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157B1 - 반목 하중 측정법 - Google Patents

반목 하중 측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157B1
KR100801157B1 KR1020060126891A KR20060126891A KR100801157B1 KR 100801157 B1 KR100801157 B1 KR 100801157B1 KR 1020060126891 A KR1020060126891 A KR 1020060126891A KR 20060126891 A KR20060126891 A KR 20060126891A KR 100801157 B1 KR100801157 B1 KR 100801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oad
wire
banjo
strain gau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6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언
한성용
이토히사시
서용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6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1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2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resistance strain gauges
    • G01L1/2206Special supports with preselected places to mount the resistance strain gauges; Mounting of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1/0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 G01L1/20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 G01L1/205Measuring force or stress, in general by measuring variations in ohmic resistance of solid materials or of electrically-conductive fluids; by making use of electrokinetic cells, i.e. liquid-containing cells wherein an electrical potential is produced or varied upon the application of stress using distributed sensing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목 하중 측정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크(Dock) 내 선박의 안착 시 사용되는 반목(盤木, Keel Block)에 작용하는 하중을 간편,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목 하중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은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 상기 반목에서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설치위치를 파악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파악단계; 설치위치가 파악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상기 반목에 설치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단계; 상기 반목에 설치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 제로값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제로값측정단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측정단계; 및 측정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과 상기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어, 반목 상에 배치되어 건조되는 선박의 구조 안전성을 증가시켜, 선박 품질 및 선주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반목(Keel block), 스트레인게이지(Strain Gauge), 와이어, 스트레인미터, 텐션미터

Description

반목 하중 측정법{The method of measuring load in Keel bloc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반목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에서 상용해석코드를 이용하여 반목의 일부를 모델링한 컨튜어(Contour)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실시예의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하중-변형률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반목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반목 3: 중간 평판부
5: 상단 연결부 7: 하단 지지부
8: 중앙웨브 10: 중앙웨브돌출부
100a: 제 1 스트레인게이지 100b: 제 2 스트레인게이지
200: 와이어 210a: 제 1 상부 와이어고리
210b: 제 2 상부 와이어고리 220a: 제 1 하부 와이어고리
220b: 제 2 하부 와이어고리
본 발명은 반목 하중 측정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크 내 선박의 안착 시 사용하는 반목에 작용되는 하중을 디지털 장비를 이용하여 간편,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목 하중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목(盤木, Keel Block)이란 도크 내 선박 건조 시 사용되는 받침용 부재로서, 도크 바닥에 선박을 안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현재까지는 선박이 안착된 반목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방법으로서, 숙련된 노하우를 지닌 베테랑 작업자의 감각을 통해 수공구를 이용하여 반목을 두드려 본다거나 상반목의 변형 정도를 눈으로 살펴봄으로써, 반목에 어느 정도의 힘이 작용하는 지 알 수 있는 게 고작이었다.
건조 중인 선박의 구조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한요소해석에 근거 하여 반목을 배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배치 형태에 따르기 위해선 반목의 배치 및 이동이 빈번하게 진행되어, 반목 이동 시 마다 반목에 작용하는 힘을 측정하는 해석을 수행해야 하여, 해석 시간이 장시간 소요됨은 물론, 그 해석 결과를 통보 받을 때까지 기타 다른 대체작업을 수행해야 하거나 대기하여야 하여 공정과정의 집중력을 저하시켰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선박 건조의 경쟁력을 하락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도크 내 선박 건조에 사용되는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간편, 신속,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반목 하중 측정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는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 상기 반목에서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설치위치를 파악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파악단계; 설치위치가 파악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상기 반목에 설치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단계; 상기 반목에 설치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 제로값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제로값측정단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측정단계; 및 측정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과 상기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을 제공한다.
이때, 제 1 실시예의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파악단계에서는 상기 반목의 양측에서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회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각 설치 시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다양한 하중값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형률을 측정하여, 가장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최적의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실시예의 스트레인게이지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로 방수형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목이 배치되는 도크 내부는 해수가 유입되는 장소이므로 이러한 방수형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 1 실시예의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측정단계에서는 핸디타입 스트레인미터(Strain Meter)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핸디타입 스트레인미터를 이용함으로써, 현장에 배치된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시시각각 측정할 수 있게 되어, 건조 중이나 도킹 중에 있는 선박 구조물의 안전성을 간편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는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 상기 반목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와이어고리를 설치하는 와이어고리 설치단계; 상기 와이어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단계; 상기 와이어의 장력 제로값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 제로값측정단계;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측정단계; 및 측정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와이어의 장력-변형률 관계계수 및 상기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을 제공한다.
