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848B1 -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848B1
KR100800848B1 KR1020060071733A KR20060071733A KR100800848B1 KR 100800848 B1 KR100800848 B1 KR 100800848B1 KR 1020060071733 A KR1020060071733 A KR 1020060071733A KR 20060071733 A KR20060071733 A KR 20060071733A KR 100800848 B1 KR100800848 B1 KR 10080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ub
schedule
fragment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0976A (ko
Inventor
이병대
조병덕
한영섭
이강훈
김영집
전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17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848B1/ko
Priority to EP07112914A priority patent/EP1883243A3/en
Priority to US11/828,712 priority patent/US20080028433A1/en
Priority to CNA2007101397386A priority patent/CN101155003A/zh
Publication of KR20080010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15DVB-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5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7Demultiplexing of several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3Content authoring using a description language, e.g. Multimedia and Hypermedia information coding Expert Group [MHEG], eXtensible Markup Language [XM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VB-H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을 추가시키고,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에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상기 서브 서비스의 플래그먼트에 포함된 스케줄 아이디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생성한 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에 생성된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국과, 상기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통해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주 서비스와 상기 확인된 상기 서브 서비스들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디지털 방송 서비스, 주 서비스, 서브 서비스, DVB-H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DIGITAL VEDIA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LURALITY OF SUB SERVICES RELATING TO MAIN SERVICE SIMULTANEOUSLY DURING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도 1a 및 1b는 ESG 데이터를 채널정보로 사용하는 IP 기반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ESG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는 DVB-H CBMS에서 정의하고 있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의 스키마를 도시하는 도면,
도 2b는 Nokia OAI에서 정의하고 있는 스케줄 플래그먼트의 스키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국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방송국에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ESG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필드를 포함하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의 스키마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ESG 데이터 수신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나타내는 제어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주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와 서브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와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DVB-H(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서비스 제공 시 방송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일반 가정용 TV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데, 최근 들어 사용자들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이러한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은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휴대 단말기를 통해 디지털 방송인 모바일 TV 서비스는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VB-H (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및 OMA-BCAST (Open Mobile Alliance BroadCAST)등 다양한 형태의 표준 규격을 통해 정의되고 있다. 또한, 이들 표준 규격을 바탕으로 국내를 비롯하여 유럽 및 미주 지역에서 시범 방송 또는 본 방송을 통해서 모바일 TV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기존의 디지털 TV 서비스를 포함하여 모바일 TV 서비스는 기존 방송에서 제공되었던 비디오/오디오 서비스 이외에 데이터 서비스라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모바일 TV 서비스의 표준 규격들 중 DVB-H 전송 규격을 이용하는 모바일 TV 방송 서비스 규격으로는 일반적으로 DVB-H CBMS 표준 규격과 Nokia OAI 표준 규격이 사용된다. 이러한 DVB-H CBMS 표준 규격과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는 ESG(Electronic Service Guide)를 통해서 각 채널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 종류, 상세 내용 및 실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필요한 구성(Configuration) 파라메터들을 전달한다. 이러한 ESG는 여러 개의 플래그먼트(Fragment)들로 구성되며, 각각의 플래그먼트를 통해서 서비스 구매, 서비스 선택 및 재생에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DVB-H CBMS와 Nokia OAI에서 정의하고 있는 플래그먼트들의 종류 및 각 플래그먼트 사이의 관계를 도면 1a 및 1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ESG 플래그먼트들은 크게 서비스 구매 관련 플래그먼트, 서비스 정보 관련 플래그먼트, 서비스 수신 관련 플래그먼트와 같이 세 부류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서비스 구매 관련 플래그먼트에는 유료 서비스의 경우, 해당 채널 또는 특정 서비스 구매에 필 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정보 관련 플래그먼트에 포함되는 내용은 채널 제공자명과 같은 각 채널과 관련된 상세 정보, 각 채널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상세 정보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시간, 서비스 장르, 서비스 시청 가능 나이 등과 같은 상세 정보와 각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실제 컨텐츠 예를 들어, 오디오, 비디오, 또는 이미지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수신 관련 플래그먼트에는 선택된 서비스를 실제로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 예를 들어 선택된 서비스를 구성하는 스트림인 오디오, 비디오, 또는 데이터 등 스트림의 IP 주소 및 포트(Port) 번호 등을 포함한다.
