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160B1 -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160B1
KR101253160B1 KR1020060049420A KR20060049420A KR101253160B1 KR 101253160 B1 KR101253160 B1 KR 101253160B1 KR 1020060049420 A KR1020060049420 A KR 1020060049420A KR 20060049420 A KR20060049420 A KR 20060049420A KR 101253160 B1 KR101253160 B1 KR 101253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broadcasting
board game
sig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9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256A (ko
Inventor
전성익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94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160B1/ko
Publication of KR2007011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1Gam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센터로부터 호 연결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된 컨텐츠 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신호를 상기 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센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상기 키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컨텐츠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용 호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용 단말기와 방송센터간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방송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게임등의 다양한 컨텐츠방송에 참여할 수 있고, 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통신 사업자 측면에서 통화요금등의 부가적인 수익이 창출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컨텐츠 방송, 인터랙티브 방송

Description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s broadcasting service using terminal for broadcasting and terminal for broadcasting thereof and system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와 방송센터간의 게임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10 : 방송용 단말기 120 : 기지국
130 : 방송센터 310 : 방송수신부
320 : 무선부 330 : 키입력부
340 : 메모리 350 : 오디오부
360 : 표시부 370 : 제어부
본 발명은 방송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방송채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통신 및 방송 분야의 융합 현상으로 인하여, 디지털 방송을 이동 중에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이 출현한 이동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는 이동 중 언제 어디서나 CD급 고품질의 라디오, TV 동영상 및 문자방송 수신이 가능한 오디오, 비디오, 데이터의 이동 방송 서비스라 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중 현재 실용화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서비스는 전송 방식과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크게 지상파 DMB(TDMB: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와 위성 DMB(SDMB: Satellite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서비스로 나뉘어진다. 그 외 세계적으로 디지털 방송 서비스의 방식을 달리하여 예를 들면 DAB(Digital Audio Broadcasting), IBOC(In-Band On-Channel), ISDB-T, DVB-T, DVB-H 등이 서비스 실행 중이거나 실시 준비 중에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방송은 뉴스, 연예, 게임, 자동응답서비스(Automatic Response Service; 이하 'ARS') 퀴즈등의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 방송서비스를 방송채널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러나, 사용자 측에서는 상기 컨텐츠 방송을 시청만 할 뿐, 사용자가 시청중인 컨텐츠 방송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존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용 호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용 단말기와 방송센터간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방송서비스를 구현하는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은, 방송센터로부터 호 연결정보가 포함된 컨텐츠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하는 단계와; 상기 재생된 컨텐츠 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신호를 상기 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센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상기 키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컨텐츠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방송은, 게임(Game) 방송인 점이다. 또한, 상기 생성된 컨텐츠방송신호는, 상기 재생된 컨텐츠방송이 상기 키신호에 따라 음향과 문자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가 변환된 점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은, 호 연결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방송신호를 방송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방송용 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가 포함된 호신호 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키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방송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컨텐츠방송신호를 상기 방송용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호 연결 정보를 포함한 컨텐츠방송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컨텐츠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가 포함된 호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키신호에 상응하는 컨텐츠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방송센터와;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방송을 재생 시, 상기 컨텐츠 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키신호를 상기 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센터로 송신하고,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상기 키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컨텐츠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용 단말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는, 호 연결 정보가 포함된 컨텐츠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와; 상기 호 연결정보를 통해 방송센터로 상기 컨텐츠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부와; 상기 방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방송신호 재생 시 상기 컨텐츠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가 입력되면 무선부를 통해 상기 키신호를 상기 방송센터로 송신하고, 상기 방송수신부로부터 상기 키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컨텐츠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은, 다양한 디지털 방송 규격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방송 규격의 예를 들면, 유레카-147[ETSI EN 300 401]에 기반한 유럽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 이하 'DAB'), 휴대 이동 방송(Digital Video Broadcasting-Handheld; 이하 'DVB-H'), 미국 퀄컴사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미디어플로(MediaFLO), 한국의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 등이 있다. 각각의 디지털 방송 규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PDA, PMP, 휴대폰,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뿐만 아니라 게임기와 같은 여러 타입의 디지털방송 수신이 가능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DMB 방송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본 발명이 반드시 DMB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앞서, 본 발명에서 거론되는 컨텐츠 방송이란, 뉴스, 연예, 게임, 자동응답서비스(Automatic Response Service; 이하 'ARS') 퀴즈등의 다양한 형태의 방송이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텐츠 방송이 게임 방송이라는 가정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게임 방송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 일 실시예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와 방송센터간의 게임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신호 처리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방송센터(130)는, 자신의 호 연결 정보를 포함한 게임 방송신호를 방송용 단말기(110)로 송신한다[S201].
