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7288B1 -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 Google Patents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7288B1
KR100797288B1 KR1020060067594A KR20060067594A KR100797288B1 KR 100797288 B1 KR100797288 B1 KR 100797288B1 KR 1020060067594 A KR1020060067594 A KR 1020060067594A KR 20060067594 A KR20060067594 A KR 20060067594A KR 100797288 B1 KR100797288 B1 KR 100797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cooler
spray nozzle
bar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도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067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7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7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7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21/00Processes for servicing or operating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21/02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Abstract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쿨러의 내부를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과 일정간격을 두고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고정바; 상기 제1,2 고정바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바와, 상기 중앙바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통을 구비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제1 고정바로부터 연장된 제1 스프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원통에 장착된 제1 지지바의 선단에 구비되는 자석부재; 상기 제2 고정바로부터 연장된 제2 스프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원통에 장착된 제2 지지바로부터 연장되는 제3 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노즐관; 및 상기 노즐관과 연결되는 분할관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냉각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부를 상기 강판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즈 및 형상변화에 따라 하부처짐정도가 달라지는 강판과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판의 냉각불량을 방지하고,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금강판, 쿨러, 오븐, 자석부재, 고정바, 지지바, 냉각수, 노즐

Description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A Spray Nozzle Device for Coating Strip Cooler}
도 1은 종래 강판을 도금하는 도금설비와 가열하는 오븐설비 및 냉각하는 쿨러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쿨러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가 강판의 처짐변화에 맞추어 작동되는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 제1 고정바 112 : 제2 고정바
120 : 회전지지부 121 : 중앙바
123 : 회전원통 125 : 베어링부재
130 : 자석부재 131,132,133 : 제1,2,3 스프링부재
140 : 노즐관 150 : 냉각수공급관
152 : 분할관
본 발명은 쿨러내의 강판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사이즈 및 형상변화에 따라 하부처짐정도가 달라지는 강판과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판의 냉각불량을 방지하고,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전기도금된 강판(S)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터설비(1a)에 의해서 일측면과 타측면에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하도인 크롬용액과 상도인 수지용액을 코팅하고 있으며, 코팅된 강판(S)은 오븐(1b)과 쿨러(1c)를 연속하여 통과하면서 코팅된 용액을 건조하게 된다.
즉, 상기 코터설비(1a)는 강판(S)이 감겨 진행되는 백킹롤(17)의 전후방에 강판(S)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하도용 크롬용액 또는 상도용 수지용액과 같은 코팅용을 코팅하는 상부코터(15)와 하부코터(16)를 구비한다.
이러한, 상,하부 코터(15)(16)는 복수개의 코팅용 롤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코터(15)와 하부코터(16)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S)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해서 수직프레임(18a)을 따라 상하이동되면서 높이가 조절되는 리프팅롤(18)을 구비한다.
상기 코터설비(1a)의 출측에는 강판(S)의 표면에 코팅된 용액을 고온의 열원으로서 건조시키는 오븐(1b)과, 상기 오븐(1b)에서 가열된 강판(S)을 냉각수로 냉각하는 쿨러(1c)를 연속하여 구비한다.
이러한 쿨러(1c)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냉각수공급관(21)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구비하고, 상기 냉각수공급관(21)에는 강판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20)을 관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터설비(1a)를 통과하면서 코팅용액이 코팅된 강판(S)은 상기 오븐(1b)를 통과하면서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코팅용액을 건조하게 되며, 코팅용액을 건조하기 위해서 가열된 강판은 상기 쿨러(1c)의 노즐(20)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된 후 블라이드롤(19)에 감겨 후공정으로 진행된다.
한편, 상기 코터설비(1a)에서 코팅용액이 코팅된 강판(S)은 오븐(1b)과 쿨러(1c)를 연속하여 통과하는 과정에서, 강판의 자중 및 장력에 의해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로 진행높이가 변화하게 되며, 특히 코팅부위에서의 크랙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부로 처지는 캐터너리 장력(Catenary Tension)을 사용하게 되므로 상기 강판(S)은 하부로 쳐진 상태로 일방향 진행하게 된다.