이때, 제 2 실시예의 와이어고리 설치단계에서는 상기 반목의 일측면 둘레 상에 상기 와이어가
Figure 112006092195624-pat00001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고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의 와이어 장력측정단계에서는 핸디타입 텐션미터(Tension Meter)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 단계에서는 상기 도크 내에 배치될 상기 반목을 미리 넘버링(Numbering) 해 두는 반목넘버링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반목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에서 상용해석코드를 이용하여 반목의 일부를 모델링한 컨튜어(Contour)도이고, 도 4는 제 1 실시예의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에서 획득한 하중-변형률 그래프이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 획득단계(S101)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S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반목의 실제 하중을 측정하기에 앞서, 유한요소해석(FEM)이 가능한 상용해석코드((예: MSC. NASTRAN, MSC. MARC 등)를 이용하여 반목을 미리 모델링하고 하중을 부여하여, 주어진 하중에 대해 반목이 얼마만큼 변형되는가를 파악하는 단계이다.
도 2에는 반목(1)이 도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라 하중 측정이 요구되는 스틸 재질의 반목(1) 만이 일부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하중 측정이 요구되는 반목(1)은 중간 평판부(3)와, 상기 중간 평판부(3)를 기준으로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 지지부(7)와, 상기 중간 평판부(3)를 기준으로 상단에 결합되는 상단 연결부(5)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중간 평판부(3), 하단 지지부(7) 및 상단 연결부(5)는 모두 스틸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 지지부(7)는 가운데 중앙웨브(8, Web)를 구비하고, 상기 중앙웨브(8)의 전후가 밀폐되어 있는 개구(開口) 닫힘형 H-빔(Beam)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하단 지지부(7)의 상부에 중간 평판부(3)가 결합되고, 상기 중간 평판부(3)의 상부에 다시 상단 연결부(5)가 결합된다. 상단 연결부(5)의 내부는 상반목(미도시)이 삽입 연결될 수 있도록 비어있는데, 상기 하단 지지부(7)의 중앙웨브(8)와 동일한 위치 상에는 상기 중간 평판부(3)로부터 더 위로 돌출된 중앙웨브돌출부(10)가 존재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형상의 반목(1)에서는 대부분의 하중을 상기 중앙웨브돌출부(10)에서 전달받아 중간 평판부(3)를 거쳐 하단 지지부(7)까지 전달될 수 있다.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S101)에서는 반목(1)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해석을 위한 상용해석코드를 이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용해석코드로서 MSC. NASTRAN 또는 MSC. MARC를 이용하여, 도 3에 도시된 반목(1)의 컨튜어(Contour)를 모델링하고, 그 결과물로 도 4에 도시된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반목에서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설치위치를 파악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파악단계(S103)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가 상기 하단 지지부(7) 상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반목(1)에 작용하는 대칭하중 및 편심하중을 고려한 것이다.
이때, 상기 두 개의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는 반목(1) 상에서 가장 큰 하중을 받는 부분인 중앙웨브(8)의 양 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두 개의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의 설치위치(t)는 중간 평판부(3)의 하방으로 15cm 내지 20cm 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설치위치는 일정 높이 간격으로 수 차례 두 개의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를 설치하면서, 각 설치 시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다양한 하중값(예를 들어, 10 ton ~ 100ton의 범위 내에서 스텝을 10 ton씩 증가한 하중값)을 부여하고, 각각의 변형률을 측정하였을 때, 가장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최적의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이다.
다음으로, 설치위치가 파악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상기 반목에 설치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단계(S10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될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는 방수가 되는 것이 좋다. 이는 반목(1)이 도크 내에 배치되어 사용될 경우, 도크게이트(Dock Gate)의 개방으로 인한 해수의 유입으로부터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100a, 100b)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수 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반목에 설치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 제로값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제로값측정단계(S107)를 포함한다.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의 변형률 제로값이란, 하중을 받지 않고 있는 반목(1) 상에 설치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의 변형률 값을 변형률 0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S109)를 포함한다. 이러한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S109)에서는 상기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가 설치된 복수 개의 반목(1)을 도크 내에 배치시킨 후 선박을 안착시킨다.
