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709B1 -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709B1
KR100802709B1 KR1020060072344A KR20060072344A KR100802709B1 KR 100802709 B1 KR100802709 B1 KR 100802709B1 KR 1020060072344 A KR1020060072344 A KR 1020060072344A KR 20060072344 A KR20060072344 A KR 20060072344A KR 100802709 B1 KR100802709 B1 KR 10080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area
unit
distribution data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6070A (ko
Inventor
사야 시게타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007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709B1/ko
Publication of KR20070016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60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정보 수신 장치는 통신부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부를 거쳐서 수신된 배포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미리 결정된 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배포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기억부의 상기 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또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다른 기억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기억 영역을 확보하는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 시스템{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DATA DOWNLOA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EIVING SYSTEM}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효과는 물론, 본 발명의 특징도 다음에 설명하며, 모든 도면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단말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데이터 다운로드 중에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낸 휴대 단말과 정보 배포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
도 5는 도 1에 나타낸 기억부 및 확장가능한 메모리 내에 기억된 데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본 발명은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뉴스, 만화, 드라마 및 음악 프로그램 등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동화상 데이터로서 휴대 단말로 배포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 서비스에서는, 사용자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등록하면, 휴대 단말의 기억부 내에 배포 서비스용으로 예약된 기억 영역이 생성되고, 거기에 프로그램 데이터가 다운로드 된다. 프로그램 데이터의 배포는 원칙적으로 통신 트래픽이 적은 시간대에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잠들어 있는 늦은 밤 시간에 수행된다. 프로그램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갱신되는 시간(자동 갱신 시간)은 정보 배포 서버에 의해 각 휴대 단말에 개별적으로 지정된다. 자동 갱신 시간이 되면, 휴대 단말 내의 다운로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정보 배포 서버에 대하여 프로그램이 갱신되었는지 확인하고, 갱신되었다면 다운로드를 실행한다. 다운로드 가능한 프로그램 데이터는 매일 또는 매주 배포되는 뉴스 쇼와 같은 정보 제공형 프로그램이나, 매일 또는 매주 에피소드의 수가 증가해 가는 시리즈형 프로그램, 한 번만 배포되는 1회분형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또, 사용자의 생활 양식 패턴에 적응하여, 그 사용자가 휴대 단말을 사용할 가능성이 낮은 시간대에 휴대 단말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및 갱신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일본 미심사 특허 출원 공개 제 2004-297126호 참조).
애니메이션과 같은 동화상 데이터 등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때는, 휴대 단말에 마련된 기억부 내의 배포 서비스용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대해 다 운로드가 수행되기 때문에, 이전에 다운로드 한 동화상 데이터는 겹쳐 쓰기(overwritting)된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겹쳐 쓰기되는 것에 따라 삭제될 동화상 데이터를 예약된 기억 영역이 아닌 다른 기억 영역 또는 착탈 가능하고 확장가능한 메모리(SD 카드 등)로 이동하는 조작을 수행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동화상 데이터는 매일이나 매주와 같이 자주 배포되기 때문에, 이 사용자에 의한 동화상 데이터를 다른 기억 영역에 저장되도록 이동하는 조작은 매우 손이 많이 가게 된다. 또한, 배포 데이터의 수신은 정보 배포 서버에 의해 지정된 시간에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TV 프로그램이 녹화되는 것과 같이 일정하게 규정된 시간에 저장되지 못한다. 그 결과, 다운로드 된 동화상 데이터가 한 번도 재생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의 이동 조작을 잊어버리면, 새롭게 배포된 동화상 데이터에 의해 겹쳐 쓰기되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데 드는 통신 요금이 낭비된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통신부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부를 거쳐서 수신된 배포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배포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기억부의 상기 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또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다른 기억 영역으로 이동함으로써, 기억 영역을 확보하는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보 수신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여기서는, 휴대 단말을 예로서 사용하여 정보 수신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동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도면에서, 부호 1은 이동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 단말이다. 부호 2는 휴대 단말(1)의 처리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부호 3은 다이얼 키(dial keys) 및 펑션 키(function keys)를 포함하는 입력부이다. 부호 4는 액정 표시 장치 등으로 구성된 표시부이다. 부호 5는 이동 전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화자의 음성을 수집하는 마이크 및 통화 상대의 음성을 방출하는 스피커가 마련된 전화 기능부이다. 부호 6은 무선 통신 회선을 확립하여 전화 통신 및 정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이다. 부호 7은 미리 인스톨 되어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정보 처리 기능부이다. 부호 8은 착신음이나 다운로드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재생되는 음성을 방출하는 스피커이다.
