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9177B1 -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9177B1
KR100379177B1 KR10-2000-0059417A KR20000059417A KR100379177B1 KR 100379177 B1 KR100379177 B1 KR 100379177B1 KR 20000059417 A KR20000059417 A KR 20000059417A KR 100379177 B1 KR100379177 B1 KR 100379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lame
simulator
train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9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8422A (ko
Inventor
이대현
Original Assignee
한미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미하이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미하이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59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9177B1/ko
Publication of KR20020028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8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9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9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81Training methods or equipment for fire-figh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소방훈련의 경우 운동장 등에서 실제 불꽃을 점화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훈련 도중 점화된 불꽃으로 인해 훈련자가 다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초래하였으며, 이와 함께 실제 불꽃을 점화시키는데 따른 연기로부터 대기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더불어, 종래의 소방훈련은 성인 위주로만 진행하면서 청소년이나 어린이에게는 화재 발생시의 대피요령만을 실시할 뿐 안전상의 이유로 화재에 대한 진화 훈련을 수행하지 않는 관계로, 조기 교육을 통한 화재 진화의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실제 화재가 발생시 많은 인명피해를 당하는 폐단이 따랐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의 사용법을 교육하는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현장에 구비된 소화기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여 초기 진압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가상 불꽃을 점화시킨 후 훈련용 소화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으로 가상 불꽃의 소화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성인은 물론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쉽게 화재 진화 훈련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대한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고, 안전핀의 제거방법, 분사호스의 파지방법, 소화액의 분사방법 등의 실제 소화기의 사용법을 완벽하게 숙지시킬 수 있게 되며, 소방훈련시 실제 불꽃의 점화에 따른 소방훈련시 실제 불꽃의 점화에 따른 사고는 물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Simulator device for training fire fight}
본 발명은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재 예방을 위해 실시되는 소방 훈련에서 시뮬레이터로 점화가 이루어진 불꽃을 고압의 물이 충전된 훈련용 소화기로 소화시켜 화재에 대한 진화의 훈련 성과를 극대화시키는 한편, 실제 불꽃으로 인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방훈련은 화재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뿐만 아니라 그 진화를 효과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훈련으로, 이러한 대피훈련, 소화훈련 등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실제 화재 현장에서의 효과적으로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 있어서 소화훈련의 경우 운동장 등에서 실제 불꽃을 점화시킨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훈련 도중 점화된 불꽃으로 인해 훈련자가 다치는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초래하였으며, 이와 함께 실제 불꽃을 점화시키는데 따른 연기로부터 대기 오염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더불어 종래의 소방훈련은 성인 위주로만 진행하면서 청소년이나 어린이에게는 화재 발생시의 대피요령만을 실시할 뿐 안전상의 이유로 화재에 대한 진화 훈련을 수행하지 않는 관계로 조기 교육을 통한 화재 진화의 현실성이 결여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실제 화재가 발생시 많은 인명피해가 있게 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여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의 사용법을 교육하는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한 경우 화재 현장에 구비된 소화기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여 초기 진압에 실패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불꽃을 점화시킨 후 훈련용 소화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으로부터 불꽃의 소화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인은 물론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쉽게 화재 진화 훈련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대한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소방훈련시 실제 불꽃의 점화에 따른 사고는 물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훈련참가자에게 소화기의 사용법을 올바르게 숙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불꽃 시뮬레이터를 위한 구조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로 부터 구현되는 불꽃의 소화(또는 역순으로 점화) 상태를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불꽃의 소화(또는 역순으로 점화)를 시뮬레이터 하기 위한 램프의 작동상태를 보인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부 10a ; 바퀴
