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058B1 - 뼈 고정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뼈 고정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058B1
KR100798058B1 KR1020010075595A KR20010075595A KR100798058B1 KR 100798058 B1 KR100798058 B1 KR 100798058B1 KR 1020010075595 A KR1020010075595 A KR 1020010075595A KR 20010075595 A KR20010075595 A KR 20010075595A KR 100798058 B1 KR100798058 B1 KR 100798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bone fixation
bone
implant
stra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5862A (ko
Inventor
이토만모리토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메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메딕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 메딕
Priority to KR102001007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058B1/ko
Publication of KR2003004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2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for bone cercl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4Devices for the head or neck or trochanter of the femu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종래의 케이블 그립을 사용한 케이블 고정방법에서 자주 발생했던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에 의한 출혈, 염증 등의 증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뼈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킨 뼈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刺入部)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부 또는 원주 홈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뼈 고정구가 소형화 됨으로써,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에 의한 출혈, 염증 등의 증상이 방지되는 동시에, 뼈 고정력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뼈 고정용 임플란트{Implant for bone fixation}
도 1은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그의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정면도로서, (A)는 나사산이 자입부(刺入部)의 직선부분의 원주면과 일치하도록 절삭된 나사부가 자입부의 직선부분중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B)는 상기 나사부가 자입부의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C)는 상기 나사부가 자입부의 직선부분중 머리부에 가까운 상부부분과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정면도로서, (A)는 나사산이 자입부의 직선부분의 원주면보다 솟아 있도록 절삭된 나사부가 자입부의 직선부분중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B)는 상기 나사부가 자입부의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C)는 상기 나사부가 자입부의 직선부분중 머리부에 가까운 상부부분과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정면도로서, (A)는 원주 홈들이 자입부의 직선부분중 머리부에 가까운 상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B)는 원주 홈들이 자입부의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C)는 원주 홈들이 자입부의 직선부분중 머리부에 인접한 상부부분과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머리부가 반구체(半球體) 형상으로 형성된 뼈 고정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그의 측면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 1a: 반구체 형상의 머리부
2: 자입부(刺入部)
2a: 나사산이 자입부의 직선부분의 원주면과 일치하도록 절삭된 나사부
2b: 나사산이 자입부의 직선부분의 원주면보다 솟아 있도록 절삭된 나사부
2c: 원주 홈 3: 관통구멍
4: 파지부(把持部)
본 발명은 뼈 고정용 임플란트(implant)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퇴골 대전자(大轉子) 골절, 주두(팔꿈치머리) 골절, 경골(脛骨) 결절(結節) 골절, 족관절(足關節) 내과(內果) 골절 및 이들 부위의 뼈를 자르는 수술을 한 후의 뼈 고정 등에 사용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와 더불어, 골조송증 등을 주 원인으로 하는 고(股)관절부 골절, 변형성 고관절염, 대퇴골두 괴사증 등으로 인공 고관절이 필요한 증상의 예가 증가하고 있다. 또, 무릎 관절에서도 변형성 관절증이 증가하여 인공 무릎 관절을 포함한 수술요법을 필요로 하는 증상의 예가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공 고관절 치환 수술에 있어서는, 대전자를 일시적으로 잘라내어 관절에 접근하고, 또, 무릎 관절의 경우에는 경골 결절을 일시적으로 잘라내어 관절에 접근하는 것이 가끔 필요해진다. 이와 같이 뼈를 자른 부위는 관절내의 조작이 끝나면 다시 원상태로 복구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나사에 의한 고정, 핀과 연강선(軟鋼線)에 의해 끌어당기는 강선 체결법, 또는 케이블 그립(grip)을 사용하여 케이블로 고정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나사나 핀 또는 스파이크에 의한 고정방법에 있어서는, 나사나 핀, 스파이크의 느슨함, 절손(切損), 연강선의 파손에 의해 고정성이 나빠지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케이블 그립과 케이블로 고정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케이블 그립에 의한 대퇴골막 장근(張筋) 및 대전자부 활액포(滑液包)의 자극에 의한 염증, 동통(疼痛)이 생기고, 케이블 절단부에 의한 연부(軟部) 조직의 자극이 상기한 반응을 더 악화시킨다. 이와 같은 유해한 증상이 나타났을 때는 재수술 등의 대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 환자에게 큰 부담이 된다. 또, 본래, 뼈 고정구는 체내에 매립되는 이물(異物)이므로 가능한 한 작은 것이 좋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발명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3)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1)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taper)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刺入部)(2)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안하였고, 그러한 뼈 고정용 임플란트가 국제출원 공개번호 WO 99/4205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더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추가로 설명한다.
