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6243B1 - 취한증의 예방 및 치료 약재 - Google Patents

취한증의 예방 및 치료 약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6243B1
KR100796243B1 KR1020047004120A KR20047004120A KR100796243B1 KR 100796243 B1 KR100796243 B1 KR 100796243B1 KR 1020047004120 A KR1020047004120 A KR 1020047004120A KR 20047004120 A KR20047004120 A KR 20047004120A KR 100796243 B1 KR100796243 B1 KR 10079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ulinum toxin
body odor
odor
skin
sm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8895A (ko
Inventor
마르크 헤크만
Original Assignee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레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48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8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62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3Enzymes; Proenzyme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6Hydrolases (3)
    • A61K38/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A61K38/4886Metalloendopeptidases (3.4.24), e.g. collagenase
    • A61K38/4893Botulinum neurotoxin (3.4.24.6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취의 개선을 위한 미용 수단과, 취한증의 예방 및/또는 치료 약재를 제조하기 위한 보툴리누스 독소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보툴리누스, 독소, 취한증, 체취, 땀, 보툴리눔, 겨드랑이, 박테리아

Description

취한증의 예방 및 치료 약재 {MEDICAMENTS FOR PROPHYLAXIS AND THERAPY OF BROMHIDROSIS}
본 발명은 체취 개선을 위한 미용수단의 제조뿐만 아니라 취한증 예방 및/또는 치료를 위한 보툴리누스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미용품이나 약제로서는, 외부물질(향수)로 쾌적한 냄새를 발생시키는 방법이나, 신체의 병리학적 악취(취한증)를 감소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하지만, 이들 방법은 모두 체취의 질적평가도나 용인도를 증가시킬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체취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현상이다. 이는 유사한 환경에서도 각 개인에 따라 매우 다른 강도로 발생하며, 영향을 받는 사람들에 따라서도 다르게 인지된다.
일반적인 상식과는 정반대로, 몸의 땀, 즉 에크린 한선(eccrine perspiratory gland)의 분비는 냄새가 전혀 없다. 즉, 과다한 발한은 과다한 체취와 구분되어야 한다. 땀은 투명한 수용액으로서, 주로 나트륨, 칼륨, 칼슘, 마그네슘, 염화물 이온 등으로 구성되고, 그 외에 유산염, 요소와, 미량의 아미노산, 생체 아민, 비타민 등을 포함한다. 예외적인 환경에서는 그리세오풀빈(griseofulvin) 이나 케토코나졸(ketokonazol)과 같은 약제가 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으나, 이는 체취와는 그다지 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사우나와 같은 극한 환경에서는 땀을 더욱 많이 흘릴수록 땀은 더욱 희석되어 물과 같이 된다. 정상적인 생리상태에서도 비정상적으로 땀을 과다하게 흘리는 것은 이른바 다한증이라고 불리는 질병의 한 형태이다. 즉, 과다한 발한(다한증)은 체취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로, 의학서적 등 의학 출간물에 의하면, 겨드랑이의 과다 발한(겨드랑이 다한증)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강한 체취를 발생하지 않는다(Sato K, Kang WH, Saga K, Sato KT, "한선 및 그 이상에 관한 생물학 II. 한선 기능의 이상", J. Am. Acad. Dermatol 20, 713-726, 1989). 이는 땀의 엄청난 분출량으로 인해 냄새 유발물질들이 피부로부터 거의 씻겨져 버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에크린 한선과는 대조적으로, 이른바 취선(scent gland)이라 불리는 아포크린선(apocrine gland)나 아포에크린선(apo-eccrine gland)은 인지가능한 냄새 분비물을 방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 분비물은 피부표면에서 박테리아에 의해 악취물질로 변환될 수 있다. 즉, 취선은 체취 발생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취선은 예를 들어, 사람의 겨드랑이와 같은 곳에서 다량으로 발견되나, 단 사춘기 이후에서만 활성화된다. 따라서, 체취는 대개 아이들보다는 어른들에게서 훨씬 강하게 나게된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체취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 필수 요소로 발생된다.
1) 취선에 의해 만들어지는 분비물은 다른 사람들에게 매우 다양하게 인지될 정도로 독특한 냄새를 지닌다.
