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688B1 -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688B1
KR100798688B1 KR1020060043262A KR20060043262A KR100798688B1 KR 100798688 B1 KR100798688 B1 KR 100798688B1 KR 1020060043262 A KR1020060043262 A KR 1020060043262A KR 20060043262 A KR20060043262 A KR 20060043262A KR 100798688 B1 KR100798688 B1 KR 100798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urities
pattern
recognition data
camouf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3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590A (ko
Inventor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안다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안다미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안다미로
Priority to KR1020060043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688B1/ko
Publication of KR2007011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2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pattern match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5Testing security markings invisible to the naked eye, e.g. verifying thickened lines or unobtrusive markings or alter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Abstract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인증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각각 복수로 혼재되어 삽입된 유가증권에 대하여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영역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영역에 대하여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판단부, 및 패턴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인식데이터의 패턴에 기초하여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진품여부 판단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유가증권의 진품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워터마크, MCKY, 망점, 4원색, 위장데이터, 유가증권

Description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Negotiable securities certify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도 2의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방법에 의해 삽입된 인식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디지털 워터마크 삽입방법에 의해 삽입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예에 대한 시각적 인식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도 1의 유가증권 인증장치에 의한 유가증권 인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품권 100 : 유가증권 인증장치
110 : 영역 검출부 120 : 데이터 분리부
130 : 패턴 판단부 140 : 진품여부 판단부
150 : 위치 저장부 160 : 구별기준 저장부
170 : 패턴 저장부
본 발명은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품권, 채권, 증권, 수표, 지폐 등의 유가 증권의 진품 여부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과학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프린터, 스캐너, 디지털 카메라 등의 첨단 장비의 성능 향상에 따라 상품권, 채권, 증권 등의 각종 유가증권의 위조 또는 변조 기술도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여기서, 위조라 함은, 권한이 없는 자가 상품권, 채권, 증권, 수표 등의 각종 유가증권과 비슷하거나 동일하게 그 유가증권을 만드는 것을 말한다. 스캐너, 프린터, 또는 복사기 등을 이용하여 직접 인쇄되거나 복사된 상품권, 채권, 증권, 수표 등이 위조 유가증권에 해당한다.
또한, 변조라 함은, 권한이 없는 자가 상품권, 채권, 증권, 수표 등의 내용에 변경을 가하여 그 외양을 변경시키는 것을 말한다. 상품권, 채권, 증권, 수표 등의 액면 금액을 저액에서 고액으로 바꾼다거나, 발행일자 또는 이자 지급일 등을 변경하여 증권의 가치를 상승시키는 행위 등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지폐의 진위여부 및 종류(액면가) 등을 인식 및 식별할 수 있는, 유가증권 인증장치의 일종인 지폐 인식기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지폐 인식기는 투입된 지폐의 진폐(진품) 또는 위폐(위조품) 여부를 식별하여 위폐의 경우는 투입된 지폐가 반환되도록 작동한다. 그리고 투입된 지폐가 해당 장치에서 허용하는 진폐인 경우, 지폐 인식기는 투입된 지폐의 액면가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자동판매기의 상품을 배출하거나 동전 교환기의 동전을 교환하도록 정상 작동하고, 투입된 지폐는 지폐 적재함에 수납되도록 작동한다.
그런데, 디지털 첨단장비가 발전함에 따라 유가증권을 위조 또는 변조하는 공격자들의 위조 또는 변조 기술도 발전되었으며, 그에 따라 일반적인 유가증권 인증장치로는 정확한 구별이 되지 않고 진품으로 판단되는 위조 또는 변조된 유가증권도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위조 또는 변조된 유가 증권이 시장에 유통되면 금융시장 자체에 혼란이 야기될 뿐만 아니라, 각종 국가기관 및 사설기관의 신용도를 저해하며, 나아가서는 국가경제 질서를 어지럽히는 문제점이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위조 또는 변조된 유가증권을 정확하게 식별함으로써, 위조 또는 변조된 유가증권이 시장에 유통되는 것을 조기에 차단할 수 있는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각각 복수로 혼재되어 삽입된 유가증권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상기 영역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를 각각으로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판단부; 및 상기 패턴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진품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상기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의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구별기준값을 저장하는 구별기준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데이터 분리부는 상기 구별기준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를 분리한다.