상기 강판(S)의 사이즈(Size)가 변경되는 경우 사이즈에 자중이 달라지고 이 로 인하여 강판의 처짐정도도 달라지게 되므로, 이러한 강판의 사이즈변화에 따라 쿨러(1c)내에 설치된 노즐(20) 에서 분사되어 강판에 작용되는 냉각수의 압력 및 유량도 달라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 노즐(20)이 구비되는 냉각수공급관(21)은 쿨러(1c)내에 위치고정되는 고정식으로 구비됨으로서 하부로 처지는 처짐정도가 수시로 변화되는 강판(S)과 노즐(21)간의 간격은 불규칙하기 때문에, 냉각수에 의한 강판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냉각불량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경우, 크롬용액으로 코팅된 하도코팅층의 상부면에 수지로 코팅되는 상도코팅층이 박리될 수 있으며, 하부로 처진 강판과 상부측 노즐(21)간의 간격이 너무 멀어져 오븐(1b)을 통과한 강판에 대한 냉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강판에 대한 냉각불량에 의해서 강판에 코팅된 코팅층의 박리에 의해서 강판제품의 불량을 초래하고, 냉각되지 못한 강판이 블라이들롤(19)을 통과하면서 이를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이즈 및 형상변화에 따라 하부처짐정도가 달라지는 강판과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판의 냉각불량을 방지하고,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제공하고 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쿨러의 내부를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과 일정간격을 두고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고정바; 상기 제1,2 고정바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바와, 상기 중앙바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통을 구비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제1 고정바로부터 연장된 제1 스프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원통에 장착된 제1 지지바의 선단에 구비되는 자석부재; 상기 제2 고정바로부터 연장된 제2 스프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원통에 장착된 제2 지지바로부터 연장되는 제3 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노즐관; 및 상기 노즐관과 연결되는 분할관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냉각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부를 상기 강판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 고정바는 좌우양단이 쿨러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서로 다른 다른 높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원통은 상기 중앙바의 외부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조립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지지바는 상기 자석부재가 장착되는 선단이 상기 강판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석부재는 볼형태로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관은 냉각수가 분사되는 선단이 상기 강판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관은 상기 분할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일단에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관은 일단에 중공형 결합턱을 갖추어 인접하는 다른 분할관의 결합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냉각수가 흐르는 일정유로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할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중앙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통과 서로 일대일 대응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쿨러내부를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의 처짐정도에 따라 강판(S)측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면서 강판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강판을 균일하게 냉각하도록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는 강판(S)의 상,하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각각 배치되는 분사부(100a)(100b)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부(100a)(100b)는 제1,2 고정바(111)(112), 회전지지부(120), 자석부재(130), 노즐관(140) 및 냉각수공급관(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2 고정바(111)(112)는 냉각대상물인 상기 강판(S)과 일정간격을 두고 강판의 상부와 하부에 상기 강판(S)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제1,2 고정바(111)(112)는 좌우양단이 쿨러(1c)의 내부면에 고정되고, 서로 다른 다른 높이를 갖추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1,2 고정바(111)(112)의 길이중간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제1,2스프링부재(131)(132)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120)는 중앙바(121)와 회전원통(12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바, 상기 중앙바(121)는 상기 제1,2 고정바(111)(112)사이에 배치되어 이들과 나란하게 구비되는 일정길이 고정부재이다.
상기 중앙바(121)의 좌우양단은 상기 제1,2 고정바(111)(112)와 마찬가지로 쿨러(1c)의 내부면에 고정된다.
상기 회전원통(123)은 상기 중앙바(121)의 외경보다 큰 내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중앙바(121)에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삽입되고, 상기 회전원통(123)의 외부면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중공원통부재이다.
이러한 회전원통(123)은 상기 중앙바(121)의 외부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재(125)를 매개로 조립되고, 상기 중앙바(121)의 좌우양단에는 상기 회전원통(123)이 중앙바(121)로부터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중앙바(121)의 좌 우양단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원통(127a)(127b)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원통(123)의 외부면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지지바(122)(124)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자석부재(130)는 상기 중앙바(12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복수개의 회전원통(123)마다 구비되는 제1 지지바(122)의 선단에 구비되는 영구자석이다.
이때, 상기 자석부재(130)는 상기 강판과의 접촉시 그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볼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지지바(122)는 상기 제1 고정바(111)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강판(S)측으로 연장되는 제1 스프링부재(131)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131)는 상기 제1 지지바(122)의 길이중간에 연결되어 이를 강판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바(122)는 상기 자석부재(130)가 장착되는 선단이 상기 강판(S)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석부재(130)는 상기 강판(S)의 접근시 자력에 의해서 상기 강판측으로 접근하려고 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131)는 상기 제1 지지바(122)를 상기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강판에 미치는 자석부재(130)의 자력이 상기 제1 스프링부재(131)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될때 상기 자석부재(130)는 강판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회전원통(123)을 중앙바(121)를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노즐관(140)은 냉각대상물인 강판측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는 상기 제2 고정바(112)로부터 강판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제2 스프링부재(132)와 연결된다.
이러한 노즐관(140)은 상기 제2 스프링부재(132)에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원통(123)에 일단이 연결된 제2 지지바(124)로부터 연장된 제3 스프링부재(133)와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노즐관(140)은 상기 제2,3 스프링부재(132)(133)의 탄성력에 의해서 강판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지지된다.
