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748B1 -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 Google Patents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748B1
KR100801748B1 KR1020060117272A KR20060117272A KR100801748B1 KR 100801748 B1 KR100801748 B1 KR 100801748B1 KR 1020060117272 A KR1020060117272 A KR 1020060117272A KR 20060117272 A KR20060117272 A KR 20060117272A KR 100801748 B1 KR100801748 B1 KR 100801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monia
bio
ammonia gas
presen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욱진
니솔라 그레이스
오라타 제니카
안티오퀴아 지노
레딜리아스 마크
조을생
유남종
박신정
안주현
박준석
지찬규
김예경
심은용
갈레라 멜빈
엥후둘투구
아노나스 알렉스
화나 단비르
Original Assignee
정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욱진 filed Critical 정욱진
Priority to KR102006011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7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54Nitrogen compounds
    • B01D53/58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 박테리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물리-생물학적 공정이 동시에 작용하는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Flavobacterium sp.)균주에 관한 것으로써 산업폐수, 축산폐수 및 침출수를 정화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바이오-세정기, 플라보박테리움 속, 암모니아 산화, 아질산염, 질산염, 폐수처리, 폐가스

Description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 박테리아 D-2 균주{Nobel bio-scubber reactor system and ammonia oxidizing bacterium D-2 strain isolated therefrom}
도 1은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운전 중 활성 슬러지를 농축하는 동안 혼합액부유고형물과 화학적산소요구량의 농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운전 중 온도와 pH에 따른 영향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b는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수리학적 체류시간에 따른 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농도 변화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암모니아 가스 제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는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운전 중 질산화작용으로 제거된 암모니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운전 중 질산화작용으로 아질산염의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에서 분리한 혼합미생물(mixed-culture)을 오 일 이멀졀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그람 염색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를 주사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으로 관찰한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이다.
도 10은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계통학적 분류 계통수이다.
도 11은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탄소 소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배양기간 중 암모니아 및 아질산염의 농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pH 및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가스 배출구
201: 가스 방출
202: 가스 샘플 포트
300: 버블컬럼
301: 스크루빙 용액과 암모이나 가스
302: 산기관
400: 충진 배드
401: 폴리우레탄폼
402: 충진 컬럼
500: 방출구
501: 방출 포트(물)
502: 담체가 충진된 유출구(질소화된 폐수)
600: 레벨 조절기(유리관), 601: 버블 컬럼 레벨 조절기
602: 질소화된 폐수
603: 폐수통
604: 공기 송배 계량기
605: 가스 주입(구)
700: 스크루빙 용액 용기(바이오메디움)
701: 물 주입구(샘플 포트)
702: 스크루빙 용액 주입구, 703: 주입된 스크루빙 용액
본 발명은 물리-생물학적 공정이 동시에 작용하는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플라보박테리움 속 D-2에 관한 것이다.
