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555B1 - 소방훈련장치 - Google Patents

소방훈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555B1
KR100799555B1 KR1020060125695A KR20060125695A KR100799555B1 KR 100799555 B1 KR100799555 B1 KR 100799555B1 KR 1020060125695 A KR1020060125695 A KR 1020060125695A KR 20060125695 A KR20060125695 A KR 20060125695A KR 100799555 B1 KR100799555 B1 KR 100799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fire
training
plural
smo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5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만
Original Assignee
차기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만 filed Critical 차기만
Priority to KR1020060125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95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8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scenic effects, e.g. trees, rocks, water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방 시뮬레이터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송풍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평판; 상기 평판 사이의 송풍로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의 불꽃 크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불꽃 인쇄천; 상기 다수의 불꽃 인쇄천을 상기 송풍로에 고정하는 고정장치; 상기 다수의 송풍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다수의 차단밸브; 상기 화재 시뮬레이트시에 상기 다수의 송풍로로 송풍하는 송풍장치; 상기 화재 진화에 대응되게 상기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크기의 불꽃을 시뮬레이팅하는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은 소방 훈련을 위해 시뮬레이팅하는 불꽃을 사실적으로 표시하여 소화 훈련자의 소화 욕구 및 성취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소방훈련장치, 소화

Description

소방훈련장치{Apparatus of training for fire fighting}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후면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의 분사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의 블럭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훈련장치의 설치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처리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불꽃 표시부
2 : 백라이트 판
3~5 : 제1~제3투명평판
6~8 : 제1~제3불꽃 인쇄천
9~11 : 제1~제3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
12~14 : 제1~제3불꽃 인쇄천 고정대
15~16 : 제1 및 제2차단 밸브
17~19 : 제1 내지 제3수광부
20 : 흡입구
21 : 배출구
22 : 백라이트 장치
23~30 : LED 어레이
31 : 송풍장치
32~34 : 팬
35 : 훈련용 소화기
36 : 훈련용 소화기 수납장치
37 : 스모그 발생장치
39~40,44 : 이동수단
41 : 스피커
42 : 화재경광등
43 : 화재진압등
45 : 제어부
46 : 전원부
47 : 보관통
48 : 스모그 액
49 : 분사관
50 : 리드
51 : 전선
52 : 분사구
53, 55, 61 : 스모그 분사 노즐
54 : 발광소자
56,58 : 레버
59 : 제어부
60 : 가열소자
본 발명은 소방훈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광신호를 이용하여 소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는 소방훈련장치의 소방 시뮬레이터 및 훈련용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훈련은 화재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뿐만 아니라, 그 진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훈련으로, 이러한 대피훈련, 소화훈련 등을 통해 실제 화재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인 소방훈련은 운동장 등에서 실제 불꽃을 점화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훈련도중 점화된 불꽃으로 인해 훈련자가 다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으며, 실제 불꽃을 점화시킴에 따라 유발되는 연기에 의해 대기가 오염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상기 안전상의 문제로 인해 청소년이나 어린이에게는 화재 발생시의 대피 요령만을 교육시키므로, 화재의 초기 진화율이 개선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 기술의 하나인 "교육 훈련용 초기 소화장치"를 명칭으로 특허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1993-0028134호는, 속불꽃부, 중간불꽃부, 겉불꽃부의 외측 테두리에 LED들을 설치하여 발광시켜 불꽃을 표시하며, 훈련용 소화기에 의한 수압을 감지하여 상기 LED들을 멸등함으로써, 화재 진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속불꽃부, 중간불꽃부, 겉불꽃부의 외측 테두리에 LED들을 통해 불꽃을 표시함에 따라, 사실적인 불꽃을 시뮬레이팅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소방 훈련자의 소화 욕구 및 성취감을 충족시키기가 곤란하였다. 이에 종래에는 불꽃을 사실적으로 시뮬레이팅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 다.