상기 노즐관(140)은 냉각수가 분사되는 선단이 상기 강판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공급관(150)은 상기 노즐관(140)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복수개의 분할관(152)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하고, 상기 회전지지부(120)의 중앙바(121)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노즐관(14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분할관(152)의 외부면에 관통형성된 나사공(153)에 일단이 나사결합되도록 수나사부(14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노즐관(140)이 장착되는 분할관(152)은 일단에 중공형 결합턱(154)을 갖추어 인접하는 다른 분할관(152)의 결합공(155)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냉각수가 흐르는 일정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결합턱(154)과 결합공(155)사이에는 상기 분할관내로 내부공급된 냉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 도록 오링부재(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수공급관(150)의 일측단을 구성하는 입측 분할관(152a)은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연결되는 공급구(156)를 구비하며, 상기 냉각수공급관(150)의 타측단을 구성하는 출측 분할관(152b)은 일측단이 밀폐되어 있다.
상기 입측, 출측 분할관(152a)(152b)은 상기 중앙바(121)의 좌우양단에 고정되는 고정원통(127a)(127b)과 서로 일대일 대응되고, 상기 노즐관(140)과 연결된 나머지 복수개의 분할관(152)은 상기 중앙바(121)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통(123)과 서로 일대일 대응된다.
이러한 제1,2고정바(111)(112), 회전지지부(120), 자석부재(130), 노즐관(140) 및 냉각수공급관(150)의 구성은 강판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분사부(100a)(100b)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그에 따른 작용도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발명의 장치(100)는 오븐(1b)과 인접하는 쿨러(1c)의 내부공간에 구비함으로서 상기 쿨러(1c)의 내부공간을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강판(S)으로 냉각수를 분사하여 이를 냉각하는 것이다.
상기 쿨러(1c)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치(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상기 강판(S)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분사부(100a)(100b)로 구성되고, 상기 분사부(100a)(100b)로 부터 분사되는 냉각수를 에서 각각 분사되는 냉각수를 상기 강판의 상부표면과 접촉시켜 강판을 냉각하게 된다.
먼저, 코터설비(1a)에서 크롬용액이 하도코팅되고, 수지용액이 상도코팅된 강판(S)은 오븐설비(1b)를 통과하면서 코팅액이 건조된 다음, 상기 쿨러(1c)의 내부로 연속하여 진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쿨러(1c)내로 진입된 강판(S)은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처지게 되고, 강판의 사이즈에 따라 처짐정도가 수시로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S)과 그 상부에 배치된 상부측 분사부(100a)를 구성하는 자석부재(130)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130)가 강판에 미치는 자력이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자석부재(130)와 강판(S)사이에서 발생되는 자력의 세기가 상기 자석부재(130)가 장착된 제1 지지바(122)와 제1 고정바(111)사이에 구비된 제1 스프링부재(131)의 탄성력보다 커지게 되면, 상기 제1 지지바(122)는 회전지지부(120)의 중앙바(12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회전원통(123)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지지바(122)는 상기 회전원통(123)과 더불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자석부재(130)과 강판(S)간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원통(123)이 자석부재의 자력에 의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원통(123)의 외부면에 장착된 제2 고정바(124)도 동일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2 고정바(124)는 제3 스프링부재(133)를 매개로 노즐관(140)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관(140)은 냉각수공급관(140)의 분할관(152)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분할관(152)은 인접하는 다른 분할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노즐관(140)도 냉각수공급관(14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시 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바(112)와 노즐관(140)사이에 구비되는 제2 스프링부재(132)는 수축된다.
상기 노즐관(14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강판의 상부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고 있던 노즐관의 선단은 상기 노즐관이 회전되는 각도만큼 서서히 기울어지면서 냉각수가 분사되는 노즐관(140)의 선단과 강판간의 간격을 넓힐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강판이 상부측 분사부(100a)측으로 근접하더라도 상기 노즐관(140)의 선단과 강판간의 간격은 초기 설정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강판을 고르게 냉각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강판(S)의 하부처짐량이 많아져 강판과 자석부재(130)간의 간격이 넓어지게 되면, 상기 자석부재(130)가 강판에 미치는 자력은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자석부재(130)와 강판(S)사이에서 발생되는 자력의 세기가 상기 제1 지지바(122)와 제1 고정바(111)사이에 구비된 제1 스프링부재(131)의 탄성력보다 작아지면, 상기 제1 지지바(122)는 상기 회전원통(123)과 더불어 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자석부재(130)과 강판(S)간의 간격은 넓어지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회전원통(1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그 외부면에 장착된 제2 고정바(124)도 동일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노즐관(140)도 냉각수공급관(140)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바(112)와 노즐관(140)사이에 구비되는 제3 스프링부재(132)는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팽창된다.
