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6133B1 -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 Google Patents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6133B1
KR100526133B1 KR10-2003-0040300A KR20030040300A KR100526133B1 KR 100526133 B1 KR100526133 B1 KR 100526133B1 KR 20030040300 A KR20030040300 A KR 20030040300A KR 100526133 B1 KR100526133 B1 KR 10052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steel plate
gas
air knife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10831A (ko
Inventor
김상준
김종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8316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5261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40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6133B1/ko
Publication of KR2004011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6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9Arrangements of bearing or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2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72Sealings
    • F16C33/723Shaft end sealing means, e.g. cup-shaped cap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표면을 용융금속으로 도금하는데 사용되는 에어나이프에 관한 것으로,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용융금속의 도금두께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강판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연속하여 채워지는 내부공간(S)을 갖추어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챔버(10); 상기 강판과 대응하는 챔버(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3)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기체가 통과되는 관통공(16a)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격벽(16)을 갖는 립지지대(15); 상기 립지지대(1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면접되어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접촉면을 따라 활주이동되는 상,하부립(21)(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트기체가 빠져나오는 노즐내에서의 유동간섭물에 기인하는 국부적인 유동교란에 의한 강판의 도금편차를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AN AIR KNIFE FOR COATING THE STRIP}
본 발명은 강판표면을 용융금속으로 도금하는데 사용되는 에어나이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제트기체가 빠져나오는 노즐내에서의 유동간섭물에 기인하는 국부적인 유동교란에 의한 강판의 도금편차를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연속식으로 강판에 용융금속을 도금하는 공정은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을 용융금속이 채워진 욕조에 통과시킨 다음, 상기 욕조를 빠져나와 일방향 진행하는 강판의 좌우양측에 배치된 에어나이프로서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도금두께를 조절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철소의 도금공정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시한 바와같이, 열처리로(2)에서 소정의 열사이클로 열처리된 강판은 열처리후 분위기 가스로 충진된 스나우트(3)를 통하여 용융금속이 포함된 욕조(4)내의 침지롤(6)을 통과하면서 상온의 대기로 일방향 진행하게 되고, 일방향 진행되는 강판의 좌우양측에는 강판표면에 묻어 있는 용융금속액의 양을 조절하도록 기체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5)가 설치된다.
즉, 강판의 표면과 용융금속사이의 점성력에 의해 강판의 표면에 부착되어 이송되는 용용금속을 에어나이프(5)로부터 강판표면측으로 토출되는 기체제트에 의한 충돌압력과 전단응력으로서 깍아내어 수요가가 원하는 도금두께를 얻게 되는 것이다.
도 2와 3은 종래 에어나이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종래 에어나이프(100)(200)는 도시한 바와같이, 원통형의 챔버(110) 또는 사각기둥형의 챔버(210)와, 그 선단에 부착되어 기체가 토출되는 노즐을 형성하도록 상하한쌍으로 조립되는 상,하부 립(121)(122)(221)(22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강판표면으로 고속으로 토출되는 기체인 공기 혹은 질소가스는 미도시된 기체공급원인 송풍기와 기체공급용 호스부재를 매개로 연결된 상기 챔버(110)(210)의 일측단으로 공급된 다음, 상기 상,하부 립(121)(122)(221)(222) 사이에 형성되는 노즐을 통하여 고속의 제트기체로 분사된다.
상기 에어나이프(100)(200)의 상,하부립(121)(122)(221)(222)에 의해서 형성되는 노즐의 폭은 도금대상물인 강판의 폭보다 크게 구비되어야 하며, 상기 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제트기체의 토출각도는 강판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 혹은 반대 방향이 되도록 분사각도를 조정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강판표면에서의 도금층 두께는 도금욕조내로의 강판침지시 그 표면에 부착되어 강판과 더불어 이송되어 오는 유입용융금속량과, 상기 유입용융금속을 깍아 내는 능력(와이핑력)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유입 용융금속량은 강판과 용융금속사이의 마찰력과 지구 중력간의 균형에 의해 결정되며, 강판진행속도의 증가에 따라 함수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상기 와이핑력은 상기 에어나이프(100)(200)의 노즐을 통하여 분사되는 제트기체가 강판표면과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돌압력 및 전단응력에 의해 결정되며, 이 값들은 에어나이프(100)(200)와 강판사이의 거리(H/2), 분사되는 기체의 속도(Vj) 및 상,하부 립(121)(122)(221)(222)의 간극(G)등에 의해 조절된다.
따라서, 상기 노즐(N)에서 분사되는 제트기체의 폭방향 속도분포가 균일하지 않을 경우, 용융금속에의한 강판도금두께는 강판 폭 방향으로 편차가 발생된다.
