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50431B1 -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50431B1
KR100250431B1 KR1019970057665A KR19970057665A KR100250431B1 KR 100250431 B1 KR100250431 B1 KR 100250431B1 KR 1019970057665 A KR1019970057665 A KR 1019970057665A KR 19970057665 A KR19970057665 A KR 19970057665A KR 100250431 B1 KR100250431 B1 KR 100250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signal
wireless data
data serv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8041A (ko
Inventor
정동수
신연승
김종익
Original Assignee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서정욱
Priority to KR1019970057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043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0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0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38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 H04L5/1446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prior to communication of transmiss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디지털 이동통신망에서 사용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과 공중 전화망 사이에 모뎀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송 속도의 부정합을 해결하기 위한 데이터 전송 속도 부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동 장치 간에 신호 교환을 위한 복잡한 신호 장치가 필요하며 호가 접속되는데 상당한 시간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따라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교환기 사이를 네 개의 단자로 연결하고 이동통신 교환기가 호의 종류에 따라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달 경로가 다르게 구성하여 신호를 전달하므로써, 신호 장치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호의 접속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본 발명은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그 신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아날로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팩시밀리 단말기와 이동 전화기 사이에 무선 모뎀을 설치하므로써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는 이동 전화기와 기지국 사이가 디지털 방식이므로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교환기에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를 접속하여 모뎀을 통한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송 속도의 부정합을 해결하기 위하여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주로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 사이를 하나 또는 2개의 단자로 접속하고 이들 간에 LAP-D(Link Access Procedure on the D-channel) 또는 CCS No.7 등의 신호 방식을 사용하여 신호 교환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또는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모뎀을 통한 데이터 통신 기능 및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이동통신 교환기와 연동 장치 간에 신호 교환을 위한 복잡한 신호 장치가 필요하며 호의 접속에 상당한 시간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교환기 사이를 네 개의 단자로 연결하고 이동통신 교환기가 호의 종류에 따라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달 경로가 다르게 구성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 간에 호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없도록 하므로써, 신호 장치를 최소화하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호의 접속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은 가입자 단말인 이동국, 상기 이동국과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정합을 제어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과 이동통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 경로를 제공하는 제어국, 상기 지지국 및 상기 제어국의 운용 보전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국 관리기, 이동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 및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는 모뎀 입력 단자, 모뎀 출력 단자,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입력 단자 및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의 네 개의 단자를 이용하여 호의 종류에 따라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달 경로가 다르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방법은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로 점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점유 신호를 받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이동통신 교환기로 점유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점유 확인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로 서비스 시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시작 신호를 수신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이동통신 교환기로 서비스 시작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시작 확인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로 해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해제 신호를 받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이동통신 교환기로 해제 완료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 : 이동국 12 : 기지국
13 : 제어국 14 : 제어국 관리기
15, 21, 31 : 이동통신 교환기 16 : 본 위치 등록기
17, 22, 32 :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
151 :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 152 :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
153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 154 : 위치 등록기 서브시스템
155 ; 운용 보전 서브시스템
201 : 모뎀부 202 :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이동국(Mobile Station ;이하 MS라 함)(11)은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 방식의 휴대용 또는 차량용 가입자 단말기이고 기지국(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 ;이하 BTS라 함)(12)은 MS(11)와 CDMA 방식의 무선 정합을 제어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제어국(Base Station Cotroller ;이하 BSC라 함)(13)은 BTS(12)와 이동통신 교환기(Mobile eXchange ;이하 MX라 함(15) 사이에 위치하여 BTS(12)를 제어하고 통화 경로를 제공하며, 제어국 관리기(Base Station manager ;이하 BSM이라 함)(14)는 BTS(12)와 BSC(13)의 운용 보전 기능을 담당한다.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함)(16)은 이동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Inter-Working Function ;이하 IWF라 함)(17)는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주거나 그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기는 내부 연결망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이하 INS라 함)(151), 가입자 교환 서브시스템(ASS)(152) 및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이하 CCS이라 함)(153)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INS(151)는 번호 번역, 루팅 제어, 공간 분할 스위치 제어 및 시스템 클럭의 생성과 분배를 담당하는 부분이다. ASS(152)는 시분할 스위치, 녹음 안내 장치, 회의 통화 장치, 고정 가입자 및 중계선, 제어국 중계선을 구비하고 각종 호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CCS(153)은 다시 위치 등록기 서브시스템(Location Register Subsystem ;이하 LRS라 함)(154)과 운용 보전 서브시스템(Administration and Maintenance Subsystem ;이하 AMS라 함)(155)로 구성된다. 이때 LRS(154)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 기능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AMS(155)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 시험 및 측정, 통계, 보조 기억장치의 제어, 입출력 장치 제어 기능을 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블록도이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22)는 모뎀부(201)와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부(202)로 이루어져 있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22)와 이동통신 교환기(21)는 모뎀 입력 단자(IM), 모뎀 출력 단자(OM),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입력 단자(IV),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OV)의 4 단자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단자는 E1/T1 캐리어(carrier)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교환기가 호의 종류에 따라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달 경로가 다르게 구성되도록 하였다. 즉, 공중전화망(PSTN)으로부터 입중계된 팩스 서비스 호나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 호는 공중전화망,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모뎀 입력 단자(IM), 모뎀부(201),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부(202),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OV),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기지국/제어국(도 1의 12/13), 이동국(도 1의 11)의 경로로 연결된다
또한 공중전화망으로 출중계되는 호는 이동국(도 1의 11), 기지국/제어국(도 1의 12/13),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데이터 속도 변환 장치 입력단자(IV),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부(202), 모뎀부(201), 모뎀 출력 단자(OM),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공중전화망의 경로로 연결된다.
