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748B1 -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 Google Patents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748B1
KR100797748B1 KR1020010039057A KR20010039057A KR100797748B1 KR 100797748 B1 KR100797748 B1 KR 100797748B1 KR 1020010039057 A KR1020010039057 A KR 1020010039057A KR 20010039057 A KR20010039057 A KR 20010039057A KR 100797748 B1 KR100797748 B1 KR 100797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oute
point
message
signal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9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03364A (ko
Inventor
이승진
이성근
오원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10039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7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03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6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using auxiliary connections for control or supervision, e.g. where the auxiliary connection is a signalling system number 7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45Management of the local loop pla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22Arrangements for supervision, monitoring or testing
    • H04M3/2272Subscriber line supervision circuits, e.g. call detec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서 신호점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신호점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각 신호점이 갖는 신호루트를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No.7신호망을 통한 대국 신호점과의 호접속절차를 수행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ISDN 유저 파트와, No.7신호를 처리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에 실장되어 No.7 신호처리에 대해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_7에 내장되어 확장된 대국 신호점에 대한 정보와 확장된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ISDN 유저 파트로부터 호연결을 위한 ISUP(ISDN User Part)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발신호처리를 위한 대국 신호점의 정보와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신호루트를 통해 대국 신호점으로 상기 ISUP메시지를 전송하는 SMHP(Signal Message Handing Processor), 및 상기 SMHP와 대국간의 링크기능을 수행하는 ST(Signal Terminal: 신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신호점의 수용을 증대시킬 수 있어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신호점간의 신호루트를 확장시켜 부하분담이 구현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고 트래픽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Apparatus for extending a Signalling Point and Signalling Route in Full Electronic Exchang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의 주요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가 적용되는 신호망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점(SEP)간의 신호루트를 도시한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SMHP(Signal Message Handing Processor)
20 : ASP_7
22 : 메모리 24 : T스위치
100 : ASS-7
200 : INS
SEP(Signalling End Point) : 신호점
STP(Signalling Transfer Point) : 신호전송점
본 발명은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전자교환기에서 신호점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신호점의 영역을 확대시키고, 각 신호점이 갖는 신호루트를 다양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통신망 시스템에서는 가입자간의 호 접속을 수행하는 경우 음성망과는 별도로 구성된 신호망을 통해 각종 신호 메시지를 전달하여 호접속을 수행한다.
No.7 신호망은 신호망을 구성하는 신호 노드인 신호점, 신호점을 연결하는 신호 링크, 신호 링크들의 집합인 신호 링크셋, 신호점으로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할 신호점과 신호 링크셋의 순서쌍인 신호 루트라는 제원 데이터로 구성되고, 발신 신호점으로부터 생성된 신호 메시지를 생성하여 해당 착신점으로 신호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해당 착신점으로 향하는 신호 링크셋(신호 루트)의 특정 신호 링크로 신호 메시지를 전달하여 호 접속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존의 No.7 신호망에서는 각각의 시스템이 신호망내에서 하나의 신호점으로 정의되어 1개의 자국 신호점을 할당받아 신호 메시지 전달을 위해 인접 시스템(신호점)과 신호 링크로 접속되어 자국 시스템에 수신되는 신호 메시지를 착신 신호점으로 전달하는 메시지 루팅 절차를 수행한다.