도 1a는 DVB-H CBMS에서 정의하고 있는 플래그먼트들의 종류 및 각 플래그먼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ESG는 7개의 프래그먼트(fragment)로 구성된다. 상기 프래그먼트들은 서로 연관관계를 가지며 데이터를 참조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하나의 스케쥴 이벤트(schedule event) 108은 하나의 서비스 102와, 그 서비스에 대한 애퀴지션(acquisition) 104의 리스트 및 컨텐츠(content) 112의 리스트를 가리킨다. 하나의 서비스 102는 이 서비스에 해당하는 애퀴지션 104의 리스트를 가리키며, 하나의 컨텐츠 112는 스스로가 속해있는 서비스 102의 리스트를 가르킨다. 하나의 서비스 번들(service bundle) 100은 상기 서비스 100의 리스트를 가리키고, 하나의 구매(purchase) 106은 하나의 서비스 번들 100 및 구매 채널(purchase channel)110의 리스트를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래그먼트 100 - 112들은 서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게 된다.
도 1b는 Nokia OAI에서 정의하고 있는 플래그먼트들의 종류 및 각 플래그먼트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한 도 1a의 100, 102, 103, 106, 108, 110, 112의 플래그먼트와 도 2b의 122, 120, 132, 124, 128, 134, 126, 130의 플래그먼트들이 각각 대응된다.
상기와 같이 ESG를 구성하는 플래그먼트들 중 각각 서비스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DVB-H CBMS 표준 규격에서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를 통해 제공하고,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는 스케줄 플래그먼트를 통해 제공한다.
먼저, DVB-H CBMS 표준 규격에서는 각각의 서비스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의 스키마는 도 2a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상세 정보들은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번트에서 지칭하는 애퀴지션 플래그먼트에 포함되거나 또는 애퀴지션 플래그먼트에서 지칭된 SDP (Session Description Protocol) 파일을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에는 기본적으로 각 서비스는 하나의 서브 서비스로 구성되어 있음을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서비스가 다수의 서브 서비스로 구성된 경우에는 서브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 SDP 파일 내에 모든 서브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서브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 정보인 IP 주소 및 포트 번호 등은 획득할 수 있으나 각각의 서브 서비스 자체에 대한 상세 정보는 제공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임의의 서비스가 무료의 비디오 서비스와 유료의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로 구성되었다고 가정했을 경우, SDP를 통해서 각 서비스를 수신할 수 있는 정보는 획득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키 스트림(key stream)정보와 같은 유료 서비스 시청을 위해 필요한 상세 정보들은 SDP를 통해서 제공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는 각각의 서비스와 관련된 상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스케줄 플래그먼트의 스키마는 도 2b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SDP 파일을 포함하여 각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상세 정보는 해당 서비스가 포함된 채널의 상세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서비스 플래그먼트를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그러나 DVB-H CBMS 표준 규격을 바탕으로 하는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도 다수의 서브 서비스로 구성된 서비스를 고려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앞서 기술한 DVB-H CBMS에서 언급한 동일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DVB-H 표준 규격에서는 기존의 TV 서비스처럼 특정 시간에 특정 채널을 선택했을 경우, 비디오/오디오/데이타 서비스 중 하나의 서비스만 제공하는 형태인 각 서비스당 단일 유형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만을 제공하고 있다. 즉, DVB-H 전송 규격에 바탕을 둔 모바일 TV 표준 규격에서는 여러 개의 서비스를 모아서 하나의 서비스로 제공하는 서비스 그룹핑을 제공하는 기능이 없거나 서브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IP 주소 및 포트 번호 등과 같은 정보만을 획득할 수 있어 부분적으로만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DVB-H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을 추가시키고,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에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상기 서브 서비스의 플래그먼트에 포함된 스케줄 아이디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생성한 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에 생성된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국과, 상기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통해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주 서비스와 상기 확인된 상기 서브 서비스들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국과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국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을 추가시키는 제1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국이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에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상기 서브 서비스의 플래그먼트에 포함된 스케줄 아이디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생성한 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에 생성된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통해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3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주 서비스와 상기 확인된 상기 서브 서비스들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오디오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하나의 영상 스트림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주 서비스에 부가적인 서비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동시에 여러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그러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들 중 DVB-H 시스템의 블록 구성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방송하는 방송국(300)은 컨텐츠 제공부(302)와 방송부(304)로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 공부(302)는 컨텐츠 제공자가 담당하는 구성 요소로서, 상기 DVB-H 방송국에서 방송되는 각종 디지털 방송 컨텐츠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부(304)는 통신 사업자가 관리하는 구성 요소로서, 상기 컨텐츠 제공부(302)에서 생성된 방송 컨텐츠를 패킷(Packet)화 및 다중화하고 이를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방송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제공자는 디지털 방송에서 방송되는 각종 방송 컨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담당하는 사업자를 말하는 것이며, 상기 통신 사업자라는 것은 특정 통신 회선 임대 주파수를 통해 상기 방송 컨텐츠가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되는 것을 담당하는 사업자를 말하는 것이다.
