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576B1 - 모바일 단말기 - Google Patents

모바일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576B1
KR100800576B1 KR1020060119740A KR20060119740A KR100800576B1 KR 100800576 B1 KR100800576 B1 KR 100800576B1 KR 1020060119740 A KR1020060119740 A KR 1020060119740A KR 20060119740 A KR20060119740 A KR 20060119740A KR 100800576 B1 KR100800576 B1 KR 10080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isplay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9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예성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119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모바일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일측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는 화면개구가 마련된 케이싱; 화면개구를 통하여 화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및 화면개구가 인접한 케이싱의 내측벽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싱의 내측벽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케이싱의 내측벽과 디스플레이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쿠션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화면개구를 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 PDA, 디스플레이, 화면개구, 방수

Description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산업용 PD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산업용 PDA의 상부케이싱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액정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중간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고무패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2의 쿠션필름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2의 쿠션필름, 액정디스플레이 및 고무패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업용 PDA 10 : 케이싱
10a : 상부케이싱 10b : 하부케이싱
16 : 화면개구 20 : 액정디스플레이
22 : 화면 22 : 화면테두리
30 : 쿠션필름 31 : 쿠션층
32, 33 : 접착제층 40 : 고무패드
41 : 측면지지부 42 : 배면지지부
50 : 중간프레임 55 : 디스플레이 안착홈
60 : 메인 보드 70 : 배터리
본 발명은,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싱의 화면개구를 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단말기(Mobile Terminal)는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하면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휴대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 그리고 개인휴대단말기로 불리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대표적이다. 따라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바일 단말기’라는 용어는 이들을 모두 포함하는 용어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복잡해지고 다양화되는 사회 속에서 개인은 나름대로의 정보를 보관하거나 유지하여야 하는 필요성이 생기게 되었고, 이러한 개인의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전자제품들이 현재 시장에 출시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이다.
PDA는 포켓용 컴퓨터로도 불리는데, 계산, 정보저장 및 검색기능 등을 갖춘 손바닥 크기의 장치를 총칭하는 용어로서, 종종 스케줄 캘린더와 주소록 정보 등을 유지하는데 많이 쓰인다. 특히, 현재 물류산업을 중심으로 산업용 PDA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용 PDA는 일반 PDA에 없는 바코드 스캐너, 카드 결제기 등 다양한 사무용 기능을 갖춘 PDA로서, 산업용 PDA를 사용하면 배송이나 자료관리 그리고 관련업무 등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험사에 있어서는 고객정보관리, 고객검색, 일정관리, 상담일지관리, 기념일 검색, 자금계산서 처리 등의 각종 보험관련 업무를 보험설계사가 산업용 PDA를 이용해 현장에서 직접 처리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병원에 있어서는 환자의 진료기록과 병력, 처방은 물론 X-레이 등 영상 이미지와 그래픽 자료도 시간과 장소 제한 없이 의료진이 휴대한 산업용 PDA로 입력하거나 검색할 수 있고, 또한 경찰의 업무에 있어서는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 업무를 산업용 PDA를 통해 실시하여 현재 단속 뒤 2-3일이 지나야 납부할 수 있는 교통법규 위반 범칙금을 즉시 금융기관에 납부할 수 있게 하여 교통, 방범경찰의 외근 단속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산업용 PDA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어지며, 따라서 산업용 PDA는 다양한 산업적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여러 가지 기계적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그 중 한 가지가 방수 기능이다. 산업용 PDA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보통이며 또한 야외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비, 눈, 땀 등의 수분 (水分)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다. 만약, 산업용 PDA가 방수 구조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산업용 PDA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 다수의 전자부품을 내장하는 산업용 PDA가 고장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산업용 PDA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 가능한 여러 경로가 있을 수 있다. 그 중 하나의 경로가, 산업용 PDA의 케이싱에 형성되어 화면을 노출시키는 화면개구를 통한 경로이다.
