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963B1 -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 Google Patents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963B1
KR100802963B1 KR1020060110056A KR20060110056A KR100802963B1 KR 100802963 B1 KR100802963 B1 KR 100802963B1 KR 1020060110056 A KR1020060110056 A KR 1020060110056A KR 20060110056 A KR20060110056 A KR 20060110056A KR 100802963 B1 KR100802963 B1 KR 100802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output shaft
transmission
transmission housing
manu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0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9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2063/3076Selector shaft assembly, e.g. supporting, assembly or manufacturing of selector or shift shafts; Speci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종래 스페이서를 대신할 수 있는 스페이서 캡을 적용하여 가변적으로 변속기 베어링의 아우터 레이스를 눌러주는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각 변속단의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출력기어가 배치되는 출력축이 단부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의 베어링 안착부에 출력축을 지지되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에 있어서,
내경부에 상기 베어링 안착부를 형성하면서 변속기 하우징의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 돌출부에 축방향으로 미세 이동하면서 상기 베어링의 아웃터 레이스의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 캡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예압. 아우터 레이스, 스페이서 캡

Description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SUPPORTING UNIT OF OUTPUT SHAFT FOR MANUAL TRANSMISS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출력축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수동 변속기의 일부 발췌 단면도.
도 2는 종래 출력축이 지지된 상태를 보인 수동 변속기의 일부 발췌 단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의 수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출력축의 지지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변속기 하우징과 출력축 사이의 갭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출력축이 이상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변속기는 동력전달장치의 한 부분으로서, 클러치와 추진축 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주행조건에 따라 엔진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자동차를 후진시키기 위한 후진장치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변속기에 있어서, 수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입력축과 출력축상에 각 변속단의 입력기어와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출력기어가 배치되어 상기 싱크로 나이저 기구의 물림 상태에 따라 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수동 변속기에 적용되는 출력축을 변속기 하우징에 조립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2에서와 같이, 출력축(100)의 단부 외주연에 베어링(102)을 장착하고, 이의 베어링(102)을 변속기 하우징(104)에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106)에 삽입시켜 출력축(100)의 단부가 변속기 하우징(104)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베어링(102)의 수명과 소음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는 변속기 하우징(104)과 출력축(100) 사이의 갭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베어링(102)의 아우터 레이스(108)와 베어링 안착부(106) 사이에 스페이서(110)를 삽입함으로써, 출력축(100)이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스페이서(110)를 장착하기 위하여 실제 생산 라인에서는 베어링 안착부(106)의 깊이와 출력축(100)의 전체 길이를 측정하여 각각 두께가 다른 여러 가지의 스페이서(110)중 가장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출력축 지지유닛에 의하면, 스페이서를 잘못 선택하였을 때에는 변속기를 분해하여 재조립해야 하며, 스페이서의 선택을 위한 측정 공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함은 물론 변속기 단품에 대해 개별적인 튜닝이 불가능하고, 스펙에 따라 일괄적으로 권장하는 스페이서를 사용해야만 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스페이서를 대신할 수 있는 스페이서 캡을 적용하여 가변적으로 변속기 베어링의 아우터 레이스를 눌러주는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 변속단의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출력기어가 배치되는 출력축이 단부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의 베어링 안착부에 출력축을 지지되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에 있어서,
내경부에 상기 베어링 안착부를 형성하면서 변속기 하우징의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 돌출부에 축방향으로 미세 이동하면서 상기 베어링의 아웃터 레이스의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 캡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을 제공한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부위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으로서, 각 변속단의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출력기어가 배치되는 출력축(2)은 단부에 베어링(4)을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6)에 형성된 베어링 안착부(8)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은 상기 베어링 안착부(8)가 외부로 관통하는 관통공 형태를 취하며, 변속기 하우징(6)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원통형 돌출부(10)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돌출부(10)의 외주연에는 숫나사부(12)가 형성되어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부(13)가 형성된 스페이서 캡(14)이 체결되는데, 상기 스페이서 캡(14)의 내측부에는 상기 베어링 안착부(8)로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 베어링 지지구(16)가 형성되어 이의 베어링 지지구(16)의 내단부가 변속기 베어링(4)의 아우터 레이스(18)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 지지구(16)의 외주측에는 오일 시일(20)이 배치되어 상기 베어링 안착부(8)와 베어링 지지구(16)의 기밀을 유지시켜 줌으로써, 변속기 오일의 누출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변속기 하우징(6)에 출력축(2)을 조립할 때에는 단순히 단부의 외주연에 베어링(4)을 장착한 후 베어링 안착부(8)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돌출부(10)에 체결되는 스페이서 캡(14)을 정,역회전시켜 축방향으로의 미세 이동시킴으로써, 베어링(4)의 아웃터 레이스(18)의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페이서 캡(14)이 변속기 하우징(6)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바,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필요에 따라 스페이서 캡(14)을 이용하여 변속기 하우징(6)과 출력축(2) 사이의 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속기 생산의 마무리 단계에 있는 변속기 성능 검사 단계에서 소음 및 변속감을 조절해 가면서 베어링 예압략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스페이서 선택을 위한 여러 공정이 통폐합으로 생산성이 증대되고, 조립 후 및 출력축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스페이서 조절이 가능하여 동적 상태에서 최적화가 가능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각 변속단의 싱크로나이저 기구를 포함하는 출력기어가 배치되는 출력축(2)이 단부에 베어링(4)을 개재시켜 변속기 하우징(6)의 베어링 안착부(8)에 출력축이 지지되도록 하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에 있어서,
    내경부에 상기 베어링 안착부(8)를 형성하면서 변속기 하우징(6)의 외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원통형 돌출부(10)에 축방향으로 미세 이동하면서 상기 베어링의 아웃터 레이스(18)의 예압량을 조절할 수 있는 스페이서 캡(14)을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캡(14)은 외측벽 내경부에 암나사부(13)가 형성되어 원통형 돌출부(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숫나사부(12)에 나사 체결되며, 그 내측부에 상기 베어링 안착부(8)로 삽입될 수 있는 원통형 베어링 지지구(16)가 형성되어 이의 베어링 지지구(16)의 내단부가 변속기 베어링(4)의 아우터 레이스(18)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지지구(16)의 외주측에는 베어링 안착부(8)와의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일 시일(20)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KR1020060110056A 2006-11-08 2006-11-08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KR100802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56A KR100802963B1 (ko) 2006-11-08 2006-11-08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056A KR100802963B1 (ko) 2006-11-08 2006-11-08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963B1 true KR100802963B1 (ko) 2008-02-14

