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171B1 - 실내온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실내온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171B1
KR100801171B1 KR1020060109674A KR20060109674A KR100801171B1 KR 100801171 B1 KR100801171 B1 KR 100801171B1 KR 1020060109674 A KR1020060109674 A KR 1020060109674A KR 20060109674 A KR20060109674 A KR 20060109674A KR 100801171 B1 KR100801171 B1 KR 10080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value
opening degree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관
김광우
이영숙
여명석
이용운
Original Assignee
(주)이씨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씨엘 filed Critical (주)이씨엘
Priority to KR1020060109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71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6Press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실내온도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복사난방 코일의 밸브를 소정의 개도로 개방하여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실내온도 측정치를 저장하는 단계, (b) 실내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실내온도 하한치보다 클 경우,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에 따라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 (c) 실내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실내온도 기준치보다 클 경우, 복사난방 코일에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환수온도 측정치를 저장하고, 환수온도 측정치와 소정의 환수온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단계(c)의 결과에 따라, 그에 상응하여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은, 실내온도 및 복사난방 코일에 흐르는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개도를 설정하고, 각 거실에 요구되는 온도까지 이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난방수를 공급하여, 불필요한 열 복사를 최소화 함으로써, 난방비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온도, 코일, 밸브, 환수온도, 복사난방

Description

실내온도 제어방법 {Method of Controlling indoor temperatur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개념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도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 개도 Vs: 개도기준치
Vmax: 최대개도 Vmin: 최소개도
Tc: 실내온도 측정치 Ts: 실내온도 기준치
Tset: 설정온도 Tud: 실내온도 상한치
Tdd: 실내온도 하한치 Td: 실내온도 편차
Rc: 환수온도 측정치 Rs: 환수온도 기준치
Rud: 환수온도 상한치 Rdd: 환수온도 하한치
a,b: 비례상수
Pc: 압력손실값 Pmax: 압력손실값 중 최대값
Pmin: 압력손실값 중 최소값 Ps: 압력손실 기준치
본 발명은 실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사무실 등과 같은 주거 및 활동공간의 난방은 보일러 내에서 연료를 연소시키고 이때 얻어지는 열을 이용하여 난방수를 가열하며 이와 같이 가열된 난방수를 순환시켜 한다.
서구에서는 주로 방열기(라디에이터)를 통해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난방방식이 사용되는데, 주철이나 강철로 이루어진 방열기는 공급되는 열량의 변화에 따라 온도가 신속하게 변화되며, 이 방열기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열 교환에 의해 실내공기가 가열되어 난방동작이 이루어진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온수를 이용하여 방바닥을 데우고 이 방바닥의 표면에서 이루어지는 열 교환을 통해 실내공기를 가열하는 난방방식을 사용하는데, 방바닥은 일반적으로 쉽게 데워지지 않고 또한 빨리 식지 않는 재질을 사용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고 또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난방수가 흐르는 배관의 소정부위에 기계식 밸브를 장착하고, 이 밸브를 통해 실내로 난방수를 공급하거나 차단시켜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돌난방에 있어서 실에 공급되는 열량에 대한 제어방법은 크게 온수제어와 유량제어로 나눌 수 있는데, 유량제어는 실내온도의 미세한 보정에 있어서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온수제어는 실내온도를 정밀하게 조정가능하나, 큰 폭의 온도 변화를 위해서는 적절하지 아니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실내온도 및 복사난방 코일에 흐르는 유체의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개도를 설정하고, 각 거실에 요구되는 온도에 이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난방수를 공급하여, 불필요한 열 복사를 최소화 함으로써, 난방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내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사난방 코일의 밸브를 소정의 개도로 개방하여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실내온도 측정치를 저장하는 단계, (b) 실내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실내온도 하한치보다 클 경우,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에 따라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 (c) 실내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실내온도 기준치보다 클 경우, 복사난방 코일 에서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환수온도 측정치를 저장하고, 환수온도 측정치와 소정의 환수온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단계(c)의 결과에 따라, 그에 상응하여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초기 밸브의 개도를 최대로 할 수 있다.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에 따라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는 (b1) 복사난방코일을 통과하는 유량에 따른 압력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 압력손실값이 소정의 압력손실 기준치에 상응하도록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로 수행 가능하다. 이때 복사난방코일이 복수인 경우, 압력손실 기준치는, 복수의 압력손실값 중 최대값 혹은 최소값으로 할 수 있다.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환수온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에 있어서 환수온도 기준치는, 실내온도가 실내온도 기준치에 상응하여 제어될 때 유체의 온도로 할 수 있다.