종래의 에어나이프(100)(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챔버(110)(210)의 일측단에서 가스를 공급하였기 때문에 노즐 출구에서의 제트기체의 속도분포가 노즐 폭방향으로 불균일한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 양방향 가스공급방식 혹은 다수 공급관 방식 등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폭방향으로의 불균일한 문제는 많이 해소되었다.
한편, 도 2와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단면 또는 사각단면상의 챔버(110)(210)를 에어나이프(100)(200)의 하중을 담당하는 주 구조물로 삼고, 상기 챔버(110)(210)의 외부면에 용접 또는 볼팅체결방식으로 상,하부립(121)(122)(221)(222)을 상기 챔버(110)(210)에 부착, 고정시키는 종래 에어나이프(100)(200)의 경우에는, 상기 챔버(110)(210)와 상,하부립(121)(122)(221)(222)만으로는 구조적으로 강성이 부족하여 상,하부립(121)(122)(221)(222)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의 변화가 쉽게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한 제트기체의 분사량및 속도가 강판폭방향으로 서로 달라지기 때문에, 간극(G)의 변화를 최소화 또는 방지하도록 강성을 증대하기 위해서 도 1에 도시한 에어나이프(100)의 경우 상,하부립(121)(122)사이에 복수개의 관통공(135)을 관통형성한 격벽구조물(130)을 강판 폭방향으로 일체로 장착하였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또다른 에어나이프(200)의 경우, 상부립(221)을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상부립(221)에 나사결합되고, 그 하부단이 상기 하부립(222)의 내부면에 접하는 립간극조절나사(230)를 상기 상,하부립(221)(222)사이에 강판의 폭방향으로 복수개 갖춤으로서, 상기 조절나사(230)의 조임,풀림작동에 의해 상,하부립(221)(222)사이의 간극(G)을 작업조건에 따라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 상,하부립(121)(122)(221)(222)사이에 구비되는 격벽구조물(130)이나 립간극 조절나사(230)등은 모두 상기 챔버를 거쳐 노즐을 통하여 외부로 분사되도록 노즐내부를 흐르는 기체유동에 장애물이 되며, 이들 유동 장애물에 의한 국부적인 유동 교란에 의해 노즐 출구에서의 유속이 영향을 받음으로 인하여 도금 강판의 표면에 국소적인 도금층 두께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특히, 소음감소, 스프래쉬 현상억제 등의 이유로 인하여 에어나이프와 강판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조업을 하는 경우 위와 같은 국소적 결함문제는 더욱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에어나이프의 내부에서 유동 간섭물에 기인하는 국부적인 유동 교란에 의한 국소적인 강판도금 편차를 방지할 수 있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판표면에 잔류하는 용융금속의 도금두께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강판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연속하여 채워지는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챔버;
상기 강판과 대응하는 챔버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공간의 기체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격벽을 갖는 립지지대;
상기 립지지대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면접되어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접촉면을 따라 활주이동되는 상,하부립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에 구비되는 립지지대의 정면도이며,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에 구비되는 상,하부조절나사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에어나이프(1)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도금욕조를 거치면서 강판표면에 용융금속이 도포된 강판의 일방향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우양측에 고정설치되어 강판표면상으로 고속분사되는 제트기체에 의해 강판표면에 도포된 용융금속의 도금량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에어나이프(1)는 챔버(10), 립지지대(15)및 상,하부립(21)(22)로 구성된다.
즉, 상기 챔버(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기체가 채워질 수 있는 내부공간(S)을 몸체내에 형성하고, 강판을 중심으로 하여 그 좌우양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좌우대칭형으로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챔버(10)는 좌우양단은 밀폐되고, 상기 강판표면과 대응하는 일측에는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직사각형의 개구부(13)가 형성되는 원형단면상 또는 사각단면상의 중공부재로 구성되며, 그 외부면에는 미도시된 기체공급원으로부터 기체가 공급되는 호스부재가 적어도 1개이상 연결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에어나이프(1)는 사각단면상으로 구성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각, 원형단면상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립지지대(15)는 상기 챔버(10)의 개구부(13)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챔버(10)의 내부공간(S)내의 기체가 외부로 고속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16a)이 관통형성되는 격벽(16)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갖는 고정부재이다.