컨텐츠 제공부(302)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는 방송채널의 프로그램 데이터인 AV(Audio, Video) 데이터 및 ESG(Electronic Service Guide)로 나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AV 데이터는 컨텐츠 제공부(302)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자의 단말기에서 오디오 신호 및 비디오 신호로 재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말하는 것이다. DVB_H는 상기 방송채널의 프로그램 데이터 이외에 방송 프로그램에 관련된 멀티미디어 정보, 방송채널과 통신을 위한 정보 예를 들면 구매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DVB_H의 방송 데이타인 ESG는 IP 기반의 전송 데이터 포맷을 가지며, 또한 방송채널의 프로그램 데이터 및 다양한 종류의 방송 관련 데이터들을 포함하게 된다. 즉, 상기 ESG 데이터는 전통적인 개념의 채널 서비스와 그 채널을 통해 방송되는 프로그램인 컨텐츠에 대한 멀티미디어 데이터(title image, title video, title audio) 정보, 구매 등과 같이 방송국 또는 방송사업자와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부(302)로부터 이러한 데이터들이 제공되면, 통신 사업자는, 입력된 데이터들을 상기 방송부(304)를 통해 디지털 방송 방식에 따라 패킷화 및 다중화한 후 방송한다. 따라서 상기 방송부(304)는 상기 방송 데이터들을 패킷화하기 위한 구성 요소 및 다중화부(310)를 구비한다.
여기서 만약 상기 도 3에서 보이고 있는 바와 같이 현재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이 DVB-H 시스템인 경우라면, 방송부(304)는 상기 패킷화부로써 IP 캡슐레이터(308)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IP 캡슐레이터(capsulator)(308)라는 것은 DVB-H 시스템의 방송 방식인 IPDC(Internet Protocol Data Casting) 방식에 따라 AV 데이터 및 ESG 데이터를 IP(Internet Protocol) 캡슐레이션(capsulation), 즉 패킷화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또한 이 뿐만 아니라 방송부(304)는 ESG 데이터와 같이 오류 발생시 파싱(Parsing)이 이루어지지 않는 데이터들의 경우 더욱 안전한 전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플루트(flute) 프로토콜(protocol)등이 적용된 전송 서버(server)(306)등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높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국(300)으로부터 다중화된 AV 데이터 및 ESG 데이터가 방송되면, 사용자의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350)는 방송 수신부(352)를 통해 이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 수신부(152) 내에 포함된 역다중화부(354)와 IP 디캡슐레이터(356)를 이용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역다중화하고, 이를 디캡슐레이션(Decapsulation)하여 원래의 AV 데이터 및 ESG 데이터로 복원한다. 그리고 상기 AV 데이터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350)의 멀티미디어 처리부(358)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따른 디지털 방송이 출력되도록 하고, ESG 데이터는 디지 털 방송 수신 단말기(350)의 ESG 저장부(360)로 출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ESG 데이터 출력을 원하는 경우 상기 방송국(300)으로부터 방송되는 디지털 방송 컨텐츠들의 프로그램(Program) 가이드(Guide)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라 주 서비스와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들의 상세정보를 포함하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를 생성하여 ESG에 생성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를 포함시켜 전송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국의 블록 구성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ESG 데이터가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생성부(307)로 입력되면,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생성부(307)는 특정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 정보들을 그룹핑 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를 생성한다. 여기서,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 정보를 그룹핑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는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의 실시 예에서는 DVB-H CBMS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생성을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만약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 주 서비스와 관련된 서브 서비스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생성부가 스케줄 플래그먼트 생성부의 명칭으로 할 수 있고, 이 구성이 하는 동작은 동일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생성부(307)에서 특정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 정보들을 그룹핑하는 방법을 2가지 방법으로 제안한다. 첫번째로, 일반적인 ESG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의 정보 저장 필드인 서브스케줄 아이디(SubScheduleID)필드를 추가하는 방법이 있다. 두번째로, 주 서비스와 관련된 서브 서비스들 각각을 별도의 플래그먼트로 추가하는 방법 이 있다.