환수온도 측정치가 환수온도 기준치 보다 큰 경우, 개도에 소정의 비례상수를 곱한 값으로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 할 수 있으며, 특히 환수온도 측정치에 따라 여러 단계로 나누어 제어하는 경우, 비례상수는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환수온도 측정치에 따라 다른 값의 비례상수를 개도에 곱한 값으로 개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환수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환수온도 상한치보다도 클 경우에는, 개도를 소정의 최소개도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밸브가 소정의 개도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환수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환수온도 상한치보다 더 크면, 개도를 소정의 최소개도로 조정하여 단계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실내온도 측정치와 비교하는 실내온도 기준치는, 설정온도에서 소정의 실내온도 편차를 뺀 값으로 하거나 실내온도 하한치로 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내온도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온도 제어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3를 참조하면, 개도(V), 개도기준치(Vs), 실내온도 측정치(Tc), 밸브의 최소개도(Vmin), 밸브의 최대개도(Vmax), 실내온도 기준치(Ts), 설정온도(Tset), 실내온도 상한치(Tud), 실내온도 하한치(Tdd), 실내온도 편차(Td), 환수온도 측정치(Rc), 환수온도 기준치(Rs), 환수온도 상한치(Rud), 환수온도 하한치(Rdd), 비례상수(a, b)가 제시되어 있다.
실내온도 상한치(Tud) 및 실내온도 하한치(Tdd)는 설정온도(Tset)를 기준으로 실내온도의 제어정밀도에 따라 일정한 편차를 갖는 값으로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내온도 상한치(Tud)는 설정온도(Tset)보다 2℃ 큰 값으로 하고 실내온도 하한치(Tdd)는 설정온도(Tset)보다 5℃ 작은 값으로 할 수 있다.
환수온도 상한치(Rud) 및 환수온도 하한치(Rdd)도 환수온도 기준치(Rs)를 기준으로 실내온도의 제어정밀도에 따라 일정한 편차를 갖는 값으로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내온도 상한치(Rud)는 환수온도 기준치(Rs)보다 2℃ 큰 값으로 하고 실내온도 하한치(Rdd)는 환수온도 기준치(Rs)보다 4℃ 작은 값으로 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사난방코일에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하여 실내를 난방을 하는 경우, 복사난방코일에 결합된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의 개도를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난방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사난방코일은 실내의 바닥이나 벽체에 매립되어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하는 배관을 포함하는 개념이고, 밸브의 개도란 복사난방코일에 결합되어 코일 내에 흐르는 유량을 조절하는 밸브의 개방된 정도를 의미하는 것이다.
단계 S5는, 소정의 개도로 밸브 개방하여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소정 개도는 임의로 설정 가능하며, 초기에 모든 복사난방코일에 같은 개도로 밸브를 개방하여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이때, 빠른 난방을 위해 개도를 최대로 할 수 있다. 소정의 실내온도 하한치보다 작은 경우에는 최대 개방된 상태로 유체가 공급되게 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효율적으로 난방이 가능한 것이다.
단계 S10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실내온도 측정치(Tc)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이다. 실내온도 측정치(Tc)를 소정의 실내온도 기준치(Ts)와 비교하여 실내온도 제어방법을 결정한다.