부호 9는 다운로드 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부이다. 부호 10은 휴대 단말(1)에 대해 착탈가능한 외부 메모리 등의 확장가능한 메모리이다. 부호 11은 통신부(6)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 회선이 확립되는 기지국이다. 부호 12는 기지 국(11)이 접속된 통신망이다. 부호 13은 휴대 단말(1)에 대하여 정보 배포를 수행하는 정보 배포 서버이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여, 도 1에 나타낸 기억부(9) 또는 확장가능한 메모리(10) 내에 기억된 데이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억부(9) 또는 확장가능한 메모리(10)에 기억된 데이터는 매일 또는 매주 수가 증가하는 시리즈(series) 데이터와, 1회분 데이터와 같은 다른 데이터를 포함한다. 기억부(9)에는, 각 데이터와 관련된 정보 식별명, 분류 번호, 참조 플래그가 기억된다. 정보 식별명은 다운로드한 데이터에 주어진 "영어 회화 강좌", "요리 프로그램" 등의 식별명을 포함한다. 분류 번호는 시리즈 데이터의 에피소드의 수를 식별하는 번호이다. 분류 번호 "0"은 1회분 데이터를 나타낸다. 참조 플래그는 다운로드한 데이터 중, 이미 재생된 데이터에는 "1"을, 아직 재생되지 않은 데이터에는 "0"을 부여한 번호이다 진짜로 다운로드한 데이터는 기억부(9) 내의 별개의 기억 영역에 기억되고, 기억부(9)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 식별명과 분류 번호에 의해 특정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휴대 단말(1)과 정보 배포 서버(13)간에 있어서의 데이터 갱신 체크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휴대 단말(1)이 데이터 갱신 체크를 수행하면, 정보 배포 서버(13)는 다음에 예정된 갱신 일시의 정보를 송신하고, 휴대 단말(1)은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송신된 갱신 예정 일시에, 정보 배포 서버(13)에 대하여 데이터 갱신 체크를 수행한다(단계 S31). 체크가 끝나면, 정보 배포 서버(13)는 배포할 동화상 데 이터의 유무, 다음 갱신 예정 일시의 정보를 휴대 단말(1)에 통지한다(단계 S32). 이 때, 휴대 단말(1)은 다운로드할 배포 데이터가 있는 경우, 데이터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3). 이 데이터 이동 처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데이터 이동 처리가 완료되면, 휴대 단말(1)은 정보 배포 서버(13)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행하고(단계 S34), 데이터 다운로드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5). 이 다운로드는 트래픽량이 낮은 시간대(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잠들어 있는 늦은 밤 시간)에 수행된다.
데이터 갱신 체크 및 데이터 이동 처리를 수행하는 타이밍(제 2 타이밍)은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시간에 개시하고, 이 데이터 갱신 체크 및 데이터 이동 처리가 완료된 시점(제 1 타이밍)에,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개시한다.
또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시간이 된 시점에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개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지정된 시간보다 이전에 데이터 갱신 체크 및 데이터 이동 처리가 수행되어도 좋고,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지정된 시간이 되기까지 데이터 갱신 체크 및 데이터 이동 처리가 종료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사전에 지정된 시간(제 1 타이밍)보다 데이터 갱신 체크 및 데이터 이동 처리에 요구되는 처리 기간(규정된 기간)만큼 앞선 시간(제 2 타이밍)을 설정한다. 이 시간이 된 시점에서, 갱신 체크 및 데이터 이동 처리를 개시함으로써,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지정된 시간이 된 시점에 데이터의 다운로드를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 도 2를 참조하여, 도 4에 나타낸 데이터 이동 처리(단계 S33)의 상세한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동화상 배포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사전에 정보 배포 서버(13)에 등록한다. 또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는 경우에는, 데이터를 겹쳐 쓰기를 할 것인가, 겹쳐 쓰기를 하지 않고 데이터 폴더라 불리는 기억 영역으로 이동시킬 것인가를 설정하는 것과 아울러, 휴대 단말(1) 내에 남겨두어야 할 최대 에피소드의 수가 설정된다.