이러한 구조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의하면, 뼈 고정구를 소형화함으로써, 종래의 케이블 그립을 사용한 케이블 고정방법에서 자주 발생했던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에 의한 출혈, 염증 등의 증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정방법에 비해 우수한 장점을 가지지만, 뼈 고정력을 더욱 높이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뼈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킨 뼈 고정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taper)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刺入部)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그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상기 직선부분의 원주면과 일치하도록 절삭된 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산이 상기 직선부분의 원주면보다 솟아 있도록 절삭된 나사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상기 자입부의 상기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중 상기 머리부에 가까운 상부부분과 상기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원주 홈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들이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중 상기 머리부에 가까운 상부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들이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3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들이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중 상기 머리부에 인접한 상부부분과 상기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머리부의 윗면과 밑면은 거의 평행한 평면이며 그의 형상은 파지하기 쉽고 케이블 고정 조작이 쉬운 사변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각도는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 예리한 각인 경우에는 적당히 모따기(chamfering)를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통상, 자입부의 삽입 조작의 취급성을 좋게 하기 위해 머리부 윗면을 밑면보다 크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머리부의 종단면은 역사다리꼴의 형상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구체(半球體) 형상의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4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나사부 또는 원주 홈들을 형성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알루미나, 카본, 인산 칼슘, 바이오 유리, 결정화 유리, 지르코니아, 질화 규소, 산화 티탄 등의 세라믹스, 스테인리스 강, 코발트·크롬 합금, 티탄 및 티탄 합금, 탄탈 등의 금속재료, 폴리메틸메타클리레이트, 폴리설폰,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 유산 등의 폴리머 재료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강도, 생체 적합성, 내식성(耐食性), 내구성 등의 점에서는, 코발트·크롬 합금, 티탄 및 티탄 합금, 스테인리스 강 등이 좋다. 이 중에서 티탄, 티탄 합금은 생체 친화성, 내식성, 탄성(彈性), 경량성, 조작성 등에서 우수하다. 또, 스테인리스 강은 강도, 고정력 유지의 면에서 우수하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케이블은 가요성, 인장강도,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것이면 특별한 제한이 없지만, 코발트·크롬 합금, 티탄 및 티탄 합금, 스테인레스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생체내 부식의 관점에서는 임플란트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서 개선하고자 하는 종래기술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특히 주두 골절, 족관절 내과(內果)골절에 있어서의 뼈의 고정이나, 크기를 변경하여 대전자를 고정하는데 적합하게 설계되어 있다. 이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케이블(도시되지 않음)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3)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1)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taper)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刺入部)(2)로 이루어져 있고, 필요에 따라, 머리부(1)의 윗면 중앙에 자입부(2)와 반대방향으로 부착된 파지부(把持部)(4)를 가질 수도 있다.
케이블을 끼우기 위해 머리부(1)에 형성된 관통구멍(3)은 머리부(1)의 밑면에 거의 평행하게 그 머리부를 관통하는 직선으로 열려진 2개의 원형 구멍(도시된 바와 같은)이거나, 또는, 2개의 원형 구멍이 부분적으로 합쳐져 8자형(정면에서 볼 때)을 이루는 1개의 구멍일 수 있고, 골절면 또는 뼈를 자르는 면을 일정한 압력으로 밀착시키기 위해 일정한 장력으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입부(2)는 뼈 속에 박혀 매몰되는 부분이며, 수동으로 또는 동력에 의한 드릴로 뼈에 직접 박아 넣을 수 있다.