또한 종래에는 훈련용 소화기로부터 분사되는 물의 압력을 감지하여 불꽃의 크기를 조절함에 따라, 실내 등과 같이 물을 분사하기가 곤란한 곳에서는 소방 훈련을 이행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소방 훈련에 의한 분사물에 의한 오염 발생을 차단함으로써, 장소의 제약없이 소방훈련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소방 훈련을 위해 시뮬레이팅하는 불꽃을 사실적으로 표시하여 소방 훈련자의 소화 욕구 및 성취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소방훈련장치, 소방 시뮬레이터 및 훈련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훈련용 소화기를 통해 스모그를 분사하여 소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여, 장소의 제약없이 소방훈련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 소방훈련장치, 소방 시뮬레이터 및 훈련용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고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소방 시뮬레이터는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송풍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평판; 상기 평판 사이의 송풍로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의 불꽃 크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불꽃 인쇄천; 상기 다수의 불꽃 인쇄천을 상기 송풍로에 고정하는 고정장치; 상기 다수의 송풍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다수의 차단밸브; 상기 화재 시뮬레 이트시에 상기 다수의 송풍로로 송풍하는 송풍장치; 상기 화재 진화에 대응되게 상기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다양한 크기의 불꽃을 시뮬레이팅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훈련용 소화기는 압축 공기 및 스모그 액이 내장된 보관통; 상기 보관통의 스모그 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스모그 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가열장치; 상기 배출관의 종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모그 액이 기화되어 생성된 스모그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과 상기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광장치가 설치된 배출구;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출구간의 연결 또는 차단을 이행하는 레버; 상기 레버 조작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훈련장치는 크게 훈련용 소화기와 소방 시뮬레이터로 구성된다.
먼저 소방 시뮬레이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방 시뮬레이터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소방 시뮬레이터는 불꽃 표시부(1), 스피커(41), 화재경광등(42), 화재 진압등(43), 백라이트 장치(22), 송풍장치(31), 훈련용 소화기 수납장치(36), 스모그 발생장치(37), 이동수단(39~40)을 구비한다.
상기 불꽃 표시부(1)는 제1 내지 제3투명평판(3~5),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9~11),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 고정대(12~14), 제1 및 제2차단 밸브(15~16), 제1 내지 제3수광부(17~19), 배출구(21)를 구비한다.
상기 제1투명평판(3)은 상기 백라이트 장치(22)의 반투명의 유백색 백라이트판(2)과 평행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장치(31)로부터의 인입되는 바람에 대한 송풍경로인 제1송풍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투명평판(3,4)는 평행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장치(31)로부터의 인입되는 바람에 대한 송풍경로인 제2송풍로를 형성한다.
상기 제2 및 제3투명평판(4,5)는 평행되게 설치되어, 상기 송풍장치(31)로부터의 인입되는 바람에 대한 송풍경로인 제3송풍로를 형성한다.
상기 배출구(21)는 상기 제1 내지 제3송풍로를 통해 제공되는 바람을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제1송풍로상에는 상기 제1불꽃 인쇄천(6)이 위치하며, 상기 제1불꽃 인쇄천(6)은 불꽃을 나타내는 패턴이 프린트되며, 백라이트 장치(22)가 제공하는 백라이트가 조사되는 상태에서 제1송풍로로 인입되는 바람에 의해 휘날려 현실감있고 사실적인 불꽃을 표시한다. 특히 제1불꽃 인쇄천(6)은 제2 및 제3불꽃 인쇄 천(7,8)에 대해 가장 큰 크기로, 가장 큰 크기의 불꽃을 표시한다.
상기 제1송풍로의 하측에는 철망으로 형성된 상기 제1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9)이 설치되며, 상기 제1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9)에는 상기 제1불꽃 인쇄 천(6)을 고정하는 상기 제1불꽃 인쇄천 고정대(12)가 설치된다. 상기 제1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9)은 상기 송풍장치(31)로부터의 바람이 제1불꽃 인쇄 천(6)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제1불꽃 인쇄 천(6)을 고정하는 제1불꽃 인쇄천 고정대(12)의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1송풍로의 하측 종단에는 상기 제1차단밸브(15)가 설치되며, 상기 제1차단밸브(15)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송풍장치(31)와 제1송풍로 간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훈련용 소화기 조작에 따라 가장 큰 크기의 불꽃을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송풍로상에는 상기 제2불꽃 인쇄 천(7)이 위치하며, 상기 제2불꽃 인쇄천(7)은 불꽃을 나타내는 패턴이 프린트되며, 백라이트 장치(22)가 제공하는 백라이트가 조사되는 상태에서 제2송풍로로 인입되는 바람에 의해 휘날려 현실감있고 사실적인 불꽃을 표시한다. 특히 제2불꽃 인쇄천(7)은 제1 및 제3불꽃 인쇄 천(6,8)에 대해 중간 크기로, 중간 크기의 불꽃을 표시한다.