2) 취선의 분비물과 스테로이드 유도체, 그리고 피지와 같은 기타 신체 물질이 피부에 있는 미생물총(microflora)에 의해 일련의 분해물질로 분해될 수 있다. 박테리아에 의해 생성된 이들 분해물질은 예를 들어, 몸에 스미거나 하는 불쾌한 냄새를 유발한다. 또한, 어떤 아미노산은 체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종합하여 말하자면, 체취는 대부분 개인별로 매우 다르면서도 아직 조성이 완전하게 분석되지 않은 여러 성분의 혼합물 냄새인 것이다. 이리하여, 체취에 관한 분석은 단지 생화학적인 측정뿐만이 아니라, 실험 대상자들을 선정하여 각기 그들로 하여금 자신의 후각기관을 통해 체취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되며, 이로써 어떤 냄새가 얼마나 강한지 또는 불쾌한지 등에 대한 척도를 매기게 된다.
또한, 유난히 강하고 불쾌한 체취를 발생하는 경우는 "취한증"이라는 질병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체취는 불쾌함, 메스꺼움에서부터 쾌적함, 심지어는 매혹적이고 자극적까지 광범위한 지각작용으로 인지된다. 따라서, 행동 심리학에 의하면, 체취의 영향은 단지 강도(냄새가 얼마나 강한지의 여부) 뿐만이 아니라, 감정 정도(냄새가 얼마나 좋고 나쁜지의 여부)에 의해서도 판단되어진다.
그런데, 지금까지 알려진 쾌적한 체취를 지니기 위한 방법으로는 근본적으로 향수, 방향제, 향료나 방취제를 사용하여 자신의 체취를 감추는 것이었다.
더구나, 불쾌한 체취를 감소시키기 위한 요법들은 피부에 있는 박테리아의 분해작용을 방지하는데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따라서, 취한증에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요법이 권해진다;
·자주 씻고 속옷을 자주 갈아입을 것.
·비누나 합성세제를 사용하는 등, 강한 향을 지닌 물질로 자주 헹구어낼 것.
·방취제를 사용할 것.
·피부의 박테리아총(bacterial flora)을 각각 감소시키고 파괴하는 소독제나 피부 세정제를 사용할 것.
그런데, 상기와 같은 조치들의 단점으로는 더 많이 사용할수록 피부를 자극하고 장벽으로서의 피부기능을 교란하여, 붉어짐과 가려움을 동반한 불쾌한 습진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특히 방취제의 방향물질은 강한 알러지 유발물질이어서, 지속적으로 존재하며 알러지를 일으키는 면역학적 알러지화를 교사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염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염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여 땀의 분비를 억제하는 방법은 한선의 통로를 물리적으로 차단하여 땀의 흐름을 억제한다. 그러나, 이런 류의 치료법은 종종 원하지 않는 피부 자극을 일으킨다. 게다가, 앞서 설명하였듯이 땀은 냄새가 나지 않는 특징이 있으므로, 이런 류의 요법은 체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못하며, 기껏해야 피부환경을 간접적으로 변화시키는데 그친다.
따라서, 정리하여 말하자면, 기존의 모든 치료법들은 취선의 중요성을 무시 한 결과, 취선을 조작하여 체취를 개선하는 방법을 간과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취한증의 치료약제 및 체취를 개선시킬 수 있는 미용 수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은 본 청구의 범위에서 정의된 내용에 의해 해결되어진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쪽에만 보툴리누스 독소를 투여했을 때 체취의 강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0=냄새를 인지할 수 없음, 6=가장 강한 냄새).
대조군이 투여된 겨드랑이: n=16, 중앙값=2.88, SD=1.43
보툴리누스 독소-A가 투여된 겨드랑이: n=16, 중앙값=1.75, SD=0.86
유의차(윌콕슨 테스트): p=0.0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한 쪽에만 보툴리누스 독소를 투여했을 때 체취의 질적평가 점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3=매우 불쾌, +3=매우 쾌적).
