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3243B1 - 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 Google Patents

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3243B1
KR100803243B1 KR1020060119434A KR20060119434A KR100803243B1 KR 100803243 B1 KR100803243 B1 KR 100803243B1 KR 1020060119434 A KR1020060119434 A KR 1020060119434A KR 20060119434 A KR20060119434 A KR 20060119434A KR 100803243 B1 KR100803243 B1 KR 100803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mposite powder
mixture
porous silica
glycer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4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003178A (en
Inventor
박세준
이승환
전상훈
권순상
김경남
김덕희
장이섭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ublication of KR2008000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3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32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00Saturated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8Polyhydroxylic acyclic alcohols
    • C07C31/24Tetrahydroxylic alcohols, e.g. pentaerythritol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C01B33/18Preparation of finely divided silica neither in sol nor in gel form; After-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hav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adsorbed and trapped on the porous silica and having a moisturizing and water retention capability. It may further compris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particular,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retention of the composite powder showing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high moisturizing power and high water retention even in a dry environment By adsorbing 2-octyl dodecanol on the surface of powder, it relates to a composite powder having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moisturizing power, high water content, high water retention power and high water content at the same time.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고급알콜, 글리세린, 2-옥틸도데카놀, 물, 수분 보유력, 수분 함유력, 보습력,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 Pentaerythritol derivatives, higher alcohols, glycerin, 2-octyldodecanol, water, moisture retention, moisture content, moisture retention,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Description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Adsorbed and Collected by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도 1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성분의 안정한 영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stable region of the three components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도 2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성분의 안정한 영역을 나타내는 그림이다.2 is a diagram showing a stable region of the three components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hav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adsorbed and trapped on the porous silica and having a moisturizing and water retention capability. It may further compris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particular, to further improve the water retention of the composite powder showing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high moisturizing power and high water retention even in a dry environment By adsorbing 2-octyl dodecanol on the surface of powder, it relates to a composite powder having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moisturizing power, high water content, high water retention power and high water content at the same time.

피부의 각질층은 외부의 유해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피부 내의 수분이 외부로 증발되는 것을 억제하여 피부가 촉촉함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피부의 노화에 따른 피부 각질층의 기능 저하로, 피부에 있는 수분 이탈로 인해 피부가 건조함을 느끼기 쉬워지며, 더욱이 건조한 환절기나 겨울철에는 이러한 경향이 두드러진다.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protects the body from harmful substances from the outside, and serves to keep the skin moist by inhibiting the evaporation of moisture in the skin to the outside. However, due to the deterioration of the function of the stratum corneum due to the aging of the skin, it is easy to feel the dry skin due to the moisture escape from the skin, moreover, this tendency is prominent in the dry season or winter season.

이러한 이유로 피부가 느끼는 건조감을 개선하기 위한 많은 보습제들이 개발되어 왔다. 대표적인 예로서 수용성 유래의 보습제와 세라마이드를 들 수 있다. 아미노산, 유기산, 요소 등과 같은 수용성 유래의 보습제들은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 각질층에 수분을 제공하기 때문에 가장 보편적인 보습제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겨울철과 같이 습도가 낮은 건조환경에서는 보습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을 보일 뿐만 아니라, 건조환경에서의 낮은 수분 보유력으로 인하여 보습력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수분 공급이 적어 수분을 함유할 수 있는 보습제로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하면 글리세린의 경우에는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가지고 있어 각질층 기능 저하로 이탈되는 수분과 공기 중의 수분을 구조적으로 함유하여 보습력을 나타내고 있으나, 건조한 환경에서는 글리세린이 구조적으로 함유할 수 있는 공기 중의 수분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또한 건조한 환경에서 글리세린이 구조적으로 함유한 수분을 급격히 손실함으로써 실제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많은 함량을 사 용하는 경우 제형안정성이 떨어지며, 건조한 환경에서 글리세린이 함유할 수 있는 수분함량이 적기 때문에 보습제로써의 역할을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For this reason, many moisturizers have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dryness of the skin.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water-soluble moisturizers and ceramides. Water-soluble moisturizers such as amino acids, organic acids, urea, etc. are used as the most common moisturizers because they have excellent ability to absorb water and provide moisture to the stratum corneum. However, in the dry environment with low humidity, such as winter, not only does the moisturizing power significantly decrease, but also the moisture content decreases rapidly due to low moisture retention in the dry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as a moisturizer. In other words, glycerin has a high water content and exhibits moisture retention by structurally containing moisture and air in the stratum corneum, but in a dry environment, glycerin has a moisture content in the air. Relatively les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ctual moisturizing power is lowered by the rapid loss of structural glycerin structural moisture in a dry environment, the formulation stability is poor when using a large amount to overcome this disadvantage, glycerin in a dry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serve as a moisturizer because of the low moisture content it can contain.

또한 글리세린을 제형에 적용하더라도 립스틱 제형과 같은 오일 분산 제형에 적용할 경우에는 제형에 사용되는 오일류들과 상용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특성 때문에 제형에 적용하여 분산시키기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으며, 소량의 사용할 경우에는 고속혼합에 의한 강제 분산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여전히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있으며, 높은 함량을 적용하기에는 다른 오일과의 상용성이 떨어지는 단점 때문에 사용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고 있다.In addition, even when glycerin is applied to the formulation, it is difficult to apply it to the formulation because of its incompatibility with the oils used in the formulation when it is applied to an oil dispersion formulation such as a lipstick formulation. Although it adopts a method of forced dispersion by high speed mixing, there is still a low formulation stability, and there are many problems to use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incompatibility with other oil to apply a high content.

세라마이드의 경우 피부 각질층 세포간 지질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서 피부 장벽기능 강화를 통해 피부의 수분 유지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지만, 화장료에 사용되는 오일들과의 상용성이 떨어져 유효함량을 적용시에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져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Ceramid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intercellular lipids in the stratum corneum of the skin and shows excellent effects on maintaining skin moisture by strengthening the skin barrier function, but it is less compatible with oils used in cosmetics and thus stability of formulation when applying effective content This is difficult to use apart.