이러한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S109)에서는 도크 내에 배치될 반목(1)을 미리 넘버링(Numbering) 해 두는 반목넘버링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측정단계(S111)를 포함한다. 반목(1)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서, 먼저 반목(1) 상에 설치된 스트레인게이지(100a, 100b)에 스트레인미터(Strain Meter)를 연결하여 반목(1)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트레인미터는 핸디타입인 것이 좋다. 이는 선박 건조 중 수시로 여러 장소에 배치된 반목(1)의 변형률을 기동성 있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과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S1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S101)에서 획득된 반목(1)의 하중-변형률 그래프와,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측정단계(S111)에서 측정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이용하면, 반목(1)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해 낼 수 있다.
제 2 실시예
도면에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반목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 및 도 6를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면, 먼저,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S201)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2 실시예의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 계(S201)는 전술한 바 있는 제 1 실시예의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S101)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목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와이어고리를 설치하는 와이어고리 설치단계(S203)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인게이지를 이용하는 제 1 실시예와 달리, 반목(1)의 하중을 측정하기 위해 반목(1)의 일측면 둘레 상에 와이어(200)를 연결시키고,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Tension)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반목(1)의 일측면 둘레 상에 와이어(200)가 연결될 수 있도록, 먼저 반목(10)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와이어고리(210a, 210b, 220a, 220b)를 설치한다.
상기 와이어고리(210a, 210b, 220a, 220b)는 반목(1)의 일측면 둘레 상에 상기 와이어(200)가
Figure 112006092195624-pat00002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사각 배치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중 상향 설치되는 제 1 상부 와이어고리(210a)와 제 2 상부 와이어고리(210b)는 상기 와이어(20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단 형태를 가지고, 하향 설치되는 제 1 하부 와이어고리(220a)와 제 2 하부 와이어고리(220b)는 상기 제 1 상부 와이어고리(210a)와 상기 제 2 상부 와이어고리(210b)에 의해 양단 고정된 상기 와이어(200)가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자유단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이로써, 일부 장력만이 측정된 와이어(200) 상에서 전체 변형률을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단계(S205)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고리 설치단계(S203)에서 설치된 복수개의 와이어고리(210a, 210b, 220a, 220b) 상에 와이어(200)를 연결한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 제로값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 제로값측정단계(S207)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 제로값이란, 하중을 받지 않는 반목(1) 상에 설치된 와이어(200)의 장력을 0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S209)를 포함한다. 제 2 실시예에서 상기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S209)는 전술한 바 있는 제 1 실시예의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S109)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크 내에 배치될 반목(1)을 미리 넘버링해주는 반목넘버링단계를 더 추가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측정단계(S2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와이어 장력측정단계(S211)는 반목(1)의 일측면에 연결된 와이어(200)의 장력을 측정하는 단계로서, 하중이 작용된 반목(1)의 일측면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이다.
제 2 실시예의 와이어 장력측정단계(S211)에 따르면, 앞서 설명되었던 와이어고리 설치단계(S203) 및 와이어 연결단계(S205)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200)가 상기 반목(1)의 일측면 둘레를 따라 두 개의 고정단[제 1 상부 와이어고리(210a), 제 2 상부 와이어고리(210b)]과 두 개의 자유단[제 1 하부 와이어고리(220a), 제 2 하부 와이어고리(220b)]에 의해 연결되어, 역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때 하나의 요소로서 작용을 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와이어(200)의 전체 구간 중 일부분의 장력 측정만으로도 전체 변형률을 알 수 있다.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 측정에는 텐션미터(Tension Meter)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핸디타입 텐션미터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앞서 제 1 실시예에서 핸디타입 스트레인미터를 이용하는 것과 동일한 이유로서, 선박 건조 중 수시로 여러 장소에 배치된 반목(1)의 변형률을 기동성 있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측정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와이어의 장력-변형률 관계 계수 및 상기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S213)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S201)에서 획득된 반목(1)의 하중-변형률 그래프와, 이미 물성치로서 알고 있는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변형률 관계계수와, 상기 와이어 장력측정단계(S211)에서 측정된 상기 와이어(200)의 장력을 이용하면 반목(1)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해 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반목 하중 측정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 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반목 하중 측정법에 따르면 스트레인게이지로 측정 가능한 변형률이나 와이어에서 측정 가능한 장력을 이용하여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간편, 신속,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되어, 반목 하중 해석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고, 선박 건조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선박 건조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