그러면, 첫번째 방법인 일반적인 ESG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의 정보 저장 필드인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DVB-H CBMS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에 서브 서비스 정보 저장을 위해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가 추가되는 스키마는 도 7a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만약, 임의의 특정 주 서비스 A가 n개의 서브 서비스로 구성될 경우에는 A 주 서비스를 기술하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에는 n개의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가 포함된다. 또한, 각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은 해당 서브 서비스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에 포함된 스케줄 아이디 값으로 설정된다.
다음으로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플래드먼트에 서브 서비스 정보 저장을 위한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가 추가되는 스키마는 도 7b와 같이 도시할 수 있다.
한편, 두번째 방법인 주 서비스와 관련된 서브 서비스들 각각을 별도의 플래그먼트로 추가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서브 서비스는 논리적으로는 임의의 주 서비스에 포함되는 하위 서비스 개념을 가지나 서브 서비스는 그 자체로 독자적인 서비스로도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서비스를 나타내는데 필요한 정보는 주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플래그먼트의 모든 필드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DVB-H CBMS에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나 Nokia OAI에서 스케줄 플래그먼트에서 사용되는 모든 필드가 사용되어져야 한 다.
즉, 상기의 첫번째 방법에서는 하나의 플래그먼트를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를 기술하는데 공용으로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이고, 두번째 방법은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를 나타내는 플래그먼트를 별도로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나 두번째 방법의 경우,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의 플래그먼트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필드는 동일하며, 주 서비스를 위한 플래그먼트에는 서브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플래그먼트를 지칭하기 위한 필드인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SubScheduleID)가 더 포함된다.
또한, 선택 사항으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가 주 서비스를 나타내는 플래그먼트인지 서브 서비스를 나타내는 플래그먼트인지를 알려 주는 필드를 추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기존 필드 값의 조합을 이용해서 해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 서비스의 경우에는 반드시 "ServiceRef"를 유효한 값으로 설정해야 하는 반면, 서브 서비스인 경우에는 "ServiceRef"를 빈 값으로 설정한다든지 하는 방법으로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를 구별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생성부(307)에서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디지털 방송국에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 정보를 그룹핑한 ESG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600 단계에서 주 서비스에 대해 관련된 제공 가능한 서브 서비스를 확인한 후 602단계에서 제공 가능한 서브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 저장필드를 포함시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를 생성한다. 이때, 플래그먼트의 생성은 상기의 2가지 방법 중 한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후, 604단계에서 생성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를 포함하는 ESG 데이터를 생성한 후 606단계에서 생성된 ESG 데이터를 출력합니다.
그러면 이제 상기와 같이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 정보가 그룹핑 된 플래그먼트를 포함하는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ESG 데이터를 파싱하여 주 서비스와 서브 서비스 정보를 확인하여 동시에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부(352), 무선부(504), 키입력부(506), 표시부(508), 메모리부(512), 음성 처리부(510),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500)는 일반적인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무선 인터넷 접속 및 디지털 방송을 위한 프로토콜에 따라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처리를 하고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0)는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통해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주 서비스와 상기 확인된 상기 서브 서비스들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500)의 구체적인 제어동작은 하기의 도 8의 흐름도에서 살펴보도록 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부(352)는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AV 데이터와 ESG 데이터로 역다중화하기 위한 역다중화부(354)와 상기 역다중화된 데이터들을 디캡슐레이션하기 위한 IP 디캡슐레이터(356)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P 디캡슐레이터(356)는 상기 역다중화부(354)로부터 입력되는 AV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하기 위한 AV 데이터 디캡슐레이터(514)와, 상기 역다중화부(354)로부터 입력되는 ESG 데이터를 디캡슐레이션하기 위한 ESG 데이터 디캡슐레이터(514)를 구비한다.
무선부(504)는 통상적으로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수행하는데 RF 모듈과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구성될 수 있고, RF 모듈은 안테나(ANT)를 통해 기지국과 RF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러면, 먼저 RF 모듈은 수신되는 RF신호를 IF(Intermediate Frequency)신호로 변환하여 베이스밴드 처리부로 출력하고 베이스밴드 처리부(120)로부터 입력하는 IF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베이스밴드 처리부는 제어부(500)와 RF모듈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BAA(Baseband Analog ASIC)로서, 제어부(500)로부터 인가되는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를 아날로그 IF신호로 변환하여 RF모듈에 인가하며, RF모듈로부터 인가되는 아날로그 IF신호를 베이스밴드의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500)에 인가한다.