대조군이 투여된 겨드랑이: n=16, 중앙값=-1.13, SD=0.89
보툴리누스 독소-A가 투여된 겨드랑이: n=16, 중앙값=0.5, SD=0.75
유의차(윌콕슨 테스트): p=0.001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TA: 보툴리누스 독소-A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취한증의 예방 또는 치료 약재를 제조하기 위한 보툴리누스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체취의 개선을 위한 미용 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보툴리누스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체취를 덜 자극적인 것으로 감소시키고, 더 쾌적한 것으로 개선시킴으로써 체취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땀은 무취의 액체이므로, 본 발명은 단순히 땀의 분비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인지가능한 불쾌한 냄새를 발생하는 겨드랑이나 기타 피부 부위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보툴리누스 독소는 혐기성 조건 하에서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Clostridium botulinum)에 의해 만들어지는 강력한 박테리아 독소의 한 군이다. 아형 보툴리눔 독소-A는 미국에서는 1989년부터, 독일에서는 각각 1991년 및 1993년부터 일부 신경근육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치료약제로서 승인된 것이다. 독일에서는 보툴리누스 독소-A는 "Botox
Figure 112007082608555-pct00001
"(독일 프랑크푸르트 소재의 메르츠 사 판매, 미국 캘리포니아 얼바인 소재의 알레간 사 제조)와 "Dysport
Figure 112007082608555-pct00002
"(독일 에트링겐 소재의 이스펜 제약 사 판매)라는 상표로 시중에서 구할 수 있다. 2001년부터는 "NeuroBloc
Figure 112007082608555-pct00003
"(독일 뮌헨 소재의 엘란 사)이라는 약제가 시중에 나와 있는데, 이는 아형 보툴리누스 독소-B를 함유한다.
보툴리누스 독소에 관한 약리학이나 약제 제조 및 수많은 임상실험은 Huang W, Foster JA, Rogachefsky AS의 "보툴리눔 독소의 약리학"(J Am Acad Dermatol, 43, 249-59, 2000)이나 Munchau A, Bhatia KP의 "현대의학에서의 보툴리눔 독소 주사의 사용"(BMJ, 320, 161-5, 2000)에 잘 기술되어 있다. 보툴리누스 독소의 임상 효과는 아세틸콜린(acetylcholine) 방출을 차단하는데 기인한다. 즉, 아세틸콜린을 전달물질로 사용하는 모든 신경말단이 차단되어 진다.
또한, 보툴리누스 독소-A를 적용하여 과다한 발한(다한증)을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실도 Naumann M, Hofmann U, Bergmann I, Hamm H, Toyka KV, Reiners K의 "국소성 다한증: 피내 보툴리눔 독소의 효과적 치료"(Arch Dermatol, 134, 301-4, 1998)에 재차 기술되어 있다. 이에 반해, 아직까지도 체취에 미치는 효과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사실, 다한증 치료에 대한 상기 문헌에서는 보툴리누스 독소의 주사가 체취에는 효과가 없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는 임상실험에서 놀랍게도 보툴리누스 독소가 취한증의 경우에 효과가 있으며, 심지어는 건강한 사람의 체취까지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해냈다. 후자의 경우는 결코 성공적인 취한증 치료의 결과는 아니다. 왜냐하면, 이는 불쾌하거나 심지어 병적이기까지 한 체취를 감소시킴으로써 단순히 주위에 폐를 덜 끼치게 하거나 또는 기껏해야 정상적인 체취로 만드는 것이지, 독자적으로 어떤 긍정적인 체취를 유발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즉, 본 발명은 신체 자체의 냄새를 주위 사람들에게 보다 더 긍정적이고 쾌적하게 드러내는 물질을 제공함으로써, 후각적 인지도가 직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모든 인간관계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경쟁력있는 우위성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보툴리누스 독소는 그 야생종 형태뿐만이 아니라 그 유도체나 단편, 또는 예를 들어 화학적 수정 등의 여러 변화를 거친 형태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유도체"란 보툴리누스 독소의 아미노산 서열이 치환, 결실, 삽입, 또는 부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편"이란 보툴리누스 독소의 어떤 일부만이 야생종 보툴리누스 독소의 생물학적 활동을 나타내는 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보툴리누스 독소는 피내주사를 통하여 피부에 투여된다. 