또한, 상기의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기 설정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품여부 판단부는 상기 패턴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패턴과 상기 패턴 저장 부에 저장된 상기 삽입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상기의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는 각각 망점데이터 암호, 광 데이터 암호, 바코드 암호 중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각각 복수로 혼재되어 삽입된 유가증권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를 각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인식데이터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가증권 인증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일정 영역 검출단계는, 상기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로부터 상기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유가증권 인증방법은,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의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구별기준값이 저장된 구별기준 저장부로부터 상기 구별 기준을 검색하는 단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품여부 판단단계는, 패턴 저장부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과, 상기 삽입패턴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된 패턴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상기 유가증권을 진품으로 인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유가증권에 대한 위조 또는 변조 여부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인증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유가증권 인증장치(100)는 영역 검출부(110), 데이터 분리부(120), 패턴 판단부(130), 진품여부 판단부(140), 위치 저장부(150), 구별기준 저장부(160), 및 패턴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영역 검출부(110)는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각각 복수로 혼재되어 삽입된 유가증권(10)에 대하여,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삽입된 그 일정 영역을 검출한다. 여기서, 영역 검출부(110)는 유가증권(10)의 전체 이미지에 대하여 소정 영역씩 순차적으로 검색함으로써 전체 이미지 중의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위치 저장부(150)에 유가증권(10)의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혼재되어 삽입된 영역의 위치를 저장시키고, 영역 검출부(110)는 위치 저장부(150)에 저장된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그 영역을 검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때, 유가증권(10)에 삽입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는, 유가증권(10)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망점들 중의 일부에 삽입된 망점데이터 암호, 유가증권(10)의 이미지에 광 처리된 광데이터 암호, 유가증권(10)의 이미지 중 일부에 표시된 바코드 암호 중의 적 어도 어느 하나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디지털 워터마크(digital watermark)'라고 한다.
데이터 분리부(120)는 영역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영역에 대하여,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분리한다. 이때, 데이터 분리부(120)는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의 암호화된 코드에 따라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분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각각의 망점들의 크기, 색변위차, 또는 잉크의 특성에 기초하여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분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는, 유가증권(10)의 이미지에 대한 광 데이터값에 따라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분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일정 부분에 표시된 바코드값의 차이에 따라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분리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구별기준 저장부(160)에는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의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구별 기준값이 저장되며, 데이터 분리부(120)는 구별기준 저장부(160)에 저장된 구별 기준값에 기초하여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분리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턴 판단부(130)는 데이터 분리부(120)에 의해 분리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에 대하여,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판단한다.