키 입력부(506)는 숫자키들을 포함한 각종 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키 입력 신호를 제어부(500)에 제공한다.
표시부(508)는 제어부(500)의 제어 하에 각종 메시지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리고 표시부(508)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TFT(Thin Film Transistor),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512)는 롬(ROM: 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 롬은 제어부(50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과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램은 제어부(5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를 제공하며, 플래시 메모리는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메모리부(512)는 ESG 데이터 저장부(360)를 구비하는데, 이러한 ESG 데이터 저장부는 제어부(550)에 의해 ESG 데이터를 파싱하여 확인된 특정 주 서비스에 관련된 서브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파싱 결과를 저장하게 되면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를 선택할 경우 바로 저장된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제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음성처리부(Voiceband Signal Processor)(510)는 마이크로폰(MIC) 및 스피커(SPK)와 접속되며, 호 연결 시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 화하여 제어부(500)로 출력하고, 제어부(5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ESG 데이터 수신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동작 과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800단계에서 사용자의 디지털 비디오 방송 모드 선택에 따라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면 제어부(500)는 802단계에서 ESG 데이터를 추출하여 저장한다. 이후, 사용자에 의해 특정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806단계로 진행하여 각 서비스의 스케줄 아 이디값과 선택된 서비스의 모든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비교한다. 이후, 808단계에서 제어부(500)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과 일치하는 스케줄 아이디 값이 있는지를 검사한 후 만약 일치하는 아이디 값이 있으면 810단계로 진행하여 일치한 스케줄 아이디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선택된 서비스의 서브 서비스로 인지하고, 이를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와 사용자가 임의의 특정 서비스를 선택했을 경우 DVB-H 단말기에서는 각 서비스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또는 스케줄 플래그먼트의 스케줄 아이디 필드값과 선택된 서비스의 모든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값을 비교한다. 이후 일치하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를 선택된 서비스의 서브 서비스로 간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단말기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 인스턴스에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브 서비스를 위한 플래그먼트 임을 인지한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주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와 서브 서비스를 위한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와의 관계를 설명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주 서비스에 대응되는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가 (a)와 같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a)의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에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이 2,3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말기는 저장된 다른 스케줄 이벤트 플래그먼트들의 스케줄 아이디 필드 값을 확인하여 2, 3을 가진 플래그먼트를 확인하고 이들을 사용자가 선택한 주 서비스에 대한 서브 서비스임을 확인한다. 이후, 확인된 서브 서비스의 정보들을 주 서비스를 화면에 출력하면서 동시에 같이 화면에 출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VB-H 전송 규격을 사용하는 모바일 TV 서비스 표준에서 ESG 플래그먼트에 서브 서비스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필드를 추가하여 특정 채널을 선택했을 때 선택된 서비스 내에서 여러 서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주 서비스 이외의 서브 서비스들을 동시에 제공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TV 시청 중에 전화음 다운로드와 같은 부가적인 서비스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8)

  1.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 있어서,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을 추가시키고,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에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상기 서브 서비스의 플래그먼트에 포함된 스케줄 아이디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생성한 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에 생성된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방송국과,
    상기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통해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주 서비스와 상기 확인된 상기 서브 서비스들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는 DVB-H CBMS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이벤트 플레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 송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는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플래그먼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는,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각 서비스의 스케줄 아이디 값과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의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비교하고,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값과 일치하는 스케줄 아이디 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선택된 주 서비스의 서브 서비스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
  5. 디지털 방송국과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디지털 비디오 방송 시스템에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국이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에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각각 저장할 수 있는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을 추가시키는 제1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국이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 필드들에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상기 서브 서비스의 플래그먼트에 포함된 스케줄 아이디값으로 설정하여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생성한 후,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데이터에 생성된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ESG 데이터를 수신하고, 하나의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를 통해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에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서비스들의 정보를 확인하는 제3 과정과,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가 상기 주 서비스와 상기 확인된 상기 서브 서비스들을 함께 화면에 표시하는 제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는 DVB-H CBMS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이벤트 플레그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정보 플래그먼트는 Nokia OAI 표준 규격에서의 스케줄 플래그먼트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제 3과정은,