    상기 반목에서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스트레인게이지의 설치위치를 파악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파악단계;
    설치위치가 파악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상기 반목에 설치하는 스트레인게이지 설치단계;
    상기 반목에 설치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 제로값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제로값측정단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가 설치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 측정단계; 및
    측정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과 상기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파악단계에서,
    상기 반목의 양측에서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회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를 설치하고,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각 설치 시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다양한 하중 값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변형률을 측정하여, 가장 일관된 변형률이 획득되는 최적의 스트레인게이지 설치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설치단계에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는 방수형 스트레인게이지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게이지 변형률측정단계에서,
    핸디타입 스트레인미터(Strain Meter)를 이용하여 상기 스트레인게이지의 변형률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5.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획득하는 하중-변형률 그래프획득단계;
    상기 반목의 일측면에 복수개의 와이어고리를 설치하는 와이어고리 설치단계;
    상기 와이어고리에 와이어를 연결하는 와이어 연결단계;
    상기 와이어의 장력 제로값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 제로값측정단계;
    상기 와이어가 연결된 상기 반목을 도크 내에 배치한 후 선박을 안착시키는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와이어 장력측정단계; 및
    측정된 상기 와이어의 장력과 상기 와이어의 장력-변형률 관계계수 및 상기 반목의 하중-변형률 그래프를 이용하여, 상기 반목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반목하중계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고리 설치단계에서,
    상기 반목의 일측면 둘레 상에 상기 와이어가
    Figure 112006092195624-pat00003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와이어고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장력측정단계에서,
    핸디타입 텐션미터(Tension Meter)를 이용하여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8.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반목배치 및 선박안착단계에서,
    상기 도크 내에 배치될 상기 반목을 미리 넘버링(Numbering) 해 두는 반목넘버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목 하중 측정법.
KR1020060126891A 2006-12-13 2006-12-13 반목 하중 측정법 KR100801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891A KR100801157B1 (ko) 2006-12-13 2006-12-13 반목 하중 측정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6891A KR100801157B1 (ko) 2006-12-13 2006-12-13 반목 하중 측정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1157B1 true KR100801157B1 (ko) 2008-02-11

Family

ID=3934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6891A KR100801157B1 (ko) 2006-12-13 2006-12-13 반목 하중 측정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115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17Y1 (ko) 1998-07-15 2002-05-09 최명규 로드셀
KR20050024877A (ko) * 2003-09-05 2005-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하중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6317Y1 (ko) 1998-07-15 2002-05-09 최명규 로드셀
KR20050024877A (ko) * 2003-09-05 2005-03-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하중감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003.00.00 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rmar et al. Over-pressure test on BARCOM pre-stressed concrete containment
KR101041332B1 (ko) 변형률 측정에 의한 구조물의 변위측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변위측정장치
CN107476204A (zh) 一种高速铁路连续梁的线性控制方法
CN104359602B (zh) 可调刚度式船模波浪载荷垂向弯矩测量装置
CN108505458A (zh) 一种悬索桥拆除全过程的监控方法
CN101699248B (zh) 基于角度监测的识别松弛的支承索的递进式健康监测方法
KR100801157B1 (ko) 반목 하중 측정법
CN209027523U (zh) 一种预应力管道坐标定位尺
KR101954826B1 (ko) 비계 부재 최종강도 시험방법
CN109403392B (zh) 一种用于测算土体水平反力系数的系统以及方法
CN208060314U (zh) 一种实现锚具夹片在硬度检测过程中约束固定的试验装置
CN106403858A (zh) 一种超高空大悬挑钢平台端部挠度监测方法
CN207019819U (zh) 一种索力测量技术的实现装置
JPH10120360A (ja) 玉掛け支援装置と玉掛け方法
CN213874288U (zh) 一种垂直度或直角精密测量仪器
JP4498962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内部ひずみの測定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
CN101696910B (zh) 基于空间坐标监测的识别松弛的支承索的递进式方法
JP4903727B2 (ja) 埋設管路の沈下応力緩和方法
CN208282919U (zh) 一种安装于集装箱专用吊具上的集装箱空重箱检测机构
Riad et al. Fatigue life assessment of welded joints in a crane boom using different structural stress approaches
CN105116133A (zh) 一种用于监测混凝土应力的装置及方法
CN217359367U (zh) 一种预制梁单梁静载试验用加载架
CN219776549U (zh) 一种钢筋重量偏差长度检测法的检测装置
CN217504599U (zh) 弹压式检测钢筋保护层厚度的工具
CN218345963U (zh) 墩柱模板竖直度调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