이는 예를 들면, 예리한 피하 주사침과 게이지 주사침(예를 들어, 30 게이지) 각각이 달린 주사기를 사용하거나, 또는 다른 주사방식(예를 들어, 각 고압 및 무침 주사)을 통하여 행해질 수 있다. 주사액은 치료할 피부 부위에서 예를 들어, 0.5 ~ 5cm 간격으로 고르게 분포되도록 주사된다. 또한, 피하 주사, 경피 주사 등 다른 주사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또한, 피부로의 침투를 돕는 첨가제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적당한 약제(예를 들어, 젤, 크림, 연고, 스프레이 등)로 조제하여 보툴리누스 독소를 바르는 것도 본 활성약제가 피부를 통하여 흡수가능하다면 적절한 방법이다. 마찬가지로, 본 활성약제는 목욕, 또는 약한 전류를 가하거나 가하지 않은 배후용제 목욕(전리요법)을 통하여 피부에 가해져 투여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조제된 보툴리누스 독소 주사액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액은 예를 들어, Botox
Figure 112004011520029-pct00004
약제나 Dysport
Figure 112004011520029-pct00005
약제 1 용기단위를 멸균 생리식염수( 예를 들어, 1 ~ 10ml 또는 용도에 따라 양을 조절)에 용해시켜 조제된다. 또는, 이미 용해된 형태로 구입가능한 NeuroBloc
Figure 112004011520029-pct00006
약제가 사용된다. 또는, 보톨리누스 독소(예를 들어, A, B, C, D, E, F, G)의 모든 아형과, 이들 보툴리누스 독소의 유도체, 단편, 또는 형태가 경우에 따라 각각 사용된다. 또한, 상기 적용 형태에 적합한 여러 보툴리누스 독소 아형들의 조합이나, 다른 물질 및 부물질과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활성약제의 수용액에서의 농도(ml당 마우스 단위)는 개인의 필요와 경험에 따라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겨드랑이 부분이 치료에 적합하지만, 사타구니, 둔근, 발과 같은 신체의 다른 부위도 치료 가능하다. 치료 전후를 보조하는 형태로서, 예를 들어, 진통성 크림의 도포, 체취를 바꾸는 크림이나 연고 또는 피부의 냉각(cooling) 또는 침연(maceration), 기타 모든 종류의 외용 등이 상기 적용형태와 결합될 수 있다.
이하, 하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겨드랑이에서 심한 체취가 나는 환자에게 겨드랑이당 10 피내주사점 분포로 2ml NaCl에 용해된 50단위 Botox
Figure 112004011520029-pct00007
를 투여하였다. 일주일이 지난 후, 여전히 같은 위생습관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환자 체취의 강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2
16명의 실험 대상자로 구성된 그룹이 교육과 서면동의 후에 관찰되었다. 3일 동안 각 실험 대상자에게는 방취제, 향수, 향수비누 등의 사용과, 양파, 아스파라거스, 마늘의 섭취 및 동료와의 친밀한 접촉이 금지되었다. 3일째되는 날, 각 실험 대상자에게 전날 정오에서 다음날 정오까지 24시간 동안 흰색 T셔츠(미리 세탁된 100% 면)을 입도록 하였다. 그리고 난 후, 상기 T셔츠의 겨드랑이 부분을 잘라내어 각각 밀봉된 유리 플라스크에 보관하였다. 그리고, 상기 플라스크에 익명으로 라벨을 붙여 만든 후각용 샘플을 누구의 것인지 모르도록 하여 실험 대상자들로 하여금 냄새를 맡게 하였다. 이 후, 각 실험 대상자의 양 겨드랑이에 한쪽 당 10 삽입점 분포로 주사치료를 하였다. 이 때, 겨드랑이 한 쪽에는 2ml NaCl 등장액에 용해된 100단위 보툴리누스 독소-A(Dysport
Figure 112004011520029-pct00008
)를 투여하고, 다른 쪽에는 2ml 등장식염수를 투여하였다. 의사나 실험 대상자 모두 어느 쪽이 활성약제인지 또는 단순한 대조군 수용액으로 치료받은 것인지 알지 못하였다(이중 은폐 실험). 일주일 후, 정확히 동일한 조건으로 T셔츠 후각 실험을 반복하였다. 통계를 분석한 결과, 겨드랑이 양 쪽에서 매우 뚜렷한 차이를 발견하였다. 즉, 보툴리누스 독소 치료를 받은 겨드랑이와 그 T셔츠 부위에서는 대조군 수용액을 투여한 경우보다 냄새가 덜 강하고 덜 불쾌하며 오히려 더 쾌적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 3
56명의 여성 참가자들로 하여금 16명의 외부 제공자들의 후각샘플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후각샘플을 준비하기 위한 방법론은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였다. 즉, 각 제공자는 두개의 샘플을 제공하였으며, 한 샘플은 보툴리누스 독소를 투여 한 겨드랑이로부터의 샘플로 하였고, 다른 샘플은 보툴리누스 독소를 투여하지 않은 겨드랑이로부터의 샘플로 하였다.