이러한 립지지대(15)는 상기 개구부(13)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절곡형성되는 조립턱(13a)(13b)에 나사결합되는 복수개의 고정나사(14)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개구부(13)와 립지지대(15)가 서로 접하는 경계부위에는 상기 챔버(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진 기체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도록 상기 립지지대(15)의 조립시 실링재(17)를 개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립지지대(15)는 상기 개구부(13a)의 상,하단에 구비되는 조립턱(13a)(13b)에 각각 나사결합되고, 수직한 격벽(16)을 갖는 'H'단면상의 형강부재가 채용되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립지지대(15)의 격벽(16)전면에 걸쳐서 복수개 관통형성되어 기체가 통과하는 관통공(16a)은 원형공으로 형성되며, 고속의 제트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16)전면에 대하여 50%내외의 개공율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2.4%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관통공(16a)의 개공율이 상기 격벽(16)의 전면면적에 근접할 정도로 현저히 커지면, 상기 관통공(16a)을 거쳐 상,하부립(21)(22)사이의 간극(G)을 통하여 강판측으로 토출되는 제트기체의 폭방향 균일성이 나빠져 도금두께의 폭방향 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관통공(16a)의 개공율이 기준값보다 현저히 작으면, 상기 관통공(16a)을 거쳐 상,하부립(21)(22)사이의 간극(G)을 통하여 강판측으로 토출되는 제트기체의 유동저항이 심하게 발생하여 압력손실이 커짐으로 에너지 효율측면에서 매우 불리해진다.
또한, 상기 상,하부립(21)(22)은 상기 립지지대(15)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면접되어 이를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활주이동되면서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립되는 직사각형 판재이다.
이러한 상부립(21)은 상기 립지지대(15)의 상부일측에 경사지게 구비되는 경사면(15a)에 나사공(23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부재(23)에 의해서 경사방향으로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하부립(22)은 상기 립지지대(15)의 수평한 하부면(15b)에 나사공(24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부재(24)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상,하부립(21)(22)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의 내면은 기체가 토출되는 진행방향으로 서로 나란한 직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평한 하부립(22)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경사진 상부립(21)은 수평한 하부립(22)에 대하여 60°이하의 경사각도(α)로 조립되도록 상기 립지지대(15)의 경사면(15a)을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상기 수평한 하부립(22)에 대하여 경사진 상부립(21)의 경사각도(α)가 60°이상으로 커지게 되면, 상기 상,하부립(21)(22)사이의 간극(G)을 통해 토출되는 제트기체가 주변의 공기를 잡아끌어 노즐선단부의 주변에 와류(voltex)가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부압(-)이 형성되면서 강판표면에 묻어 있던 용융금속인 도금액이 튀어오르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60° 이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사공(23a)(24a)은 상기 상,하부립(21)(22)의 전후활주이동이 용이하도록 활주이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재(23)(24)의 나사머리 외경을 상기 나사공(23a)(24a)의 단경보다 크게 형성하여 체결시 나사머리를 나사공(23a)(24a)의 상부에 밀착시켜 고정력을 발생시킬수도 있지만 상기 나사부재(23)(24)와 나사공(23a)(24a)사이에 와셔부재(23b)(24b)를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상,하부립(21)(22)의 각 상부단 근방에는 도 5(a)에 도시한 바와같이, 립지지대(15)의 상,하부면에 돌출되는 상,하부돌출턱(25)(26)을 강판의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상기 상,하부돌출턱(25)(26)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는 나사공(25a)(26a)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조절나사(27)(28)의 각 하부단을 상기 상,하부립(21)(22)의 상부단에 접하거나 도 5(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암나사공(25a)(26a)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조절나사(27)(28)의 각 하부단을 상기 상,하부립(21)(22)의 상부단에 형성된 암나사부(25b)(26b)에 나사결합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상,하부조절나사(27)(28)의 조임량과 풀림량에 의해서 상기 상,하부립(21)(2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활주이동시켜 상,하부립(21)(22) 선단부사이의 간극(G)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치(1)는 용융금속이 용해된 도금액이 저장된 욕조를 거쳐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강판의 표면에 잔류하는 도금액의 도금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강판의 좌우양측에 좌우대칭구조로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고, 립지지대(15)에 의해서 내부공간(S)을 형성한 챔버(10)의 외부면과 호스부재를 매개로 연결된 기체공급원(미도시)을 통해서 상기 챔버(10)내로 에어와 같은 기체를 공급하면, 상기 립지지대(15)의 격벽(16)에 형성된 관통공(16a)을 통하여 고르게 배출되는 기체는 상기 립지지대(15)의 경사진 경사면(15a)과 수평한 하부면(15b)에 각각 조립된 상,하부립(21)(22)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을 통하여 고속으로 토출된다.
