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465B1 - 회전 압축기 - Google Patents

회전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465B1
KR100802465B1 KR1020050062454A KR20050062454A KR100802465B1 KR 100802465 B1 KR100802465 B1 KR 100802465B1 KR 1020050062454 A KR1020050062454 A KR 1020050062454A KR 20050062454 A KR20050062454 A KR 20050062454A KR 100802465 B1 KR100802465 B1 KR 100802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regulating
regulating valve
passage
cylind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679A (ko
Inventor
배희권
김재호
박성연
황웅
김종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2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465B1/ko
Priority to CNB2005101146317A priority patent/CN100540905C/zh
Publication of KR20070007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24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using valves controlling pressure or flow rate, e.g. discharge valves or unloa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21Systems for the equilibration of forces acting on the pump
    • F04C29/0035Equalization of pressure pul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10/00Fluid
    • F04C2210/26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40/00Components
    • F04C2240/40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5/00Rotary kinetic fluid motors 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압력조절 밸브가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고, 토출 기체가 압력 맥동 없이 토출실에서 흡입구로 신속하게 복귀할 수 있게 한 회전 압축기를 제공한다. 압력조절 밸브는 상부 플랜지의 제 1 압력조절 유로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는 머리부와, 머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여 실린더의 제 2 압력조절 유로에 배치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볼과 탄성부재, 그리고 피스톤을 구비한다. 제 2 압력조절 유로는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머리부는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내부유로를 구비하고, 몸체부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내부유로를 구비한다. 따라서 토출실의 기체를 압력조절 밸브에서 반경방향으로 안내하여 압력조절 밸브와 제 2 압력조절 유로 사이의 공간을 통해 흡입구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회전 압축기{Rotary Compress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가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가 열린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31: 실린더 33: 상부 플랜지
38: 흡입구 39: 토출구
50: 압력조절 밸브 51: 머리부
52: 몸체부 53: 볼
54: 탄성부재 55: 피스톤
56,57: 내부유로 60: 숫나사산
61: 암나사산 62,63: 압력조절 유로
본 발명은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체의 토출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더라도 중단되지 않고 작동할 수 있게 한 회전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회전 압축기는 밀폐된 하우징의 내부에서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이 회전축의 하단부에 형성된 편심축이 편심 회전하면서 롤러가 실린더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됨으로써 실린더 내부로 흡입된 기체를 압축시키게 된다.
이러한 회전 압축기는 정상 상태에서 대략 20kg/cm²정도의 토출압력을 유지하게 되지만 외기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압축기의 온도도 함께 상승하게 되면서 토출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게 되므로 압축기에 설치된 과부하 방지장치가 작동하게 되어 압축기의 작동을 멈추게 된다.
이렇게 회전 압축기가 과부하에 의해 작동을 멈추게 되면 이 회전 압축기를 이용하여 주위공간을 냉각시키는 공기조화기와 냉장고 등이 과열된 압축기의 온도와 토출압력이 정상 상태 이내로 돌아올 때까지 작동을 할 수 없게 되며, 이에 따라 주위공간을 냉방시킬 수 없게 된다.
회전 압축기에 압력조절 밸브를 설치하면 토출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하여 회전 압축기가 중단되지 않게 할 수 있는데, 이렇게 회전 압축기에 압력조절 밸브가 설치된 일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227789호가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압력조절 밸브는 볼과 피스톤, 그리고 코일 스프링과 스 프링 리테이너를 구비하여 회전 압축기의 토출실과 흡입구 사이에 설치되어서, 토출실과 흡입구 사이의 압력차가 압력조절 밸브의 설정압력 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토출압력에 의해 볼과 피스톤, 그리고 코일 스프링이 스프링 리테이너 쪽으로 밀려서 토출실의 토출 기체가 흡입구로 복귀하게 되어 토출압력을 떨어뜨리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압력조절 밸브를 구비한 종래의 회전 압축기는 압력조절 밸브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토출실과 연통된 상부 플랜지의 설치홀에 곧바로 조립되는 것이 아니라 먼저 볼과 피스톤과 코일 스프링이 상부 플랜지에 마련된 설치홀에 끼워진 후에 스프링 리테이너가 설치홀의 하부에서 상부 플랜지에 결합되어 조립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설치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고 정확하게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압력조절 밸브를 구비한 종래의 회전 압축기는 토출 기체가 압력조절 밸브의 피스톤에서 수직으로 협소하게 형성된 유로를 따라 수직으로 유동하여 흡입구로 보내지게 되는 경로를 갖기 때문에 토출압력이 신속하게 떨어지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피스톤의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할 때 압력 맥동에 따른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조절 밸브가 토출실과 흡입구 사이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한 회전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출 기체가 압력 맥동 없이 토출실에서 흡입구로 신 속하게 복귀할 수 있게 한 회전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린더와, 각각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 위에 형성된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흡입구를 연통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실린더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에 배치되는 압력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는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는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머리부는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내부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그 상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내부유로를 구비하여서, 상기 토출실의 기체를 상기 압력조절 밸브에서 반경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압력조절 밸브와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흡입구로 유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볼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볼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더 구비하여서, 정상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볼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유로를 폐쇄되게 한다.