정보 배포 서버(13)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되면(단계 S1), 제어부(2)는 통신부(6)에 대하여 기지국(11)과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확립하라는 지시를 내린다. 지시를 수신하면, 통신부(6)는 기지국(11)과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한다(단계 S2). 기지국(11)과의 통신이 확립되면,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접속한다(단계 S3).
다음,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대하여 갱신 체크를 수행하고(단계 S4), 배포될 데이터(동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아닌지 판정한다(단계 S5). 제어부(2)는 배포될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배포될 데이터(동화상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데이터 이동 처리가 개시된다(단계 S6). 이 데이터 이동 처리가 실행되는 동안(단계 S7∼S21), 제어부(2)는 착신 응답을 위한 조작 이외의 휴대 단말(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을 조작하기 위한 모든 조작을 무효로 한다.
제어부(2)는 우선, 다운로드 하는 때에 겹쳐 쓰기를 수행하도록 설정되었는 지를 판정한다(단계 S7). 이 판정의 결과, 다운로드에 대하여 겹쳐 쓰기가 설정되어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2)는 기억부(9) 내의 사용된 기억 용량이 소정값(예컨대, αMB)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8).
이 판정의 결과, 사용된 기억 용량이 소정값 이하라면(즉, 기억 영역이 이용가능하다면), 제어부(2)는 예약된 기억 영역(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기억부(9)의 다른 기억 영역으로 이동한다(단계 S9).
여기서 말하는 이동이란 데이터를 다른 기억 영역으로 복사한 후에 그 본래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다. 그 다음,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부(9)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단계 S22). 사용된 기억 용량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는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확장가능한 메모리(10)로 이동하고(단계 S10), 확장가능한 메모리로 데이터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4)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확장가능한 메모리로 이동한 사실을 사용자에 통지한다(단계 S11). 그 다음,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 하여, 기억부(9)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단계 S22).
다음, 다운로드에 대하여 겹쳐 쓰기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의 최대 에피소드 수가 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2). 이 판정의 결과, 그렇게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제어부(2)는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겹쳐 쓰기될 데이터)가 재생된 적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13). 이 판정의 결과, 재생된 적이 있으 면,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부(9)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단계 S22).
이것에 의해,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는 새로운 데이터에 의해 겹쳐 쓰기된다.
한편, 현재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겹쳐 쓰기될 데이터)가 아직 재생된 적이 없다면, 제어부(2)는 기억부(9) 내의 사용된 기억 용량이 소정값(예컨대, αMB)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4). 이 판정의 결과, 사용된 기억 용량이 소정값 이하인 경우(즉, 기억 영역이 이용가능하다면), 제어부(2)는 현재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기억 영역으로 이동하고(단계 S15), 다른 기억 영역으로 데이터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4)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이동한 것을 사용자에 통지한다(단계 S16). 한편, 사용된 기억 용량이 소정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2)는 현재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확장가능한 메모리(10)로 이동하고, 확장가능한 메모리로 데이터를 이동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4)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를 이동한 것을 사용자에 통지한다(단계 S16). 그 다음,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부(9)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단계 S22).
다음, 최대 에피소드 수가 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는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다른 기억 영역의 시리즈 데이터 기억 영역으로 이동한다(단계 S18). 그 다음, 제어부(2)는 기억부(9) 내의 시리즈 데이 터 기억 영역 내에, 예약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의 최대 에피소드 수가 현재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9). 이 판정 결과, 최대 수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부(9)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단계 S22). 반면, 데이터의 최대 수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제어부(2)는 가장 오래된 데이터를 삭제하고(단계 S20), 데이터를 삭제한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부(4)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가 삭제된 사실을 사용자에 통지한다(단계 S21). 그 다음, 제어부(2)는 정보 배포 서버(13)에 의해 배포된 데이터를 다운로드하여, 기억부(9)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기억한다(단계 S22).