개별난방에 있어서 순간식인 경우에는, 설정온도에 이르기 이전에 일정 범위 내에서는 미세한 온도 조절에 적합한 환수온도에 의한 개도 조정 방법으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기준이 되는 실내온도 기준치(Ts)는 임의로 설정가능하며, 목표로 하는 실내온도인 설정온도(Tset)에서 소정의 실내온도 편차(Td)를 뺀 값을 실내온도 기준치(Ts)로 할 수 있다. 실내온도 편차(Td)는 제어하고자 하는 실내온도의 제어정밀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개별난방 중 저탕식 방법이거나 지역난방이나 중앙난방의 경우에는, 이미 환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이기 때문에 실내온도 기준치(Ts)를 개별난방 중 순간식에 비하여 낮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실내온도 기준치(Ts)를 실내온도 하한치(Tdd)로 할 수 있다. 실내온도 기준치(Ts)를 실내온도 하한치(Tdd)로 하는 경우에는 이하에서 살펴볼 S15와 S35가 결국 같은 의미가 되므로 실내온도 측정치(Tc)가 실내온도 하한치(Tdd)이상의 범위 전체에서 환수온도에 의한 개도를 조정을 하게 되는 것이다.
단계 S15는, 실내온도 측정치(Tc)와, 실내온도 하한치(Tdd)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즉, 실내온도 측정치(Tc)가 실내온도 하한치(Tdd)보다 높은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미세한 조정이 필요하며 실내온도 하한치(Tdd)보다 실내온도 측정치(Tc)가 낮은 경우에는 개도를 최대로 할 수 있다. 초기에 개도를 최대로 하여 유체를 공급한 경우라면 이때 밸브의 개도를 변경할 필요는 없다(도 3a의 (d)부분을 참조).
단계 S20은,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를 기준으로 밸런싱하는 단계이다. S5에서 설정한 개도는 실제 난방중의 상황을 반영하지 못하므로 효과적인 난방을 위해 개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가 길수록 코일에서 복사되어 손실되는 열량이 많으므로, 코일거리가 긴 코일에 더 많은 유량을 흘려 보내야 균형 있는 난방이 가능하고, 열량 낭비가 적어 효율적이므로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를 통해 개도(V)를 조정한다.
코일거리를 계산을 위해서 압력손실(Pc)값을 이용할 수 있다. 각 압력손실(Pc)을 구하여 개도(V)를 조정하는 것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2및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5는, 실내온도 측정치(Tc)를 실내온도 기준치(Ts)와 비교하는 단계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온도 기준치(Ts)는 설정온도(Tset)에서 소정의 실내온도 편차(Td)를 뺀 값으로 하는바 설정온도(Tset)에 가까워진 경우에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보다 미세하게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환수온도 측정치는 바로 환수온도 측정하여 구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복사난방코일의 표면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유체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보다 변동이 적으므로 환수온도를 더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실내온도 측정치(Tc)가 상한치(Tud)보다 크면, 개도를 최소로 하는 단계 S30를 더 둘 수 있다. 이때 상한치(Tud)는 설정온도(Tset)에서 소정의 상한편차를 더하여 구할 수 있다(도 3a에서 실내온도(Tc)가 (a)부분 참조).
단계 S40는 환수온도 측정치(Rc)를 이용하여, 복사난방 코일에 흐르는 유체의 환수온도기준으로 소정의 환수온도 기준치(Rs)와 비교하여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로서, 이하에서는 도 3a의 (b)부분 즉, 환수온도에 의한 실내온도 제어방법에 대해 도 3b를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1은,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환수온도 측정치(Rc)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단계이다. 환수온도는 환수 자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고, 유동적인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는 경우 변동이 심하므로 코일의 외부에 온도측정장치를 두어 환수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이를 환수온도 측정치(Rc)로 할 수 있다.