따라서, 방수(防水)는 산업용 PDA가 갖추어야 할 중요한 특성이며, 이러한 산업용 PDA의 방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산업용 PDA의 화면개구를 통하여 산업용 PDA의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싱의 화면개구를 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일측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는 화면개구가 마련된 케이싱; 화면개구를 통하여 화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및 화면개구가 인접한 케이싱의 내측벽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케이싱의 내측벽과 디스플레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케이싱의 내측벽과 디스플레이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쿠션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쿠션필름은, 화면개구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일면이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접착되고 타면이 화면개구가 인접한 케이싱의 내측벽에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쿠션필름은, 탄성 재질의 쿠션층; 및 쿠션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접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에는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안착홈이 마련되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와 디스플레이 안착홈 사이에는 고무패드가 개재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싱은, 화면개구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싱; 및 상부케이싱과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싱; 및 상부케이싱과 하부케이싱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에 각각 결합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안착홈은, 중간프레임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고무패드는, 디스플레이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접촉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및 디스플레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접촉 지지하는 배면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산업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일 수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 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휴대폰, 그리고 산업용 개인휴대단말기 및 일반 개인휴대단말기를 포함한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모바일 단말기가 플립형이든 폴더형이든 그 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주로 플립형으로 제작되는 산업용 PDA에 적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산업용 PD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산업용 PDA의 상부케이싱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2의 액정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중간프레임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고무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2의 쿠션필름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업용 PDA(1)는, 산업용 PDA(1)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10, Casing)과, 케이싱(10)의 화면개구(16)를 통하여 화면을 외부로 노출하는 액정디스플레이(20, LCD, Liquid Crystal Display)와, 케이싱(10)에 고정 설치되어 액정디스플레이(20)를 수용 지지하는 중간프레임(50)과, 액정디스플레이(20) 등의 전자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보드(60)와, 액정디스플레이(20) 등의 전자 부품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70)와, 배터리(70)가 수용되 는 배터리 수용홈(미도시)을 차폐하는 배터리 커버(80)을 구비한다.
케이싱(10)은,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을 구비한다.
상부케이싱(10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영역에 다수 개의 버튼공(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영역에는 화면개구(16)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공(13)은, 다수의 신호입력버튼(12, 도 1 참조)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신호입력버튼(12)에 대응되는 위치와 형상을 갖도록 절취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신호입력버튼(12)은 키패드 유닛(14, 도 3 참조)의 일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며, 키패드 유닛(14)이 상부케이싱(10a) 내에 일체로 결합될 때 버튼공(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화면개구(16)는,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직사각형의 형상으로 절취되어 마련된다. 화면개구(16)는 산업용 PDA(1)의 내부 공간으로 비, 눈, 땀 등의 수분이 유입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이 산업용 PDA(1)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면 산업용 PDA(1)가 치명적인 손상을 받을 수 있으므로, 산업용 PDA(1)는 화면개구(16) 부근에서의 방수 구조를 갖출 필요가 있다.
하부케이싱(10b)은, 상부케이싱(10a)과 상호 대향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부케이싱(10b)은 상부케이싱(10a)과의 사이에 액정디스플레이(20) 및 그 밖의 내장부품들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하부케이싱(10b)의 배면에는 내장된 전자부품들에게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배터리(70)는 별도의 배터리 커버(80)에 의해 하부케이싱(10b)에 형성된 배터리 수용홈에 수용된다.
참고로, 상부케이싱(10a)과 및 하부케이싱(10b)의 사이에는 상부 및 하부케이싱(10a, 10b)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여 방수 기능을 담당하는 개스킷(미도시) 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액정디스플레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21)과 후면(25)을 구비한다. 액정디스플레이(20)의 전면(21)에는 상부케이싱(10a)에 형성된 화면개구(16)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화상 이미지를 제공하는 직사각형의 화면(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화면(22)은 화면테두리(23)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20)의 전면(21)은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에 대향하며 후면(25)은 후술하게 될 중간프레임(50)에 안착된다. 그리고 액정디스플레이(20)는, 일측에 액정디스플레이(20)를 메인 보드(60)에 연결하는 유연성 기재필름(27, FPC, Flecible Printed Circuit)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산업용 PDA(1)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액정디스플레이(20)를 구비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액정디스플레이(20)를 유기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플라즈마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변경할 수 있다.
중간프레임(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의 중간에 배치되며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 각각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을 위해 중간프레임(5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 6개의 관통공(51, 52)를 구비한다. 중간프레임(50)의 네 모서리 부근에 위치하는 4개의 관통공(51) 각각을 통하여 수나사가 관통하여 하부케이싱(10b)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중 간프레임(50)이 하부케이싱(10b)에 결합된다. 그리고, 중간프레임(50)의 중간부분에 위치하는 나머지 2개의 관통공(52) 각각에 수나사가 관통하여 상부케이싱(10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중간프레임(50)이 상부케이싱(10a)에 결합된다.
중간프레임(5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의 사이의 수용공간을 대략 이등분한다. 그리하여, 중간프레임(50)과 상부케이싱(10a) 사이의 수용공간에는 액정디스플레이(20)가 수용되며, 중간프레임(50)과 하부케이싱(10b) 사이의 수용공간에는 메인 보드(60) 등의 내장부품이 수용된다.