이와 같이, 데이터 갱신 체크가 수행되고, 다운로드할 데이터가 존재할 때, 그 동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예약된 기억 영역이 겹쳐 쓰기되지 않도록 설정되었을 경우, 직전에 다운로드한 동화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적절한 폴더로 이동된다. 동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예약된 기억 영역이 겹쳐 쓰기되도록 설정되었을지라도, 최대 에피소드 수가 1보다 큰 경우, 직전에 다운로드 한 동화상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적절한 기억 영역으로 이동된다. 사용한 기억 용량이 일정 레벨 이상이면, 또는 기억 영역이 가득 차 있으면, 확장가능한 메모리 등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억부(9) 내에 위치한 배포 서비스용의 예약된 기억 영역의 미재생 데이터가 겹쳐 쓰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기억부(9)의 메모리 용량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동화상 데이터가 저장될 예약된 기억 영역이 겹쳐 쓰기되도록 설정된 경우에, 직전의 동화상 데이터를 기억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동화상 데이터의 수가 최대 에피소드 수를 초과하도록 유발하면, 그 기억 영역 내의 가장 오래된 것을 삭제한다. 삭제하려고 하는 동화상 데이터가 한 번도 재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삭제를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다운로드 한 데이터는 확실히 보호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 후에 겹쳐 쓰기 되도록 지정하는 것은 최대 에피소드 수가 남겨질 에피소드 데이터의 수로서 설정될 수 있게 해준다. 예컨대, 시리즈 동화상 데이터가 겹쳐 쓰기 다운로드 하도록 설정되면, 최대 에피소드 수를 "3"으로 설정하는 경우, 프로그램 데이터가 배포되고, 자동적으로 에피소드 1∼3이 기억 영역에 저장된다. 에피소드 4가 데이터 기억 영역으로 이동하면, 기억 영역 내의 가장 오래된 동화상 데이터, 즉, 에피소드 1이 삭제된다. 마찬가지로, 에피소드 5가 이동하면, 에피소드 2가 삭제되는 식으로, 다운로드한 동화상 데이터보다 오래된 세 개의 동화상 데이터까지가 저장된다.
또한, 다운로드 될 동화상 데이터가 겹쳐 쓰기 되도록 설정되지 않을(즉, 예약된 기억 영역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경우, 또는 겹쳐 쓰기 다운로드 되도록 설정되고 최대 에피소드 수가 1보다 큰 경우(최대 에피소드 수가 1인 경우는, 데이터 이동을 수행하지 않고 겹쳐 쓰기 때문에,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 제목, 날짜, 동화상 데이터의 종별(정보 제공형, 시리즈형, 1회분형)에 따라, 이동될 데이터가 제각각의 기억 영역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기억 영역을 작성하여, 그 기억 영역으로 이동될 동화상 데이터를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프로그램 등록 후, 첫 번째로 동화상 데이터가 배포되면, 자동적으로 기억 영역이 작성되고, 제목이나 날짜를 작성된 기억 영역의 이름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기억 영역의 이름은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또한, 휴대 단말(1)이 확장가능한 메모리(10)를 구비하지 않고, 기억부(9) 내의 기억 영역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동화상 데이터가 적합한 기억 영역으로 이동할 수 없는 경우에 대응하기 위해, 다운로드 종료 후, 다음의 다운로드가 가능한지 아닌지를 체크하기 위해 기억 영역의 사용 가능한 용량을 항상 확인한다. 예컨대, 기억 영역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배포 가능한 동화상 데이터의 최대 용량치보다 작아지면, 사용자에게 "기억 용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다음 다운로드 때 이동을 행할 수 없어, 겹쳐 쓰기 되어 버립니다." 등의 경고 메시지와 함께 이 사실을 미리 통지할 수 있다.