상기 몸체부는 상기 머리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단에 걸려져서 배치되게 한다.
다른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은, 실린더와, 각각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 위에 형성된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흡입구를 연통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실린더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에 배치되는 압력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내부유로와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부유로와 연통된 제 2 내부유로를 구비하여서, 기체가 상기 압력조절 밸브에서 수평방향으로 빠져 나와서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와 상기 압력조절 밸브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제 1 내부유로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유로가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는 상기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압축기의 내부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II-II를 따라 취해진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 압축기는 밀폐된 케이싱(10)과 이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구동유닛(20)과 압축유닛(30)으로 구성되어 케이싱(10)의 내부에서 구동유닛(20)의 회전력에 의해 압축유닛(30)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기체를 압축시키게 된다.
구동유닛(20)은 케이싱(10)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원통형의 고정자(21)와, 고정자(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자(22)와, 회전자(22)에 압입되고 압축유닛(30)으로 연장하여 회전자(22)와 함께 회전하게 되는 회전축(23)을 포함한다.
압축유닛(30)은 기체를 압축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실린더(31)와, 각각 실린더(31)의 상단과 하단에 배치되어 회전축(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실린더(31)의 내부에 압축실(32)이 형성되게 하는 상부 플랜지(33) 및 하부 플랜지(34)와, 회전축(23)에 편심 설치되어 실린더(31)의 내부에 배치되는 편심축(35)과, 편심축(35)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36)와, 롤러(36)의 회전동작에 의해 진퇴 가능하게 설치되어 압축실(32)을 압축공간과 흡입공간으로 구획시키는 베인(37)을 포함한다.
실린더(31)의 측면에는 실린더(31)의 내부로 기체 또는 냉매가스를 유입시키기 위한 흡입구(38)가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31)의 상부를 덮는 상부 플랜지(33)에는 실린더(31)의 내부에서 압축된 기체를 배출시키기 위한 토출구(39)가 형성되 어 있다. 상부 플랜지(33)의 상부에는 고압으로 압축되어 토출구(39)를 빠져나간 기체를 수집하여 케이싱(10)의 상부 쪽으로 유동하게 하기 위한 토출 플레이트(40)가 설치되어 상부 플랜지(33)와의 사이에 토출실(41)이 형성되게 한다.
케이싱(10)의 하부에는 구동유닛(20)의 회전축(23)과 압축유닛(30)을 냉각 및 윤활시키기 위한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 수용부(42)가 마련되어 있으며, 회전축(23)에는 오일 수용부(42)에 저장된 오일을 끌어올려서 회전축(23)과 압축유닛(30)의 구동부분에 오일이 공급되도록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일유로(43)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0)의 외측에는 기체로부터 액체를 분리하여 기체만 실린더(31)로 유입되게 하는 어큐뮬레이터(44)가 설치되어 케이싱(10)에 끼워지는 출구관(45)에 의해 실린더(31)와 연통되게 된다.
케이싱(10)의 상단에는 구동장치(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연결단자(46)와, 압축기가 과전류 또는 과부하 상태로 운전되지 않게 하기 위한 과부하 방지장치(47)가 설치되어 있다.