중간프레임(50)의 중간부에는 관통형성된 연통개구(53)가 형성되어 있는데, 연통개구(53)를 통하여 액정디스플레이(20)의 유연성 기재필름(27)이 메인 보드(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중간프레임(50)의 하단부에는 관통형성된 버튼연결공(54)이 형성되어 있어, 중간프레임(50)과 하부케이싱(10b) 사이에 수용되는 내장부품에 키패드(14)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프레임(50)은, 액정디스플레이(20)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안착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안착홈(55)은 액정디스플레이(20)의 형상에 대응하여 중간프레임(50)의 판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요입 형성된다. 액정디스플레이(2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 안착홈(55)에 수용되며, 액정디스플레이(20)의 배면(25) 및 측면(29)은 디스플레이 안착홈(55)의 측벽과 바닥면에 접하여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고무패드(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20)와 디스플레 이 안착홈(55) 사이에 개재되어 액정디스플레이(20)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무패드(40)는, 액정디스플레이(20)가 중간프레임(50)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다.
이에 고무패드(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20)의 측면(29)을 접촉지지하는 측면지지부(41)와, 액정디스플레이(20)의 배면(25)을 접촉지지하는 배면지지부(42)를 구비한다.
고무패드(40)의 측면지지부(41)는, 그 두께가 액정디스플레이(20)의 측면(29)과 디스플레이 안착홈(55)의 측벽 사이의 간격보다 작도록 마련된다. 그리하여, 고무패드(40)의 측면지지부(41)는, 액정디스플레이(20)가 디스플레이 안착홈(55)에 안착될 경우 이들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수축 변형하여 액정디스플레이(20)의 측면을 내측으로 밀어주어 액정디스플레이(20)가 중간프레임(50)에 대해 상대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고무패드(40)의 측면지지부(41)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액정디스플레이(20)의 측면(29)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고무패드(40)의 배면지지부(42)는, 액정디스플레이(20)의 배면(25)과 중간프레임(50)의 디스플레이 안착홈(55)의 바닥 사이에 위치하여 액정디스플레이(20)의 배면(25)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리고 고무패드(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개구(43)를 구비하여 액정디스플레이(20)에 구비된 유연성 기재필름(27)이 고무패드(40)를 통하여 중간프레임(50)의 연통개구(53)에 연통될 수 있도록 한다.
메인 보드(6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중간프레임(50)의 하측 영역에 근접하도록 마련된다. 메인 보드(60)는, 산업용 PDA(1)에 내장되는 액정디스플레이(20) 등의 각종 전자부품들의 동작을 제어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a)에 절취되어 형성된 화면개구(16)는,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22)을 노출시키기도 하지만, 외부로부터 산업용 PDA(1)의 내부공간으로 비, 눈, 땀 등의 수분이 유입되는 통로로 작용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방수 대책으로 산업용 PDA(1)는,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필름(30)을 구비한다.
쿠션필름(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10a)의 화면개구(16)에 인접한 내측벽(도 3의 A 부분)과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테두리(23, 도 5 참조) 사이에 개재되어,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과 액정디스플레이(2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한다.
이에 쿠션필름(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층(31)과, 쿠션층(31)의 전면 및 배면에 도포된 접착제층(32, 33)을 구비한다.
쿠션층(31)은, 상부케이싱(10a)과 액정디스플레이(20) 사이에서 탄성변형하여 압축될 수 있도록 탄성 재질을 갖는다. 이처럼, 쿠션층(31)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므로, 상부케이싱(10a)과 중간프레임(50)이 결합될 경우 쿠션층(31)이 일정량 수축됨과 동시에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과과 액정디스플레이(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쿠션층(31)이 우레탄 재질 로 마련되었으나, 탄성변형 가능한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접착제층(32, 33)은, 쿠션층(31)의 전면 및 배면이 각각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 및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테두리(23)에 접착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쿠션층(31)은, 상부케이싱(10a) 및 액정디스플레이(20)에 고정결합되어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과 액정디스플레이(20) 사이의 틈새가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쿠션필름(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ㅁ"자 형으로 마련된다. 즉, 쿠션필름(30)은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개구(16)의 둘레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는데, 이는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과 액정디스플레이(20) 사이의 틈새가 화면개구(16)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산업용 PDA(1)에 쿠션필름(30)을 구비하는 과정을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도 2의 액정디스플레이, 고무패드 및 쿠션필름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액정디스플레이(20)를 고무패드(40)의 내부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액정디스플레이(20)의 측면(29)은 고무패드(40)의 측면지지부(41)와 접촉하며, 액정디스플레이(20)의 배면(25)의 가장자리는 고무패드(40)의 배면지지부(42)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고무패드(40)에 삽입된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테두리(23) 부분에, 화면테두리(23)와 동일 형상으로 마련된 쿠션필름(31)을 접착시킨다. 이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디스플레이(20), 고무패드(40) 및 쿠션필름(30)으로 이루어진 결합체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액정디스플레이(20), 고무패드(40) 및 쿠션필름(30)으로 이루어진 결합체를 중간프레임(50)의 디스플레이 안착홈(55)에 안착시킨다. 이 때, 액정디스플레이(20)는, 일정량 수축변형하는 고무패드(40)의 측면지지부(41)에 의해 내측으로의 압력을 받아 중간프레임(50)에 대해 상대 이동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액정디스플레이(20)는, 외부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고무패드(40)에 의해 완화된 충격을 전달받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부케이싱(10a)과 중간프레임(50)을 결합시키는 나사를 체결한다. 이 때, 액정디스플레이(20)의 화면테두리(23)에 접착된 쿠션필름(30)은, 쿠션필름(30)의 전면에 마련된 접착제층(32)에 의해 상부케이싱(10a)의 화면개구(16)에 인접한 내측벽(도 3의 A 부분)에 접착됨과 동시에,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과 액정디스플레이(20)의 전면(21) 사이에서 압축된다.