각 여성 참가자들은 다음과 같은 항목을 평가하였다;
1. 두 샘플 중 어떤 것이 냄새가 더 쾌적한가? (이중 은폐 실험으로 진행)
2. 냄새의 질은 어떠한가? ("매우 불쾌"인 "-3"에서부터 "매우 쾌적"인 "+3"까지의 범위에서 7등급으로 산정. "0"은 "보통"을 의미)
3. 냄새를 표현하여 보시오.(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의미의 형용사들을 주어 선택하도록 함; 예를 들면, "화사한 냄새"와 "곪는 냄새", "감미로운 냄새"와 "썩는 냄새" 등)
4. 이 냄새를 맡을 때의 느낌은 어떠한가?(평가 9등급)
5. 이 냄새를 지닌 배우자를 상상할 수 있겠는가?
6. 이 냄새로 인해 무엇이 연상되는가?
분석: 적정 데이터값의 반복측정을 위한 McNemar χ²테스트를 이용하여 일대 비교값을 계산하였다.
직접 비교와 점수에 따른 결과, 보툴리누스 독소가 투여된 겨드랑이 쪽의 냄새는 더 쾌적하다고 매우 두드러지게 감지되었다(p<0.001). 또한, 보툴리누스 독소가 투여된 샘플에는 긍정적인 형용사가 상당히 두드러지게 사용되었다. 여성 참가자들은 보툴리누스 독소가 투여된 샘플을 인지한 경우에 "더 안정됨"과 "더 만족스러움"을 매우 두드러지게 느꼈고, 보툴리누스 독소가 투여된 겨드랑이 냄새를 지닌 배우자를 보툴리누스 독소가 투여되지 않은 배우자보다 더 많이 상상하였다(각 각 p<0.001).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툴리누스 독소를 사용함으로써 땀의 분비를 감소시키지 아니하면서도 피부 부위의 특성을 변화시켜 체취를 덜 자극적으로 감소시키고 더 쾌적하게 개선시켜 체취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취한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보툴리누스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취 개선과 취한증 예방 및/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5. 보툴리누스 독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취 개선용 미용수단을 제조하기 위한 약학조성물.
KR1020047004120A 2001-09-21 2002-09-23 취한증의 예방 및 치료 약재 KR100796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46647A DE10146647A1 (de) 2001-09-21 2001-09-21 Arzneimittel zur Prophylaxe und Therapie von Bromhidrosis
DE10146647.1 2001-09-21
PCT/DE2002/003561 WO2003026602A2 (de) 2001-09-21 2002-09-23 Arzneimittel zur prophylaxe und therapie von bromhidro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8895A KR20040048895A (ko) 2004-06-10
KR100796243B1 true KR100796243B1 (ko) 2008-01-21

Family

ID=7699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120A KR100796243B1 (ko) 2001-09-21 2002-09-23 취한증의 예방 및 치료 약재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20050036966A1 (ko)
EP (2) EP2987483B1 (ko)
JP (1) JP4966478B2 (ko)
KR (1) KR100796243B1 (ko)
CN (1) CN1289061C (ko)
AU (1) AU2002349268B2 (ko)
CA (1) CA2461117C (ko)
DE (1) DE10146647A1 (ko)
EA (2) EA008146B1 (ko)
HU (1) HU230398B1 (ko)
IL (2) IL160875A0 (ko)
MX (1) MXPA04002614A (ko)
PL (1) PL209639B1 (ko)
UA (1) UA78718C2 (ko)
WO (1) WO2003026602A2 (ko)
ZA (1) ZA2004021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3349A1 (en) 2001-12-18 2003-06-19 Coleman William P. Topically applied clostridium botulinum toxin compositions and treatment methods
CA2496005C (en) 2002-08-19 2013-07-23 Ira Sanders Use of botulinum toxin for the treatment of fine wrinkles and pore size
CA2518155A1 (en) 2003-03-06 2004-09-16 Botulinum Toxin Research Associates, Inc. Treatment of chronic chalazion and hordeolum with botulinum toxin
US8048423B2 (en) * 2003-12-09 2011-11-01 Allergan, Inc. Botulinum toxin therapy for skin disorders
BRPI0608249A2 (pt) * 2005-03-03 2009-12-08 Revance Therapeutics Inc formulação, método para aplicação tópica e kit para distribuição transdérmica de toxina botulìnica