한편, 동일한 이동통신 교환기 내에 있는 이동국간의 호는 이동국(도 1의 11), 기지국/제어국(도 1의 12/13),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데이터 속도 변환 장치 입력단자(IV),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부(202), 모뎀부(201), 모뎀 출력 단자(OM),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모뎀 입력 단자(IM), 모뎀부(201),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부(202),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OV), 이동통신 교환기(21 또는 도 1의 15), 기지국/제어국(도 1의 12/13), 이동국(도 1의 11)의 경로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통신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동통신 교환기(31)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 간의 신호 교환을 위하여 먼저, 이동통신 교환기(31)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로 점유 신호(301)를 보낸다. 점유 신호를 받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이동통신 교환기(31)로 점유 확인 신호(302)를 보내면 이동통신 교환기(31)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로 서비스 시작 신호(303)를 보낸다. 이후,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이동통신 교환기(31)로 서비스 시작 확인 신호(304)를 보내며, 이동통신 교환기(31)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로 해제 신호(305)를 보낸다. 해제 신호를 받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이동통신 교환기(31)로 해제 완료 신호(306)를 보내고 신호 교환 절차를 종료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에서 이동통신 교환기(31)로 해제 완료 신호(306)를 보낸 후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로 해제 신호(305)를 보낼 수도 있다. 또한 단계(302, 304 및 306)은 생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간의 신호는 E1 회선의 회선 신호 방식(line signalling)을 응용하여 점유, 점유 확인, 서비스 시작, 서비스 시작 확인, 해제, 해제 완료 등의 신호를 만들어 사용하는데, 발착신 측에 따른 이동통신 교환기(31)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 간의 신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발신측이 고정 가입자이고 착신측이 이동통신 가입자인 경우의 예를 본다. 이 경우의 신호 송출시에는 모뎀 입력 단자(IM) 및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의 출력 단자(OV)가 사용된다. 이동 통신 교환기(31)가 모뎀 입력 단자(도 2의 IM)로 출중계선 점유(seizure) 신호(301) 송출하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OV)로 출중계선 점유(seizure) 신호(302)를 송출한다. 이후 이동통신 교화기(31)가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의 출력 단자(OV)로 응답(answer) 신호 즉, 서비스 시작 신호(303)를 송출하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모뎀 입력 단자(IM)로 응답(answer) 신호 즉, 서비스 시작 확인(304) 신호를 송출한다.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모뎀 입력 단자(IM)로 전방향 해제 신호(clear-forward)(305)를 송출하거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가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OV)로 전 방향 해제 신호(clear-forward)를 송출(305)한다. 이후,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가 모뎀 입력 단자(IM)로 후 방향 해제 신호(clear-backward)를 송출(306)하거나,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OV)로 후 방향 해제 신호(clear-backward)를 송출(306)한다.
