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453B1 -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453B1
KR100800453B1 KR1020070010003A KR20070010003A KR100800453B1 KR 100800453 B1 KR100800453 B1 KR 100800453B1 KR 1020070010003 A KR1020070010003 A KR 1020070010003A KR 20070010003 A KR20070010003 A KR 20070010003A KR 100800453 B1 KR100800453 B1 KR 10080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pump
fiber membrane
backwash
membrane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0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클로랜드
최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클로랜드, 최태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클로랜드
Priority to KR1020070010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8Use of gases
    • B01D2321/185A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40Automatic control of cleaning proces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사막의 효율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원액이 공급되는 농축조; 상기 원액을 여과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에서 포화되는 상기 원액을 상기 농축조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 배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 1 공압 밸브; 상기 원액을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제 1 펌프;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액의 일부를 저장하는 역세조;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세조에 저장된 여과액을 역세 배관을 통해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각 중공사막을 역세하는 제 2 펌프; 상기 역세 배관에 설치된 제 2 공압 밸브; 및 상기 제 2 펌프와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중공사막, 여과, 역세, 펌프, 공압 밸브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농축조 2 : 제 1 펌프
3 : 전처리 필터 4a, 4b, 4c, 4d : 중공사막 모듈
5 : 역세조 6 : 제 2 펌프
8 : 제어부 34, 42 : 공압 밸브
본 발명은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공사막의 효율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중공사막 모듈 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중공사막 모듈은 반도체 세정용 초순수(超純水)나 파이로젠프리수의 제조, 전착 도료의 회수에 의한 클로우즈드화, 발효액 중의 효소 농축 및 균 제거 등의 각종 공업 제품의 제조 프로세스에 있어서의 여과막 처리나, 정수 및 하수 등의 오염 제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상수 처리나 하수 처리 등의 물 처리 분야에서는 최근 처리 비용의 저감을 위해 보다 대형의 중공사막 모듈이 요구되고 있다.
중공사막 모듈의 여과 원리는 내압식의 경우 중공사의 내측으로 흘러들어 온 물이 가압되어 분리막을 투과하면서 중공사의 외측으로 배출되고, 외압식의 경우에는 중공사의 외측의 원수가 가압되어 분리막을 투과하면서 중공사 내측으로 모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내압식의 경우 대상 물질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중공사막의 섬유(Fiber)의 홀(Hole)이 막힘으로 인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효율이 저하되거나 섬유가 압력에 의해 끊어지는 단점이 있다.
외압식의 경우 같은 규격의 중공사막 모듈에서 유효막 면적이 내압식에 비해 작고, 섬유의 외벽에 농축대상 물질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브로아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충격을 가하기 때문에 막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사막의 효율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 수 명을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원액이 공급되는 농축조; 상기 원액을 여과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에서 포화되는 상기 원액을 상기 농축조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 배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 1 공압 밸브; 상기 원액을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제 1 펌프;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액의 일부를 저장하는 역세조;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세조에 저장된 여과액을 역세 배관을 통해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각 중공사막을 역세하는 제 2 펌프; 상기 역세 배관에 설치된 제 2 공압 밸브; 및 상기 제 2 펌프와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단위로 온 상태의 역세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머;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펌프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상기 온 상태의 역세 신호에 따라 제 2 펌프를 제어하는 상기 펌프 제어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개폐하는 개폐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개폐기; 상기 제 1 펌프 전원을 상기 제 1 펌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펌프 전원을 상기 제 2 펌프에 공급하는 터미널 단자 대; 및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컴프레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에 공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상태의 역세 신호에 따라 제 1 공압 밸브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공압 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공압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공압 밸브가 개방될 경우에 상기 제 2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역세조에 저장된 여과액에 의해 역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펌프의 압력은 상기 제 1 펌프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상기 제 1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액을 필터링하여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전처리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를 개 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처리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원액이 공급되는 농축조(1); 원액을 여과하여 배출관(32)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서 포화되는 원액을 농축조(1)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 배관(23); 배출관(32)에 설치된 제 1 공압 밸브(34); 원액을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 공급하는 제 1 펌프(2); 제 1 펌프(2)로부터 공급되는 원액을 필터링하여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 공급하는 전처리 필터(3);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액의 일부를 저장하는 역세조(5);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역세조(5)에 저장된 여과액을 역세 배관(40)을 통해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 공급하여 각 중공사막(4a 내지 4d)을 역세하는 제 2 펌프(6); 역세 배관(40)에 설치된 제 2 공압 밸브(42); 제 2 펌프(6)와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34, 42)를 제어하는 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농축조(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액을 저장함과 아울러 피드백 배관(23)을 통해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부터 피드백되는 농축액을 저장한다.