10b ; 제 1 아크릴 10c ; 불꽃표시부
10d ; 손잡이 20 ; 압력감지부
30 ; 모터 40 ; 송풍기
50 ; 수납상자부 50a ; 제 2 아크릴
60 ; 불꽃생성체 70 ; 제어패널
100 ; 작동스위치 200 ; 훈련용 소화기
L1, L2, L3, L4, L5 ; 제 1 내지 제 5 램프
1a, 1b, 1c, 1d, 1e ; 배터리
2a, 2b ; 셀룰러판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의 내부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불꽃 시뮬레이터를 위한 구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로부터 구현되는 불꽃의 소화(또는 역순으로 점화) 상태를 보인 순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불꽃의 소화(또는 역순으로 점화)를 시뮬레이터하기 위한 램프의 작동상태를 보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이 가능하도록 저면부에는 바퀴(10a)를 형성하고 전면에는 투명한 제 1 아크릴(10b)을 형성하면서 그 내면으로는 시뮬레이터 불꽃의 표현이 가능한 은박지의 불꽃표시부(10c)를 부착시킨 몸체부(10)와;
상기 제 1 아크릴(10b)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몸체부(10)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20)와;
몸체부(1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면서 작동스위치(100)의 온 스위칭시 구동이 이루어지는 모터(30) 및 송풍기(40)와;
송풍기(40)의 위로 위치하도록 몸체부(10)의 내부 배면에 수직길이방향으로 고정하되, 전면은 투명한 제 2 아크릴(50a)을 형성하고 그 저면은 송풍기(40)의 송풍이 통과되도록 개방시킨 수납상자부(50)와;
상기 수납상부(50)의 하단부에 여러가닥으로 고정 수납하되, 송풍기(40)의 송풍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휘날리면서 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된 불꽃표시부(10c)의 시뮬레이터 불꽃을 실현시키는 다양한 색상의 불꽃생성체(60)와;
몸체부(10)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면서 작동스위치(100)의 온 스위칭시 불꽃표시부(10c) 및 불꽃생성체(60)를 통한 시뮬레이터의 불꽃 표현이 순차점등(예; 3단 점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력감지부(20)로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몸체부(10) 전면의 압력변화에 따라 소화가 이루어지는 것처럼 순차적인 점멸(예: 3단 점멸)이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와;
작동스위치(100)의 스위칭동작 및 압력감지부(20)로 부터 감지된 몸체부(10) 전면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의 순차적인 점등은 물론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패널(70); 로 구성된다.
도면부호중 미설명부호 1a,1b,1c,1d,1e는 작동스위치(100)의 온 스위칭 동작시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로 각각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이며, 2a, 2b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으면서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를 덮는 셀롤러판지로서, 이는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의 몸체부(10) 전면으로부터 구현되는 시뮬레이터 불꽃이 실제 불꽃과 동일하게 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미설명부호 10d는 몸체부(10)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이고, 40a는 송풍그릴이며, 200은 훈련용 소화기이다.
여기서, 상기 셀룰러판지(2a)(2b)와 불꽃생성체(60)는 그 색상이 실제 불꽃과 동일하게 시뮬레이터될 수 있도록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화 훈련을 위한 몸체부(10)를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시킨 상태에서사용자가 몸체부(10)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스위치(100)를 누르면 상기 작동스위치(100)의 누름동작에 따라 제어패널(70)은 시스템 각부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패널(70)은 작동스위치(100)의 스위칭동작에 따라 먼저 몸체부(10)의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1a)(1b)(1c)(1d)(1e)를 통해 몸체부(10)의 내부 하단 전면에 위치하는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킨다.
즉, 상기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는 작동스위치(100)의 누름동작에 따라 도 5c에서와 같이 제 5 램프(L5)가 점등되고, 이후 도 5b에서와 같이 제 3 및 제 4 램프(L3)(L4)의 점등이 이루어지며, 다음으로 도 5a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램프(L1)(L2)의 점등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제 5 램프(L5)의 점등에 따라 몸체부(10)의 전면에는 도 4c에서와 같이 1단의 시뮬레이터 불꽃이 표현되고, 다음 제 3 및 제 4 램프(L3)(L4)의 점등에 따라 몸체부(10)의 전면에는 도 4b에서와 같이 2단의 시뮬레이터 불꽃이 순차적으로 표현되며, 그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램프(L1)(L2)의 점등에 따라 몸체부(10)의 전면에는 도 4a에서와 같이 3단의 시뮬레이터 불꽃이 순차 표현된다.
더불어 상기 제어패널(70)은 몸체부(1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모터(30) 및 송풍기(40)를 구동 제어한다.
이때 상기 모터(30) 및 송풍기(40)는 제어패널(70)의 구동제어에 따라 몸체부(10)의 내부 배면에 수직길이방향으로 고정되면서 전면은 투명한 제 2 아크릴(50a)을 형성하고 저면이 개방되어 있는 수납상자부(50)로 바람을 집어넣게되는 바, 상기 수납상자부(50)에 일측단에 고정된 여러가닥의 불꽃생성체(60)는 송풍기(40)의 송풍상태에 따라 상방향으로 휘날리면서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와 더불어 몸체부(10)의 전면에 형성된 불꽃표시부(10c)의 시뮬레이터 불꽃을 실현시키게 된다.
따라서 소화 훈련자가 몸체부(10)의 전면 제 1 아크릴(10b)에 표현된 시뮬레이터 불꽃을 소화시키고자 훈련용 소화기(200)의 안전핀을 뽑고 분사호스를 불꽃표시부(10c)로 향하게 한 후 분사손잡이를 눌러 도 3에서와 같이 소화액(고압충전한 물)을 몸체부(10)의 전면으로 분사시키면 상기 몸체부(10)의 전면 제 1 아크릴(10b)로 물이 분사되며, 제 1 아크릴(10b)의 하단면에 형성된 압력감지부(20)는 물의 분사압력을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하게 된다.