Family

ID=39343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056A KR100802963B1 (ko) 2006-11-08 2006-11-08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38B1 (ko) * 2007-06-14 2009-02-12 위아 주식회사 축방향 하중조절을 위해 테이퍼롤러베어링을 이용한수동변속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307A (ko) * 1994-11-28 1996-06-17 프랑크 엠 사죠백 높은 수용능력의 복합변속기
KR20020083791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8307A (ko) * 1994-11-28 1996-06-17 프랑크 엠 사죠백 높은 수용능력의 복합변속기
KR20020083791A (ko) * 2001-04-30 2002-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시프트 레일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738B1 (ko) * 2007-06-14 2009-02-12 위아 주식회사 축방향 하중조절을 위해 테이퍼롤러베어링을 이용한수동변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98807A1 (ja) 密封装置
US9291254B2 (en) Disengaging gear unit
JP2007132500A (ja) 自動変速機用遊星ギヤセット
FR2906587A1 (fr) Dispositif de galet tendeur.
EP2085626B1 (en) Rolling bearing and rolling bearing device
JP5985075B2 (ja) バタフライバルブ
KR100802963B1 (ko) 수동 변속기의 출력축 지지유닛
FR2880932A1 (fr) Element de transmission a palier de centrage et de reprise d'effort
CA2522434A1 (en) Method of adjusting backlash in a down hole bearing assembly
US20160017903A1 (en) Fluid throttle member
JP5607060B2 (ja) 大型舶用変速機のための軸受配置
FR2660041A1 (fr) Dispositif de deux vitesses additionnelles synchronisees sur une boite de vitesses mecanique.
JP2006064177A (ja) ころがり軸受配置構造およびこのころがり軸受配置構造を備えた圧下機械の圧下機構
CN103148118B (zh) 一种双离合器装置
JP2012026495A (ja) ドライブシャフトベアリングのハウジング装置
US20070161442A1 (en) Conical disk pair for a belt-driven conical-pulley transmission
CN115003927A (zh) 具有轴、第一轴承和螺母的支承组件
KR20140095979A (ko) 차량의 러닝 휠을 위한 구동 유닛
WO2010112055A1 (en) Gear case, gear box and method for assembling a gear box
JP4935306B2 (ja) ハブ固定構造
WO2020248398A1 (zh) 组合式精密行星齿轮减速机
JP6216654B2 (ja) 回転軸のギヤ支持構造
US10830332B2 (en) Small-size reduction gearbox
EP3530975B1 (fr) Butée d'embrayage de véhicule automobile équipée d'un dispositif d'étanchéité sans contact du côté arrière du chemin de roulement
JP2008045592A (ja) ピニオン軸支持装置及びピニオンユニット軸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