상기 제2송풍로의 하측에는 철망으로 형성된 상기 제2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10)이 설치되며, 상기 제2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10)에는 상기 제2불꽃 인쇄 천(7)을 고정하는 상기 제2불꽃 인쇄천 고정대(13)가 설치된다. 상기 제2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10)는 상기 송풍장치(31)로부터의 바람이 제2불꽃 인쇄 천(7)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제2불꽃 인쇄 천(7)을 고정하는 제2불꽃 인쇄천 고정대(13)의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2송풍로의 하측 종단에는 상기 제2차단밸브(16)가 설치되며, 상기 제2차단밸브(16)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송풍장치(31)와 제2송풍로 간을 개방하거나 차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훈련용 소화기 조작에 따라 중간 크기의 불꽃을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3송풍로상에는 상기 제3불꽃 인쇄천(8)이 위치하며, 상기 제3불꽃 인쇄천(8)은 불꽃을 나타내는 패턴이 프린트되며, 백라이트 장치(22)가 제공하는 백라이트가 조사되는 상태에서 제3송풍로로 인입되는 바람에 의해 휘날려 현실감있고 사실적인 불꽃을 표시한다. 특히 제3불꽃 인쇄천(8)은 제1 및 제2불꽃 인쇄 천(6,7)에 대해 가장 작은 크기로, 가장 작은 크기의 불꽃을 표시한다.
상기 제3송풍로의 하측에는 철망으로 형성된 상기 제3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11)이 설치되며, 상기 제3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11)에는 상기 제3불꽃 인쇄 천(8)을 고정하는 상기 제3불꽃 인쇄천 고정대(14)가 설치된다. 상기 제3불꽃 인쇄천 고정 철망(11)는 상기 송풍장치(31)로부터의 바람이 제3불꽃 인쇄 천(8)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제3불꽃 인쇄 천(8)을 고정하는 제3불꽃 인쇄천 고정대(14)의 안정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송풍로로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른 송풍장치(31)의 구동 여부에 따라 바람이 제공되거나 제공되지 않음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35) 조작에 따라 가장 작은 크기의 불꽃을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게 한다.
상기 송풍장치(31)는 다수의 송풍팬(32~34)과 흡입구(2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송풍팬(32~34)은 상기 흡입구(20)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송풍로로 공급한다. 특히 상기 송풍장치(31)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구동하여, 제1 내지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거나, 또는 제2 및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거나,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거나, 제1 내지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이 동시에 휘날리거나, 상기 제2 및 제3불꽃 인쇄천(7,8)만이 휘날리거나, 제3불꽃 인쇄천(8)만이 휘날리거나,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이 모두 휘날리지 않게 함으로써,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35) 조작에 따라 크기가 가변되는 불꽃을 표시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제1 내지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차단밸브(15,16)가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2 및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차단밸브(15)는 닫힌 상태에서 제2차단밸브(16)만 개방된 상태이고, 상기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차단밸브(15,16)가 닫힌 상태이고, 상기 제1 내지 제3송풍로로 바람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는 상기 송풍장치(31)가 구동을 정지한 상태이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수광부(16~18)는 훈련용 소화기(35)로부터 제공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장치로 제공한다.
상기 백라이트 장치(22)는 유백색의 반투명 백라이트 판(2)과 LED 어레이(23~30)로 구성된다. 상기 LED 어레이(21~30)는 현실감있는 화염을 표시하기 위 한 적색 LED 등이 채용될 수 있으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전체가 점멸하는 제1모드, 중간 수의 LED들만 점멸하는 제2모드, 소수의 LED들만 점멸하는 제3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LED 어레이(23~30)로부터 발광되는 백라이트 광은 제1 내지 제3불꽃 표시천(6~8)의 배면에 조사되어, 불꽃 패턴이 프린트된 상기 제1 내지 제3불꽃 표시천(6~8)의 휘날릴 때에 현실감 있고 사실적으로 불꽃이 표시되게 한다.