이때 작동스위치(100)의 스위칭동작 및 압력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몸체부(10) 전면의 압력변화에 따라 제어패널(70)은 점등이 이루어진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의 순차적인 점멸을 제어하게 된다.
즉, 제어패널(70)은 몸체부(10)의 전면으로 소정의 시간동안 가해지는 소화액의 압력에 따라 3단의 제 1 및 제 2 램프(L1)(L2), 2단의 제 3 및 제 4 램프(L3)(L4), 1단의 제 5 램프(L5)를 단계적으로 점멸시키는 제어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부(10)의 전면으로 약 2∼3초 동안 물을 분사시키면 그 분사압력을 압력감지부(20)에서 감지한 후 이를 제어패널(70)로 출력하는 바, 상기 제어패널(70)은약 2∼3초 동안 몸체부(10)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소화액의 분사압력에 따라 도 5a에서와 같이 3단의 제 1 및 제 2 램프(L1)(L2)를 점멸시켜 도 4b에서와 같이 몸체부(10)의 전면으로부터 3단 시뮬레이터 불꽃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다시 약 2∼3초 동안(처음 기준으로는 약 4∼6초) 몸체부(10)의 전면으로 물의 분사가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패널(70)은 다음 2단의 제 3 및 제 4 램프(L3)(L4)를 도 5b에서와 같이 점멸시킴으로써 도 4c에서와 같이 몸체부(10)의 전면으로부터 2단 시뮬레이터 불꽃의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약 2∼3초 동안 몸체부(10)의 전면으로 훈련용 소화기(200)를 통한 물의 분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패널(70)은 다음 1단의 제 5 램프(L5)를 도 5c에서와 같이 점멸시킴으로써 상기 몸체부(10)의 전면에 표현된 시뮬레이터 불꽃의 완전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즉, 상기 제어패널(70)은 압력감지부(20)로부터 감지된 물의 분사압력이 소정의 시간(총 7∼9초)동안 이루어지는 경우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를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훈련자로 하여금 실제 불꽃을 소화시키는 것과 같은 효과를 창출함으로써 화재시의 대응방안을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패널(70)은 제 1 내지 제 5 램프(L1)(L2)(L3)(L4)(L5)를 단계적으로 완전 점멸시킴과 동시에 모터(30) 및 송풍기(40)의 구동도 함께 제어하게되는 바, 상기 수납상자부(50)에 수납되어 송풍기(40)의 송풍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휘날리던 불꽃생성부(60)는 송풍기(40)의 작동정지에 따라 다시 수납상자부(50)의하단면으로 내려오게 되고, 이에 따라 외부에서 몸체부(10)의 전면을 볼 때 시뮬레이터 불꽃의 완전 소화가 실현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몸체부(10)의 저면과 그 양측면에는 바퀴(10a)와 손잡이(10d)가 구비되어 있는 바, 그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훈련장소에 구애를 받지 않도록 하였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의 작동을 리모콘을 통해 원격제어할 수도 있는 바, 이는 몸체부(10)에 리모콘 수신부를 두고 그 수신부의 수신정보에 따라 제어패널(70)이 시스템 각부를 제어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불꽃을 점화시킨 후 훈련용 소화기에서 분사되는 물의 압력으로부터 불꽃의 소화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성인은 물론 청소년이나 어린이들이 쉽게 화재 진화 훈련에 참가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에 대한 훈련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안전핀의 제거방법, 분사호스의 파지방법, 소화액의 분사방법 등의 실제 소화기의 사용법을 완벽하게 숙지시킬 수 있게 되며, 소방훈련시 실제 불꽃의 점화에 따른 각종 안전사고는 물론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이동이 가능하도록 저면부에는 바퀴를 형성하고 전면에는 투명한 제 1 아크릴을 형성하면서 그 내면으로는 시뮬레이터 불꽃의 표현이 가능한 은박지의 불꽃표시부를 부착시킨 몸체부와;
    상기 제 1 아크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몸체부의 전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형성되면서 작동스위치의 온 스위칭시 구동이 이루어지는 모터 및 송풍기와;
    송풍기의 위로 위치하도록 몸체부의 내부 배면에 수직길이방향으로 고정하되, 전면은 투명한 제 2 아크릴을 형성하고 그 저면은 송풍기의 송풍이 통과되도록 개방시킨 수납상자부와;
    상기 수납상부의 하단부에 여러가닥으로 고정 수납하되, 송풍기의 송풍으로 부터 상방향으로 휘날리면서 몸체부의 전면에 형성된 불꽃표시부의 시뮬레이터 불꽃을 실현시키는 다양한 색상의 불꽃생성체와;
    몸체부의 내부 하단에 위치하면서 작동스위치의 온 스위칭시 불꽃표시부 및 불꽃생성체를 통한 시뮬레이터의 불꽃 표현이 순차점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압력감지부로 부터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된 몸체부 전면의 압력변화에 따라 소화가 이루어지는 것처럼 순차점멸이 이루어지는 제 1 내지 제 5 램프와;