이때, 실내온도가 실내온도 기준치(Ts)에 상응하여 제어될 때 상기 유체의 온도를 환수온도 기준치(Rs)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내온도가 실내온도 기준치(Ts)에 도달하게 된 때의 복사난방코일의 유체의 온도를 환수온도 기준치(Rs)로 하고 환수온도제어방법에 의한 제어를 할 수 있다. 한편, 환수온도 기준치(Rs)는 임의의 값으로 미리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47은, 환수온도 측정치(Rc)와 환수온도 기준치(Rs)를 비교하여, 환수 온도 측정치(Rc)가 환수온도 기준치(Rs)보다 작으면 개도(V)를 유지하나, 그보다 큰 경우에는 개도(V)를 더 작게 한다.
단계 S53에서는, 상술한 바에 따라 조정된 개도(V)에 소정의 비례상수(a)를 곱하여 개도(V)를 재조정한다. 비례상수(a)는 소정 온도의 유체의 과도한 공급에 따른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조정된 개도(V)에 곱해주는 값이다. 비례상수(a)는 1에서 0의 값을 갖는 실수이며, 비례상수를 복수 개 설정하면, 환수온도 상한치(Rud)와 기준치(Rs) 사이에서 단계를 나누어 복수의 단계로 개도(V)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b에서는 비례상수가 a와 b 두 개이고, 환수온도 측정치에 따라 2단계로 나누어서 온도 조절을 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a=0.6 이고 b=0.3로 비례상수를 정하는 경우, 환수온도 측정치(Rc)가 환수온도 기준치(Rs)보다 크고, 환수온도 상한치(Rud)에서 환수온도 기준치(Rs)를 뺀 값에 0.5를 곱하고, 그 값에 환수온도 기준치(Rs)를 더한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개도(V)의 60%만 밸브가 개방되도록 개도(V)를 조정하고, 환수온도 상한치(Rud) 에서 환수온도 기준치(Rs)를 뺀 값에 0.5를 곱하고, 그 값에 환수온도 기준치(Rs)를 더한 값보다 큰 경우에는 개도(V)의 30%만 밸브가 개방되도록 개도(V)를 조정하여 실내온도를 제어한다.
단계 S53이전에, 환수온도 측정치(Rc)가 환수온도 기준치(Rs)와 환수온도 상 한치(Rud)의 합을 비교하는 단계(단계 S49)를 더 포함할 수 있고, 환수온도 측정치(Tc)가 더 큰 경우 난방을 더 이상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단계 S51을 수행한다. 단계 S51는 개도(V)를 최소개도(Vmin)하는 단계이다.
이때, 개도(V)를 최소개도(Vmin)후에 환수온도가 감소하는 경우 상기의 단계에 따라 제어할 수도 있지만,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의 제어방법에 차이를 두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환수온도 측정치(Rc)가 환수온도 하한치(Rdd)에 이를 때까지 개도(V)를 최소개도(Vmin)으로 유지하고, 환수온도 하한치(Rdd)에 도달한 이후에는 개도를 최대개도(Vmax)로 하거나 코일거리기준으로 계산한 개도(V)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계 S47 이전에, 개도(V)와 개도기준치(Vs)를 비교하는 단계(단계 S43)를 더 둘 수 있고, 비교 결과에 따라 개도(V)가 개도 기준치(Vs)보다 작은 경우에는 단계 S45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도(V)가 작은 경우에는 개도(V)의 일정비율로 개도(V)를 변경하더라도 개도(V)의 변화가 크지 않으므로 단계를 간단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단계 S45는, 환수온도 측정치(Rc)가 환수온도 상한치(Rud)를 비교하는 단계로서, 환수온도 측정치(Rc)가 큰 경우와 작은 경우로 두 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한다. 즉, 환수온도 측정치(Rc)가 큰 경우에는 단계 S51를 수행하여 개도를 최소개도(Vmin)으로 하고, 환수온도 측정치(Rc)가 작은 경우에는 단계 S55을 수행하여 개도(V)를 유지한다. 예를 들면, 도 3b의 오른쪽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도(V) 가 개도 기준치(Vs)보다 작은 경우 2단계로 제어한다. 도 3b의 왼쪽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도(V)가 개도 기준치(Vs)보다 큰 경우 4단계로 구분하여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개도를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압력손실값(Pc), 압력손실값 중 최대값(Pmax), 압력손실값 중 최소값(Pmin), 압력손실 기준치(Ps)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4를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1의 S20단계에서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기준으로 밸런싱하여 개도(V)를 조정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즉, 코일거리가 길수록 방열하는 복사열이 많고 코일거리가 길수록 유체에 마찰력이 더 많이 가해져서 유체의 압력손실이 더 커지므로 이러한 관계를 이용하여 코일에 흐르는 유체의 압력손실을 비교하여 균일한 실내온도 유지를 위한 유량을 흘려 보낼 수 있는 개도(V)를 조정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은, 임의의 개도로 각 실내에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하는 단계이다. 이때 임의의 개도(V)는 최대개도(Vmax) 또는 최소개도(Vmin)으로할 수 있다. 최대개도(Vmax)로 하는 경우에는 압력손실이 최대값(Pmax)인 거실을 기준으로 개도(V)를 조정하고, 최소개도(Vmin)로 하는 경우에는 압력손실이 최소값(Pmin)인 거실을 기준으로 개도(V)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자세한 방법은 단 계 S25에서 다시 살펴보도록 한다.