상기 훈련용 소화기 수납장치(36)는 상기 소방 시뮬레이터의 배면에 설치되며, 다수의 훈련용 소화기(35)를 수납하며, 상기 수납된 훈련용 소화기(35)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기 위한 에어 펌프 및 에어 펌프 배터리를 포함한다.
상기 스모그 발생장치(37)는 스모그 발생부와 배터리로 구성되어,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화재 진화 개시시부터 화재 진화 완료시까지 스모그를 발생하여, 상기 시뮬레이터의 전면에 설치된 스모그 배출구(38)로 상기 스모그를 배출하여, 상기 소방 훈련시의 현장 및 사실감을 배가시킨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39~40,44)은 상기 시뮬레이터의 배면에 설치된 다수의 바퀴들로서, 상기 시뮬레이터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스피커(41)는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화재 진화 개시를 안내하거나 화재 진화 완료를 안내하는 안내 멘트, 또는 경보음 등을 출력하고, 상기 화재 경광등(42)은 화재 상태를 안내하기 위한 등이고, 상기 화재 진압등(43)은 화재 진화 개시를 안내하기 위한 등이다.
이제 상기한 소방 시뮬레이터의 회로적인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방 시뮬레이터는 크게 입력장치(A)와 제어장치(B), 구동장치(C), 출력장치(D)로 나눌 수 있으며, 전원부(46)와 백라이트 장치(22)를 부가 구비한다.
상기 입력장치(A)는 훈련용 소화기(35)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1 내지 제3수광부(17~19)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수광부(17~19)는 상기 훈련용 소화기(35)로부터의 광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장치(B)로 제공한다.
상기 제어장치(B)는 CPU 등의 제어부(45)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내지 제3수광부(17~19)로부터 제공되는 광신호 수신정보에 따라 구동장치(C)의 제1 내지 제2차단밸브(15,16), 송풍장치(31), 스모그 장치(31)를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45)는 상기 광신호 수신정보에 따라 제1 내지 제3차단밸브(15,16) 및 송풍장치(31)를 제어하여, 상기 광신호 수신에 따라 불꽃 크기를 가변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45)는 상기 제1 내지 제3수광부(17~19)로부터 제공되는 광신호 수신정보에 따라 백라이트 장치(22)의 구동 모드를 제1모드에서 제3모드까지 절환하여, 상기 광신호 수신에 따라 화재 정도를 상이하게 표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B)는 출력장치(D)의 스피커(41), 화재경광등(42), 화재진압등(43)을 제어하여, 소방 훈련자에게 소화 개시 및 소화 완료를 안내한다.
상기 구동장치(C)는 제1 내지 제2차단밸브(15,16), 송풍장치(31), 스모그 장치(31)로 구성되어, 제어장치(B)의 제어에 따라 제1 내지 제3불꽃을 표시하거나 스모그를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출력장치(D)는 구동장치(C)에 의해 제1 내지 제3불꽃을 표시하는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 또는 스모그, 상기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소화 개시 및 소화 완료를 나타내는 스피커(41), 화재경광등(42), 화재진압등(43)으로 구성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35)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훈련용 소화기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상기 훈련용 소화기의 분사구의 전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5 및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훈련용 소화기(35)는 스모그 액(48)과 압축 공기를 내장하는 보관통(47), 상기 보관통(47)의 상부를 덮는 리드(50), 상기 보관통(47)에 내장된 스모그 액(48)을 분사구(52)의 노즐(53,55,61) 측으로 이송하는 경로를 형성하는 분사관(49), 상기 분사관(49)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제어부(59)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모그 액(48)을 기화시켜 상기 노즐(53,55,61)로 분사되게 하는 가열소자(60),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분사관(49)과 상기 분사구(52)의 노즐(53,55,61)간의 연결 또는 차단을 이행하는 레버들(56,58), 상기 레버들(56,58)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레버들(56,58)의 결속에 따라 눌리는 스위치(57), 상기 스위치(57)의 구동에 따라 발광소자(54)를 구동하는 제어부(59), 상기 제어부(59)의 제어에 따라 소정 광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발광소자(54), 상기 스위치(57)와 상기 가열소자(60)와 상기 발광소자(54) 각각과 상기 제어부(59)를 연결하는 전선(51)으로 구성된다. 상기 발광소자(54)는 적외선 발광소자 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한 훈련용 소화기의 회로적인 구성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훈련용 소화기(35)의 제어부(59)는 레버(56,58) 조작에 따른 스위치(57)의 온 신호에 따라 발광소자(54)를 구동하여 시뮬레이터에 광신호를 조사함과 아울러, 가열소자(60)를 구동하여 스모그 액(48)을 기화시켜 스모그를 노즐(53,55,61)을 통해 스모그를 배출한다.