    작동스위치의 스위칭동작 및 압력감지부로 부터 감지된 몸체부 전면의 압력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5 램프의 순차 점등은 물론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패널; 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KR10-2000-0059417A 2000-10-10 2000-10-10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KR100379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417A KR100379177B1 (ko) 2000-10-10 2000-10-10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9417A KR100379177B1 (ko) 2000-10-10 2000-10-10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8171U Division KR200218241Y1 (ko) 2000-10-10 2000-10-10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422A KR20020028422A (ko) 2002-04-17
KR100379177B1 true KR100379177B1 (ko) 2003-04-11

Family

ID=1969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9417A KR100379177B1 (ko) 2000-10-10 2000-10-10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91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59B1 (ko) * 2006-03-08 2007-09-13 이수정 화재 진압 교육 시스템
KR100799555B1 (ko) * 2006-12-11 2008-01-31 차기만 소방훈련장치
KR101015099B1 (ko) * 2010-06-07 2011-02-16 주식회사 성진하이텍 소방안전교육용 체험장치
KR102079048B1 (ko) * 2018-05-18 2020-02-19 김오환 소방 훈련용 소화기 실습 장비
KR102104242B1 (ko) * 2019-08-06 2020-04-24 주식회사 샛별교육연구 증강현실을 이용한 소화기 교육 장치
CN110444084A (zh) * 2019-08-12 2019-11-12 黑龙江八一农垦大学 一种基于大数据的教学装置
KR102295387B1 (ko) * 2020-04-23 2021-08-30 서울특별시 소방 훈련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446A (ja) * 1988-08-10 1990-02-19 Asuku:Kk 木質系無機質板の製造方法
JPH0336659A (ja) * 1989-07-04 1991-02-18 Omron Corp 階層型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の学習制御装置
KR100272058B1 (ko) * 1998-07-29 2000-12-01 김대영 소화훈련용 타킷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446A (ja) * 1988-08-10 1990-02-19 Asuku:Kk 木質系無機質板の製造方法
JPH0336659A (ja) * 1989-07-04 1991-02-18 Omron Corp 階層型ニューラルネットワークの学習制御装置
KR100272058B1 (ko) * 1998-07-29 2000-12-01 김대영 소화훈련용 타킷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8422A (ko) 2002-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1534B1 (en) Portable firefighter training system for fire extinguisher training
CA2642496C (en) Flameless fire extinguisher training methods and apparatus
CN210377926U (zh) 一种仿真灭火教学装置
KR100379177B1 (ko)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CN111179686A (zh) 一种基于虚拟现实交互的消防培训系统及其方法
CN112439151A (zh) 一种模拟火源、模拟灭火器及仿真灭火教学系统
KR102212241B1 (ko) 혼합현실 기반의 소방 체험 시스템
KR101356038B1 (ko) 모의소방훈련용 소화장치
CN108682220A (zh) 仿真灭火演练系统
KR200218241Y1 (ko) 소화 훈련용 시뮬레이터 장치
JP2881482B2 (ja) 消火器操作練習装置
KR100799555B1 (ko) 소방훈련장치
KR102295387B1 (ko) 소방 훈련용 장치
JP2699167B2 (ja) 模擬消火訓練装置
CN109712458B (zh) 一种火焰仿真系统、装置和训练设备
CN205468726U (zh) 一种多媒体安全宣传车
JP2987763B2 (ja) 水消火器を使用して行う消火訓練自動指導システム
CN115691263A (zh) 一种带出警可视化诱导和消防宣传微体验的智慧消防设备
TWM623982U (zh) 滅火器教具、標靶教具及消防教育體驗設備
KR20100033103A (ko) 열차 안전사고 체험 장치
KR200209603Y1 (ko) 소방훈련 교육용 기구
JP2537166Y2 (ja) 消火訓練用模擬火災、消火表示装置
KR102079048B1 (ko) 소방 훈련용 소화기 실습 장비
KR100600521B1 (ko) 교육용 연출화염 타켓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7386531U (zh) 一种基于ar技术的灭火教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