가스 유출물의 생물학적 처리 방법은 비용 효율적인 측면 및 실용성으로 인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운전상의 문제점 및 제한된 제거 용량으로 인하여 현 시스템 디자인을 개선하여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생물반응기 시스템의 구성은 제거 용량이 개선된 것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구역화 기술을 특징으로 하고 있는데, 여기서 생물학적 시스템의 안정성이 유지되면서 물리-생물학적 공정이 동시에 수행된다. 본 발명의 개선된 바이오-세정기(bio-scrubber)는 주로 고 용해성 폐가스 화합물을 포함하는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의 제거에 유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암모니아, 황화수소 및 폐가스 화합물 등을 동시에 제거하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세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오-세정기에서 분리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신규한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암모니아 가스를 바이오-세정기에 주입하고 스크루빙 용액 즉, 활성 슬러지를 농축하여 바이오-세정기에 주입하고 버블컬럼에 의해 암모니아 가스를 용해시키고 제거되지 않은 암모니아 가스를 스크루빙 용액과 함께 폴리우레탄폼으로 유입시켜 박테리아와 함께 배양하여 암모니아를 제거하고 유출된 용액을 수집한 다음 농축와 여과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박테리아를 수득하여 동정하고 암모니아 산화 소비량를 측정함으로써 달성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질산화 활성 슬러지에 의해 암모니아 산화 공정으로써 암모니아 가스 흡수와 질산화 반응이 동시에 작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바이오-세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바이오-세정기에서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 플라보박테리움 속의 새로운 균주(Flavobacterium sp. D-2, 기탁번호 KACC 91286P)를 제공한다.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된 암모니아 가스가 가스주입구(605)로 주입되면 저장용기(700) 내의 스크루빙 용액(P-배지, 활성슬러지)이 상기 바이오-세정기의 용액주입구(702)를 통해 주입시켜 산기관(302)으로 에어레이션 반응시켜 암모니아 가스를 상기 스크루빙 용액으로 용해시켜 정화된 가스를 가스배출구(200)를 통해 방출시키고, 버블컬럼(301)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암모니아는 스크루빙 용액과 함께 폴리우레탄폼(401) 내의 충진 배드(400)에서 미생물에 의해 정화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는 물리-생물학적 공정이 동시에 수행되며 고 용해성 폐가스 화합물에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을 제거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 암모니아 산화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는 2006년 11월 16일자로 농촌진흥청 산하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에 기탁번호 KACC 91286P로 기탁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스크루빙용액은 활성화 배지인 P-배지를 조성하여 사용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활성 슬러지 농축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하여, 경기도 용인시의 용인 쓰레기 폐수 처리장의 호기성 활성 슬러지 시스템에서 활성화 슬러지를 수집하였다. 최초 혼합액부유고형물의(MLSS : Mixed Liquor Suspended Solid) 농도가 6,250 mg/L인 슬러지를 충분히 균질산화시킨 후, 농축 P-배지에 가하였다(표 1 참조).
[표 1] P-배지의 조성
농축 배지 P-배지
활성 질산화 조성 g / L
슬러지 환경 KH2PO4 0.7
기간: 1달 NaHPO4 13.5
배양량: 2 L (NH4)2SO4 2.5
MLSS:배지 (1:1) NaHCO3 0.5
MgSO4·7H2O 0.1
CaCl2·2H2O 0.005
Fe-EDTA 0.001
pH 8.0 ~ 8.2
본 발명에서 슬러지와 배지는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4 L로 만들었다. 혼합물의 용존산소(DO) 수준을 2 mg/L 이상으로 유지하고, 산기관(302)으로 에어레이션 반응을 수행하였다. 상기 산기관 반응을 1 개월 동안 필 앤드 드로우(fill and draw) 방법으로 P-배지(700)를 보충하며 슬러지를 순화시켰다. 즉, 필 앤드 드로우 방법으로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일부 상등액을 버리고 P-배지로 새로이 충당하였 다.
한편, 질산화 미생물 조합을 수득하기 위해 순화시킨 슬러지를 COD(화학적 산소요구량) 제거능을 통해 모니터링하였고 MLSS 농도도 분석하여 농축하는 동안의 시스템 운전을 분석하였다.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호기조건에서 슬러지 순응 기간 3 주 후 약간의 MLSS 농도 증가가 관찰되었다. 동일한 기간 동안 COD 농도의 감소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생물학적 세정 시스템으로 주입
상기 실시예 1의 고도순화 기간 후, 질산화 활성 슬러지(nitrifying activated sludge, NAS) 2 리터를 배양하고 동량의 P-배지에 혼합하여 1:1 부피비로 조성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폼(401)에 담체가 충진된 2.5 L 원통형 충진배드(400)에 미리 준비한 상기 NAS와 배지 조성물을 주입하였다. 담체가 충진 컬럼(402)에 NAS 용액을 담고 미생물을 담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2 주 동안 순환시킨 결과, NAS의 MLSS가 거의 모두 담체에 부착되어 최종적으로 담체 컬럼에서 방출된 NAS 용액은 부유고형물이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저장 용기를 통기시켜 용해된 산소를 제공함으로써 호기성 조건을 유지시켰다.