상기 스위치(57)는 레버(56,58)의 조작에 따른 온신호를 상기 제어부(59)에 제공하며, 상기 가열소자(600)는 상기 제어부(59)의 제어에 따라 스모그 액이 이송되는 배출관의 소정 부분을 가열하여 상기 스모그 액을 기화시켜 스모그 분사구(53,55,61)를 통해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훈련용 소화기(54)에는 상기 훈련용 소화기(54)의 각부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62)가 구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훈련용 소화기 및 소방 시뮬레이터의 설치예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소방 훈련이 시작되면, 지도자는 소방 시뮬레이터의 후면에 설치된 훈련용 소화기 수납장치(36)를 분리시켜 훈련자 대기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훈련용 소화기 수납장치(36)에 수납된 훈련용 소화기(35) 중 하나를 취한 훈련자가 상기 훈련용 소화기(35)의 분사구를 소방 시뮬레이터를 향하고 레버를 결속시키면, 상기 분사구의 발광소자가 동작하여 광을 조사함과 아울러 보관통의 스모그 액이 기화되어 상기 소방 시뮬레이터 측으로 배출된다.
상기 소방 시뮬레이터는 훈련시작과 함께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에 송풍장치로부터의 바람을 제공하여,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에 의한 불꽃 표 시를 이행한 후에, 상기 훈련용 소화기(35)로부터 조사되는 광에 따라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에 공급되는 바람을 순차적으로 차단한다.
상기한 훈련용 소화기 및 소방 시뮬레이터의 동작을 도 9에 도시한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소방 시뮬레이터의 제어부(45)는 미도시된 관리자 조작부를 통해 훈련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지를 체크한다(63단계). 상기 훈련 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45)는 화재경광등(42), 송풍장치(31), 스모그 생성장치(31)를 구동함과 아울러, 진화개시 안내 메시지를 스피커(41)를 통해 출력하고, 백라이트 장치(22)를 제1모드로 구동하고, 제1 및 제2차단밸브(15,16)를 개방한다(64단계).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장치(22)의 제1모드는 가장 많은 수의 LED를 점멸시켜 백라이트로 제공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의 불꽃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은 송풍장치(31)로부터의 바람을 공급받아 휘날리며, 가장 큰 크기의 화염을 표시한다. 상기 휘날리는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의 배면으로 가장 밝은 밝기로 점멸되는 제1모드의 백라이트가 조사됨으로써, 현장감있는 화재상태를 시뮬레이팅한다.
이후 제어부(45)는 제1수광부(17)가 광신호 수신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체크한다(65단계).
상기 제1수광부(17)가 광신호 수신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면, 제어부(45)는 제1차단밸브(15)를 차단함과 아울러, 백라이트 장치를 제2모드로 구동한다(66단계 ).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장치(22)의 제2모드는 중간 수의 LED를 점멸시켜 백라이트로 제공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의 불꽃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불꽃 인쇄천(6)은 하측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3불꽃 인쇄천(7,8)은 송풍장치(31)로부터의 바람을 공급받아 휘날려, 중간 크기의 불꽃을 표시한다. 상기 휘날리는 제2 및 제3불꽃 인쇄천(7,8)의 배면으로 중간 밝기로 점멸되는 제2모드의 백라이트가 조사됨으로써, 현장감 있는 화재 상태를 시뮬레이팅한다.
이후 제어부(45)는 제2수광부(18)가 광신호 수신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체크한다(67단계).
상기 제2수광부(18)가 광신호 수신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면, 제어부(45)는 제2차단밸브(16)를 차단함과 아울러, 백라이트 장치(22)를 제3모드로 구동한다(68단계).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 장치(22)의 제3모드는 가장 적은 수의 LED를 점멸시켜 백라이트로 제공하는 모드이다.