과부하 방지장치(47)가 작동하게 되면 압축기의 동작이 중단되게 되므로 과부하 방지장치(47)가 작동하기 전에 기체의 토출압력을 설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하여 미리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조절하는 압력조절 밸브(50)가 상부 플랜지(33)와 실린더(31)에 걸쳐서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 방지장치(47)는 기동 시의 과전류나 토출압력의 상승에 의해 과열이 발생하여 압축기의 내부가 설정치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압축기가 고장나지 않게 보호하는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부하 방지장치(47)는 압력조절 밸브(50)의 동작에 이상이 생기거나 압력조절 밸브(50)가 작동함에도 불구하고 압축기에 과부하가 걸려서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압축기는 구동유닛(20)을 작동시키게 되면 고정자(21)와 회전자(22)의 전자기 작용에 의해 회전자(22)가 회전하게 되어 회전자(22)에 압입되어 설치된 회전축(23)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23)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23)과 일체로 형성된 편심축(35)이 편심 회전하게 되면서 편심축(35)의 외주면에 배치된 롤러(36)가 실린더(31)의 내주면을 따라 공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흡입구(38)를 통해 기체가 실린더(31)의 내부로 유입되어 압축된 후 토출구(39)를 통해 토출실(41)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압축과정에서 실외의 온도가 너무 높게 되어 토출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상승하게 되면 압력조절 밸브(50)가 작동하게 되어 토출실(41)로 보내진 기체가 다시 흡입구(38)로 우회하도록 하여 토출압력을 떨어뜨리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압력조절 밸브(50)의 구성과 배치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의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가 닫힌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압력조절밸브가 열린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기체가 수집되는 토출실(41)과 실린더(31)로 기체가 흡입되게 하는 흡입구(38)를 연통시키기 위해 상부 플랜지(33) 와 실린더(31)에는 각각 제 1 압력조절 유로(62)와 제 2 압력조절 유로(63)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압력조절 유로(63)는 제 1 압력조절 유로(62)에 비해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제 1 압력조절 유로(62)의 하부에는 암나사산(61)이 형성되어 압력조절 밸브(50)가 나사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압력조절 밸브(50)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게 형성된 머리부(51)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머리부(51)에서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된 몸체부(52)를 구비하여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머리부(51)의 외주면에는 제 1 압력조절 유로(62)의 암나사산(61)에 대응하는 숫나사산(60)이 형성되어 압력조절 밸브(50)가 상부 플랜지(33)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몸체부(52)는 그 직경이 제 2 압력조절 유로(63)의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되어서 몸체부(52)와 제 2 압력조절 유로(63) 사이에 기체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압력조절 밸브(50)의 머리부(51)를 상부 플랜지(33)의 제 1 압력조절 유로(62)의 하부에 끼워서 회전시키면 머리부(51)의 숫나사산(60)이 제 1 압력조절 유로(62)의 암나사산(61)에 나사 결합되면서 압력조절 밸브(50)가 상부 플랜지(33)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 때 머리부(51)는 몸체부(5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머리부(51)를 제 1 압력조절 유로(62)에 나사 결합하는 과정에서 단턱을 형성하게 되는 몸체부(52)의 상단이 제 1 압력조절 유로(62)의 하단에서 상부 플랜지(33)에 걸려지게 되어 결합작업이 견고하게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압력조절 밸브(50)가 설치된 상부 플랜지(33)를 실린더(31)의 상부에 배치시킨 후 볼트 결합(도 1 참조)시키게 되면 압력조절 밸브(50)의 몸체부(52)가 실린더(31)의 제 2 압력조절 유로(63)에 배치되어 토출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압력조절 밸브(50)를 통해 제 1 압력조절 유로(62)와 제 2 압력조절 유로(63)를 연통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압력조절 밸브(50)의 머리부(51)에는 축방향(도 3에서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 제 1 내부유로(56)가 마련되어 있고, 압력조절 밸브(50)의 몸체부(52)의 상부에는 제 1 내부유로(56)와 연통되고 반경방향(도 3에서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 2 내부유로(57)가 형성되어 있다.
