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618B1 -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618B1
KR100799618B1 KR1020060130409A KR20060130409A KR100799618B1 KR 100799618 B1 KR100799618 B1 KR 100799618B1 KR 1020060130409 A KR1020060130409 A KR 1020060130409A KR 20060130409 A KR20060130409 A KR 20060130409A KR 100799618 B1 KR100799618 B1 KR 100799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brackets
pair
bracket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원
이칠성
김재경
김재훈
박경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6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55Construction or mounting of chassis, e.g. for varying the elevation of the tub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지지장치가 개시된다.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힌지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암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한 쌍의 브라켓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 시키는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와 한 쌍의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지지장치는 한 쌍의 브라켓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암이 안정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지지부, 암, 이동부, 브라켓

Description

지지장치{Support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지지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보강부재를 제외한 지지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지지부(1) 제1 브라켓(2a)
제2 브라켓(2b) 암(3)
결합수단(4) 너트(4a, 4b)
이동부(5) 힌지부(7)
힌지홀(7a) 제1 보강홀(8a)
제2 보강홀(8b) 보강부재(9)
지지장치(10) 디스플레이 회동장치(100)
본 발명은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LCD, PDP, LED 등이 적용된 TV나 모니터와 같은 평판형 디스플레이는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브라운관 TV나 모니터를 대체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수요가 늘어날 전망이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자동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모터와 암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 회동장치가 벽면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부착된다. 디스플레이 회동장치는 수십 킬로에 이르는 TV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회동장치의 구성 모듈인 지지장치가 견고해야 한다.
본 발명은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 사이에 암이 결합된 후, 제1 및 제2브라켓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 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디스플레이 회동장치의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힌지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암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한 쌍의 브라켓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 시키는 보강부재와, 보강부재와 한 쌍의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결합수단은 보강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리벳과, 보강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나 사산과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보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보강부재는 보강홀을 관통하여 리벳이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하고, 너트는 나머지 브라켓을 관통하여 돌출된 나사산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결합부재는 나사산에 각각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되,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보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는 보강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보강부재의 나사산에 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지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가 결합된 지지장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결합부와 보강부재를 제외한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지지부(1), 제1 브라켓(2a), 제2 브라켓(2b), 암(3), 결합수단(4), 너트(4a, 4b), 이동부(5), 힌지부(7), 힌지홀(7a), 제1 보강홀(8a), 제2 보강홀(8b), 보강부재(9), 지지장치(10), 디스플레이 회동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지지장치(10)는 크게 지지부(1)와 지지부(1)에 마련된 한 쌍의 브라켓(2a, 2b), 한 쌍의 브라켓(2a, 2b)과 결합수단(4)에 의해서 결합된 보강부재(9)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한 쌍의 브라켓(2a, 2b)은 제1 브라켓(2a)과 제2 브라켓(2b)이다. 이러한 지지장치(10)는 디스플레이 회동장치(100)의 한 구성으로써, 지지장치(10)에는 암(3)이 결합된다.
지지부(1)는 벽과 같은 고정된 물체에 결합할 수 있는 부재로서, 평판형의 금속판이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회동장치(100)의 무게를 지탱하면서 벽이나 기타 물체에 고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재질이나 형상이더라도 무방하다. 지지부(1)의 일단에는 각각 제1 브라켓(2a)과 제2 브라켓(2b)이 지지부(1)와 직각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여기서, "직각"의 의미는 외부에서 관측할 때 대략 직각으로 보이는 정도를 의미하며, 수학적으로 완벽히 수직을 이룬다는 의미는 아니다. 제1 및 제2 브라켓(2a, 2b)는 지지부(1)가 절곡된 것일 수도 있고, 별도의 부재로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에는 힌지홀(7a)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보강부재(9)가 결합수단(4)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보강홀(8a, 8b)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홀(7a)에 힌지부(7)를 개재하여 도 1과 같이 암(3)이 결합한다. 암(3)의 끝단에 이동부(5)가 결합하고, 이동부(5)에 LCD TV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부착되면, 지렛대의 원리에 의하여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에는 상당한 하중이 가해진다. 특히, 이 하중은 제2 브라켓(2b)에 많이 가해지는데, 이것이 누적되면 제2 브라켓(2b)이 휘어지게 되고, 힌지부(7)의 회전축이 기울어지게 된다. 특히.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에 암(3)을 조립할 때, 어 느 정도의 이격거리를 확보한 뒤, 다시 이격거리를 좁힌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의 이격거리는 변할 수 있다. 즉, 제2 브라켓(2b)에 하중이 가해지면 제1 브라켓(2a)과 제2 브라켓(2b)의 이격거리가 변할 수 있다.
보강부재(9)는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이 디스플레이 하중에 의해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부재(9)는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에 결합하는데,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에는 각각 도 4와 같이 제1 및 제2 보강홀(8a, 8b)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부재(9)의 일단은 제1 브라켓(2a)에 형성된 제1 보강홀(8a)을 관통하여 결합하고, 보강부재(9)의 타단은 제2 브라켓(2b)에 형성된 제2 보강홀(8b)에 관통하여 결합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강부재(9)의 일단과 타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산에 의해서 결합수단(4)인 너트(4b, 4c)가 나사결합한다. 특히, 너트(4b, 4c)는 제1 및 제2 브라켓(2a, 2b)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의 보강부재(9)의 일단과 타단에 결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너트(4b, 4c)의 결합으로 제1 브라켓(2a)과 제2 브라켓(2b)이 필요 이상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강부재(9)의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해서 제1 및 제2 보강홀(8a, 8b)을 힌지홀(7a)에 인접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결과적으로 결합수단(4)을 이용한 보강부재(9)의 결합 형태는 도 2와 같이 너트(4b, 4c)각각 제1 브라켓(2a)의 상면과 제2 브라켓(2b)의 하면에 접하게 된다.
본 실시예는 보강부재(9)는 바(bar)의 형태이나, 판상의 부재를 사용하여, 제1 브라켓(2a)과 제2 브라켓(2b)을 고정하더라도 무방할 뿐만 아니라, 제1 브라켓(2a)과 제2 브라켓(2b)의 이격거리를 유지시켜주는 부재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5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도 1내지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그 차이점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보강부재(59)의 일단은 제1 보강홀(58a)을 통과하여 고정된다. 이때 보강부재(59)의 일단에는 결합수단(54)으로서 리벳(54a)이 형성되어 있어, 제1 브라켓(52a)에 고정된다. 리벳(54a)은 제1 브라켓(52a)의 상면에 접한다. 보강부재(59)의 타단은 제2 브라켓(52b)에 형성된 제2 보강홀(58b)에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다. 돌출된 부분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나사산에 또 하나의 결합수단(54)인 너트(54b)가 나사결합한다. 너트(54b)는 제2 브라켓(52b)의 하면에 접한다. 너트(54b)를 조임으로써 제1 브라켓(52a)과 제2 브라켓(52b)의 이격거리를 좁히거나 늘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지장치(6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전반적으로 도 5의 제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다. 차이점은 보강부재(69)의 타단은 제2 보강홀(68b)에 관통하며, 보강부재(69)의 타단에 형성된 결합수단(64)인 리벳(64b)에 의해 제2 브라켓(62b)에 고정된다. 보강부재(69)의 일단은 제1 브라켓(62a)에 형성된 제1 보강홀(68a)을 관통하여 결합한다. 또한, 보강부재(69) 의 일단에는 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산에는 너트(64a)가 결합되어 있다. 너트(64a)를 조임으로써 제1 브라켓(62a)과 제2 브라켓(62b)의 이격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보강부재를 한 쌍의 브라켓인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에 결합함으로써, 제1 브라켓과 제2 브라켓의 이격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삭제
  2.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힌지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암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 시키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에 형성된 리벳과;
    상기 보강부재의 타단에 형성된 나사산과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보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보강홀을 관통하여, 상기 리벳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너트는 나머지 브라켓을 관통하여 돌출된 상기 나사산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3. 지지부의 양단으로부터 절곡되어 돌출된 한 쌍의 브라켓 사이에 힌지부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로부터 돌출되는 암을 지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한 쌍의 브라켓 간의 이격거리를 유지 시키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와 상기 한 쌍의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한 쌍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나사산에 각각 결합하는 너트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는 각각 보강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너트는 상기 보강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상기 보강부재의 상기 나사산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장치.
KR1020060130409A 2006-12-19 2006-12-19 지지장치 KR10079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09A KR100799618B1 (ko) 2006-12-19 2006-12-19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09A KR100799618B1 (ko) 2006-12-19 2006-12-19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618B1 true KR100799618B1 (ko) 2008-01-30