이 경우의 불꽃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불꽃 인쇄천(6,7)은 하측으로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제3불꽃 인쇄천(8)은 송풍장치(31)로부터의 바람을 공급받아 휘날려, 가장 작은 크기의 불꽃을 표시한다. 상기 휘날리는 제3불꽃 인쇄천(8)의 배면으로 가장 낮은 밝기로 점멸되는 제3모드의 백라이트가 조사됨으로써, 현장감 있는 화재 상태를 시뮬레이팅한다.
이후 제어부(45)는 제3수광부(19)가 광신호 수신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는지를 체크한다(69단계).
상기 제3수광부(19)가 광신호 수신에 따른 신호를 제공하면, 제어부(45)는 화재진압등을 구동함과 아울러, 백라이트 장치(22), 스모그 생성장치(37), 송풍장치(31)의 구동을 종료함과 아울러, 화재 진압 완료를 안내하는 메시지를 스피커(41)를 통해 출력한다(70단계).
이 경우의 불꽃 표시 상태를 도시한 도 13을 참조하면, 송풍장치(31)로부터 더이상 바람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불꽃 인쇄천(6~8) 모두가 하측으로 가라앉아, 화재 진화 완료상태를 나타낸다.
상기한 본 발명은 소방 훈련을 위해 시뮬레이팅하는 불꽃을 사실적으로 표시하여 소방 훈련자의 소화 욕구 및 성취감을 충족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훈련용 소화기를 통해 스모그를 분사함과 아울러 소화 목표물을 광신호로 조사하는 하여 소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하여, 장소의 제약없이 소방훈련을 이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소방 시뮬레이터에 있어서,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송풍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평판;
    상기 평판 사이의 송풍로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의 불꽃 크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불꽃 인쇄천;
    상기 다수의 불꽃 인쇄천을 상기 송풍로에 고정하는 고정장치;
    상기 다수의 송풍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다수의 차단밸브;
    화재 시뮬레이트시에 상기 다수의 송풍로로 송풍하는 송풍장치;
    화재 진화에 대응되게 상기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화재 진화에 대응되게 작아지는 불꽃을 형성하여 상기 화재 시뮬레이팅을 이행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시뮬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평판의 배면에 설치되어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백라이트 장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시뮬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시뮬레이팅되는 불꽃의 크기에 대응되는 밝기의 백라이트를 조사하도록 상기 백라이트 장치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시뮬레이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불꽃 크기에 대응되는 다수의 위치 각각에 설치되며, 훈련용 소화기가 발생하는 광신호를 수신받는 다수의 광센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어장치가, 상기 다수의 광센서로부터 광신호를 제공받으며, 상기 다수의 차단밸브 중 광신호를 제공한 광센서에 대응되게 미리 설정된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 시뮬레이터.
  5. 훈련용 소화기에 있어서,
    압축 공기 및 스모그 액이 내장된 보관통;
    상기 보관통의 스모그 액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
    상기 배출관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스모그 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가열장치;
    상기 배출관의 종단에 설치되며, 상기 스모그 액이 기화되어 생성된 스모그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과 광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발광장치가 설치된 배출구;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출구간의 연결 또는 차단을 이행하는 레버;
    상기 레버 조작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장치 및 상기 가열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련용 소화기.
  6. 소방훈련장치에 있어서,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발광장치를 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훈련용 소화기;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다수의 송풍로를 형성하는 다수의 평판과,
    상기 평판 사이의 송풍로에 각각 설치되며, 다수의 불꽃 크기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불꽃 인쇄천과,
    상기 다수의 불꽃 인쇄천을 상기 송풍로에 고정하는 고정장치와,
    상기 다수의 송풍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다수의 차단밸브와,
    화재 시뮬레이트시에 상기 다수의 송풍로로 송풍하는 송풍장치와,
    상기 다수의 불꽃 크기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훈련용 소화기로부터 제공되는 광신호를 수신받는 다수의 광센서와,
    상기 다수의 광센서 중 광신호를 수신받은 광센서에 대응되게 상기 다수의 차단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불꽃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방훈련장치.