따라서, 건조환경에서도 피부 각질층 및 표피에서 높은 함량의 수분을 보유하고 높은 보습력과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여 피부의 수분 유지에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립스틱류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오일들과 상용성이 용이한 보습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4-0024704호에는 새로운 형태의 보습제인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자체만으로는 피부에 사용할 수 있는 함량이 적어 다량 사용에 한계가 있으며, 또한 제형 안정성을 떨어뜨리는 어려움이 있어 그 사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5-0094794호에 이를 개선하여 다공 성 실리카에 포집된 한 새로운 형태의 보습제를 개발하였으나, 건조한 환경에서의 수분 보유력은 글리세린에 비하여 향상되었지만 수분 함유력이 글리세린보다 떨어지는 한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오일분산 제형인 립스틱 제형에서는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운 실정이다.Therefore, even in a dry environment, it has a high content of moisture in the stratum corneum and epidermis, shows high moisturizing power and high water retention, and shows excellent effect on the moisture retention of the skin and is compatible with oils used in lipstick makeup cosmet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resent invention,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24704 discloses a pentaerythritol derivative which is a new type of moisturizing agent. However,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re limited in their use due to their low content for use on the skin alone, and also have difficulty in reducing formulation stability. In addition,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094794 improved this to develop a new type of moisturizer trapped in porous silica, but the water retention capacity in dry environment is improved compared to glycerin, but the water content is lower than glycerin.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show the effect in the lipstick formulation which is an oil dispersion formulation.

한편,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는 메조포어 분자체(mesoporous molecular sieve)들 중 하나로, 균일한 크기의 메조포어가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메조포어 분자체이다. 1991년도에 모빌(Mobil)사의 연구진에 의하여 구조유도체로 이온성 계면활성제(ionic surfactants)를 이용하여 제조된 M41S 군(M41S family)이라고 명명된 새로운 형태의 메조포러스 분자체 물질들이 미합중국 특허 제5,057,296호 및 제5,102,643호 등에 발표된 이래로, 이러한 메조포러스 분자체 물질에 대한 연구가 현재 전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분자체의 합성과는 다르게 이 메조포어 분자체들은 액정 주형 경로(liquid crystal templating mechanism)를 통하여합성 과정 중 주형 물질(templating material)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 농도 및 합성 조건을 조절함으로써 기공의 크기를 16~100Å까지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다양한 형태의 물질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Meanwhile, mesoporous porous silica is one of mesoporous molecular sieves, and is a mesoporous molecular sieve in which mesopores of uniform size are regularly arranged. In 1991, a new type of mesoporous molecular sieve materials, named M41S family, manufactured by Mobil researchers using ionic surfactants as structural derivatives, was described in US Pat. No. 5,057,296. And 5,102,643 and the like, research on such mesoporous molecular sieve materials is now actively conducted worldwide. Unlike the synthesis of conventional molecular sieves, these mesoporous molecular sieves are characterized by pore by controlling the type, concentration and synthesis conditions of the surfactant used as a template material during the synthesis process through the liquid crystal templating mechanism. It has the advantage of controlling the size of 16 ~ 100Å, through which various types of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미합중국 특허 제6,027,706호, 제6,054,111호 및 1998년 Science지, volume 279, 페이지 548에는 비이온계열의 계면활성제(nonionic surfactants)인 양친성 블록 공중합체(amphiphilic block copolymers)를 이용하여 제조된 메조포러스 물질이 개시되어 있다. 제올라이트의 경우는 일반적으로 유/무기 분자 하나가 기공 구조를 유도하여 만들어지는 반면, 메조포러스 물질은 단분자가 아닌 여러 개의 계면활성제 분자들이 집합된 마이셀(micelle) 구조가 거푸집 역할을 하여 기공을 유도한다. 계면활성제는 친수성의 머리 부분과 소수성의 꼬리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어 농도 및 온도에 따라 수용액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기 조합된(self-assembled) 마이셀 및 액정 구조를 이룬다고 알려져 있다. 마이셀 또는 액정 구조의 표면에 위치한 친수성 부분과 무기 물질의 전구체가 상호 작용을 통하여 유기/무기 나노 복합체가 형성되고 계면활성제를 제거하여 메조포러스 기공 구조를 갖는 물질을 얻을 수 있다. 메조포러스 물질은 기공의 크기가 1.5nm이하인 미세기공성(micropore)를 갖는 제올라이트나 AIPO 계통의 물질과는 다르게 기공의 크기가 중형기공(mesopore)의 범위(2~50nm)로 확장시킴으로써 그 동안 분자체 물질의 응용에 있어서 제한이 되어왔던, 큰 크기를 갖는 분자들의 흡착 및 분리, 촉매전환 반응 등에 대한 분자체 물질의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규칙적인 기공을 가지는 메조포러스 물질은 또한 미세기공성을 가지는 제올라이트와 마찬가지로 표면적이 매우 커서(>700m2/g) 원자나 분자의 흡착 특성이 우수하지만, 제올라이트와는 달리 기공의 크기가 일정함으로써 전이금속 화합물, 아민류 산화물 등의 촉매 활성체들의 담체로 응용되고 있다.U.S. Pat.Nos. 6,027,706, 6,054,111 and 1998, Volume 279, page 548 disclose mesoporous materials prepared using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which are nonionic surfactants. Is disclosed. In the case of zeolites, one organic / inorganic molecule is generally made by inducing a pore structure, whereas a mesoporous material is formed by a micell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surfactant molecules are aggregated instead of a single molecule to form pores. do. Surfactants are composed of hydrophilic heads and hydrophobic tails, and are known to form various types of self-assembled micelles and liquid crystal structures in aqueous solutions depending o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The hydrophilic portion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micelle or liquid crystal structure and the precursor of the inorganic material may interact to form an organic / inorganic nanocomposite and remove the surfactant to obtain a material having a mesoporous pore structure. Mesoporous materials differ from zeolites or AIPO-based materials with micropores with a pore size of 1.5 nm or less, and the pore size extends into the mesopore range (2-50 nm). Application of molecular sieve materials to adsorption and separation of large sized molecules, catalytic conversion reactions, etc., which has been limited in the application of materials, has become possible. These mesoporous materials with regular pores also have a very large surface area (> 700 m 2 / g), as well as microporous zeolites, which have excellent adsorption properties for atoms or molecules, but unlike zeolites, the size of pores is constant so that It is applied as a support | carrier of catalyst activators, such as a metal compound and amine oxide.