방송용 단말기(110)는, 상기 방송센터(130)로부터 수신된 게임 방송신호를 이미지와 음향 및 문자신호로 분리하여 복호한 후, 상기 복호된 이미지 및 문자신호는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복호된 음향신호는 스피커로 출력하여 재생한다[S202].
바람직하게, 상기 호 연결 정보는 상기 S202 단계의 역 다중화 및 복호 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문자 및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화면에 표시된다.
방송용 단말기(110)는, 상기 게임 방송신호에 포함된 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120)을 통해 방송센터(130)와 호를 연결한다[S203].
바람직하게, 상기 호 연결 정보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이미지를 사용자가 선택하거나 또는 방송용 단말기의 통화연결을 위한 키를 누르면 상기 방송센터와 호가 연결될 수 있다.
방송용 단말기(110)는, 상기 게임 방송신호를 재생 중, 사용자로부터 상기 게임 방송내의 게임을 조작하기 위한 키 신호가 입력되면[S204], 상기 입력된 키신호를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방송센터(130)로 송신한다[S205].
바람직하게, 상기 키신호는, 사용자가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키 누름에 따라 발생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 신호이고, 상기 방송용 단말기(110)는 상기 DTMF 신호를 상기 방송센터(130)로 송신한다.
방송센터(130)는, 상기 방송용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게임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키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S201 단계에서 송신한 게임 방송신호의 이후에 송신 예정인 게임 방송신호의 음향과 문자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변환하여 생성하고[S206], 이를 방송용 단말기(110)로 송신한다[S207].
방송용 단말기(110)는, 방송센터(130)로부터 상기 생성된 게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S208].
이하 상기 방송용 단말기(110)의 세부적인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나타낸 일 실시예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방송수신부(310)는, 상기 방송센터(130)로부터 호 연결 정보가 포함된 게임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미지와 음향 및 문자신호로 분리하여 복호한다.
무선부(320)는, 제어부(370)의 제어에 따라, 상기 호 연결정보를 통해 방송센터(130)로 상기 게임방송의 조작을 위한 키신호를 송신한다.
키입력부(330)는, 유저 인터페이스로써, 복수개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구비하고, 상기 키들에 대한 키신호를 제어부(370)로 출력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키입력부(330)는, 터치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340)는,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 프로그램과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제어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한다.
오디오부(350)는, 상기 방송용 단말기에 구비된 스피커로 구성되며, 제어부(3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340)에 저장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하거 나 또는 방송수신부(310)를 통해 복호된 음향신호를 가청음 상태로 출력한다.
표시부(360)는, 제어부(370)의 제어신호에 따라, 키입력부(330)로부터 키 신호에 상응하는 표시 데이터를 입력받아 표시하고,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다수의 정보를 아이콘 및 문자 형태로 표시하고, 방송수신부(310)를 통해 복호된 문자 및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370)는, 상기 방송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고 이하 도 4a 내지 도 4c 참조하여 제어부의 동작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게임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을 나타낸 일 실시예 화면 설명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제어부(370)는, 방송센터(130)로부터 호 연결정보가 포함된 게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 중, 키입력부(33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상기 재생 중인 게임 참여를 위한 키신호(410)를 입력받으면[도 4a], 상기 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무선부(320)를 통해 상기 방송센터(130)와 호를 연결한다[도 4b].
제어부(370)는, 상기 방송센터(130)와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입력부(330)의 방향이동키 또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게임 조작을 위한 키신호(420)를 입력하고, 상기 키신호(420)를 송신하기 위한 키(430)를 누르면, 무선부(320)를 통해 상기 키신호(420)를 방송센터(130)로 송신한다[도 4b].
제어부(370)는, 상기 키입력부(330)가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일 경우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하여 상기 게임 조작을 위한 키신호(420)를 입력받을 수 있 다.