단계 S22에서는 압력손실을 산출하여 측정하고 단계 S23에서는 S22에서 측정한 압력손실측정값(Pc)를 저장한다. 단계 S24는 압력손실 기준치(Ps)를 설정하는 단계인데, 압력손실 기준치(Ps)는 복수의 코일의 압력손실값(Pc)과 비교하여 균일하게 실내온도가 유지되도록 유량을 조절하는 기준이 된다.
단계 S25은, 압력손실 기준치(Ps)에 상응하도록 개도(V)를 조정하는 단계이다. 도 4을 참고하면, 임의의 개도를 최대개도(Vmax)로 하여 각 압력손실값(Pc)중 최대값(Pmax)을 압력손실 기준치(Ps)로 하는 경우, 최대값(Pmax)과 다른 압력손실차(Pa 혹은 Pa+Pb)만큼 증가 시키기 위하여 다른 복사난방코일의 개도(V)를 최대개도(Vmax)보다 더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이외에, 임의의 개도를 최소개도(Vmin)으로 하여 각 압력손실값(Pc)중 최소값(Pmin)을 압력손실기준치(Ps)로 하는 경우, 최소값(Pmin)과 다른 압력손실차(Pb 혹은 Pa+Pb)만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른 복사난방코일의 개도(V)를 최소개도(Vmin)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환수의 흐름을 제어하여 실내온도를 조절하는 통상적인 밸브를 구비한 실내온도 제어방법에 있어서, 실내온도 및 복사난방 코일에 흐르는 환수온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기준치와 비교하여 개도를 설정하고, 각 거실에 요구되는 온도에 이를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유체를 공급하여, 불필요한 열 복사를 최소화 함으로써, 난방비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실내온도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2)

  1. 복사난방 코일의 밸브를 소정의 개도로 개방하여 소정 온도의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실내온도 측정치를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실내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실내온도 하한치보다 클 경우, 복사난방코일의 코일거리에 따라 상기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
    (c) 상기 실내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실내온도 기준치보다 클 경우, 상기 복사난방 코일에서 상기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환수온도 측정치를 저장하고, 상기 환수온도 측정치와 소정의 환수온도 기준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d) 상기 단계(c)의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b)는,
    (b1) 상기 복사난방코일을 통과하는 유량에 따른 압력손실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b2) 상기 압력손실값이 소정의 압력손실 기준치에 상응하도록 상기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난방코일은 복수이며,
    상기 단계(b2)의 상기 압력손실 기준치는, 복수의 상기 압력손실값 중 최대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난방코일은 복수이며,
    상기 단계(b2)의 상기 압력손실 기준치는, 복수의 상기 압력손실값 중 최소값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상기 환수온도 기준치는,
    상기 실내온도가 상기 실내온도 기준치에 상응하여 제어될 때 상기 유체의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환수온도 측정치가 상기 환수온도 기준치 보다 큰 경우, 상기 개도에 소정의 비례상수를 곱한 값으로 상기 개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례상수는 복수 개이고,
    상기 환수온도 측정치에 따라 다른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환수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환수온도 상한치보다 클 경우 상기 개도를 소정의 최소개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밸브가 소정의 개도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
    상기 환수온도 측정치가 소정의 환수온도 상한치보다 더 크면 상기 개도를 소정의 최소개도로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상기 실내온도 기준치는, 상기 설정온도에서 소정의 실내온도 편차를 뺀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의 상기 실내온도 기준치는, 소정의 실내온도 하한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이전에,
    상기 개도를 소정의 최대개도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온도 제어방법.