이에 본 발명자들은 보습제인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를 립스틱 유형의 화장료로 사용할 때 나타나는 초기 수분 함유력 저하 및 낮은 수분 보유력을 극복하고 자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자체의 수분 함유력을 최대한 이용하여 제형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파우더 타입의 보습화장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통상의 알려진 건식 코팅공정과 유사한 방법으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을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혼합물을 많은 세공을 가진 다공성 실리카,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조포러스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하고 립스틱류 화장료의 제형 내 오일과의 상용성 및 수분 보유력을 확보할 수 있는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상기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흡착하여 높은 초기 수분 함유를 유지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높은 수분 함유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동시에 부여하고 제형안정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시킴으로서 립스틱류 화장료의 제형 내 오일과의 상용성을 확보하거나 수분함유력을 높임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overcome the initial water content decrease and low water retention when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which is a moisturizer, is used as a lipstick-type cosmetic, and the formulation stability can be secured by maximally utilizing the water content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itself. In order to develop a new powder type moisturizing cosmetic, the mixture stabilized by mixing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n a manner similar to a conventional dry coating process is adsorbed on porous silica having many pores, more preferably mesoporous silica and High initial moisture by adsorbing 2-octyl dodecanol to the surface of the porous silica trapped and adsorbed with the mixture, which can collect and secure compatibility with oil in the formulation of lipstick cosmetics and water retention. Maintain high content of moisturizing, high Formulation of lipstick cosmetics by simultaneously imparting moisture, high water content and high water retention and confirming formulation stability, and further comprising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t confirmed the compatibility with the oil or increase the water content to complete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을 많은 세공을 가진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having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moisturizing power and water retention by adsorbing and trapp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onto porous silica having many por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further comprising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a mixture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2차 흡착시켜 립스틱류 화장료의 제형내 오일과의 상용성을 확보하면서 높은 수분 함량, 높은 보습력,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sure high compatibility with oil in the formulation of lipstick cosmetics by adsorbing 2-octyl dodecanol on the surface of porous silica adsorbed and collected by the mixture. It is to provide a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having a water content, high moisturizing power, high water retention and high water conten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어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가지는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 보유력과 수분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보습력 및 높은 수분 보유력을 보이는 상기 복합분체의 수분 보유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복합 분체의 표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하여 높은 초기 보습감, 보습력,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hav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dsorbed and trapped in the porous silica having a moisture retention and water retention, in order to have a high water retention and water retention The mixture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may further includ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and in particular, water of the composite powder exhibiting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high moisturizing power and high water retention even in a dry environment. In order to further improve the retention capacity, 2-octyl dodecanol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composite powder to simultaneously obtain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moisturizing power, high water content, high water retention and high water content. It is about.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내부 세공 직경 2~50 nm 범위의 세공을 갖는 메조포러스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시켜 보습력 및 수분 보유력을 동시에 가지는 복합 분체에 관한 것으로,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및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갖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여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e powder hav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dsorbed and collected on porous silica, more preferably mesoporous silica having a pore diameter in the range of 2 to 50 nm of silica internal pore. In order to have high water content, high water retention, and high water content,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may further includ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는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되거나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여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것으로,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흡착'이라 하며, 다공성 실리카의 다공에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포집'이라 정의한다.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ture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s adsorbed and collected on the porous silica, or further comprises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the mixture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dsorbed and collected, the stat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porous silica is called 'adsorption', and the state contained in the pores of the porous silica is defined as 'capture'.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6024704호에 공지되어 있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로, 피부에 적용되었을 때 각질층의 수분 유지 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which is known from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6024704, and serves to improve the moisture retention ability of the stratum corneum when applied to the skin. .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1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1

[상기 식에서, R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24개의 포화, 불포화 및 직쇄, 분지쇄를 포함하는 알킬기이고; m은 0 내지 10, n은 1 내지 10의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정수이다.][Wherein R is an alkyl group containing 1 to 24 carbon atoms, saturated and unsaturated, straight and branched chain containing or without hydrogen or hydroxy groups identical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m is 0 to 10, n is 1 to 10, the same or different intege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 이외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addition to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물은 이온수, 증류수 또는 초순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최대 42%의 수분을 함유할 수 있으며, 물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2 중량%로 함유되어지며, 사용목적 및 적용하는 제형에 따라 물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The wat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y of ionized water, distilled water or ultrapure water. In addition,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may contain up to 42% water, water is contained in 0.1 to 42%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nd the water content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and the formulation to be applied. Can be.

즉, 펜타에리스리톨 우도체와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9:1 ~ 6:4의 범위 내로 혼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9:1 ~ 7:3의 범위 내로 혼합하여 사용하며, 상기 혼합 비율이 9:1 보다 적은 즉 수분 10% 미만 영역에서는 수분 보유력이 떨어지며, 혼합 비율이 6:4 보다 많은 수분을 가지는 영역에서는 제형 안정도가 떨어지며 오히려 수분 보유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또한 고점도 인하여 다공성 실리카의 세공 내에 포집 및 다공성 실리카의 표면에 고르게 흡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the mixing ratio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n a stable state is mixed in a range of 9: 1 to 6: 4 on a weight basis, and more preferably used in a range of 9: 1 to 7: 3. When the mixing ratio is less than 9: 1, that is, less than 10% of moisture, the water holding capacity is decreased, and in the region having a mixing ratio of more than 6: 4 water, the formulation stability is lowered, and rather, the water holding capacity is lowered. Due to the trapping in the pores of the porous silica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s not evenly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porous silica.

또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더 포함하는 3성분의 혼합 비율(도 1) 및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3성분의 혼합 비율(도 2)은 각 3성분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영역에서 진행되며, 각 3성분의 안정한 영역을 도시화하여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더 포함되는 경우를 도 1에 나타내었으며, 글리세린이 더 포함되는 경우를 도 2에 나타내었다. In addition,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may further includ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and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may further include 2-octyl dodecanol. The mixing ratio of the three components (Fig. 1) and the mixing ratio of the three components further comprising glycerin in the mixture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Fig. 2) proceed in a region where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are mixed in a stable state, and each of the three components The stable region of is illustrated in FIG. 1 to further include 2-octyl dodecanol, and FIG. 2 illustrates that glycerin is further included.

상기 도 1에서 A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각각의 최대 중량을 10으로 봤을 때,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은 7,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2.5, 물은 0.5의 비율로 혼합되는 지점이 바로 A점이다.Referring to point A in FIG. 1 as an example, when the maximum weight of each is 10, 2-octyl dodecanol is mixed in a ratio of 7, pentaerythritol derivatives 2.5, and water 0.5. The point is A point.