제 1 펌프(2)는 농축조(1)와 전처리 필터(3)간에 연결된 제 1 배관(10)에 설치되며, 제어부(8)의 터미널 단자대(55)에 접속되어 전원부(57)로부터 공급되는 제 1 펌프 전원에 의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제 1 펌프(2)는 제 1 배관(10)을 통해 농축조(1)에 연결되어 농축조(1)에 저장된 농축액을 전처리 필터(3)로 압송한다.
제 1 배관(10)에는 농축조(1)와 제 1 펌프(2) 사이의 제 1 배관(10)에 설치된 제 1 밸브(11)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밸브(11)는 제어부(8)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동으로 개폐된다.
또한, 제 1 배관(10)에는 제 1 펌프(2)와 전처리 필터(3) 사이의 제 1 배관(10)에 설치된 제 2 밸브(11)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 2 밸브(11)는 제어부(8)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동으로 개폐된다.
전처리 필터(3)는 제 1 펌프(2)로부터 압송되는 농축액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여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 공급한다. 이러한, 전처리 필터(3)는 제 2 배관(20)을 통해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 연결된다.
제 2 배관(20)은 전처리 필터(3)에 연결됨과 아울러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 연결되는 복수로 분기된다. 이러한, 제 2 배관(20)에는 복수의 제 3 밸브(21, 22a, 22b, 22c, 22d)가 설치된다. 각 제 3 밸브(21, 22a, 22b, 22c, 22d)는 제어부(8)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동으로 개폐된다.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은 굵기가 가늘고 원형인 원사로서 그 가운데에는 일정한 크기의 중공(中空)이 있는 형상을 갖는 중공사막들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중공사막 여러가닥을 집속하여 다발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은 제 1 펌프(2)의 압력에 의해 전처리 필터(3)를 통해 압송되는 농축액을 여과하여 배출관(32)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내부에서 포화되는 농축액을 피드백 배관(23)을 통해 농축조(1)로 피드백된다.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하부에는 제 2 펌프(6)에 연결된 역세 배관(40)에 연결되고, 상부에는 배출관(32)이 연결된다.
피드백 배관(23)는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 연결되도록 분기되고, 분기된 배관에는 복수의 제 4 밸브(24a, 24b, 24c, 24d)가 설치된다. 각 제 4 밸브(24a, 24b, 24c, 24d)는 제어부(8)에 의해 개폐되거나 수동으로 개폐된다. 그리고, 분기되지 않는 피드백 배관(23)에는 제 5 밸브(25)가 설치된다.
제 1 공압 밸브(34)는 제어부(8)의 개폐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부터의 배출되는 여과액을 배출하거나 차단한다.
제 2 공압 밸브(42)는 제어부(8)의 개폐신호에 따라 개폐되어 제 2 펌프(6)로부터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 여과액을 공급하거나 제 2 펌프(6)로부터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에 공급되는 여과액을 차단한다.
제 2 펌프(6)는 제어부(8)의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공급되는 제 2 펌프 전원에 따라 구동되어 역세조(5)에 저장된 여과액을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로 압송한다.