제어부(370)는, 상기 방송센터(130)로부터 상기 송신한 키신호에 상응하여 생성된 게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생한다[도 4c].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게임 방송이란 가정하에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은, 이동통신용 호 신호를 이용하여 방송용 단말기와 방송센터간의 인터랙티브 컨텐츠 방송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직접 게임등의 다양한 컨텐츠방송에 참여할 수 있고, 호를 이용하기 때문에 통신 사업자 측면에서 통화요금등의 부가적인 수익이 창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방송센터로부터 사용자의 보드 게임(Board Game) 참여를 위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 및 호 연결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보드게임 방송 영상을 재생하여 터치스크린의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화면 상에 상기 수신된 호 연결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미지가 터치됨이 감지되면, 상기 터치된 이미지에 따른 상기 호 연결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방송센터와 호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재생 중인 보드게임 방송 영상에 따른 보드게임의 조작을 위한 터치 신호가 입력됨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를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방송센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방송센터로부터 상기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보드게임 조작이 반영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이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방송센터로부터 사용자의 보드 게임(Board Game) 참여를 위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 및 호 연결정보가 포함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부;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상기 수신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 및 상기 호 연결정보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화면 상에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호 연결정보를 통해 상기 방송센터와 호를 연결하고, 상기 방송센터로 상기 보드게임의 조작을 위한 터치신호를 송신하는 무선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이미지가 터치됨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부가 상기 터치된 이미지에 따른 상기 호 연결정보를 통해 상기 방송센터와 호를 연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을 통해 상기 재생 중인 보드게임 방송 영상에 따른 보드게임의 조작을 위한 터치 신호가 입력됨이 감지되면, 상기 무선부가 상기 입력된 터치 신호를 상기 연결된 호를 통해 상기 방송센터로 송신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방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터치 신호에 해당하는 보드게임 조작이 반영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이 포함된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표시부가 상기 수신된 보드게임의 방송 영상을 상기 화면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방송용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60049420A 2006-06-01 2006-06-01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1253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20A KR101253160B1 (ko) 2006-06-01 2006-06-01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9420A KR101253160B1 (ko) 2006-06-01 2006-06-01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256A KR20070115256A (ko) 2007-12-05
KR101253160B1 true KR101253160B1 (ko) 2013-04-10

Family

ID=3914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9420A KR101253160B1 (ko) 2006-06-01 2006-06-01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16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12A (ko) * 2001-02-28 2002-09-05 (주) 엘지텔레콤 휴대폰의 퀴즈제공방법 및 그 데이터처리시스템
KR20050008984A (ko) * 2003-07-14 2005-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퀴즈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812A (ko) * 2001-02-28 2002-09-05 (주) 엘지텔레콤 휴대폰의 퀴즈제공방법 및 그 데이터처리시스템
KR20050008984A (ko) * 2003-07-14 2005-01-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실시간 양방향 퀴즈 서비스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256A (ko)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0191B1 (ko) 지상파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0372375C (zh) 在移动终端中注册并显示数字多媒体广播频道的方法
CN100518256C (zh) 在数字广播接收终端上显示壁纸的方法
KR100713505B1 (ko) 디지털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선호 채널 공유 방법
WO2006064338A1 (en) Phone functions triggered by broadcast data
KR10070337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CN103167347A (zh) 移动终端电视节目音视频重新搭配的方法和系统
US87801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mobile broadcast service
KR10084628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방송 정보 공유 방법
KR10073535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양방향 디지털 방송 서비스 방법
KR101253160B1 (ko) 방송용 단말기를 이용한 컨텐츠 방송서비스 제공 방법 및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20080037416A1 (en)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for multitasking
KR100754646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 통신 단말기의 오디오 전송 방법
CN101150728B (zh) 数字视频广播系统、数字视频广播终端和方法
CN101005578A (zh) 提供广播预览服务的dmb终端和方法
KR100713448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에 따른 디지털 방송 출력 방법
KR100739603B1 (ko)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및 cbs 메시지를 이용한디지털방송데이터 송수신 방법
KR100691944B1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의 시청 중 문자메시지 간편 전송시스템, 전송방법 및 간편 통화방법
KR100622257B1 (ko) Mpeg-2 전송 스트림 규격을 이용한 텍스트 백-링크처리 방법
KR101253174B1 (ko)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방송채널 알림 방법
KR20110105951A (ko) 모바일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경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0800848B1 (ko) 디지털 방송 서비스 제공 시 주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개의서브 서비스를 동시 제공하기 위한 디지털 비디오 방송시스템 및 디지털 비디오 방송 방법
KR100703852B1 (ko)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이동 전화 단말기에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KR101181781B1 (ko) 문자방송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방송용 단말기 및 이를위한 시스템
KR20060099964A (ko) 이동멀티미디어방송 서비스 도중 무선인터넷 접속 시스템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