상기 도 2에서 A점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각각의 최대 중량을 10으로 봤을 때,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는 6, 글리세린은 1, 물은 3의 비율로 혼합되는 지점이 바로 A점이다.Referring to point A in FIG. 2 as an example, when the maximum weight of each is 10, pentaerythritol derivative is 6, glycerin is 1, and water is mixed at a ratio of 3, which is point A.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더 포함하는 경우 펜타에리스티톨 유도체의 최대 수분 함유량의 범위 내에서 3성분이 안정한 영역을 나타내기 때문에 물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어진다.In the case where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the water further contain 2-octyl dodecanol, since the three components are stable within the range of the maximum water content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the water is the penta. 0.1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ree components of 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상기 3 성분, 즉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혼합 비율은 중량 기준으로 3~8 : 2~6 : 0.1~4의 범위 내로 혼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수분 10% 미만 영역에서는 3~7.5 : 2.5~6 : 0.1~1.0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10% 영역에서는 4~5 : 4~5 : 1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15% 영역에서는 3~4 : 4~5 : 1~1.5의 범위 내로 혼합한다. 도 1에 나타낸 동그라미들은 실험을 통해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성분계의 안정한 영역을 확인한 비율이다.The mixing ratio of the three components, that is,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in a stable state is mixed in the range of 3-8: 2-6: 0.1-4 by weight. ,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less than 10% moisture, mix within the range of 3 to 7.5: 2.5 to 6: 0.1 to 1.0, and mix in the range of 4-5: 4-5: 1 in the range of 10% moisture, 15% of moisture. In the region, the mixture is mixed within the range of 3 to 4: 4 to 5: 1 to 1.5. Circles shown in FIG. 1 are ratios in which a stable region of a three-component system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i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s.

상기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 비율을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층분리가 없는 투명한 상태의 안정한 상태를 나타내지 않으며, 현탁액 상태로 유지되다가 2가지 방향으로 형태가 변화하게 된다. 첫 번째는 2상(phase) 상태로, 투명하나 층분리가 나타나는 것으로, 제형 내에 적용시 제형의 수분 보유력과 제형 안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나타나며, 두 번째는 1상(phase) 상태로, 고점도의 현탁액 상태로 유지되는 것으로, 고점도로 인하여 다공성 실리카 내에 포집 및 흡착 공정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When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are out of the mixing ratio, they do not exhibit a stable state in a transparent state without layer separation suitable for prepar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a suspension state. It stays and changes shape in two directions. The first one is transparent in two phases, but the separation of layers occurs. When applied in the formulation, the water retention and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are significantly lowered. The second phase is in one phase. Maintaining the suspension, high viscosity causes problems in the capture and adsorption process in the porous silica.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 펜타에리스톨 유도체는 최대 42%의 수분을 함유하지만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갖는 글리세린으로 인하여 수분 함유력이 상승하였으며, 물은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5 중량%로 함유되어진다.When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the mixture of water further contained glycerin,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contained up to 42% water, but the water content was increased due to glycerin having a high water content, and the water contained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0.1 to 4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three components of glycerin and water.

상기 3 성분 즉,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혼합 비율은 중량기준으로 5~9 : 0.1~1 : 0.1~4의 범위 내로 혼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수분 10% 영역에서는 8~9 : 0.1~1 : 1 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20% 영역에서는 7~9 : 0.1~1 : 2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30% 영역에서는 6~9 : 0.1~1 : 3의 범위 내로 혼합하며, 수분 40%영역에서는 5~9 : 0.1~1 : 4의 범위로 혼합한다. 도 2에 나와 있는 동그라미들은 실험을 통해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성분계의 안정한 영역을 확인한 비율이다.The mixing ratio of the three components, that is,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n a stable state is mixed in the range of 5 to 9: 0.1 to 1: 0.1 to 4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8 to 10% of water. ~ 9: 0.1 ~ 1: 1 mixed, in the range of water 20%, 7 ~ 9: 0.1 ~ 1: 2 in the range, 6 ~ 9: 0.1 ~ 1: 3 in the 30% moisture Mix in, and mix in the range of 5-9: 0.1-1: 4 in the 40% moisture range. Circles shown in FIG. 2 are ratios in which a stable region of a three-component system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s identified through experiments.

상기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 비율을 벗어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제조하는데 적합한 층분리가 없는 투명한 상태의 안정한 상태를 나타내지 않으며, 현탁액 상태로에서 2상(phase)상태로 투명하게 층분리가 나타나는데, 제형 내에 적용시 제형의 수분 보유력, 수분 함유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단점을 나타낸다.When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are mixed in a mixed ratio, they do not exhibit a stable state in a transparent state without layer separation suitable for produc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transparent in a two-phase state in a suspension state. Layer separation appears, which shows a drawback in that the water retention and water content of the formulations are significantly lower when applied in the formulations.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이 안정한 상태로 혼합되는 중량비로 각각의 성분을 혼합하여 자기교반을 통해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제조되며,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추가하여 혼합할 수 있으며, 혼합시간은 성분들의 무게비율에 따라 달라지나, 혼합 후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안정한 투명한 상태가 될 때까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통상 1 내지 180분정도 혼합한다.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s prepared through magnetic stirring by mixing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a weight ratio in which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re mixed in a stable state, and further adding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t can be mixed, the mixing time depends on the weight ratio of the components, but after mix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t is preferable to mix until it becomes a stable transparent state, and it is usually mixed for about 1 to 180 minutes.

또한 상기 성분들의 혼합 중 기포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 전에는 반드시 탈기 과정이 필요하나, 통상은 자연 탈기가 바람직하며, 통상 1 내지 12시간 정도 정치하여 완전 탈기를 확인한 후 상기의 혼합물을 사용한다.In addition, since air bubbles are generated during the mixing of the components, a degassing process is necessary before use, but usually, natural degassing is preferable, and in general, the mixture is used after standing for 1 to 12 hours to confirm complete degassing.

상기에서 제조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은 다공성 실리카의 물리흡착 특성을 이용하여 통상의 건식 코팅방법을 응용하여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다.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prepared above;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s absorbed and collected on the porous silica by applying a conventional dry coating method using the physical adsorption characteristics of the porous silica.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중량비로 1 : 0.5~3.5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5~2.0의 범위 내로 포함한다. 상기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면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외부 즉, 입자 표면에 존재하게 되므로 세공 내에만 포집했을 경우보다 수분 보유력이 다소 떨어지며 제형 안정도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분 보유지속력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 mixture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the adsorbed and collected composite powder comprises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with respect to porous silica;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n a weight ratio of 1: 0.5 to 3.5, more preferably 1: 0.5 to 2.0. Outside the weight ratio range, since the mixture is present outside the porous silica pores, that is, on the particle surface, the water retention is somewhat lower than the case where only the pores are collected, and the formulation stability is lowered.