KR1020060125695A 2006-12-11 2006-12-11 소방훈련장치 KR100799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695A KR100799555B1 (ko) 2006-12-11 2006-12-11 소방훈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5695A KR100799555B1 (ko) 2006-12-11 2006-12-11 소방훈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9555B1 true KR100799555B1 (ko) 2008-01-31

Family

ID=3921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5695A KR100799555B1 (ko) 2006-12-11 2006-12-11 소방훈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955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3988B6 (cs) * 2011-12-27 2013-07-31 K.B.K. Fire, S.R.O. Metoda overování funkcnosti pozárního vetrání a zarízení k provádení metody
CN103927929A (zh) * 2014-04-22 2014-07-16 浙江理工大学 一种多路电磁阀双态节能自动化展示平台及其操控方法
CN108538177A (zh) * 2016-08-09 2018-09-14 葛海燕 灭火器教学演示装置
CN108682220A (zh) * 2018-06-28 2018-10-19 北京神州恒安科技有限公司 仿真灭火演练系统
CN109118868A (zh) * 2018-09-11 2019-01-01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学院 移动式真火模拟训练设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324U (ko) * 1997-02-21 1997-05-26 윤희명 고압의 압축 공기를 충전하여 방사연습 및 교육 실습용 모형 소화기
KR200209603Y1 (ko) 2000-08-10 2001-01-15 김진갑 소방훈련 교육용 기구
JP2002014603A (ja) 2000-06-29 2002-01-18 Yoshihiro Tanabe 消火訓練設備
KR20020028422A (ko) * 2000-10-10 2002-04-17 이대현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9324U (ko) * 1997-02-21 1997-05-26 윤희명 고압의 압축 공기를 충전하여 방사연습 및 교육 실습용 모형 소화기
JP2002014603A (ja) 2000-06-29 2002-01-18 Yoshihiro Tanabe 消火訓練設備
KR200209603Y1 (ko) 2000-08-10 2001-01-15 김진갑 소방훈련 교육용 기구
KR20020028422A (ko) * 2000-10-10 2002-04-17 이대현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Z303988B6 (cs) * 2011-12-27 2013-07-31 K.B.K. Fire, S.R.O. Metoda overování funkcnosti pozárního vetrání a zarízení k provádení metody
CN103927929A (zh) * 2014-04-22 2014-07-16 浙江理工大学 一种多路电磁阀双态节能自动化展示平台及其操控方法
CN103927929B (zh) * 2014-04-22 2016-04-20 浙江理工大学 一种多路电磁阀双态节能自动化展示平台及其操控方法
CN108538177A (zh) * 2016-08-09 2018-09-14 葛海燕 灭火器教学演示装置
CN108877454A (zh) * 2016-08-09 2018-11-23 葛海燕 一种灭火器教学演示装置
CN108682220A (zh) * 2018-06-28 2018-10-19 北京神州恒安科技有限公司 仿真灭火演练系统
CN109118868A (zh) * 2018-09-11 2019-01-01 中国人民武装警察部队学院 移动式真火模拟训练设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8983B2 (en) Flameless fire extinguisher training methods and apparatus
CA2090522C (en) Portable firefighter training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training
KR100799555B1 (ko) 소방훈련장치
KR101170183B1 (ko) 소화 연습 장치, 소화 연습 방법 및 소화 연습 시스템
CN210377926U (zh) 一种仿真灭火教学装置
CN108682220A (zh) 仿真灭火演练系统
JP2002014603A (ja) 消火訓練設備
JP2699167B2 (ja) 模擬消火訓練装置
KR102067285B1 (ko) 화재안전교육용 멀티콘센트 화재모사장치
KR102067284B1 (ko) 화재 대피 시스템
JP2987763B2 (ja) 水消火器を使用して行う消火訓練自動指導システム
KR100379177B1 (ko)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KR20160131524A (ko) 교육훈련용 소화시스템
TWM623982U (zh) 滅火器教具、標靶教具及消防教育體驗設備
KR102079048B1 (ko) 소방 훈련용 소화기 실습 장비
AU2012202842B2 (en) Flameless fire extinguisher training methods and apparatus
JP4654225B2 (ja) 擬似火災発生装置
KR20110128454A (ko) 소방안전체험 시스템 및 장치
KR100600521B1 (ko) 교육용 연출화염 타켓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18560A (ko) 소방 훈련용 소화기 실습 장비
CN219591015U (zh) 消防演练火情模拟箱
CN213634923U (zh) 消防训练用压力容器爆炸征兆模拟装置
KR200218241Y1 (ko)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KR200424036Y1 (ko) 역화현상 체험실을 구비한 재난 체험 장치
KR20200000629U (ko) 교육 훈련용 화재 시뮬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