte aeroge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durch oberflächenmodifikation des wässrigen gels ohne vorherigen lösungsmitteltausch und anschliessende trocknung sowie deren verwendung
KR20100122480A (ko) 메조포러스 물질의 제조 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물질 및 메조포러스 물질의 용도
EP1737422A2 (de) Schweissabsorbierendes kosmetisches produk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WO2006052917A2 (en) Silica mesoporous materials
CN108366918B (zh) 火山渣粉末颗粒浸渍于多孔聚合物的复合粉体,含有其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
Zhang et al. Template-free synthesis of silica ellipsoids
CN108275687A (zh) 一种介孔中空二氧化硅微球的制备方法
DE112013005573T5 (de) Oberflächennah poröse Hybrid Monolithe mit angeordneten Pore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und zur Verwendung derselben
Wang et al. Unit-cell wide SBA-15 type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KR100803243B1 (ko)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KR100814631B1 (ko)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고급알콜 또는 폴리올이 다공성실리카에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
KR101126008B1 (ko)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가 포집된 메조포러스 실리카 복합분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84575B1 (ko) 친유성 나노다공 실리카 복합체 제조 방법
Brohede et al. Sustained release from mesoporous nanoparticles: evaluation of structural properties associated with release rate
EP3827806A1 (en) Biodegradable beads with dyes and pigments
Millqvist-Fureby et al. Mesoporous solid carrier particles in controlled delivery and release
Kadali et al. Assembling colloidal silica into porous hollow microspheres
KR20110112507A (ko) 원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세정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