한편, 기존의 특정 신호점(Signalling End Point)이 수용할 수 있는 신호점의 갯수는 128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 128개의 신호점이 모두 할당된 특정 신호점이 그 수가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신설망과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시스템을 신설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더하여, 현재 각 신호점에 대해서 3개의 신호 루트가 할당되어 있는데, 3개의 신호 루트 만으로는 급속한 속도로 신설되는 사설망에 대한 처리 메시지 증가로 인하여 루트의 부하가 증가되어 시스템 부하의 성능면에서 지속적으로 문제를 발생하여 시스템 성능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되어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전전자교환기에서 특정 신호점이 수용할 수 있는 신호점의 갯수를 증가시키고, 각 신호점에 대해 지원되는 신호루트의 수를 증가시켜, 새로이 신설되는 신호망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시스템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된 시스템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되어진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서, 전전자교환기에서 신호점이 512개의 신호점을 수용할 수 있고, 각 신호점에 대해 4개의 신호루트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혼기에서의 신호점/신호루트 화장장치는, No.7신호망을 통한 대국 신호점과의 호접속절차를 수행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ISDN 유저 파트와, No.7신호를 처리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에 실장되어 No.7 신호처리에 대해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_7에 내장되어 확장된 대국 신호점에 대한 정보와 확장된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ISDN 유저 파트로부터 호연결을 위한 ISUP(ISDN User Part)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발신호처리를 위한 상기 확장된 대국 신호점의 정보와 상기 확장된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신호루트를 통해 대국 신호점으로 상기 ISUP메시지를 전송하는 SMHP(Signal Message Handing Processor), 및 상기 SMHP와 대국간의 링크기능을 수행하는 ST(Signal Terminal: 신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가 적용되는 장치의 주요 블럭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10은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ISDN 유저 파트(이하, ISUP)이고, 참조부호 20은 상기 ISUP(10)으로부터 호연결을 위한 ISUP메시지가 전송되면 해당 ISUP메시지에 포함된 회선식별번호와 루트번호 등을 근거로 후술되어질 ASP_7의 메모리(30)로부터 신호점 정보와 신호루트 정보를 취득하여 그 취득된 신호점 정보에 해당하는 신호점으로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루팅기능을 수행하는 SMHP(Signal Message Handing Processor)이다.
여기서, 상기 SMHP(20)는 일반적인 MTP(Message Transfer Part)기능과 SCCP(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기능을 수행하는데, 이러한 기능들에 의해 링크 셋을 관리하고, 메시지 식별/분배 기능을 수행하며, 메시지 라우팅 및, 흐름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참조부호 30은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_7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_7내에 구성되어, 자국 신호점이 수용가능한 신호점 즉, 512개의 신호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함과 더불어, 자국 신호점과 대국 신호점간의 연결을 위한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는 신호링크, 신호링크 셋에 대한 정보도 포함된다.
참조부호 40은 상기 SMHP(20)와 대국간에 링크기능을 수행하는 ST(Signal Terminal: 신호 단말기)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가 적용되는 신호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신호점(SEP)간의 신호루트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국 신호점(SS1)은 512개의 대국 신호점(SEP:S1∼S512)를 수용가능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국 신호점(SS1)과 각 대국신호점(SEP:S1∼S512)간에는 4개의 신호루트(STP;R1∼R4)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자국 신호점(SS1)이 수용가능한 대국 신호점을 512개로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대국 신호점(S1∼S512)에 대한 정 보를 메모리(30)에 저장하고, 신호루트(R1∼R4)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30)에 저장하여, 상기 ISUP(10)으로부터 ISUP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SMHP(20)가 상기 ISUP메시지에 포함된 회선식별번호와 루트번호에 해당하는 대국 신호점의 정보를 상기 메모리(30)으로부터 취득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SMHP(20)는 취득한 대국 신호점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신호루트(R1∼R4)중 특정 신호루트로 상기 ISUP신호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신호루트를 4개로 확장함에 따라 2개의 신호루트를 가용 신호루트로 설정하고, 나머지 2개의 신호루트는 대체신호루트로 설정하며, 신호루트의 우선 순위는 신호루트 생성시 입력되어지는 인접 신호점의 순서에 따라 가장 먼저 입력된 인접 신호점(즉, 신호루트)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게 되며 순서대로 낮아진다.
따라서, 종래에 신호루트가 3개일 때, 2개의 가용신호루트가 모두 다운(Down)되면 1개의 대체신호루트로 전환(Change Over)되어 1개의 대체신호루트에 부하가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대체신호루트가 2개이기 때문에 대체신호루트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되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에 의하면, 신호점 확장 및 신호 루트를 확장함으로써 새롭게 증설 확장되는 신설망에 대해서 수용해야하는 신호점을 위해서 시스템을 새롭게 신설할 필요성이 없어지고 확장되는 신호망에 대해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갈 수 있다.