파지부(4)는 자입부(2)를 뼈에 박을 때 임플란트를 안정적으로 파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임플란트를 뼈 위에 적절하게 배치하기 쉽도록 할 경우에 대단히 유용하다. 파지부(4)의 길이는 용도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는데, 대전자 고정에 사용할 경우에는 약 5∼10 cm의 길이가 적당하다. 자입부(2)를 박고 케이블에 의한 고정이 완료된 후에는 그 파지부(4)는 쓸모가 없어지므로, 머리부(1)의 바로 위에서 절단할 수 있도록 노치(notch)를 형성하여 두는 것이 좋다. 그 노치를 형성함으로써 절단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으로 쓸모가 없어진 파지부(4)를 쉽게 절단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서는 머리부(1)의 윗면과 밑면은 거의 평행한 평면이며 그의 형상은 파지하기 쉽고 케이블 고정 조작이 쉬운 사변형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각형으로 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도, 각도는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을 피하기 위해, 머리부(1)의 각 변 및 정점이 예리한 각을 가지는 경우에는 적당히 모따기(chamfering)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머리부(1)는, 통상, 자입부(2)의 삽입 조작의 취급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밑면보다는 머리부 윗면을 크게 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머리부(1)의 종단면은 역사다리꼴의 형상이 된다.
주두 골절, 족관절 내과골절에 있어서의 뼈 고정에 적합한 임플란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파지부(4)의 직경이 1.8∼2.5 mm이다. 이 경우에는 직경 1.0∼1.4 mm의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머리부(1)의 관통구멍(3)의 직경은 그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대략 1.0∼1.4 mm이다. 머리부(1)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2∼5 mm 정도가 적당하다. 여기서는 4 mm로 하였다.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3)이 있는 정면측의 폭 및 안 길이는 보통 5∼15 mm이며, 똑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여기서는 각각 8 mm, 8 mm로 하였다. 핀 형상의 자입부(2)의 직경은 1.8∼2.5 mm가 바람직하고, 여기서는 2.5 mm로 하였다. 1.8 mm 미만에서는 자입부의 고정력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파손되는 경우가 생긴다. 한편, 2.5 mm를 넘으면, 뼈에의 부담이 과대해져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대전자 고정에 적합한 임플란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주두 골절, 족관절 내과골절의 경우의 뼈의 고정에 적합한 임플란트와 비교했을 때 큰 하중이 작용하므로 약간 큰 임플란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파지부(4)의 직경은 2∼3 mm이고, 머리부(1)의 관통구멍(3)에 관해서는, 직경 1.2∼1.8 mm의 약간 굵은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관통구멍(3)도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대략 1.2∼1.8 mm로 한다. 머리부(1)의 두께는 일반적으로는 3∼5 mm 정도로 하는 것이 적당하다. 머리부의 정면의 폭 및 안 길이는 똑같이 5∼15 mm이며, 똑같아도 좋고 달라도 좋다. 핀 형상의 자입부(2)의 직경은 2∼3 mm가 바람직하다. 2 mm 미만에서는 대전자 고정에 있어서는 핀 고정력이 불충분해질 우려가 있고 핀의 파손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한편, 3 mm를 넘으면, 뼈에의 부담이 과다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대전자 고정으로 사용할 경우, 핀의 전체 길이는 치료하는 대전자의 상태, 형상에 따라 바꿀 필요가 있으며, 골두(骨頭)를 인공관절과 병용할 경우와 인공관절을 병용하지 않는 경우에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인공관절을 병용 하지 않는 경우, 예를 들어 대전자 골절 고정, 뼈를 자르는 수술 또는 인공관절 이외의 고관절 수술에서 뼈를 자른 대전자의 고정 등의 경우, 또 경골 결절 고정 등의 경우에는 반대쪽의 피질골(皮質骨)에 도달하도록 40∼100 mm의 길이로 할 수 있다. 한편, 인공관절을 병용할 경우에는 인공관절 시스템에 도달하지 않는 정도의 길이의, 스파이크가 부착된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뼈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구조를 개선한 것이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형태가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뼈 고정용 임플란트, 즉,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3)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1)와, 그 머리부(1)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2)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그 자입부(2)의 상기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사산이 상기 직선부분의 원주면과 일치하도록 절삭된 나사부(2a)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2(A)는 상기 나사부(2a)가 자입부(2)의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2(B)는 상기 나사부(2a)가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도 2(C)는 상기 나사부(2a)가 자입부(2)의 직선부분중 머리부(1)에 가까운 상부부분과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사산이 상기 직선부분의 원주면보다 솟아 있도록 절삭된 나사부(2b)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3(A)는 상기 나사부(2b)가 자입부(2)의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3(B)는 상기 나사부(2b)가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도 