또한, 재생된 적이 있는 가장 오래된 동화상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과 아울러, 겹쳐쓰기 다운로드로 설정된 재생된 적이 없는 동화상 데이터가, 재생된 적이 있는 동화상 데이터보다 우선하면 또한 삭제된다. 이것은, 후속하는 동화상 데이터가 재생된 적이 있기 때문에 이전 동화상 데이터가 재생될 가능성이 낮다는 이유에 근거한다. 그러므로, 기억 용량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데이터를 삭제할 때에, "(파일 이름)을 삭제합니까?" 등의 확인 메시지를 통지함으로써 기억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이 어떤 일정값 이상(예컨대, 배포 가능한 동화상 데이터의 최대 용량값의 1/2, 또는 2/3)인 경우, 또는 기억 영역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확장가능한 메모리(10)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를 확실히 보호할 수 있다. 확장가능한 메모리(10)로 이동된 동화상 데이터의 용량값의 임계값은 사용자가 "αMB 이상" 등의 형태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이 자동적으로 수행한 상기의 처리 동작에 관하여, "기억 영역이 작성되었습니다.", "재생되지 않은 데이터가 이동되었습니다.", "용량이 크기 때문에 SD 카드로 이동하였습니다." 등의 사용자에 대한 통지가 메시지로서 대기 화면에 표시된다. 재생되지 않은 동화상 데이터를 담고있는 기억 영역의 옆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등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통지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 단말(1)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된 처리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 도 3을 참조하여, 데이터 다운로드 및 데이터 이동 처리를 실행할 때의 표시부(4)의 화면 전환을 설명한다.
우선, 통상시의 대기 화면(도 3의 (a) 부분)에서, 소정 시간이 되면, 갱신 체크가 수행된다(도 3의 (b)부분). 갱신 체크를 수행한 결과, 배포될 데이터가 없으면, 표시 화면은 대기 화면으로 돌아간다(도 3의 (c) 부분). 반면에, 새롭게 배포될 데이터가 존재하면, 다운로드를 개시하기 위한 처리가 준비중에 있음을 나타내는 화면이 나타난다(도 3의 (c) 부분). 이 때, 예약된 기억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가 겹쳐 쓰기로 설정되었는지, 또는 데이터를 이동하도록 설정되었는지 체크되고, 각각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된다. 데이터의 이동 처리를 수행하고 있는 사이에, 착신 이외의 인터럽트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다음, 데이터 이동 처리가 완료되면, 다운로드가 처리 중이라는 것을 나타내 는 화면이 표시되는 동안 다운로드를 개시한다(도 3의 (d) 부분).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다운로드가 성공하였습니다."를 나타내는 화면을 표시하고(도 3의 (e) 부분), 타임 아웃되면, "데이터가 다운로드 되었습니다." 등의 통지를 나타내는 대기 화면으로 돌아간다(도 3의 (f) 부분).
갱신 체크 중, 또는 다운로드 중에 인터럽트가 발생하는 경우, 실행중인 처리가 중단되고, 인터럽트 처리가 완료된 후, 중단된 처리를 재개한다. 여기서 말하는 인터럽트 처리란, 음성 또는 메일 수신이나 알람에 응답하는 등의 현재의 처리보다도 우선 순위가 높은 처리이다. 또한, 중지 조작(종료 키, 클리어 키, 또는 조작을 중지시키는 다른 키를 누르는 경우 등)의 수행은 현재의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한다.
이와 같이, 갱신 데이터에 대한 체크가 수행되고, 다운로드할 새로운 데이터가 확인된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다음 갱신 예정 일시가 되면, 이전에 다운로드 한 데이터는 다른 기억 영역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새롭게 다운로드할 데이터에 대한 기억 영역이 확실히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할 때에, 예약된 기억 영역에 이미 존재하는 데이터가 겹쳐 쓰기 되어야 하는지 이동되어야 하는지, 배포 데이터 종별의 정리, 겹쳐 쓰기 저장을 지정하는 경우의 최대 저장 데이터 수 등을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조건 하에 메모리 용량이 정리될 수 있다.
또한, 다운로드가 완료된 후, 기억 용량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확인된다. 기억 영역의 사용 가능한 용량이 배포 가능한 데이터의 최대 용량값보다 작을 때, 경고 메시지가 표시되거나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가 자동적으로 삭제된다. 이것은 기억 영역의 정리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 가능하게 한다. 또한, 자동적으로 수행된 처리 동작 중, 사용자에 대한 통지를 요구하는 사항에 대하여, "기억 영역이 작성되었습니다.", "용량이 크기 때문에 SD 카드로 이동하였습니다." 등의 메시지가 대기 화면에 표시되고, 재생되지 않은 데이터를 담고있는 기억 영영의 옆에 아이콘을 표시하는 등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통지가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수행된 처리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다운로드를 실행하기 전에, 사용자가 보존하기를 원하는 데이터는 자동적으로 작성된 기억 영역이나 설정된 기억 영역으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영역이 자동적으로 작성되어, 다음의 다운로드로부터 그 기억 영역에 대해 이동이 행해지도록 자동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가 복잡한 조작 없이, 다운로드된 데이터를 정리하고 삭제할 수 있으며, 다운로드된 데이터는 기억 영역에 효율적으로 기억될 수 있다.