그리하여, 쿠션필름(30)은 상부케이싱(10a)의 화면개구(16)에 인접한 내측벽과 액정디스플레이(20) 사이에서 형성될 수 있는 틈새를 차단하게 되며, 수분이 화면개구(16)를 통하여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될 수 없게 된다.
참고로, 쿠션필름(30)은 액정디스플레이(20)에 먼저 접착된 후 상부케이싱(10a)에 접착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상부케이싱(10a)에 먼저 접착된 후 상부케이싱(10a)과 중간프레임(50)이 결합되는 과정에서 액정디스플레이(20)에 접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1)는, 상부케이싱(10a)의 내측벽과 액정디스플레이(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쿠션필름(30)을 구비함으로써, 상부케이싱(10a)의 화면개구(16)를 통하여 비, 눈, 땀 등의 수분이 상부케이싱(10a)과 하부케이싱(10b)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용 PDA(1)는, 액정디스플레이(20)와 중간프레임(50) 사이에 개재되는 고무패드(40)를 구비함으로써, 액정디스플레이(20)가 중간프레임(50)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액정디스플레이(20)에 전달되는 외부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의 화면개구를 통하여 내부 공간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일측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는 화면개구가 마련된 케이싱;
    상기 화면개구를 통하여 화면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및
    상기 화면개구가 인접한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도록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과 상기 디스플레이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쿠션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쿠션필름은, 상기 화면개구를 따라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일면이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면에 접착되고 타면이 상기 화면개구가 인접한 상기 케이싱의 내측벽에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필름은,
    탄성 재질의 쿠션층; 및
    상기 쿠션층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안착되는 디스플레이 안착홈이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 사이에는 고무패드가 개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화면개구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싱; 및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호 대향되게 결합되어 상기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싱; 및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기 하부케이싱의 중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에 각각 결합되는 중간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안착홈은, 상기 중간프레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패드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접촉 지지하는 측면지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의 배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접촉 지지하는 배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산업용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060119740A 2006-11-30 2006-11-30 모바일 단말기 KR100800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40A KR100800576B1 (ko) 2006-11-30 2006-11-30 모바일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9740A KR100800576B1 (ko) 2006-11-30 2006-11-30 모바일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576B1 true KR100800576B1 (ko) 2008-02-04

Family

ID=3934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9740A KR100800576B1 (ko) 2006-11-30 2006-11-30 모바일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5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05A (ko) * 2003-06-16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보호장치
KR100546965B1 (ko) 2005-01-31 2006-01-26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105A (ko) * 2003-06-16 2004-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화면 보호장치
KR100546965B1 (ko) 2005-01-31 2006-01-26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7052B1 (ko) 모바일 단말기
KR101164098B1 (ko) 모바일 단말기
US10503297B2 (en) Mobile terminal touch control display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mobile terminal
KR100546965B1 (ko) 모바일 단말기
CN109688245B (zh) 具有显示模块的电子装置
US8508927B2 (en) Gasket and display assembly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US7079119B2 (en) Cover for electronic device
JP543345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107015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US897104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integrated peripheral expansion module
KR20180001670A (ko)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8737052B2 (en) Mobile terminal
KR101208218B1 (ko) 모바일 단말기의 버튼스위치 조립체
KR100851361B1 (ko) 모바일 단말기
US9103512B2 (en)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backlight alignment structures
JP2020034845A (ja) 電子機器
KR20120041605A (ko) 모바일 단말기의 커넥터 커버 조립체
KR100800576B1 (ko) 모바일 단말기
US7133222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retaining a lens in a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0800577B1 (ko) 모바일 단말기
WO2014051849A1 (en) Light guide plates and optical films with mating alignment features
US11397353B1 (en) Display panel,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EP2434367B1 (en) Gasket and display assembly for an electronic mobile device
KR101107014B1 (ko) 모바일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US9140925B2 (en) Display with reduced b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