상기에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수분 보유지속력을 향상시키고, 립스틱류의 메이크업 화장료에 사용되는 오일 및 왁스 성분과의 상용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상기의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대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만을 중량 기준으로 1 : 0.2~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0.3~0.8의 범위로 흡착시킬 수 있다. 상기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상기 중량비 범위를 벗어나면 수분 보유력이 떨어지거나 주위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현저히 떨어져 보습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n the above;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n order to improve water retention of the adsorbed and collected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and to give compatibility with oil and wax components used in the makeup cosmetics of lipsticks. Only 2-octyl dodecanol can be adsorbed to the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in which the mixture is adsorbed and collected in the range of 1: 0.2 to 1.0, more preferably 1: 0.3 to 0.8 based on the weight. have. When the 2-octyl dodecanol is out of the weight ratio rang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moisture retention capacity is lowered or the ability to absorb the moisture present in the surroundings is significantly lowered, thereby decreasing the moisturizing power.

본 발명에 따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흡착시킨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는 0.2 내지 50㎛의 입자크기, 1 내지 50 nm의 기공 및 500~900㎡/g의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다.Mixtures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glycerin and water; the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adsorbed and collected and adsorbing 2-octyl dodecanol has a particle size of 0.2 to 50 µm and pores of 1 to 50 nm. And a specific surface area of 500 to 900 m 2 / g.

본 발명에 따른 상기의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 및 물의 성분들이 피부 보습력 및 사용감을 개선시키고, 제형을 안정화시키므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립스틱류 오일 화장료 조성물 등에 첨가하여 제형화 할 수 있다. Since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and water adsorbed and collected on porous silica, improves skin moisturizing and feeling and stabilizes the formulation. It can be formulated by adding to a lipstick oil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본 발명에 따른 복합분체 중,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중량%로 함유되어진다. 또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의 경우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로 함유되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powder adsorbed and collected by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addition, the composite powder adsorbed and collected with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the composite powder adsorbed and collected by the mixture consisting of water is preferably contained in 0.1 to 4.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각질층의 수분 유지 능력을 향상시키고,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수분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 높은 수분 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며,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통하여 립스틱류 오일 화장료의 상용성 및 응집현상을 개선하고 사용감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분체는 립스틱류 오일 화장료 제형화가 가능하며, 예를 들면,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 등의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water retention ability of the stratum corneum, and particularly has a high water content, high water retention, high water content even in a dry environment, 2-octyl dodecanol (2-octyl dodecanol) can improve the compatibility and cohesion of the lipstick oil cosmetics and improve the feeling of use. In addition, the composite powder may be formulated with lipstick oil cosmetics, for example, may be formulated with cosmetics such as lipstick, lip gloss and lip balm.

본 발명에 사용되는 다공성 실리카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졸-겔 법을 사용하거나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다공성 실리카는 약 0.2~50㎛의 입자이며, 약 2~50nm의 기공이고, 약 500~900㎡/g의 비표면적을 갖는다.Porous silica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a conventionally known sol-gel method or using a surfactant, the porous silica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is a particle of about 0.2 ~ 50㎛, about 2 ~ 50nm It is a pore of and has a specific surface area of about 500 to 900 m 2 / g.

이하,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However, thes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re onl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sense is not limited only to these examples.

[참고예 1]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제조 (1)Reference Example 1 Preparation of Mesoporous Porous Silica (1)

폴리에틸렌옥사이드블락(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폴리에틸렌옥사이드 16.41g을 1차 증류수 615.27g에 용해시켜 계면활성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테트라 오르토 실리케이트 125g 및 NaOH 83.2g을 1차 증류수 291.79g에 용해시킨 후, 이중 100g을 상기 계면활성제 용액에 첨가하고 자력 교반장치를 이용하여 상온에서 격렬히 교반후 25.4g의 초산과 1차 증류수 50.8g이 혼합된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용액을 45℃에서 24시간동안 격렬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 및 1차 증류수로 수세한 후 100℃에서 건조시켰다. 건조된 시료 내에 들어있는 계면활성제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탄올과 염산 5% 용액으로 자력교반 2시간 후 여과 및 에탄올로 깨끗하게 세척하고 공기 중에서 550℃로 10시간 동안 소성 처리하였다.Polyethylene oxide block (polypropylene oxide) 16.41 g of polyethylene oxide was dissolved in 615.27 g of primary distilled water to prepare a surfactant solution. After dissolving 125 g of tetraortho silicate and 83.2 g of NaOH in 291.79 g of primary distilled water, 100 g of the above was added to the surfactant solution and vigorously stirred at room temperature using a magnetic stirring device, followed by 25.4 g of acetic acid and 50.8 g of primary distilled water. The mixed solution was added and the reaction solution was vigorously stirred at 45 ° C. for 24 hours. The precipitate was filtered, washed with primary distilled water and dried at 100 ° C. In order to remove the surfactant contained in the dried sample, 2 hours of magnetic stirring with ethanol and 5% hydrochloric acid solution was filtered and washed with ethanol and calcined for 10 hours at 550 ℃ in air.

[실시예 1] 펜타 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로 다공성 실리카 외부 표면 흡착된 메조 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분체의 제조 Example 1 Preparation of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was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porous silica pores and adsorbed on the outside of porous silica with 2-octyl dodecanol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을 중량기준으로 7:3로 혼합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10.5g을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물이 세공 내부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35.5g을 얻었다.A pentaerythritol derivative obtained by mixing pentaerythritol derivative with water at a weight ratio of 7: 3, and 10.5 g of a mixture of water and 10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prepared in Reference Example 1 was collected using a Henschel mixer similarly to a dry coating process. 15 g of 2-octyl dodecanol was added secondly, and surface-adsorbed with a Henschel mixer.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were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the pores, 2-octyl dodecanol. 35.5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was obtained.

[실시예 2]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로 다공성 실리카 외부 표면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제조Example 2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is trapped and adsorbed inside the porous silica pores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porous silica with 2-octyl dodecanol Preparation of Adsorbed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을 중량기준으로 5:4:1로 혼합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물 10g과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35g을 얻었다.10 g of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mixed at 5: 4: 1 by weight 10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prepared in Reference Example 1 was taken and collected using a Henschel mixer similarly to a dry coating process, and then 15 g of 2-octyl dodecanol was added secondly to surface adsorption with a Henschel mixer. 35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in which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were collected and adsorbed were obtained.