또한, 겹쳐 쓰기 다운로드로 설정된 데이터에 대해서도, 그 데이터가 재생된 적이 없으면 겹쳐 쓰기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아직 시청되지 않은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아, 통신 요금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겹쳐 쓰기된 데이터와 보존된 데이터를 구별함으로써, 휴대 단말의 작은 기억 용량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한 기억 영역이 일정 레벨 이상이면, 데이터는 확장가능한 메모리로 자동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더욱이, 다 음 다운로드가 개시할 때까지 데이터가 기억 서비스용의 예약된 기억 영역에 저장되기 때문에, 기억 영역 내의 공간은 낭비되는 공간을 만들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기억 영역의 사용 가능한 공간이 작으면, 자동적인 삭제나 사용자에 대한 통지에 의해 용량이 확보되기 때문에, 용량 부족으로 인해 다운로드가 수행되지 못하는 상황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겹쳐 쓰기 다운로드로 설정되어 있는 때에도, 보존될 데이터의 최대 수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전의 한 개 또는 두 개의 데이터를 재검토 할 수 있다. 또한, 관련된 데이터를 한 개의 기억 영역에 정리함으로써, 데이터를 검색할 때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아이콘과 같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사용자에 통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자동적으로 실행된 처리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정보 배포 서버(13)로부터의 배포 데이터의 형태로서, 정보 배포 서버(13)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확립한 후에, 휴대 단말(1)로부터 정보 배포 서버(13)에 대하여 다운로드 요구를 행하여 다운로드 하는 동작을 설명했다. 하지만, 데이터 배포의 형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브로드캐스트 채널이라 불리는 통신 채널의 일부를 전체 휴대 단말에서 이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한 개의 회선을 동시에 복수의 휴대 단말에서 수신하는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서비스(BCMCS)를 사용해도 좋다. 이 데이터 배포 형태를 사용함으로써 휴대 단말 각각이 개별적으로 무선 회선을 확립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뉴스나 영화와 같은 대 용량의 데이터 배포가 가능해지고, 무선 회선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 단위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광역 방송 서비스와는 다르게, 특정 지역에 관련된 정보가 배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휴대 단말은 휴대 개인 정보 단말(PDA), 휴대 단말, 카 네비게이션 장치 및 이동 통신을 사용하는 이동 전화 기능이나 이동 통신 기능을 갖는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에서의 처리부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서 판독하여 실행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다운로드 처리를 실행해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운영 체제나 주변 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시스템"은 홈페이지 제공 환경(또는 표시 환경)을 구비한 월드 와이드 웹(WWW) 시스템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휴대용 매체 및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된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더욱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거쳐 프로그램이 송신되는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를 이루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RAM)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이 프로그램을 기억 장치 등에 저장한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 매체를 거쳐, 또는 전송 매체 중의 전송파에 의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에 전송되어도 좋다.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기능 중 일부를 실현하는 것이어도 좋다. 더욱이, 상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의 조 합에 의해 실현할 수 있는 소위, 차분 파일(차분 프로그램)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및 다른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따라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한 청구의 범위에 따라서만 한정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부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부를 거쳐서 수신된 배포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미리 결정된 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하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가 상기 배포 데이터를 수신하기 이전에, 상기 기억부의 상기 규정된 기억 영역에 기억된 데이터를 삭제함으로써, 또는 상기 기억부의 다른 기억 영역으로 상기 데이터를 이동함으로써, 기억 영역을 확보하는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7)

  1. 통신부와,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배포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미리 결정된 제 1 영역에 기억시키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포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기억부의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정보 수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배포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에,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수신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타이밍이 되면, 상기 통신부가 상기 배포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취득부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타이밍 이전의 타이밍인 제 2 타이밍에서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행하는
    정보 수신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타이밍은 상기 배포 데이터의 배포 관리를 행하는 서버에 의해 지정된 시각인 정보 수신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밍은 상기 제 1 타이밍보다 소정 시간 전의 시각인 정보 수신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이밍은 상기 배포 데이터의 배포 관리를 행하는 서버에 의해 지정된 시각이며,
    상기 제 1 타이밍은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가 완료된 타이밍인
    정보 수신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취득부에 의해 취득되어야 할 배포 데이터의 유무를 확인하는 데이터 유무 확인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데이터 유무 확인 처리에 의해 취득되어야 할 배포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판단된 경우에,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실행하는 정보 수신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수행할 때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처리 중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종료를 기다려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수행하는 정보 수신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수행할 때에,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억제하는 정보 수신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는 상기 배포 데이터 항목의 수에 상한값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포 데이터의 항목의 수가 상기 상한치에 도달해 있을 때에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포 데이터 중에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배포 데이터를 삭제하는 정보 수신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의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포 데이터가 덮어쓰기(overwritting)가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정보 수신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의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포 데이터가 미재생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상기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정보 수신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의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배신 데이터가 덮어쓰기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배포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에 의해 상기 기억 영역을 확보하는 정보 수신 장치.