    주 서비스가 선택되면 각 서비스의 스케줄 아이디 값과 상기 선택된 주 서비스의 서브 스케줄 아이디 값을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서브 스케줄 아이디값과 일치하는 스케줄 아이디 값을 가지는 서비스를 선택된 주 서비스의 서브 서비스로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 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KR1020060071733A 2006-07-28 2006-07-28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KR10080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33A KR100800848B1 (ko) 2006-07-28 2006-07-28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EP07112914A EP1883243A3 (en) 2006-07-28 2007-07-23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elated sub-services simultaneously with main service in offering DVB-H service
US11/828,712 US20080028433A1 (en) 2006-07-28 2007-07-26 System and method for offering related sub-services simultaneously with main service in offering dvb-h service
CNA2007101397386A CN101155003A (zh) 2006-07-28 2007-07-30 Dvb-h服务中提供主服务和相关子服务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733A KR100800848B1 (ko) 2006-07-28 2006-07-28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976A KR20080010976A (ko) 2008-01-31
KR100800848B1 true KR100800848B1 (ko) 2008-02-04

Family

ID=38740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733A KR100800848B1 (ko) 2006-07-28 2006-07-28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28433A1 (ko)
EP (1) EP1883243A3 (ko)
KR (1) KR100800848B1 (ko)
CN (1) CN10115500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7953B (zh) * 2021-07-16 2023-08-04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服务状态的切换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390A (ko) * 1995-06-07 1999-03-25 잔 에프, 콘스탄틴 데이터 피드 액세스를 가지는 전자 텔레비젼 프로그램 가이드스케쥴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5885A (ko) * 2000-04-12 2001-11-07 김승현 음악화일의 방송 실시간 온 디멘드 다운로드시스템
KR20040077413A (ko) * 2003-02-27 2004-09-04 최태승 방송과 연계한 모바일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47054A (ko) * 2004-11-15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스포츠 정보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15908A1 (en) * 2004-06-30 2006-01-19 Nokia Corporation Multiple services within a channel-identification in a device
US7738863B2 (en) * 2005-08-25 2010-06-15 Nokia Corporation IP datacasting middleware
US8607271B2 (en) * 2005-08-26 2013-12-10 Nokia Corporation Method to deliver messaging templates in digital broadcast service guide
WO2007148194A2 (en) * 2006-06-19 2007-12-27 Nokia Corporation Optimized acquisition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390A (ko) * 1995-06-07 1999-03-25 잔 에프, 콘스탄틴 데이터 피드 액세스를 가지는 전자 텔레비젼 프로그램 가이드스케쥴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5885A (ko) * 2000-04-12 2001-11-07 김승현 음악화일의 방송 실시간 온 디멘드 다운로드시스템
KR20040077413A (ko) * 2003-02-27 2004-09-04 최태승 방송과 연계한 모바일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47054A (ko) * 2004-11-15 200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의 스포츠 정보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8433A1 (en) 2008-01-31
CN101155003A (zh) 2008-04-02
EP1883243A2 (en) 2008-01-30
EP1883243A3 (en) 2009-12-09
KR20080010976A (ko) 2008-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048B1 (ko) 방송 컨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방송서비스 방법
US7747214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received terrestrial digital broadcasting data
US20090328099A1 (en) Broadcast system with a local electronic service guide generation
US8359615B2 (en) Method and digital broadcasting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SG
CN103210660A (zh) 接收设备、接收方法、程序和广播系统
US20070240188A1 (en) Datacasting
EP1825669A1 (en) Phone functions triggered by broadcast data
KR20070045622A (ko) 방송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2012110050A (ja) 放送送信装置、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送信方法
JP2004349932A (ja) デジタル放送の補完視聴サービスサーバ、携帯受信機、及びデジタル放送補完視聴サービス方式
CN101356815B (zh) 在播送节目之间进行单独更换的装置和方法
KR100800848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WO2009145182A1 (ja) 映像サービス受信端末装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検索サーバ
US200600754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for a digital broadcasting program
KR20090029140A (ko) 휴대 방송 서비스에서 표준 시각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744331B1 (ko) 통신 사업자 데이터를 방송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및 디지털 방송 방법
US2007029472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SG in a digital video broadcasting system
EP2352288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service data of handset tv
KR101358709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229896B1 (ko) 다중 주파수 채널을 사용하는 디지털 방송수신기의서비스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US8578424B2 (e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electronic service guide data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KR10137794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관련 정보 처리 방법 및 이를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방송 시스템
KR101058244B1 (ko) 베이직 전자 가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베이직 전자 가이드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디지털 방송 시스템
KR101253160B1 (ko)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