[실시예 3]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로 다공성 실리카 외부 표면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제조Example 3 Preparation of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Glycerin, and Water was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Porous Silica Pore, and Adsorbed to 2-Sictyl Dodecanol Outside Surface of Porous Silica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을 중량기준으로 6:1:3로 혼합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 10.5g과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35g을 얻 었다.10.5 g of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mixed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n a weight ratio of 6: 1: 3 and 10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prepared in Reference Example 1 were taken in a similar manner to a dry coating process. After collection using a Henschel mixer, secondly, 15 g of 2-octyl dodecanol was added and surface-adsorbed with a Henschel mixer to obtain a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The collected and adsorbed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35g was obtained.

[비교예 1] 글리세린이 포집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제조Comparative Example 1 Preparation of Mesoporous Porous Silica Collected with Glycerin

글리세린과 물을 중량기준 9:1로 혼합제조한 혼합용액 10g과 상기 참고예 1에서 제조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10g을 취하여 건식 코팅 공정과 유사하게 헨셀 혼합기를 이용하여 포집시킨 후, 2차로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15g을 첨가하여 헨셀혼합기로 표면 흡착시켜 글리세린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35g을 얻었다.10 g of a mixed solution prepared by mixing glycerin and water in a weight ratio of 9: 1 and 10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prepared in Reference Example 1 were collected using a Henschel mixer similarly to a dry coating process, and then 2- 15 g of octyl dodecanol was added and surface adsorbed with a Henschel mixer to obtain 35 g of mesoporous porous silica on which glycerin and water were collected and adsorbed.

[시험예 1] 건조환경에서의 수분 잔존량 측정 실험Test Example 1 Experiment of Measurement of Water Residue in Dry Environment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건조환경에서의 수분 잔존 함유량을 측정 및 비교하였다. For the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of Examples 1 to 3 and the porous silica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moisture residual content in a dry environment was measured and compared.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20%)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하여 실시예 1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분체; 실시예 2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2-옥틸도데카놀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분체; 및 실시예 3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 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분체;와 비교예 1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각각의 절대 수분 함유량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다공성 실리카 분체의 수분 잔존 함량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Moisture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by storing the porous silica powder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in a thermo-hygrostat (25 ℃, 20% relative humidity) while measuring the weight with time of 30% of Example 1 A composite powder in which a mixture of water-containing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is collected and adsorbed in pores and 2-octyl dodecanol is adsorbed on the outside of porous silica; A composite powder in which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containing 10% water of Example 2, 2-octyldodecanol and water is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the pores and adsorbed to the outside of the 2-octyldodecanol porous silica; And a composite powder in which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containing 30% water of Example 3, glycerin and water is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pores and adsorbed outside of 2-octyldodecanol porous silica; and 10% of Comparative Example 1 The moisture residual content of the porous silica powder was evaluated by observing the change in the absolute water content of each of the porous silica collected and adsorbed with a mixture of glycerin and water containing water and adsorbing 2-octyldodecanol adsorbed outside the porous silic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표 1]TABLE 1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2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2

상기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실시예 2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도데카놀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및 실시예 3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는 8시간이 지난 후 각각 2.71g, 2.14g 및 2.26g의 수분이 잔존하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1,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of Exampl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llected and adsorbed in the pores and the composite powder adsorbed outside the 2-octyldodecanol porous silica, Example 2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2-octyldodecanol and water is trapped and adsorbed inside the pores and adsorbed outside the 2-octyldodecanol porous silica, and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of Example 3, glycerin and water is contained in the pores The composite powder collected and adsorbed on the 2-octyldodecanol adsorbed to the outside of the porous silica was found to retain 2.71 g, 2.14 g and 2.26 g of water after 8 hours, respectively.

반면,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는 8시간이 지난 후 0.38g의 수분이 잔존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orous silica of Comparative Example 1, 0.38 g of water remained after 8 hours.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복합 분체는 건조한 환경에서도 복합 분체의 절대 수분함유량이 높게 나타나 더 높은 보습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powders of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 higher moisture retention as the absolute moisture content of the composite powder is high even in a dry environment.

[시험예 2]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Test Example 2] Moisture retention test

상기 실시예 2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건조환경에서의 수분유지력을 측정 및 비교하였다. For the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of Example 2 and the porous silica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water retention in a dry environment.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은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20%)에 보관하면서 시간에 따른 무게를 측정하여 실시예 2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 및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분체와 비교예 1의 10%의 수분을 함유하는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 각각의 수분이탈량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다공성 실리카 분체의 수분 유지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Moisture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by storing the porous silica powder prepared in Example 2 and Comparative Example 1 in a thermo-hygrostat (25 ℃, 20% relative humidity) while measuring the weight with time to 10% moisture of Example 2 Dehydration amount of porous silica collected and adsorbed by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containing porous silica powder and a mixture of glycerin and water containing 10% water of Comparative Example 1 By observing the change of, the moisture retention ability of the porous silica powder was evaluate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표 2]TABLE 2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3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3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 및 물이 포집 및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의 경우 8시간이 지난 후 1.5g의 수분이 이탈되었으나, 비교예 1의 보습 및 수분 보유력이 높다고 알려져 있는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로 포집 및 흡착된 다공성 실리카의 경우에는 3.01g의 수분이 이탈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복합 분체는 비교예 1의 분체에 비해 수분 이탈량에서 1/2 정도 높은 수분 유지력을 보였으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높은 수분 보유력으로 보습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2, in the case of the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in which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of Example 2, 2-octyl dodecanol and water were collected and adsor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1.5 hours, Although moisture was released, 3.01 g of water was released in the case of porous silica collected and adsorbed with a mixture of glycerin and water, which are known to have high moisturizing and water retention capabilities of Comparative Example 1. Therefore, the composite powder of Example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a moisture retaining power of about 1/2 higher than the powder of Comparative Example 1, and it can be seen that the moisture retaining ability is high with a high water retention even in a dry environment. .

[시험예 3] 고습 환경에서의 수분 함유력 측정 실험Test Example 3 Experiment of Measuring Water Content in High Humidity Environment

상기 실시예 1 및 3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에 대하여 고습 환경에서 수분 함유력을 측정 비교 하였다.The moisture content of the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s of Examples 1 and 3 was measured and compared in a high humidity environment.