압력조절 밸브(50)는 또한 몸체부(52)의 내부에서 제 1 내부유로(56)와 밀착될 수 있게 제 2 내부유로(57) 쪽에 놓여지는 구형의 볼(53)과, 하단이 몸체부(52)의 하단에 고정되고 상단이 몸체부(52)의 상부 쪽에 놓여지는 탄성부재(54)와, 볼(53)과 탄성부재(54)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55)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피스톤(55)의 상부에는 볼(53)이 안치되어 볼(53)이 제 1 내부유로(56)에 밀착될 수 있게 되고, 피스톤(55)의 측면은 제 2 내부유로(57)를 막을 수 있게 배치되어서, 탄성부재(54)의 탄성력과 토출실(41)의 기체 압력에 의해 피스톤(55)과 볼(53)이 상하 이동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내부유로(56)(57)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게 된다.
탄성부재(54)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압축기의 최대 토출압력에 대응하게 설정하게 되면 기체가 최대 토출압력보다 더 큰 값으로 압축되게 되는 경우에 압력조절 밸브(50)가 작동하여 토출실(41)에 있는 토출 기체를 다시 흡입구(38)로 우회시켜서 토출압력을 낮아지게 한다.
즉, 도 3에서와 같이 토출실(41)의 토출압력이 최대 토출압력보다 작게 유지되는 정상상태에서는 탄성부재(54)의 탄성력에 의해 볼(53)과 피스톤(55)이 각각 제 1 내부유로(56)와 제 2 내부유로(57)를 폐쇄하여 제 1 압력조절 유로(62)와 제 2 압력조절 유로(63)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실외의 온도가 너무 높거나 다른 원인에 기인하여 토출압력이 압축기의 최대 토출압력보다 더 크게 상승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실(41)에 수집된 기체의 토출압력에 의해 볼(53)과 피스톤(55)과 탄성부재(54)가 하향으로 밀리면서 볼(53)과 피스톤(55)이 각각 제 1 내부유로(56)와 제 2 내부유로(57)를 개방하여 제 1 압력조절 유로(62)와 제 2 압력조절 유로(63)를 연통시키게 된다.
따라서 토출실(41)에 수집된 기체가 차례로 제 1 압력조절 유로(62)와 제 1 및 제 2 내부유로(56)(57), 그리고 제 2 압력조절 유로(63)를 거쳐서 다시 흡입구(38)로 우회하게 되어 토출압력이 신속하게 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압축기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해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압력조절 밸브(50)로 유입된 기체는 반경방향으로 형성된 압력조절 밸브(50)의 제 2 내부유로(57)를 통해 제 2 압력조절 유로(63)로 보내져서 유동하게 되는 경로를 따르게 됨으로써 종래에서와 같이 좁은 압력조절 밸브만을 통해 흡 입구로 유동하게 되는 경로에 비해 기체가 더 신속하고 압력 맥동을 유발시키지 않은 상태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압력조절 밸브(50)가 작동하게 되는 최대 토출압력은 과부하 방지장치(47)가 동작하게 되는 토출압력보다 낮게 설정되도록 하여서 과부하 방지장치(47)가 동작하기 전에 압력조절 밸브(50)가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압축기는 압력조절 밸브가 하나의 조립체로 구성되어 상부 플랜지의 제 1 압력조절 유로에 간편하고 신속하게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가져서 설치시간이 단축되고 오조립을 방지하여 압력조절 밸브의 작동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압축기는 압력조절 밸브의 직경이 실린더에 형성된 제 2 압력조절 유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토출 기체가 압력조절 밸브를 통해 수평방향으로 빠져나가서 제 2 압력조절 유로를 통해 수직으로 유동하게 되는 구조를 가져서 토출 기체가 압력 맥동을 발생시키지 않고 신속하게 흡입구로 복귀하게 됨으로써 진동과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고 토출압력을 신속하게 강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실린더와, 각각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 위에 형성된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흡입구를 연통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실린더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에 설치되는 압력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숫나사산이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하여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는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머리부는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 1 내부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는 그 상부에서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제 2 내부유로를 구비하여서, 상기 토출실의 기체를 상기 압력조절 밸브에서 반경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압력조절 밸브와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흡입구로 유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볼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볼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더 구비하여서, 정상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볼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유로를 폐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머리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상기 상부 플랜지의 하단에 걸려져서 배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5. 실린더와, 각각 상기 실린더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부 및 하부 플랜지와, 상기 상부 플랜지 위에 형성된 토출실과 상기 실린더에 형성된 흡입구를 연통하도록 각각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실린더에 마련된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와, 상기 제 1 및 제 2 압력조절 유로에 배치되는 압력조절 밸브를 포함하는 회전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제 1 내부유로와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내부유로와 연통된 제 2 내부유로를 구비하여서, 기체가 상기 압력조절 밸브에서 수평방향으로 빠져 나와서 상기 제 2 압력조절 유로와 상기 압력조절 밸브 사이에서 수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제 1 내부유로가 형성된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로부터 연장하여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내부유로가 형성된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머리부에는 숫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는 상기 숫나사산에 대응하는 암나사산이 형성되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제 1 압력조절 유로에 나사 결합되어 고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 밸브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상부에 배치되는 볼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서 하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탄성부재와 볼 사이에 배치되는 피스톤을 더 구비하여서, 정상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피스톤과 상기 볼이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 내부유로를 폐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압축기.