또한 발신측이 이동통신 가입자이고 착신측이 고정 가입자인 경우에는 모뎀 출력 단자(OM) 및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의 입력 단자(IV)를 이용하며, 이 경우의 이동통신 교환기(31)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간의 신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입력 단자(Is)로 출중계선 점유(seizure) 신호(301)를 송출하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모뎀 출력 단자(OM)로 출중계선 점유(seizure) 신호(302)를 송출한다.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모뎀 출력 단자(OM)로 응답(answer) 신호 즉, 서비스 시작 신호(303)를 송출하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는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의 입력 단자(IV)로 응답(answer) 신호 즉, 서비스 시작 확인 신호(304)를 송출한다. 이후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데이터 속도 변환 장치 입력 단자(IV)로 전방향 해제 신호(clear-forward)(305)를 송출하거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가 모뎀 출력 단자(OM)로 전 방향 해제 신호(clear-forward)(305)를 송출하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32)가 데이터 속도 변환 장치 입력 단자(IV)로 후 방향 해제 신호(clear-backward)(306)를 송출하거나, 이동통신 교환기(31)가 모뎀 출력 단자(OM)로 후 방향 해제 신호(clear-backward)(306)를 송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아동통신 교환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 간의 접속 단자수를 네 개로 늘리고 이동통신 교환기가 호의 종류에 따라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달 경로가 호의 종류에 따라 다르도록 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 간에 호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교환할 필요가 없도록 하므로써,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 사이의 신호 장치를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호의 접속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여 서비스의 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가입자 단말인 이동국,
    상기 이동국과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무선 정합을 제어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을 제어하고 상기 기지국과 이동통신 교환기 사이의 통화 경로를 제공하는 제어국,
    상기 지지국 및 상기 제어국의 운용 보전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국 관리기,
    이동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가입자 본 위치 등록기 및
    디지털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며 데이터 전송 속도를 변환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는 모뎀 입력 단자, 모뎀 출력 단자,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입력 단자 및 데이터 전송 속도 변환 장치 출력 단자의 네 개의 단자를 이용하여 호의 종류에 따라 단자들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데이터의 전달 경로가 다르게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2.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로 점유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점유 신호를 받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이동통신 교환기로 점유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점유 확인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로 서비스 시작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시작 신호를 수신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이동통신 교환기로 서비스 시작 확인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서비스 시작 확인 신호를 수신한 이동통신 교환기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로 해제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해제 신호를 받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연동 장치가 이동통신 교환기로 해제 완료 신호를 송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신호 방법.
KR1019970057665A 1997-11-03 1997-11-03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KR100250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665A KR100250431B1 (ko) 1997-11-03 1997-11-03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665A KR100250431B1 (ko) 1997-11-03 1997-11-03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41A KR19990038041A (ko) 1999-06-05
KR100250431B1 true KR100250431B1 (ko) 2000-04-01

Family

ID=19524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665A KR100250431B1 (ko) 1997-11-03 1997-11-03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04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9359B1 (ko) * 2000-10-14 2006-09-0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04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794B1 (ko) 독립 순차지정 능력을 가진 가입자 접속 유니트
US5655001A (e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ing protocol conversion for signaling between base stations and land based switches
CA2230041C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reless communications to a subscriber of a private wireline network
WO1995006995B1 (en) Radiotelephone communications system with direct access to interoffice telephone trunk circuits and interface therefor
FI108500B (fi) Matkapuhelinverkkorakenne
CN1111472A (zh) 转接无线电话呼叫的方法和设备
EP0680230B1 (en) Fixed cellular terminal
EP0653140A1 (en) Subscriber services arrangement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providing pabx access
US5353333A (en) Small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S6021138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for a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US6014563A (en) Radio system for a closed user group
KR20000074739A (ko) 무선 중계선 접속 시스템을 이용한 사설교환망과 이동통신망간의호 처리 방법
US5999810A (en) Architecture for a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US5956631A (en) Multiple terminal device ringing digital subscriber ISDN terminal
US20040235500A1 (en) System for providing unified cellular and wire-line service using a home cell
KR100250431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KR100205958B1 (ko) 통합된 홈위치등록기를 이용한 디지탈 이동통신 가입자와 아날로그 이동통신 가입자간의 호 처리 방법
KR20000030071A (ko) 구내 무선통신용 착/발신 장치
JPH10108241A (ja) Dect標準により無線作動される移動体の基地局をisdn構内交換機へ接続するための方法
KR100329650B1 (ko) 이동통신시스템의착신호전환방법
KR100434261B1 (ko) 무선가입자망 및 무선가입자망에서의 로밍 방법
KR100306481B1 (ko) 이동통신망과 사설교환망간의 내선 단말기 착신호 처리 방법
KR100220343B1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중계호 처리방법
KR20000034419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0469405B1 (ko) 사설교환기의 양방향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