KR1020060109674A 2006-11-07 2006-11-07 실내온도 제어방법 KR10080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674A KR100801171B1 (ko) 2006-11-07 2006-11-07 실내온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674A KR100801171B1 (ko) 2006-11-07 2006-11-07 실내온도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171B1 true KR100801171B1 (ko) 2008-02-05

Family

ID=3934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674A KR100801171B1 (ko) 2006-11-07 2006-11-07 실내온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687B1 (ko) 2011-02-28 2013-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공명음 영역 회피를 위한 연소제어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579B1 (ko) * 1986-06-23 1989-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중앙 집중식 난방 제어방법
JPH10220807A (ja) 1996-07-08 1998-08-21 Shimizu Corp 低床二重床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KR20050078339A (ko) * 2004-01-29 2005-08-05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환수온도 측정을 통한 실내온도 제어방법
KR20060093229A (ko) * 2005-02-21 2006-08-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온돌난방의 외기보상 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2579B1 (ko) * 1986-06-23 1989-07-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중앙 집중식 난방 제어방법
JPH10220807A (ja) 1996-07-08 1998-08-21 Shimizu Corp 低床二重床を利用した空調システム
KR20050078339A (ko) * 2004-01-29 2005-08-05 주식회사 롯데기공 보일러의 환수온도 측정을 통한 실내온도 제어방법
KR20060093229A (ko) * 2005-02-21 2006-08-24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온돌난방의 외기보상 제어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5687B1 (ko) 2011-02-28 2013-10-1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공명음 영역 회피를 위한 연소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0721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открытием клапана в системе hvac
KR100924466B1 (ko) 난방환경에 적응하는 각방 실내온도 제어방법
RU2707487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током текучей среды через клапан
EP1564616A2 (en) System for independently regulating temperatures in different spaces and temperatures of one or more hot-water suplies
US6062485A (en) Radiant heating system reset control
KR100905924B1 (ko) 각방 난방제어시스템에서의 개별 난방수 온도 제어장치
CN108474587B (zh) 供暖热水兼用锅炉及其控制方法
KR100985391B1 (ko) 개별난방 제어 시스템에서 난방 부하 변동에 따른 보일러의제어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개별난방 제어 시스템
US20170219219A1 (en) Demand based hvac (heating, ventilation, air conditioning) control
US9702569B2 (en) Method for the temperature control of components
JP2009031866A (ja) 流量制御バルブおよび流量制御方法
US20210239327A1 (en) Combined heating and hot-water boile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221150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ixing valve of a heating system
RU2669181C2 (ru) Ввод в эксплуатацию проточной системы с процедурой верификации потока
US1048082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mixing valve of a heating system
KR100801171B1 (ko) 실내온도 제어방법
JP6895157B2 (ja) 内部循環型給湯システム
US10712021B2 (en) Pulse modulated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control
EP2220439B1 (en) Controlling under surface heating/cooling
KR20170069097A (ko) 가스보일러 및 그의 온수 출탕 제어방법
KR100757312B1 (ko) 복사난방코일의 유량 제어방법
GB2528314A (en) A heating supply arrangement
WO2023233388A1 (en) Improvements to heating systems
KR20190046498A (ko) 열교환기의 유량조절장치
EP4332454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temperature influencing system and temperature influenc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