3(C)는 상기 나사부(2b)가 자입부(2)의 직선부분중 머리부(1)에 가까운 상부부분과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나사부(2a) 또는 나사부(2b)가 형성된 도 2 및 도 3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는,그 나사부가 스크류와 같은 효과로 골절부, 뼈가 잘린 부분을 압착하여 케이블을 팽팽히 당기게 됨으로써 고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원주 홈(2c)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4(A)는 상기 원주 홈(2c)들이 자입부(2)의 직선부분중 머리부(1)에 가까운 상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내고, 도 4(B)는 상기 원주 홈(2c)들이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예를 나타내며, 도 4(C)는 상기 원주 홈(2c)들이 자입부(2)의 직선부분중 머리부(1)에 인접한 상부부분과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예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원주 홈(2c)들이 형성된 도 4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는, 그 원주 홈(2c)들내로 뼈가 형성되어 핀 형상의 자입부(2)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고정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는,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3)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구체(半球體) 형상의 머리부(1a)와, 그 머리부(1a)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머리부를 반구체 형상으로 변경한 것이다
이와 같이, 뼈 고정용 임플란트의 머리부를 반구체 형상의 머리부(1a)로 함으로써, 도 1에 나타낸 임플란트의 사변형의 머리부(1)에 비하여 연부(軟部)조직의 자극이 경감될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자입부(2)의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상기한 바와 같은 나사부(2a)나 나사부(2b) 또는 원주 홈(2c)들을 형성한 구조로 함으로써,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낸 실시형태에서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골절된 대전자의 고정방법을, 인공관절을 병용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아래에 설명한다. 우선, 잘린 대전자를 정확하게 원상태로 복구하고, 미리 계측한 길이의 핀, 즉, 자입부(2)를 동력 또는 수동 드릴에 설치하고, 대전자에 박아 넣고, 회전시키면서 핀의 끝이 반대쪽의 피질골(皮質骨)에 도달할 때까지 진행한다. 다음으로, 대퇴골 전자간(轉子間)부에 다른 드릴 칼로 뚫은 구멍으로 통과시킨 케이블을 머리부(1)의 2개의 관통구멍(3)에 양쪽으로부터 통과시키고 손으로 어느 정도 긴장시킨다. 또한, 케이블을 전용의 신전기(伸展器)에 설치하여 긴장감을 부여한다. 그 상태에서 머리부(1)를 크림핑(crimpping)하여 케이블을 고정하고, 케이블을 절단기로 절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케이블은 모노필라멘트 케이블도 사용할 수 있지만, 탄력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멀티필라멘트 케이블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케이블의 굵기는 1∼3 mm가 바람직하며, 특히 1.2∼2.5 mm가 바람직하다. 1 mm 미만에서는 큰 힘이 가해졌을 때 케이블이 절단되거나 뼈를 손상할 우려가 있다. 또, 3 mm를 넘는 경우에는, 그 굵기에 비례하여 머리부(1)의 크기를 크게 할 필요가 생겨 바람직하지 않다.
이 멀티필라멘트 케이블로는, 여러 개의 필라멘트를 나선형으로 꼬아 이루어진 필라멘트 다발을 같은 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꼰 더블 멀티필라멘트가 탄성, 강도 등의 관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종래의 케이블 그립(grip)을 사용한 경우, 큰 그립이 대전자상에 고정되어 뼈 밖으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에 의한 염증, 출혈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또 대퇴근막 장근 및 대전자부 활액포의 동풍, 염증이 가끔 발생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임플란트를 소형화할 수 있어, 대전자부에 노출하는 부분을 최소한으로 억제함으로써 상기의 유해한 증상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뼈 고정구를 소형화함으로써, 종래의 케이블 그립을 사용한 케이블 고정 방법에서 자주 발생했던 인체 내부조직에의 자극에 의한 출혈, 염증 등의 증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뼈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사변형 형상의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적어도 일부에 원주 홈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들이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중 상기 머리부에 가까운 상부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들이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 홈들이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중 상기 머리부에 인접한 상부부분과 상기 첨단부분에 인접한 하부부분에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
  10. 케이블을 끼우기 위한 관통구멍이 밑면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반구체 형상의 머리부와, 그 머리부의 밑면의 중앙부로부터 그 밑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돌출하고, 일정한 굵기의 직선부분과 테이퍼진 모양으로 서서히 가늘어진 첨단부분을 가지는 핀 형상의 자입부로 이루어진 뼈 고정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자입부의 상기 직선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원주 홈들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뼈 고정용 임플란트.