질산화 공정은 슬러지 고정 상태 동안 아질산염, 질산염 및 암모니아의 농도를 모니터링할 때 더욱 확실해졌다. 질산화 공정 동안 pH는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암모니아의 더불어 아질산염 및 질산염의 농도가 점진적 으로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는 질산염이 고농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아질산염 산화 박테리아의 존재는 암모니아 산화 박테리아와 비교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 하부 담체가 충진 컬럼(402)이 있는 폴리우레탄폼(401) 내에 슬러지가 상기 바이오-세정기의 운동시간이 지남에 따라 고정되었으며 질산화 공정이 확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유출된 폐수 수집
상기 실시예 2의 폴리우레탄(401) 내에서 세포 고정화를 완료한 후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에 영양 배지(700, 702)를 보충하고 1 주일 동안 운전한 후, 상기 영양 배지를 방출시키고 버블컬럼(300)을 패킹한 상기 바이오-세정기의 상부에 장착하였다. 그리고 암모니아 가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버블컬럼(300)에 암모니아 가스(605)를 주입시켰다. 질산 암모늄 성분[(NH4)2SO4]을 제거한 P-배지 농도를 5배 희석시켜 상기 버블컬럼(300)의 상부(702)에 주입하였다. 수리학적 체류시간(HRT)을 48시간으로 조절하면서 스크루빙 용액인 P-배지 용액을 담체가 충진된 컬럼(402)으로 방출시켰다.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로부터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오-세정기를 운전하는 동안 질소화가 확인될 때 충진 컬럼(402)로부터의 유출 폐수 500 mL를 수집하였다.
실시예 4: 바이오-세정기에서 암모니아 가스 및 액상 암모니아를 동시 제거
버블컬럼(300)과 담체가 충진된 컬럼(402)으로 구성된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의 암모니아 가스 및 액상 암모니아의 질산화 효율을 분석하였다. 이는 상기 바이오-세정기를 40일 동안 운전하는 동안 700 g NH3-N/m3-일(days) 이하의 용량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성공적인 질산화가 확인되었다. 높은 제거 용량은 암모니아 가스가 상부에 위치한 버블컬럼(300)에서 세정 용액인 P-배지(700)의 희석 용액에 잘 용해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 윗 부분의 버블 컬럼(300) 구조가 액체-가스 영역의 계면을 최대화시킨다. 이와 같은 이유로 유입 가스 농도가 4 L/분(min)의 부피 유량에서 200 rpmV 미만으로 증가하더라도, 암모니아 가스는 지속적으로 용해된다. 또한, 공기와 세정액 사이의 역류 접촉 방식(액체 유동은 하향이며 기체 유동은 상향임)이 제거 용량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도 4]은 증가되는 적재량과 관련하여 개선된 바이오-세정기의 제거 용량을 나타낸다.
상기 담체가 충진된 컬럼(402)에서 액상 암모니아 농도는 약 1,000 mg NH4-N/L이다.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40일 동안의 바이오-세정기를 운전한 결과, 1,000 mg/L의 액상 암모니아 유입 농도에서 약 80 %의 암모니아가 질산염으로의 산화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높은 농도에서도 질산화균이 활성화되며 높은 암모니아 유입 부하량에도 저항성이 컸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실시예 5: 농축 및 여과
상기 실시예 3에서 수집된 유출 폐수를 12,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된 시료로부터 상등액을 따라내고, 펠릿을 탈이온수로 세척하였다. 그리고 펠릿을 1 L의 P-배지에 재현탁시켰다. 혼합 용액을 2 L 반응 플라스크(Erlenmeyer flask)에 넣고, 확산기를 이용하여 산소를 공급하였다. 2 주 동안 농축시킨 후, 질산화 공정이 활성화되었음을 확인하고 분취액 1 L를 배양하여 추가로 농축하였다.