상기 간극(G)을 통하여 토출되는 제트기체는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강판표면과 부딛히면서 이에 잔류하고 있던 도금액의 두께를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기체가 챔버(10)내로 일정한 공급량으로 유입되는 작업조건에서 상기 상,하부립(21)(22)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하부립(22)을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립지지대(15)의 경사면(15a)에 나사조립된 나사부재(23)를 어느정도 풀어 상부립(21)에 대한 고정력을 해제한 다음, 자유로워진 상부립(21)을 상기 나사부재(23)가 조립되는 장공형 나사공(23a)을 따라 경사방향으로 전후 활주이동시켜 상기 상부립(21)의 선단부와 하부립(22)의 선단부사이의 간극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조절한다.
또한, 상기 립지지대(15)의 상부측 상부돌출턱(25)에 구비된 상부조절나사(27)를 풀거나 조여 상부립(21)을 밀거나 당김으로서, 하부단이 립지지대(15)에 체결되는 나사부재(23)가 장공형태의 나사공(23a)에 조립된 상부립(21)을 경사방향으로 전후활주이동시켜 상기 상부립(21)의 선단부와 하부립(22)의 선단부사이의 간극크기를 크게 하거나 작게 조절한다.
반면에, 상기 하부립(22)을 활주이동시켜 강판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은, 상기 상부립(21)을 위치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립지지대(15)의 수평한 하부면(15b)에 나사조립된 나사부재(24)를 어느정도 풀어 하부립(22)에 대한 고정력을 일시 해제한 다음, 자유로워진 하부립(22)을 상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나사부재(24)가 조립되는 장공형 나사공(23a)을 따라 제트기체가 분사되는 수평방향으로 전후 활주이동시켜 상,하부립(21)(22)사이의 간극(G)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하부립(22)의 선단부와 강판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립지지대(15)의 하부측 하부돌출턱(26)에 구비된 하부조절나사(28)를 풀거나 조여 하부립(22)을 밀거나 당김으로서, 하부립(22)을 수평방향으로 전후활주이동시켜 상,하부립(21)(22)사이의 간극(G)을 변화시키지 않고 상기 하부립(22)의 선단부와 강판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하부립(21)(22)선단부간의 간극(G)조절을 위해서 활주이동된 상부립(21) 또는 강판간의 간격조절을 위해서 활주이동된 하부립(22)은 조절작업시 해제된 고정나사(23)(24)와 상,하부조절나사(27)(28)의 체결에 의해 확고히 위치고정하여 도금공정을 재개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노즐을 통한 기체토출시 기체의 유동을 방해하는 방해물이 없도록 챔버의 립지지대에 상,하부립이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유동방해물에 의한 국부적인 유동교란에 기인하는 국소적인 도금편차를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의 도금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챔버, 립지지대및 상,하부챔버를 모두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노즐내부에 대한 정비및 보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제철소의 도금공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나이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에어나이프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에 구비되는 립지지대의 정면도이다.
도 6(a)(b)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에 구비되는 상,하부조절나사의 조립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챔버 13 ...... 개구부
13a,13b ... 조립턱 15 ...... 립지지대
16 ...... 격벽 16a ..... 관통공
21 ...... 상부립 22 ...... 하부립
23,24 ... 나사부재 25,26 ... 상,하부돌출턱
27,28 ... 상,하부조절나사 S ....... 내부공간

Claims (10)

  1. 강판표면에 잔류하는 용융금속의 도금두께를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강판의 좌우양측에 배치되어 기체를 분사하는 에어나이프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기체가 연속하여 채워지는 내부공간(S)을 갖추어 상기 강판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챔버(10);
    상기 강판과 대응하는 챔버(1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13)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기체가 통과되는 관통공(16a)이 복수개 관통형성된 격벽(16)을 갖는 립지지대(15);
    상기 립지지대(16)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각각 면접되어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사이에 형성되는 간극(G)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접촉면을 따라 활주이동되는 상,하부립(21)(22)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립(21)은 강판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공형태의 나사공(23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부재(23)에 의해서 상기 립지지대(15)의 경사면(15a)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하부립(22)은 강판측으로 길게 연장되는 나사공(24a)을 통하여 체결되는 복수개의 나사부재(24)에 의해서 상기 립지지대(15)의 수평한 하부면(15b)에 활주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상,하부립(21)(22)의 각 상부단 근방에 돌출형성되는 상,하부돌출턱(25)(26)의 나사공(25a)(26a)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조절나사(27)(28)를 갖추어 그 각 하부단을 상기 상,하부립(21)(22)의 상부단에 접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립지지대(15)의 격벽(16)은 전체전면에 걸쳐 원형단면상의 관통공(16a)이 복수개 관통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16a)은 고속의 제트기체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격벽(16)전면에 대하여 50%내외의 개공율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립(21)은 