Family

ID=39219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409A KR100799618B1 (ko) 2006-12-19 2006-12-19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61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924U (ko) * 1990-02-06 1991-10-25
KR20030064935A (ko) * 2002-01-29 2003-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10968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벽걸이 장치
KR20060080005A (ko) * 2005-01-04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2924U (ko) * 1990-02-06 1991-10-25
KR20030064935A (ko) * 2002-01-29 2003-08-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110968A (ko) * 2004-05-20 2005-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용 벽걸이 장치
KR20060080005A (ko) * 2005-01-04 2006-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의 벽걸이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37434A1 (en) Display suspending frame
JP4124617B2 (ja) モニタ用ディスプレイハウジング装着構造および当該装着構造を有するモニタ
US20110211301A1 (en) Electronic device and wall hanging structure of electronic device
US20100050383A1 (en) Electronic device
US20120199711A1 (en) Display screen mounting structure
EP2510512A1 (en) Connecting piece for a freestanding portable display sign
WO2008053242A1 (en) Visual display unit mount
US20090095870A1 (en) Stand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0799618B1 (ko) 지지장치
CN205173918U (zh) 双显示器多级可调防失稳安装基座
US20100027198A1 (en) Monitor and supporting mechanism for the same
US20100320886A1 (en) Display Device
WO2013008286A1 (ja) 画像表示装置の取り付け機構
JP4788190B2 (ja) 映像表示装置の吊り下げ装置
US7494105B2 (en) Antislip rubber member for support
JP3171230U (ja) ラックに用いる固定部品
KR102505801B1 (ko) 하단 고정 깊이조절 모니터 거치대용 구조체를 포함하는 병원침대용 모니터 거치대
JP5431209B2 (ja) 薄型表示装置
JP7415514B2 (ja) スタンド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KR100871176B1 (ko) 패널의 접이구조
KR100860054B1 (ko) 범용 스탠드 장치
KR100838591B1 (ko) 디스플레이 회동장치
JP3152510U (ja) 薄型テレビ用転倒防止具
KR100984541B1 (ko) 차량용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거치대
KR10077707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벽걸이 겸용 스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