제어부(8)는 일정 시간 단위로 온 상태의 역세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머(53); 제 1 및 제 2 펌프(2, 6)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펌프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57); 온 상태의 역세 신호에 따라 제 2 펌프(6)를 제어하는 펌프 제어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34, 42)를 개폐하는 개폐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개폐기(52); 제 1 펌프 전원을 제 1 펌프(2)에 공급함과 아울러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제 2 펌프 전원을 제 2 펌프(6)에 공급하는 터미널 단자대(55); 및 개폐 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34, 42)를 개폐(58, 59)시키는 솔레노이드(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타이머(53)는 시분 단위로 설정이 가능하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 내부의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역세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타이머(53)에 설정되는 시간은 실험적인 결과에 의해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여과 효율이 저하되는 시점에 대응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8)는 제 2 펌프(6)의 압력이 제 1 펌프(2)의 절반이 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8)는 타이머(53)에서 발생되는 온 상태의 역세 신호에 따라 제 1 공압 밸브(34)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 2 공압 밸브(42)를 개방하도록 개폐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제 2 펌프(6)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솔레노이드(56)는 개폐신호에 따라 에어 컴프레셔(60)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34, 42)에 공급하여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34, 42)를 개폐(58, 59)시킨다.
따라서,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여과 운전 중 제어부(8)에 의해 제 1 공압 밸브(34)가 폐쇄됨과 동시에 제 2 공압 밸브(42)가 개방됨으로써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내부의 오염물질은 제 2 펌프(6)에 의해 공급되는 역세조(5)에 저장된 여과액에 의해 역세되어 피드백 배관(23)을 통해 농축조(1)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어부(8)는 역세 운정이 일정 시간 경과하면, 전자 개폐기(52)가 작동하여 제 2 펌프(6)에 공급되는 제 2 펌프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역세 운전이 완료된다.
한편, 제어부(8)는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의 역세 운전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6)를 통해 제 1 공압 밸브(34)가 개방시킴과 동시에 제 2 공압 밸브(42)를 폐쇄시킴으로써 각 중공사막 모듈(4a 내지 4d)은 제 1 펌프(2)에 의해 농축조(1)로부터 압송되는 농축액을 여과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는 중공사막의 유효면적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 여과액 배출관에 공압 밸브를 설치하고, 펌프와 공압 밸브를 자동조절하는 제어부를 설치하여 여과 운전 중 자동 역세 운전을 실시함으로써 중공사막의 효율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과액을 이용하여 중공사막의 오염물질을 제거함으로써 중공사막의 사용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Claims (8)

  1. 원액이 공급되는 농축조;
    상기 원액을 여과하여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는 복수의 중공사막 모듈;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에서 포화되는 상기 원액을 상기 농축조로 피드백시키는 피드백 배관;
    상기 배출관에 설치된 제 1 공압 밸브;
    상기 원액을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제 1 펌프;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부터 배출되는 여과액의 일부를 저장하는 역세조;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역세조에 저장된 여과액을 역세 배관을 통해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여 상기 각 중공사막을 역세하는 제 2 펌프;
    상기 역세 배관에 설치된 제 2 공압 밸브; 및
    상기 제 2 펌프와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시간 단위로 온 상태의 역세 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머;
    상기 제 1 및 제 2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펌프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
    상기 온 상태의 역세 신호에 따라 제 2 펌프를 제어하는 상기 펌프 제어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개폐하는 개폐신호를 생성하는 전자 개폐기;
    상기 제 1 펌프 전원을 상기 제 1 펌프에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펌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 2 펌프 전원을 상기 제 2 펌프에 공급하는 터미널 단자대; 및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에 압축공기를 제공하는 에어 컴프레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상기 개폐신호에 따라 상기 에어 컴프레셔로부터의 압축공기를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에 공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공압 밸브를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 상태의 역세 신호에 따라 제 1 공압 밸브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공압 밸브를 개방하도록 상기 개폐신호를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 2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펌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공압 