진품여부 판단부(140)는 패턴 판단부(130)에 의해 판단된 인식데이터의 패턴에 기초하여 유가증권(10)의 진품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패턴 저장부(170)에는 기 설정된 인식데이터의 삽입패턴이 저장되어 있으며, 그 저장된 삽입 패턴은 진품의 유가증권(10)에 대한 삽입 패턴을 나타낸다. 진품여부 판단부(140)는 패턴 판단부(130)에 의해 판단된 인식데이터의 패턴과 패턴 저장부(170)에 저장된 삽입 패턴 을 비교함으로써, 유가증권(10)의 진품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유가증권(10)의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부분에 삽입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의 여러 예들 중, 이미지를 구성하는 망점들 중의 일부에 삽입된 망점데이터 암호의 경우를 예로 하여, 유가증권 인증장치(100)의 동작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유가증권에 디지털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방법의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컴퓨터 등을 이용하여 인쇄하기 위한 유가증권(10)의 이미지를 M(Magenta), C(Cyan), K(black), 및 Y(Yellow)의 4원색의 망점(raster)들로 분해한다(S101). 이와 같은 망점들은 모두 1 또는 0의 디지털 코드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망점들은 이미지와는 다른 정보를 전달하는 매체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에, 분해된 4원색의 망점들 중 다른 세 개의 원색들의 망점들과 섞이지 않은 K(black) 원색의 망점들의 영역을 추출한다(S103). 이때, 유가증권(10)의 전체 이미지 영역 중에서 일정 부분의 영역씩 순차적으로 검색함으로써, 다른 세 개의 원색들의 망점들과 섞이지 않은 K 원색의 망점들의 영역을 추출하거나, 메모리(도시되지 않음)에 유가증권(10)의 전체 이미지 영역 중 특정 영역의 위치를 기 설정하여 저장시키고 그 위치의 K 원색의 망점들의 영역을 추출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 후, 상기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영역 중의 일정 부분의 망점들에 인식데 이터를 패턴화하여 삽입한다(S105). 여기서, 인식데이터는 문서, 유가 증권, 또는 각종 증명서와 같은 원고 이미지의 위조 또는 변조를 방지하기 위한 저작자 정보(워터마크)로서, 일반 사용자는 인식할 수 없으며 특수한 장치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즉, 워터마킹 기술은 워터마크의 가시성 여부에 따라서 가시적 워터마킹(Visible Watermarking)과 비가시적 워터마킹(Invisible Watermarking) 기술로 분류할 수 있는데, 가시적 워터마킹 기술은 원본 이미지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저작자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저작권을 명시하는 것이며, 비가시적 워터마킹 기술은 인간 시각시스템(Human Visual System : HVS)의 감각한계를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감지할 수 없도록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술이다. 여기서의 인식데이터는 비가시적 워터마킹 기술에 따라 시각적으로 감지되지 않는 데이터를 특정 패턴으로 망점에 삽입함으로써, 특수한 장치에 의해 저작자 정보가 인식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인식데이터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K 원색의 망점들 중에서 특정 암호코드(예를 들면, 'A#2s'와 같은 코드)가 일정 패턴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턴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복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에 의해 시각적으로는 인식되지 않으면서 특정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망점의 근접 망점에,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분석을 방해시키기 위한 위장데이터를 삽입한다(S107). 즉, 삽입된 인식데이터의 패턴은 유가 증권을 위조 또는 변조하고자 하는 공격자들에게 노출될 염려가 있으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망점의 근접 망점에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은닉시키기 위한 위장데이터를 삽입한다. 도면에는 위장데이터와 인식데이터를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색으로 표시하였지만, 위장데이터와 인식데이터는 서로 다른 색으로 채색될 수도 있으며 동일한 색으로 채색될 수도 있다.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에 전체적으로 섞인 위장데이터는 도 4b와 같이 나타낼 수 있으며, 이러한 위장데이터 및 인식데이터의 패턴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는 전혀 구분할 수 없게 된다.
이때,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망점의 근접 망점에 대하여, 그 근접 망점의 계도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그 근접 망점에 위장데이터를 삽입하며, 근접 망점의 계도가 소정치보다 높은 경우에는 그 근접 망점에 유효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효데이터는 인식데이터와 유사한 데이터를 말하며, 위장데이터는 인식데이터와 전혀 다른 데이터를 말한다. 예를 들어, 인식데이터가 암호화된 코드인 'A#2s'라고 가정하면, 유효데이터는 인식데이터와 유사한 코드인 'A#2p'로 설정될 수 있으며, 위장데이터는 인식데이터와 전혀 다른 코드인 '&T3A'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근접 망점의 계도에 따라 근접 망점에 유효데이터와 위장데이터를 혼합하여 삽입함으로써,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효율적으로 은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근접 망점의 계도는 8% 내지 13%에서 삽입된 데이터의 검색이 용이하므로, 계도가 13% 이하인 근접 망점에는 위장데이터를 삽입하고, 계도가 13%보다 큰 근접 망점에는 유효데이터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술한 유가증권 인증장치(100)(도 1참조)가 위장데이터 및 인식데이 터를 용이하게 구별할 수 있도록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망점과, 위장데이터 및/또는 유효데이터가 삽입된 망점은 그 크기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망점과, 위장데이터 및/또는 유효데이터가 삽입된 망점은 그 색변위차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도 있으며, 특성이 서로 다른 잉크에 의해 채색될 수도 있다. 그러나 그 크기의 차이 또는 색변위차의 차이는 가능한 한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성이 서로 다른 잉크는 그 색상 자체는 동일하며, 잉크의 미립자의 특성(예를 들어, 미립자의 크기, 점도 등)이 다른 잉크로 채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분해된 4원색의 망점들에 대한 인쇄는, 추출된 영역의 망점들을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삽입된 망점들로 대체하거나, 인식데이터, 위장데이터 및/또는 유효데이터가 삽입된 망점들로 대체하여 인쇄한다(S109).