수분유지력 측정 실험은 상기 실시예 1 및 3에서 제조한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항온항습기(25℃, 상대습도 90%)에 16시간 보관하여 무게를 측정하여 실시예 1 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및 실시예 3의 30%의 수분을 함유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과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 각각의 수분함유량 변화를 관찰하여 수분 함유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Moisture retention test was carried out by storing the porous silica powder prepared in Examples 1 and 3 in a thermo-hygrostat (25 ℃, 90% relative humidity) for 16 hours to weigh the penta containing 30% moisture of Example 1 A mixture of an 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s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the pores, 2-octyl dodecanol is adsorbed on the outside of the porous silica, and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glycerin containing 30% water of Example 3, and The water content was evaluated by observing the change in the water content of each of the composite powders in which the mixture of water was collected and adsorbed inside the pores and adsorbed to the outside of 2-octyldodecanol.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표 3]TABLE 3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4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4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과 물의 혼합물이 세공 내부에 포집 및 흡착되고 2-옥틸도데카놀이 다공성 실리카 외부에 흡착된 복합 분체의 경우 원래 가지고 있는 수분의 약 250%의 수분을 추가로 함유하였으나, 실시예 1의 복합 분체는 원래 가지고 있는 수분의 약 12%의 수분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을 볼 수 있다.As shown in the results of Table 3, in the case of the composite powder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of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ixture of glycerin and water is collected and adsorbed in the pores and adsorbed outside the 2-octyldodecanool porous silica Although additionally contains about 250% of the water originally possessed, it can be seen that the composite powder of Example 1 additionally contains about 12% of the moisture originally possess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복합 분체 즉,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경우 보다 높은 수분 함유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when the composite powder of Exampl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glycerin further contains a higher water content.

[시험예 4] [Test Example 4]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 분체를 포함하는 립스틱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비로 사용하여 통상의 립스틱 제조방법에 따라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립스틱을 각각 제조한 후 상기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립스틱의 보습력, 건조감 및 번짐을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Lipstick makeup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of Examples 1 to 3 and the porous silica powder of Comparative Example 1 using the composition ratio as shown in Table 4 below Formulation Examples 1 to 3 according to a conventional lipstick production method And after preparing the lipstick of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the moisturizing power, dryness and bleeding of the Formulatio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were compared through a consumer panel test.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20~30대 여성 10명을 대상으로 5일간 사용하게 한 후,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실제 사용효과를 하기의 평가방법으로 비교하였다.After 10 days for 10 women in their 20s to 30 days, the actual use effects of Formulatio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were compared by the following evaluation method.

1) 보습감 :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가 실제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을 입술에 도포시 나타나는 보습감을 평가하였음.1) Moisturizing feeling: through the consumer panel test to evaluate the moisturizing feeling when the formulatio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to which the porous silica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as actually applied to the lipstick cosmetics.

2) 건조감 :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가 실제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을 입술에 도포후 8시간 동안 건조감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입술 당김을 평가하였음.2) dryness: through the consumer panel test, the porous silica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may be shown by dryness for 8 hours after applying Formulations 1 to 3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applied to the lipstick cosmetics on the lips Evaluated lip pull.

3) 번짐: 소비자 패널 테스트를 통하여 실시예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다공성 실리카가 실제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된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을 입술에 도포후 8시간동안 색 번짐을 평가하였음.3) Smearing: Color bleeding was evaluated for 8 hours after applying the formulatio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to which the porous silicas of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1 were actually applied to lipstick cosmetics through a consumer panel test. .

[표 4] 립스틱 제형예Table 4 Lipstick Formulation Examples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5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5

[표 5]TABLE 5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6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6

상기 표 5로부터 본 발명의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물이 이 흡착 및 포집되고 2-옥틸 도데카놀로 표면 흡착된 메조포러스 다공성 실리카 복합 분체인 실시예 3를 포함하는 제형예 3;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도 데카놀l 및 물의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실리카인 실시예 2을 포함하는 제형예 2; 펜타 에리스리톨 유도체와 물의 혼합물이 흡착 및 포집된 실리카인 실시예 1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은 초기 도포시에는 보습감을 동등하게 느끼나, 시간이 지날수록 수분 보유력에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우수한 수분 보유력으로 화장후 시간이 지난 후에 나타나는 건조감을 덜 느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상의 립스틱 제형에 비해 제형예 1 내지 3 및 비교제형예 1의 경우 메조포러스 실리카가 적용되어 립스틱의 번짐 현상이 적은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Formulation Example 3 comprising Example 3 wherein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soporous porous silica composite powder adsorbed and collected and surface adsorbed with 2-octyl dodecanol; Formulation Example 2 comprising Example 2 wherein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ecanol and water is silica adsorbed and collected; Formulation Example 1 including Example 1, wherein the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is silica adsorbed and collected;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is equally moisturizing feeling at the time of initial application, but the difference in moisture retention over time appears from the excellent moisture retention of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eel less dry after the time after makeup It can be seen that. In addition, in the case of Formulatio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mesoporous silica was applied as compared to conventional lipstick formulations, thereby showing excellent results with less smearing of lipstick.

따라서 본 발명의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의 경우,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수분 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과 높은 수분 함유력을 가지며 특히, 건조환경에서도 우수한 보습 효과를 제공하며, 메이크업 립스틱 화장료에 적용시 장시간 도포 후에도 건조감을 느끼지 않는 보습효과와 더불어 번짐현상의 저하로 화장 지속성증대 또한 기대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composite powd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high moisture content, high moisture retention and high moisture content, and in particular, provides excellent moisturizing effect even in a dry environment, and when applied to makeup lipstick cosmetics for a long time In addition to the moisturizing effect that does not feel dry even after application, the persistence of makeup can be expected due to the reduction of bleeding phenomenon.

이하, 상기의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를 함유하는 여러 제형의 화장료의 조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하기의 제형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above test example, the composi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f various formulations contain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esented. However,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formulation examples.

[제형예 4~6] 립스틱[Formulation Example 4-6] Lipstick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7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7

[제형예 7~9] 립글로스[Formulation Example 7-9] Lip Gloss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8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8

[제형예 10~12] 립밤[Formulation Example 10-12] Lip Balm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9
Figure 112006088767512-pat00009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분체는 높은 초기 보습감, 높은 수분 함량, 높은 수분 보유력과 높은 수분 함유력을 동시에 가지며, 특히 건조환경에서 우수한 수분 보유력으로 장시간 도포 후에도 건조감을 느끼지 않는 보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분을 40%까지 함유할 수 있어 높은 초기 보습감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립스틱 제형에 적용시 다공성 실리카에 의해 번짐 현상이 현저히 저하되어 화장 지속성증대를 기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a high moisture content, a high moisture holding power and a high water content at the same time, and in particular, a moisturizing effect that does not feel dry even after long time application with excellent water holding power in a dry environment. Not only can it be expected, but it can contain up to 40% of moisture, so it can be expected to have a high initial moisturizing feeling, and when applied to the lipstick formulation, the smearing phenomenon by the porous silica is significantly lowered, which can be expected to increase makeup persistence.