밸브가 폐쇄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공압 밸브가 개방될 경우에 상기 제 2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상기 역세조에 저장된 여과액에 의해 역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펌프의 압력은 상기 제 1 펌프의 절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원액을 필터링하여 상기 각 중공사막 모듈로 공급하는 전처리 필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20070010003A 2007-01-31 2007-01-31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80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03A KR100800453B1 (ko) 2007-01-31 2007-01-31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0003A KR100800453B1 (ko) 2007-01-31 2007-01-31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453B1 true KR100800453B1 (ko) 2008-02-04

Family

ID=3934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0003A KR100800453B1 (ko) 2007-01-31 2007-01-31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4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71B1 (ko) * 2009-09-30 2010-05-14 주식회사 시노펙스케미코아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100981135B1 (ko) * 2010-01-27 2010-09-10 주식회사 시노펙스케미코아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244A (ja) * 1992-10-05 1994-04-26 Toray Ind Inc 限外濾過膜装置の逆洗方法
EP0669159A1 (en) 1994-02-25 1995-08-30 DIC Degrémont KK Back wash method for filtration modules using internally pressurized hollow fibers
JP2002248324A (ja) 2001-02-26 2002-09-03 Kurita Water Ind Ltd 膜分離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JP2007007503A (ja) 2005-06-28 2007-01-18 Suido Kiko Kaisha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JP2007014902A (ja) * 2005-07-08 2007-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淡水化装置及び淡水化装置の前処理膜の洗浄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4244A (ja) * 1992-10-05 1994-04-26 Toray Ind Inc 限外濾過膜装置の逆洗方法
EP0669159A1 (en) 1994-02-25 1995-08-30 DIC Degrémont KK Back wash method for filtration modules using internally pressurized hollow fibers
JP2002248324A (ja) 2001-02-26 2002-09-03 Kurita Water Ind Ltd 膜分離装置及びその逆洗方法
JP2007007503A (ja) 2005-06-28 2007-01-18 Suido Kiko Kaisha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洗浄方法および装置
JP2007014902A (ja) * 2005-07-08 2007-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淡水化装置及び淡水化装置の前処理膜の洗浄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최찬섭, 노수홍, 김정학 (2000) UF/MF 중공사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에서 원수에 따ㄹ는 분리막의 오염 현상, 한국막학회, 일반강연 B-8,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171B1 (ko) * 2009-09-30 2010-05-14 주식회사 시노펙스케미코아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KR100981135B1 (ko) * 2010-01-27 2010-09-10 주식회사 시노펙스케미코아 중공사 분리막을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8941B1 (ko)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US20080179244A1 (en) Drain-flush sequence and system for filter module
KR20000029168A (ko) 조수 장치 및 조수 방법
JP2009538733A (ja) バイオリアクタと膜濾過モジュールとを有する進入流体の処理のための装置
AU2008301791A1 (en) Hollow yarn film filtering apparatus
KR100800453B1 (ko) 중공사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KR100583005B1 (ko) 상하수용 고도 정수처리시스템 및 정수처리방법
JP2000189967A (ja) 造水装置
WO2011130522A1 (en) Mobile fluid treatment system
US20070193953A1 (en) Method for aerating membrane modules
JP2014008439A (ja) 膜分離式水処理装置および水処理分離膜の洗浄方法
KR20130128866A (ko) 가압형 막 모듈을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및 수처리 방법
WO2013106191A1 (en) Pulse aeration for immersed membranes
US89800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filtering
KR100876548B1 (ko) 산업용 정수장치
KR100315968B1 (ko) 흡입진공압 해제기능을 구비한 침지형 분리막 폐수처리 장치 및 방법
WO2011001803A1 (ja) 濾過膜モジュール洗浄方法および洗浄装置
RU97109261A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и мембран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12090281A (zh) 全自动外压内吸式膜过滤系统及其过滤工艺
KR100768250B1 (ko) 운전 중 자가 세정 기능을 가진 수처리 장치 및 수처리장치의 자가 세정 방법
JP2013075291A (ja) 膜ろ過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制御方法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CN111453865A (zh) 一种新型净水装置及其控制方法
KR20210083998A (ko) 무동력 역세척이 가능한 중력식 막여과 장치
KR101614390B1 (ko) 역삼투 멤브레인 모듈별 삼투 역세척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