  11. 삭제
  12. 삭제
KR1020010075595A 2001-12-01 2001-12-01 뼈 고정용 임플란트 KR100798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595A KR100798058B1 (ko) 2001-12-01 2001-12-01 뼈 고정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5595A KR100798058B1 (ko) 2001-12-01 2001-12-01 뼈 고정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62A KR20030045862A (ko) 2003-06-12
KR100798058B1 true KR100798058B1 (ko) 2008-01-28

Family

ID=37421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5595A KR100798058B1 (ko) 2001-12-01 2001-12-01 뼈 고정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0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579A (ko) 2019-06-13 2020-1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접합용 임플란트 결합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224A (ja) * 1995-06-30 1997-01-14 Terumo Corp 骨固定要素および骨固定器具
US5643260A (en) * 1995-02-14 1997-07-01 Smith & Nephew, Inc. Orthopedic fixation system
JPH10225467A (ja) * 1996-10-18 1998-08-25 Spinal Innovations 脊髄インプラント固定組立体
JP2001304223A (ja) * 2000-04-25 2001-10-31 Horikkusu:Kk 部材接合装置用ねじ部材と部材接合方法
KR100369961B1 (ko) * 1994-09-01 2003-03-15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주입가능한폴리에틸렌옥사이드겔이식제및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961B1 (ko) * 1994-09-01 2003-03-15 유니버시티 오브 마이애미 주입가능한폴리에틸렌옥사이드겔이식제및생산방법
US5643260A (en) * 1995-02-14 1997-07-01 Smith & Nephew, Inc. Orthopedic fixation system
JPH0910224A (ja) * 1995-06-30 1997-01-14 Terumo Corp 骨固定要素および骨固定器具
JPH10225467A (ja) * 1996-10-18 1998-08-25 Spinal Innovations 脊髄インプラント固定組立体
JP2001304223A (ja) * 2000-04-25 2001-10-31 Horikkusu:Kk 部材接合装置用ねじ部材と部材接合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3579A (ko) 2019-06-13 2020-12-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접합용 임플란트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862A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945B1 (ko) 뼈 고정용 케이블 슬리브 장치
EP2590584B1 (en) Osteosynthesis system
US6368322B1 (en) Surgical bone screw
US7785325B1 (en) Multi-articulated fracture fixation device with adjustable modulus of rigidity
US72079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femur
US5776194A (en) Intermedullary rod apparatus and methods of repairing proximal humerus fractures
CN114423357A (zh) 齐平锚固件断离装置
US7625395B2 (en) Implantable screw for stabilization of a joint or a bone fracture
CA2411130C (en) Humeral spiral blade
JP4658970B2 (ja) 球関節のボール領域における表面置換のためのプロテーゼ
US20100331842A1 (en) Multi-articulated fracture fixation device with adjustable modulus of rigidity
JP2007506528A (ja) 椎間関節置換
AU6556699A (en) Improved strength fixation device
EP1211992A1 (en) Bone plate system
JP2010259823A (ja) 骨板
US20140222087A1 (en) Orthopedic implant having non-circular cross section and method of use thereof
WO2001017445A1 (en) Bone splint
CN112971886B (zh) 固定韧带的挤压钉及其装配具
US8758345B2 (en) Interlocking nail geometry and method of use
US20130030479A1 (en) Bone wedge
US20070190491A1 (en) Out-of-round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KR100798058B1 (ko) 뼈 고정용 임플란트
US20220226100A1 (en) Compression anchor systems, devices, instruments, implants and methods of assembly and use
US7357803B2 (en) Rotating ring ligament fixation
WO2001076488A1 (en) Connector for organic tissue, and method for repairing a fracture in organic tiss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