도 6은 도 1의 유가증권 인증장치에 의한 유가증권 인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유가증권 인증장치(100)는, 상기의 방법에 의해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삽입된 유가증권(10)에 대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유가증권 인증장치(100)에 의한 인증방법은, 상기의 예에 의한 유가증권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광 데이터 암호 삽입방법, 바코드 암호 삽입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삽입된 유가증권에 적용될 수 있다.
영역 검출부(110)는 진입되는 유가증권(10)에 대하여,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혼재되어 삽입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의 영역을 검출한다(S201). 이때, 영역 검출부(110)는 진입되는 유가증권(10)의 전체 이미지에 대하여 일정 부 분씩 순차적으로 전체 영역을 검색하여 상기의 영역을 검출하거나, 위치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역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데이터 분리부(120)는 영역 검출부(110)에 의해 검출된 영역에 대하여, 구별기준 저장부(160)에 저장된 구별기준값을 검색하고, 검색된 구별기준값에 기초하여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각각 분리한다(S203-S207).
패턴 판단부(130)는 데이터 분리부(120)에 의해 분리된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분석한다(S209).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은 상술한 도 3b와 같은 패턴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암호화 코드의 패턴, 광 데이터 크기의 패턴 등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진품여부 판단부(140)는, 패턴 판단부(130)에 의해 분석된 인식데이터의 삽입패턴과, 패턴 저장부(170)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패턴을 서로 비교한다(S211). 이때, 패턴 저장부(170)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패턴은 진품 유가증권(10)에 대한 패턴을 말한다.
진품여부 판단부(140)에 의해 비교된 두 패턴이 서로 동일하면(S213), 유가증권 인증장치(100)는 진입되는 유가증권(10)을 진품으로 판단하여 적재함(도시하지 않음)에 적재시킨다(S215).
진품여부 판단부(140)에 의해 비교된 두 패턴이 서로 다르면(S213), 유가증권 인증장치(100)는 진입되는 유가증권(10)을 위조 또는 변조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대한 후속조치를 실행한다(S217).
본 발명에 따르면,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유가증권에 대한 진품여부는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가증권 인증장치는 인식데이터가 삽입된 패턴을 공격자에게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유가증권 인증장치에서는 삽입된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를 정확히 구별하여 유가증권의 진품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각각 복수로 혼재되어 삽입된 유가증권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영역 검출부;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의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구별기준값을 저장하는 구별기준 저장부;
    상기 영역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영역에 대하여, 상기 구별기준 저장부에 기초하여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를 각각으로 분리하는 데이터 분리부;
    상기 데이터 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판단부; 및
    상기 패턴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진품여부 판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는 비가시적 워터마킹 기술로 구현되며,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에는 망점데이터 암호, 광 데이터 암호, 바코드 암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차별화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증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기 설정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저장하는 패턴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품여부 판단부는 상기 패턴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패턴과 상기 패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삽입 패턴을 비교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증장치.