KR1020050062454A 2005-07-11 2005-07-11 회전 압축기 KR100802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454A KR100802465B1 (ko) 2005-07-11 2005-07-11 회전 압축기
CNB2005101146317A CN100540905C (zh) 2005-07-11 2005-10-24 旋转式压缩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454A KR100802465B1 (ko) 2005-07-11 2005-07-11 회전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679A KR20070007679A (ko) 2007-01-16
KR100802465B1 true KR100802465B1 (ko) 2008-02-13

Family

ID=37609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454A KR100802465B1 (ko) 2005-07-11 2005-07-11 회전 압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02465B1 (ko)
CN (1) CN10054090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8835A1 (zh) * 2012-07-10 2014-01-16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压力控制阀和涡旋压缩机
CN202926632U (zh) 2012-07-10 2013-05-08 艾默生环境优化技术(苏州)有限公司 压力控制阀和涡旋压缩机
CN104728116B (zh) * 2013-12-24 2017-08-01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旋转式压缩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8980047A (zh) * 2018-08-27 2018-12-11 珠海凌达压缩机有限公司 气缸及压缩机
CN112228343B (zh) * 2020-10-14 2021-11-16 广东美芝制冷设备有限公司 压缩机和制冷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789A (ja) * 2001-02-01 2002-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圧縮機
KR20040062791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내부압력조절밸브
JP2004360491A (ja) * 2003-06-02 2004-12-24 Calsonic Compressor Seizo Kk リリーフバルブ及び気体圧縮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789A (ja) * 2001-02-01 2002-08-14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転圧縮機
KR20040062791A (ko) * 2003-01-03 2004-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의 내부압력조절밸브
JP2004360491A (ja) * 2003-06-02 2004-12-24 Calsonic Compressor Seizo Kk リリーフバルブ及び気体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40905C (zh) 2009-09-16
CN1896524A (zh) 2007-01-17
KR20070007679A (ko)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8720B1 (ko) 동방향-회전 압축기
KR101900034B1 (ko) 용량 조절 스크롤 압축기
US7771178B2 (en) Vapor injection system for a scroll compressor
JP4031540B2 (ja) 液体注入機構を備えたスクロール式圧縮機
KR101473348B1 (ko) 셧다운 밸브를 가진 압축기
KR100917873B1 (ko) 증기 분사를 사용한 스크롤 장치
US9651044B2 (en) Electric compressor
US6615598B1 (en) Scroll machine with liquid injection
KR101361346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0802465B1 (ko) 회전 압축기
KR101738458B1 (ko) 고압식 압축기 및 이를 구비한 냉동사이클 장치
KR20190025250A (ko) 스크롤 압축기
US20150192126A1 (en) Electric compressor
WO2017150602A1 (ja) 圧縮機
US7281913B2 (en) Compressor including integrally formed separation tube and seal bolt
US20200003199A1 (en) Compressor
EP2236828B1 (en) Scroll compressor
US20090116977A1 (en) Compressor With Muffler
KR100807283B1 (ko) 냉매압축장치 및 이를 가지는 공기조화기
JP2018159285A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WO2018043329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1412591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WO2017163829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20080019954A (ko) 로터리압축기
JP2018112130A (ja) 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