상기 노즐관(1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강판의 상부표면으로 일정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고 있던 노즐관(140)의 선단은 상기 노즐관(140)이 회전되는 각도만큼 강판측으로 서서히 기울어지고, 강판의 표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는 위치가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노즐관(140)의 선단과 강판간의 간격은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강판이 상부측 분사부(100a)측으로부터 멀어지더라도 상기 노즐관(140)의 선단과 강판간의 간격은 초기 설정값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냉각수를 분사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강판을 고르게 냉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자석부재와 강판간의 간격변화에 맞추어 강판에 미치는 자력세기의 변화를 이용하여 냉각수가 분사되는 노즐관의 선단위치를 강판측으로 근접시키거나 이격시킴으로서, 사이즈 및 형상변화에 따라 하부처짐정 도가 달라지는 강판과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냉각수에 의한 강판의 냉각불량을 방지하여 강판을 안내하는 롤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강판표면에 코팅된 도금층이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9)

  1. 쿨러의 내부를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강판을 냉각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과 일정간격을 두고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고정바;
    상기 제1,2 고정바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바와, 상기 중앙바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통을 구비하는 회전지지부;
    상기 제1 고정바로부터 연장된 제1 스프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원통에 장착된 제1 지지바의 선단에 구비되는 자석부재;
    상기 제2 고정바로부터 연장된 제2 스프링부재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원통에 장착된 제2 지지바로부터 연장되는 제3 스프링부재와 연결되는 노즐관; 및
    상기 노즐관과 연결되는 분할관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연속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하는 냉각수공급관을 포함하는 분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부를 상기 강판의 상,하부에 각각 배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고정바는 좌우양단이 쿨러의 내부면에 고정되어 서로 다른 높이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원통은 상기 중앙바의 외부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바는 상기 자석부재가 장착되는 선단이 상기 강판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부재는 볼형태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은 냉각수가 분사되는 선단이 상기 강판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관은 상기 분할관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일단에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분할관은 일단에 중공형 결합턱을 갖추어 인접하는 다른 분할관의 결합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냉각수가 흐르는 일정유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관은 복수개로 구비되되, 상기 중앙바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회전원통과 서로 일대일 대응됨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KR1020060067594A 2006-07-19 2006-07-19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KR100797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94A KR100797288B1 (ko) 2006-07-19 2006-07-19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594A KR100797288B1 (ko) 2006-07-19 2006-07-19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7288B1 true KR100797288B1 (ko) 2008-01-23

Family

ID=3921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594A KR100797288B1 (ko) 2006-07-19 2006-07-19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7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274B1 (ko) 2013-02-27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드롭마크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드롭마크 발생 방지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9322A (en) 1979-11-09 1981-06-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lay cooling for steel plate
JPS62297416A (ja) 1986-06-17 1987-12-24 Kawasaki Steel Corp 冷却ヘツ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9322A (en) 1979-11-09 1981-06-10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play cooling for steel plate
JPS62297416A (ja) 1986-06-17 1987-12-24 Kawasaki Steel Corp 冷却ヘツ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274B1 (ko) 2013-02-27 2015-04-0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의 드롭마크 발생 방지 기능을 갖는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강판의 드롭마크 발생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41202B (zh) 空气喷射喷嘴及使用该喷嘴的拉伸箱
JP5351050B2 (ja) 圧延のために使用されるローラーを高乱流環境で冷却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US2012003115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the rollers of a roll stand
TWI553124B (zh) Hot - rolled steel strip cooling method and cooling device
GB1568483A (en) Cooling metal products
CN109957646B (zh) 用于被热处理的金属制品的冷却剂喷射模块系统
KR20140008473A (ko) 이동하는 스트립으로 가스를 분출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4853224B2 (ja) 鋼板の冷却設備および冷却方法
KR100797288B1 (ko) 도금강판 쿨러용 스프레이 노즐장치
FI128655B (fi) Lasilevyn karkaisu-uuni
KR100526133B1 (ko)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JP5217719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ロールセグメント装置
CN109825686B (zh) 一种钢轨在线沿轨头轮廓均匀喷水的淬火冷却装置
KR102141068B1 (ko) 열처리로
CN205395429U (zh) 一种印刷机干燥装置
BR112015026569B1 (pt) Instalação para o resfriamento de uma tira metálica e método de resfriamento de uma tira metálica
KR100711400B1 (ko) 압연롤 냉각장치
CN109663824B (zh) 一种双向交叉式射流冷却装置及其冷却方法
KR100302236B1 (ko) 선재의냉각장치
JPH02254141A (ja) アルミニウムストリップの水焼入れ装置
CN216914597U (zh) 一种薄膜成型用冷却辊
JP6558333B2 (ja) 鋼板の上面冷却装置及び上面冷却方法
KR20100063580A (ko) 선재 압연롤 냉각장치
CN213530190U (zh) 冷却元件
KR20110022310A (ko) 열연판재의 냉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