Claims (22)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이 다공성 실리카에 흡착 및 포집된 복합 분체.A composite powder in which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 1 and water is adsorbed and collected on porous silica. [화학식 1][Formula 1]
Figure 112007068129715-pat00013
Figure 112007068129715-pat00013
[상기 식에서, R은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수소 또는 히드록시기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탄소수 1 내지 24개의 포화, 불포화 및 직쇄, 분지쇄를 포함하는 알킬기이고; m은 0 내지 10, n은 1 내지 10의 서로 동일하거나 다른 정수이다.][Wherein R is an alkyl group containing 1 to 24 carbon atoms, saturated and unsaturated, straight and branched chain containing or without hydrogen or hydroxy groups identical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m is 0 to 10, n is 1 to 10, the same or different integers.]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2-octyl dodecanol in the mixtur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혼합물에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Complex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glycerin in the mixtur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물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2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water is a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ing 0.1 to 42%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물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3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water is a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0.1 to 4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hree components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물은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3 성분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5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water is a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contained 0.1 to 4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three components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삭제delete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으로 3~8 : 2~6 : 0.1~4 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mixture ratio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is mixed in the range of 3 to 8: 2 to 6: 0.1 to 4 by weight.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으로 5~9 : 0.1~1.0 : 0.1~4 의 범위로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mixing ratio of the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is a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mixed in the range of 5 ~ 9: 0.1 ~ 1.0: 0.1 ~ 4 by weight. 제 1항 내지 제 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다공성 실리카에 대하여 상기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의 혼합물;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 또는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글리세린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1 : 0.5~3.5의 중량비 범위 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A mixture of said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with respect to porous silica;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2-octyl dodecanol and water; Or a mixture consisting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glycerin and water; 1: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within the weight ratio range of 0.5 to 3.5.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복합 분체는 다공성 실리카에 펜타에리스리톨 유도체 및 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건식코팅법으로 흡착 및 포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composite powder is prepared by adsorbing and collecting a mixture of pentaerythritol derivative and water on porous silica by dry coating method.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혼합물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 또는 글리세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es 2-octyl dodecanol or glycerin in the mixture. 제 1항 내지 제 3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복합 분체에 2-옥틸 도데카놀(2-octyl dodecanol)을 1 : 0.2~1.0의 중량비로 더 흡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2-octyl dodecanol (2-octyl dodecanol) to the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dsorbed in a weight ratio of 1: 0.2 ~ 1.0 further composite powder. 삭제delete 제 1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복합 분체는 0.2 내지 50㎛의 입자크기, 1 내지 50 nm의 기공 및 500 내지 900㎡/g의 비표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분체.The composite powder is a composite powd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article size of 0.2 to 50㎛, pores of 1 to 50 nm and specific surface area of 500 to 900 m 2 / g. 제 1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claim 1 in an amount of 0.1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제 2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claim 2 in an amount of 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제 3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4.0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claim 3 in an amount of 0.1 to 4.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제 17항 내지 제 19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7 to 19,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stick, lip gloss and lip balm. 제 14항에 따른 복합 분체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5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site powder according to claim 14 in an amount of 0.1 to 1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제 2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1,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립스틱, 립글로스 및 립밤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The cosmetic composi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pstick, lip gloss and lip balm.
KR1020060119434A 2006-06-30 2006-11-30 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KR10080324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961 2006-06-30
KR20060060961 2006-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78A KR20080003178A (en) 2008-01-07
KR100803243B1 true KR100803243B1 (en) 2008-02-14

Family

ID=39214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434A KR100803243B1 (en) 2006-06-30 2006-11-30 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324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3B1 (en) 2004-04-10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liquid crystal base containing the same
KR20070039668A (en) * 2005-10-10 2007-04-13 (주)아모레퍼시픽 Meso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9713B1 (en) 2004-04-10 2006-09-29 (주)아모레퍼시픽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a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liquid crystal base containing the same
KR20070039668A (en) * 2005-10-10 2007-04-13 (주)아모레퍼시픽 Meso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178A (en) 2008-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Synthesis, functionalization, and applications of morphology-controllable silica-based nanostructures: A review
Ding et al. A convenient route to synthesize SBA-15 rods with tunable pore length for lysozyme adsorption
Zheng et al. Synthesis of mesoporous titanium dioxide materials by using a mixture of organic compounds as a non-surfactant template
Llusar et al. One-pot synthesis of phenyl-and amine-functionalized silica fibers through the use of anthracenic and phenazinic organogelators
Tzanis et al. High pressure water intrusion investigation of pure silica 1D channel AFI, MTW and TON-type zeolites
US20060251687A1 (en) Agent-encapsulating micro-and nanoparticles, methods for preparation of same and products containing same
Mesa et al. Preparation of micron-sized spherical particles of mesoporous silica from a triblock copolymer surfactant, usable as a stationary phase for liquid chromatography
EP0948395A1 (en) Organically modified aerogels, method for their production by surface modification of the aqueous gel without previous solvent exchange and subsequent drying and the use thereof
Wang et al. Effect of amine functionalization of SBA-15 on controlled baicalin drug release
EP1737422A2 (en) Perspiration-absorbent cosmetic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WO2006052917A2 (en) Silica mesoporous materials
JP7047984B2 (en) Phycocyanin composition, its production method and use
CN108366918B (en) Composite powder obtained by impregnating volcanic cinders powder particles in porous polyme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Zhang et al. Template-free synthesis of silica ellipsoids
CN108275687A (en) A kind of preparation method of mesoporous hollow silica microsphere
Wang et al. Unit-cell wide SBA-15 type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CN110156038A (en) A kind of micropore-mesopore-macropore multi-stage porous SBA-15 molecular sieve and its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KR100803243B1 (en) 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Water
Goethals et al. Comparative study of ethylene-and ethenylene-bridged periodic mesoporous organosilicas
KR100814631B1 (en) 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Higher Alcohol or Polyol
DE112013005573T5 (en) Near-surface porous pore hybrid monoliths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126008B1 (en) Mesoporous silica with Pentaerythritol derivatives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KR100684575B1 (en) Synthetic methods for oleophillic nanoporous silica composites
Silva et al. Encapsulation of mangiferin in ordered mesoporous silica type SBA-15: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Millqvist-Fureby et al. Mesoporous solid carrier particles in controlled delivery and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