  14. 통신부를 갖는 정보 수신 장치에서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으로서,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배포 데이터를 취득하여, 기억부의 미리 결정된 제 1 영역에 기억시키고,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포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기억부의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15. 정보 수신 시스템으로서,
    배포 데이터를 배포하는 데이터 배포 서버와,
    상기 데이터 배포 서버로부터 배포되는 상기 배포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갖는 수신 장치와,
    데이터를 기억 가능한 기억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되는 배포 데이터를 취득하여, 상기 배포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의 미리 결정된 제 1 영역에 기억시키는 데이터 취득부와,
    상기 통신부에 의해 수신된 상기 배포 데이터의 기억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기억부의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기억부 다른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기억 영역 확보 처리를 행하는 제어부
    를 구비하는 정보 수신 시스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다른 영역으로서 외부 메모리를 갖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억부의 상기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외부 메모리로 이동시키는
    정보 수신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상기 기억 영역 확보 처리에 의해, 상기 기억부의 제 1 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이동된 것을 통지하는 통지 수단을 더 갖는 정보 수신 장치.
KR1020060072344A 2005-08-02 2006-07-31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KR10080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2344A KR100802709B1 (ko) 2005-08-02 2006-07-31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23923 2005-08-02
KR1020060072344A KR100802709B1 (ko) 2005-08-02 2006-07-31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070A KR20070016070A (ko) 2007-02-07
KR100802709B1 true KR100802709B1 (ko) 2008-02-12

Family

ID=41339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2344A KR100802709B1 (ko) 2005-08-02 2006-07-31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70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209A (ko) * 1997-02-27 1998-10-26 배순훈 에프엠부가방송 수신장치의 메모리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209A (ko) * 1997-02-27 1998-10-26 배순훈 에프엠부가방송 수신장치의 메모리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6070A (ko) 200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13162B2 (en) Information receiving apparatus, data downloading method, and information receiving system
US20050129010A1 (en) Communications terminal
US10574826B2 (en) Visual voicemail method for managing deleted messages
EP1760984B1 (en) Electronic device, data processing system, data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EP2919440A1 (en) Advertisemen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N100558200C (zh) 显示主叫信息的移动终端和系统及其方法
EP1608136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pplication control method for downloading a program
EP1724690A1 (en) Data communication method, data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CN101594599B (zh) 一种图像彩铃实现方法、通信系统和交换设备
US8788648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2006178979A (ja) 動的リモート記憶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802709B1 (ko) 정보 수신 장치, 데이터 다운로드 방법 및 정보 수신시스템
JP4680836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及び移動端末
JP2004178353A (ja) 情報端末,コンテンツ取得プログラム
JP3656960B2 (ja) ハイパーテキスト表示装置およびハイパーテキスト表示プログラム
JP4007936B2 (ja) 制御サーバ装置
JP2007124324A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
JP4476589B2 (ja) 移動通信端末
KR10146736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시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905911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의 정보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699106B1 (ko) 유/무선 인터넷망을 이용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 복구가 가능한 무선 단말기와 데이터 복구 시스템 및 방법
JP2006260214A (ja) コンテンツ配信方法
JP200921160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のファイルデータ保護方法
JP2007219648A (ja) バックアップサーバ
KR101013819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수신 메시지 관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