  5. 삭제
  6.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일정 영역에 인식데이터 및 위장데이터가 각각 복수로 혼재되어 삽입된 유가증권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의 구별을 위해 기 설정된 구별기준값이 저장된 구별기준 저장부로부터 구별 기준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를 각각으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된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인식데이터의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유가증권의 진품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는 비가시적 워터마킹 기술로 구현되고, 상기 인식데이터 및 상기 위장데이터에는 망점데이터 암호, 광 데이터 암호, 바코드 암호 중의 적어도 하나가 차별화되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증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영역 검출단계는, 상기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 영역에 대하여 상기 일정 영역의 위치를 저장하는 위치 저장부로부터 상기 일정 영역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증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품여부 판단단계는,
    패턴 저장부에 기 설정되어 저장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삽입 패턴과, 상기 삽입패턴 판단단계에 의해 판단된 상기 인식데이터의 패턴을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비교된 패턴이 서로 동일한 경우에 상기 유가증권을 진품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증방법.
KR1020060043262A 2006-05-15 2006-05-15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KR100798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62A KR100798688B1 (ko) 2006-05-15 2006-05-15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3262A KR100798688B1 (ko) 2006-05-15 2006-05-15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590A KR20070110590A (ko) 2007-11-20
KR100798688B1 true KR100798688B1 (ko) 2008-01-28

Family

ID=39089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3262A KR100798688B1 (ko) 2006-05-15 2006-05-15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6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13B1 (ko) * 2007-12-06 2009-04-20 주식회사 씨텍 지폐 및 바코드가 표시된 유가증권의 인식계수방법과 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042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KR19980014331A (ko) * 1996-08-09 1998-05-25 이진주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JP2001195584A (ja) 2000-01-14 2001-07-19 Ricoh Co Ltd 画像認識装置
JP2001309157A (ja) 2000-04-26 2001-11-02 Ntt Data Corp 書類認証方法、システム、書類作成装置、書類認証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092683A (ja) 2000-07-14 2002-03-29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真偽鑑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2042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KR19980014331A (ko) * 1996-08-09 1998-05-25 이진주 지폐 식별기 및 지폐 식별방법
JP2001195584A (ja) 2000-01-14 2001-07-19 Ricoh Co Ltd 画像認識装置
JP2001309157A (ja) 2000-04-26 2001-11-02 Ntt Data Corp 書類認証方法、システム、書類作成装置、書類認証装置及び記録媒体
JP2002092683A (ja) 2000-07-14 2002-03-29 Oki Electric Ind Co Ltd 媒体真偽鑑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590A (ko) 2007-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8310B2 (en) Authenticating identification and security documents and other objects
US8301893B2 (en) Detecting media areas likely of hosting watermarks
US8059858B2 (en) Identification document and related methods
KR100400582B1 (ko) 디지털 워터마킹을 이용한 유가증권등의 발급, 인증장치와방법
EP157962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print media
EP1953710B1 (en) Counterfeit Deterrence Using Dispersed Miniature Security Marks
JP5536815B2 (ja) 微小セキュリティマークを利用した偽造防止装置及び方法
US20080181451A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KR100798688B1 (ko) 유가증권 인증장치 및 그 방법
US7715057B2 (en) Hierarchical miniature security marks
KR100822724B1 (ko) 디지털 보안 인쇄 장치 및 그 방법, 및 이미지 인증장치
KR20150077592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보안매체 판독방법
KR20010070865A (ko) 문서의 복사 및 위조/변조 방지 및 인증 장치
KR101858965B1 (ko) 이미지에 진위 판별 코드 삽입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생산물의 진위 여부 판별 방법
KR20010087749A (ko) 워터마킹 기술을 기반으로 한 카드 제작 및 인증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832349B1 (ko) 보안 인쇄 시스템 및 그 보안 인쇄 방법
JP2002067555A (ja) 証券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78314A (ja) 記録媒体及びその読み取り再生装置並びに記録媒体の偽造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