배양액을 올림푸스 광학 현미경(배율 1000 배, 오일 이멀젼)으로 관찰하여, 다양한 미생물 종들을 함유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확인하였다. 따라서, 질산화된 혼합 배양액 1 L를 5 ㎛ 폴리카보네이트(PBM) 여과막으로 여과하여 사이즈가 큰 오염물질(종속 영양 박테리아) 및 다른 복합 유기 화합물을 제거하였다. 그리고 여액을 10,000 rpm으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세포를 P-배지 200 mL에 현탁시키고, 오일 이멀젼에서 X100 배율로 관찰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계대 배양 및 플레팅 배양
P-배지 200 mL를 상기 실시예 5에서 수득한 세포에 공급하였다. 시료를 1 주일 동안 배양한 결과, 200 mg/L의 아질산염이 생성되어 높은 질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분취액 20 mL를 수득하여 15,000 rpm으로 15 분 동안 원심분리하고 수득된 세포를 영양 P-배지 200 mL에 재현탁시켰다. 이 과정을 2 회 반복하였다.
분취액을 영양 배지로 3회 계대배양시킨 후, 액체 배양액를 겔란 검 플레이 트(P-배지)상에 1 %(w/w)를 스트리킹하고 28.5 ℃ 어두운 상태에서 10일 동안 배양하였다.
실시예 7: 균주 특성화
상기 실시예 6의 플레이트에서 배양한 균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1) 그람 염색, 크기 및 형태
상기 실시예 5에서 분리한 균주의 그람 염색 결과 [도 7]과 같이 그람 음성균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분리된 균주의 콜로니를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도 8]와 같이 150 내지 900 nm 크기를 가지고 있었다.
(2) 산화효과 시험
분리된 균주의 콜로니에 p-아미노디메틸알라닌 옥살레이트 시약을 가하여 박테리아의 사이토크롬 산화효소 생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연분홍 시약은 인공 기질 역할을 하여 전자를 공여함으로써 산화효소와 유리 산소의 존재하에 거무스름한 화합물로 산화된다. 양성 시험은 분홍색에서 적갈색으로, 최종적으로는 검정색으로 탈색되는 색변화에 의해 지시되었다(표 2 참조).
(3) 카탈라아제 시험
호기성 미생물에 대하여, 최종 전자 공여체로서 산소의 용도는 카탈라아제 효소의 존재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카탈라아제 생산은 기질 H2O2를 적절하게 배양된 트립티케이스 소이 아가(Trypticse soy agar) 경사 배지에 가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카탈라아제가 존재한다면, 양성 시험은 거품 형성에 의해 지시되고, 음성 결과는 다른 방식으로 지시된다(표 2 참조).
[표 2] 바이오-세정기에서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 박테리아의 특성
테스트 치수
산화효소 (+)
카탈라제 (+)
그람 스테인 (-)
세포 모양 둥근(구균)
세포 크기 500 ~ 900 nm
(4) 균주 동정
16S rRNA 염기서열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 균주의 계통학적 분류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균주를 (주)마크로젠에 염기서열 분석을 의뢰하였다.
상기 균주의 염기서열은 [도 9]과 같으며, 온라인 뉴클레오타이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NCBI BLAST(http://www.ncbi.nlm.nih.gov/BLAST/)으로부터 서열을 얻어 가장 근접한 유사성을 갖는 균주를 확인한 결과, 화학합성 화합물의 분해능력이 있는 플라보박테리움 속(Flavobacterium sp .) 균주와 94%의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폐가스 바이오필터에서 분리한 비배양된 박테리오데테스(Bacteriodetes)와 동일한 유사성을 갖는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플라보박테리움 속(Flavobacterium sp .) D-2 으로 명명하였고 2006년 11월 16일자로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세터 에 기탁번호 KACC 91286P로 기탁하였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NCBI BLAST 트리 페어와이즈 얼라인먼츠(Tree pairwise alignments)를 이용하여 트리뷰(tree view)를 얻었다.
실험예 1: 질산화 효율 분석
3계대 배양한 본 발명의 균주의 성장 곡선을 DAPI 염색기법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였다.