수평한 하부립(22)에 대하여 60°이하의 경사각도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립(21)(22)의 서로 마주하는 선단부의 내면은 기체가 토출되는 진행방향으로 서로 나란한 직선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재(23)(24)와 나사공(23a)(24a)사이에는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와셔부재(23b)(24b)를 각각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립(21)(22)의 각 상부단 근방에 돌출형성되는 상,하부돌출턱(25)(26)의 나사공(25a)(26a)에 나사결합되는 상,하부조절나사(27)(28)를 갖추어 그 각 하부단을 상기 상,하부립(21)(22)의 상부단에 형성된 암나사부(25b)(26b)에 각각 나사결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KR10-2003-0040300A 2003-06-20 2003-06-20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KR100526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300A KR100526133B1 (ko) 2003-06-20 2003-06-20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300A KR100526133B1 (ko) 2003-06-20 2003-06-20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831A KR20040110831A (ko) 2004-12-31
KR100526133B1 true KR100526133B1 (ko) 2005-11-08

Family

ID=37383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300A KR100526133B1 (ko) 2003-06-20 2003-06-20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61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13B1 (ko) 2017-03-16 2018-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 노즐의 각도 고정장치
KR102326831B1 (ko) 2021-04-23 2021-11-15 박창규 균일한 동압을 분사하는 갈바나이징 에어나이프
KR200494903Y1 (ko) * 2021-05-31 2022-01-20 박창규 갈바나이징 에어나이프의 노즐립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25B1 (ko) * 2006-06-05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균일 토출성이 우수한 강판 용융도금 라인의 에어 나이프
JP5229918B2 (ja) 2006-06-05 2013-07-03 ポスコ ガスワイピング装置
KR100775226B1 (ko) * 2006-06-05 2007-11-1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용융도금 라인의 에어 나이프
WO2007142397A1 (en) * 2006-06-08 2007-12-13 Posco Gas wiping apparatus
KR100843923B1 (ko) * 2006-12-08 2008-07-03 주식회사 포스코 다단 노즐형 가스 와이핑 장치
KR100808553B1 (ko) * 2007-10-11 2008-02-29 홍경표 액체 분사용 제트나이프
KR102026322B1 (ko) * 2018-02-07 2019-09-27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의 립 간격조절장치
CN114231877B (zh) * 2021-12-24 2024-01-16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热镀锌气刀刀体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6313B1 (ko) 2017-03-16 2018-06-14 주식회사 삼우에코 에어나이프 노즐의 각도 고정장치
KR102326831B1 (ko) 2021-04-23 2021-11-15 박창규 균일한 동압을 분사하는 갈바나이징 에어나이프
KR200494903Y1 (ko) * 2021-05-31 2022-01-20 박창규 갈바나이징 에어나이프의 노즐립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831A (ko)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133B1 (ko)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KR100843923B1 (ko) 다단 노즐형 가스 와이핑 장치
JP5229918B2 (ja) ガスワイピング装置
US4226108A (en) Apparatus for cooling metal products
KR101449148B1 (ko) 가스 와이핑 설비용 배플 장치
KR20060055923A (ko) 비산금속의 제거장치
JP4696690B2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WO2014199292A1 (en) Installation for hot dip coating a metal strip comprising an adjustable confinement box
KR20140125790A (ko) 우수한 압력 균일성을 갖는 코팅 두께 및 분포 제어 와이핑 노즐
KR900002706B1 (ko) 선형 스프레잉 장치
US20060102213A1 (en) Nozzle arrangement
US441810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spangle in galvanized products
KR101143190B1 (ko) 가스 와이핑 장치
JP2007302957A (ja)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方法
KR100775225B1 (ko) 균일 토출성이 우수한 강판 용융도금 라인의 에어 나이프
JPH06292854A (ja) 液状塗膜剥取り装置
KR20080000908A (ko) 립 크리닝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에어 나이프
JPH0639678B2 (ja) ガスワイピング装置
KR100905654B1 (ko) 강판도금용 에어나이프
JPH05138078A (ja) 噴出速度調節型スリツトノズル
JPH10204599A (ja) 溶融めっき付着量の制御方法及び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JPH0971852A (ja) ガスワイピングノズル
KR200272227Y1 (ko) 용융도금공정에서의 도금강판 가장자리 과도금 방지장치
KR102219559B1 (ko) 도금강판의 엣지부 과도금 방지장치
KR200269658Y1 (ko) 와이핑 시스템의 에어 나이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22 Withdrawal of opposi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1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310000050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30202

Effective date: 2024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