또, 신호점간의 신호루트를 확장시킴으로서 신호루트간의 부하가 분담되어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고 트래픽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이러한 수정 및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5)

  1. No.7신호망을 통한 대국 신호점과의 호접속절차를 수행하는 전전자교환기에 있어서,
    ISDN(Inter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가입자 또는 중계선에 대한 정합기능을 수행하는 ISDN 유저 파트와;
    No.7신호를 처리하는 ASS(Access Switching Subsystem)에 실장되어 No.7 신호처리에 대해 전반적인 제어를 행하는 ASP(Access Switching Processor)_7에 내장되어 확장된 대국 신호점에 대한 정보와 확장된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 메모리;
    상기 ISDN 유저 파트로부터 호연결을 위한 ISUP(ISDN User Part)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발신호처리를 위한 상기 확장된 대국 신호점의 정보와 상기 확장된 신호루트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신호루트를 통해 대국 신호점으로 상기 ISUP메시지를 전송하는 SMHP(Signal Message Handing Processor); 및
    상기 SMHP와 대국간의 링크기능을 수행하는 ST(Signal Terminal: 신호 단말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대국 신호점의 개수는 51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신호루트의 개수는 4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된 신호루트는 동일 개수의 가용신호루트와 대체신호루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신호루트와 상기 대체신호루트의 개수는 각각 2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KR1020010039057A 2001-06-30 2001-06-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KR1007977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057A KR100797748B1 (ko) 2001-06-30 2001-06-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9057A KR100797748B1 (ko) 2001-06-30 2001-06-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64A KR20030003364A (ko) 2003-01-10
KR100797748B1 true KR100797748B1 (ko) 2008-01-24

Family

ID=2771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9057A KR100797748B1 (ko) 2001-06-30 2001-06-30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74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393A (ko) * 1999-02-05 2000-09-05 서평원 통신망 확장 시스템
KR20010002717A (ko) * 1999-06-17 2001-01-15 이정태 공통선 신호 망에서의 중계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환기
US20010002190A1 (en) * 1999-11-30 2001-05-31 Lg Electronics, Inc. Priority auto-control method of signal routes in No.7 signaling network
KR20020074031A (ko) * 2001-03-19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망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점유 방법
KR20020095574A (ko) * 2001-06-14 2002-1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교환기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393A (ko) * 1999-02-05 2000-09-05 서평원 통신망 확장 시스템
KR20010002717A (ko) * 1999-06-17 2001-01-15 이정태 공통선 신호 망에서의 중계선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교환기
US20010002190A1 (en) * 1999-11-30 2001-05-31 Lg Electronics, Inc. Priority auto-control method of signal routes in No.7 signaling network
KR20020074031A (ko) * 2001-03-19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지능망 시스템에서의 중계선 점유 방법
KR20020095574A (ko) * 2001-06-14 2002-12-2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교환기 시스템에서 메시지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364A (ko) 200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58039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ネットワーク構造を有する電気通信回線網のための個別経路選択能力を備えた加入者接続ユニット
FI108500B (fi) Matkapuhelinverkkorakenne
EP07006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obile communications in asynchronous transfer mode based networks
JP2001513618A (ja) 通信接続確立システムおよび方法
RU2147771C1 (ru) Дистанционное вокодирование по линии связи на большую дальность действия
KR100797748B1 (ko) 전전자교환기에서의 신호점 및 신호루트 확장장치
KR100465652B1 (ko) 에이티엠 교환기를 이용한 타사 이동 교환기간의 소프트핸드오프 처리 장치 및 방법
KR19980056918A (ko) No.7 신호 프로토콜을 이용한 제어국과 교환기 간의 인터페이스 장치
JP2541134B2 (ja) ホ―ムメモリのル―チング番号更新方式
US7130407B1 (en) Method for processing call establishment requests
KR100260029B1 (ko) 분산구조를 갖는 전송장치
KR100233909B1 (ko) Isdn 교환 시스템의 프레임 릴레이 교환 방법
JPH03119894A (ja) 移動通信追跡接続制御方式
KR100250431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KR101249677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신호 트래픽 할당 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4419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20000020356A (ko) 공통선 신호망에서 디폴트 루트 구성을 통한 신호메시지 라우팅방법
KR94000878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No.7 공통선 신호방식 처리 장치
KR100440511B1 (ko) 관문국 시스템에서 서로 다른 신호 프로토콜 연동 방법
KR100328435B1 (ko) 브이5.2 계층3 처리 장치와 호제어 프로세서 간 메시지라우팅 방법
KR0173384B1 (ko) 비동기전달모드가상채널교환시스템에서점대다중점호처리시중계선루트선택방법
KR940007917B1 (ko) Isdn 사용자부의 구현방법
JP2002374553A (ja) チャネル切替方法および移動通信交換機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101216224B1 (ko) 단문 메시지 중계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