20 mL 미세여과 장치에 여과할 용액에 100 mg/L의 DAPI(4',6-diamidino-2-phenylindole) 염색액을 포함하고 물과 혼합하여 전체 부피가 2 mL가 되게 하고 DAPI의 최종 농도가 2 mg/L가 되게 하였다. 염색된 시료를 자외선 여과 곡선 하에서 올림푸스 BX-51 형광현미경을 이용하여 형광 모드(FL)로 관찰하였다.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의 배양액이 암모니아를 산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NH3-N/L 520 mg을 함유한 250 mL P-배지에 1×10-7 접종원 농도액을 접종하였다. 초기 pH는 8.1이었고, 온도는 24.0 내지 28.0 ℃로 유지하였다. 암모니아 소모량 및 아질산염 생성량을 3 시간 마다 142 시간 암모니아 산화와 관련된 산소 소비량을 측정하였다.
실험예 2: 플라스크 배양에서의 암모니아 소모량 및 아질산염 생성량 측정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를 플라스크 배양 후 암모니아 소모량 및 아질산염 생성량을 직접 측정하여 모니터링하였다. 멸균 조건하에서, P-배지에서의 초기 농도 510 NH4-N/L에 1 mL의 세포 군체를 1×10- 7 으로 하여 접종하하고 배양온도 26 ℃에서 배양하였다. 초기 pH는 약 8.1이였고, 초기 무기 탄소 농도는 100 mg/L였다.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는 효모 및 글루코스 유기탄소 기질에 접종하였을 때,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성장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았다. 이는 P-배지의 중탄산 나트륨 성분으로부터의 무기 탄소를 소비하였기 때문이며,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는 시간당 20 mg 의 탄소를 소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는 시간당 20 mg 의 탄소를 소비하였다.
암모니아 소비량 및 아질산염 생성량 곡선을 [도 12]에 나타내었다. 12 내지 72 시간 동안 배양할 때 질산 암모니아가 안정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기간 동안 암모니아 제거율은 약 22.07 mg/hr 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아질산염의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시간당 약 19.3 mg 아질산염-N을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무기탄소가 소비되는 동안, 아질산염 생성량 및 산화율에 의한 암모니아 제거율을 계산하여 탄소:질소 비율을 조사한 결과,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는 배양 조건에서 탄소와 질소의 비율이 1:1.11로 계산되었다.
pH 및 온도와 같은 다른 배양 변수에 대해,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는 약간의 염기성 환경에서도 성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pH 8.4 내지 8.8 범위에서 박테리아의 최고 성장율을 나타내었으며 적정 배양온도는 25 내지 40℃로 확인되었다.
상기 [도 13]에 나타난 결과로 볼 때, 온도 및 pH와 같은 외부 조건들은 거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는 pH 환경이 대략 중성이거나 약 염기성이고 온도가 중온성(25 내지 40℃) 내에 있는 경우 본 발명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가 잘 성장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탄소 농도가 30 mg/L에 근접했을 때, 아질산염 생성량은 급격하게 감소한 것으로 볼 때, 탄소 농도는 상기 균주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실시예 및 실험예의 상세한 설명과 같이, 본 발명 바이오-세정기는 물리-생물학적 공정이 동시에 작용하는 새로운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를 산화시키는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를 제공함으로써 산업폐수, 축산폐수 및 침출수를 정화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폐가스처리산업 및 환경정화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오염된 암모니아 가스가 주입되는 암모니아 가스 주입구(605),
    상기 암모니아 가스 주입구(605)로 주입된 암모니아 가스를 스크루빙 용액 주입구(702)를 통해 주입된 스크루빙 용액(700)으로 용해시키는 버블컬럼(300),
    상기 버블컬럼(300)으로 용해된 암모니아 가스가 배출되는 가스배출구(200),
    상기 버블컬럼(300)으로 완전히 용해되지 않은 암모니아 가스와 상기 스크루빙 용액(700) 함께 유입된 폴리우레탄폼(401),
    상기 폴리우레탄폼(401)에 유입된 용액이 충진 컬럼(402)을 통해 용액이 방출되는 방출구(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모니아 처리장치.
  2. 제 1항 기재의 폴리우레탄폼으로 구성된 담체가 충진된 컬럼(402)에서 분리된 플라보박테리움 속 D-2 균주(Flavobacterium sp., 기탁번호 KACC 91286P).
KR1020060117272A 2006-11-24 2006-11-24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KR100801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272A KR100801748B1 (ko) 2006-11-24 2006-11-24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272A KR100801748B1 (ko) 2006-11-24 2006-11-24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748B1 true KR100801748B1 (ko) 2008-02-11

Family

ID=3934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272A KR100801748B1 (ko) 2006-11-24 2006-11-24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74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830A (ko) * 2000-12-04 2002-06-12 유희욱 교반장치와 고형영양제 주입장치가 부착된 바이오필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염가스 제거방법
KR20030000035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제4기한국 바이오필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효율 유해가스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030086477A (ko) * 2003-09-24 2003-11-10 최성호 오·폐수처리용 미생물제재
JP2005161257A (ja) 2003-12-04 2005-06-23 Japan Steel Works Ltd:The 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830A (ko) * 2000-12-04 2002-06-12 유희욱 교반장치와 고형영양제 주입장치가 부착된 바이오필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염가스 제거방법
KR20030000035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제4기한국 바이오필터와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고효율 유해가스정화장치 및 그 정화방법
KR20030086477A (ko) * 2003-09-24 2003-11-10 최성호 오·폐수처리용 미생물제재
JP2005161257A (ja) 2003-12-04 2005-06-23 Japan Steel Works Ltd:The アンモニア含有ガスの処理方法および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t al. Effect of COD/N ratio on nitrogen removal in a membrane-aerated biofilm reactor
Vlaeminck et al. Microbial resource management of one‐stage partial nitritation/anammox
Feng et al. Ammonium removal pathways and microbial community in GAC-sand dual media filter in drinking water treatment
Sliekers et al. Competition and coexistence of aerobic ammonium-and nitrite-oxidizing bacteria at low oxygen concentrations
JPWO2006115199A1 (ja) 有機物含有廃液の処理方法
CN102153250B (zh) 焦化废水处理系统及方法
JP2001170684A (ja) アンモニア含有廃水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1195899B1 (ko)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에 대하여 내성이 있고,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 탄소원으로 하여 생장할있는 메틸로박테리움 엑스토쿠엔스 smic-1 및 그를이용하여 시료 중의 테트라메틸 암모늄 히드록사이드를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방법
Deng et al. Characterization of nitrous oxide and nitrite accumulation during iron (Fe (0))-and ferrous iron (Fe (II))-driven autotrophic denitrification: Mechanisms, environmental impact factors and molecular microbial characterization
Song et al. Advanced treatment of low C/N ratio wastewater treatment plant effluent using a denitrification biological filter: Insight into the effect of medium particle size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Yang et al. Long-term operation and autotrophic nitrogen conversion process analysis in a biofilter that simultaneously removes Fe, Mn and ammonia from low-temperature groundwater
Oztemur et al. Fluidized bed membrane bioreactor achieves high sulfate reduction and filtration performances at moderate temperatures
CN109626524A (zh) 一种包含电催化氧化单元的焦化废水处理系统与方法
US6863815B1 (en) Small-scale hydrogen-oxidizing-denitrifying bioreactor
Fang et al. The simultaneous recruitment of anammox granules and biofilm by a sequential immobilization and granulation approach
CN109626562A (zh) 一种包含生化复合单元的焦化废水处理系统与方法
Zhang et al. An innovative membrane bioreactor and packed-bed biofilm reactor combined system for shortcut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Moharikar et al. Microbial population dynamics at effluent treatment plants
Štembal et al. Rapid start-up of biofilters for removal of ammonium, iron and manganese from ground water
Shi et al. Pilot study on ceramic flat membrane bioreactor in treatment of coal chemical wastewater
KR100801748B1 (ko) 신규한 바이오-세정기 및 그로부터 분리된 암모니아 산화박테리아 d-2 균주
JP4224542B2 (ja) 水処理方法及び装置
Das et al. Biological removal of gas‐phase H2S in hollow fibre membrane bioreactors
JP2018083195A (ja) 液体処理方法及び微生物最適化方法
Smith et al. Redox control bioreactor: A unique biological water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