US9486408B2 (en) 2005-12-01 2016-11-08 University Of Massachusetts Lowell Botulinum nanoemulsions
EP2099429A2 (en) 2006-12-01 2009-09-16 Anterios, Inc. Micellar nanoparticles comprising botulinum toxin
BRPI0914630A2 (pt) * 2008-06-26 2019-09-24 Anterios Inc liberação dérmica
US8454975B1 (en) * 2010-01-11 2013-06-04 Elizabeth VanderVeer Method for enhancing skin appearance
EP3541358A1 (en) 2016-11-21 2019-09-25 Eirion Therapeutics, Inc. Transdermal delivery of large agents
US11191819B2 (en) 2018-08-28 2021-12-07 Ira Sanders Skin therapeutic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2981A1 (de) * 1998-11-17 2000-05-18 Martin Schmidt Botulinum-Toxine, deren Derivate, Analoge und molekulare Bruchstücke zur topischen epicutanen Anwendung auch in Zusammenwirken mit hautpenetrationsfördernden Substanzen und Maßnahmen in Zubereitungsformen zur Beeinflussung acetylcholinabhängiger Körperfunktion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86036A1 (en) * 2000-12-05 2002-07-04 Allergan Sales, Inc. Methods for treating hyperhidrosis
US20030113349A1 (en) * 2001-12-18 2003-06-19 Coleman William P. Topically applied clostridium botulinum toxin compositions and treatment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2981A1 (de) * 1998-11-17 2000-05-18 Martin Schmidt Botulinum-Toxine, deren Derivate, Analoge und molekulare Bruchstücke zur topischen epicutanen Anwendung auch in Zusammenwirken mit hautpenetrationsfördernden Substanzen und Maßnahmen in Zubereitungsformen zur Beeinflussung acetylcholinabhängiger Körperfunkti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87483B1 (de) 2020-12-02
HUP0401913A2 (hu) 2005-01-28
EA011988B1 (ru) 2009-06-30
PL209639B1 (pl) 2011-09-30
PL373528A1 (en) 2005-09-05
IL160875A0 (en) 2004-08-31
JP2005507888A (ja) 2005-03-24
WO2003026602A2 (de) 2003-04-03
EA200400436A1 (ru) 2007-02-27
CN1556693A (zh) 2004-12-22
CA2461117C (en) 2009-12-08
UA78718C2 (en) 2007-04-25
MXPA04002614A (es) 2005-02-17
IL160875A (en) 2010-11-30
HUP0401913A3 (en) 2008-02-28
CN1289061C (zh) 2006-12-13
KR20040048895A (ko) 2004-06-10
ZA200402123B (en) 2004-10-04
EP2987483A1 (de) 2016-02-24
EP1427385A2 (de) 2004-06-16
US20050036966A1 (en) 2005-02-17
DE10146647A1 (de) 2003-04-24
AU2002349268B2 (en) 2007-12-13
EA200601238A1 (ru) 2007-06-29
HU230398B1 (hu) 2016-04-28
JP4966478B2 (ja) 2012-07-04
EA008146B1 (ru) 2007-04-27
CA2461117A1 (en) 2003-04-03
EP1427385B1 (de) 2015-09-23
WO2003026602A3 (de) 200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nderson et al. Evaluation of massage with essential oils on childhood atopic eczema
Benohanian Antiperspirants and deodorants
KR100796243B1 (ko) 취한증의 예방 및 치료 약재
US9248320B2 (en) Perfume and cosmetic composition with anti-stress and relaxing effect
Alnouri et al. Effect of aloe vera mouthwash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indices in children: A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Ballantyne et al. Dermal sensitizing potential of glutaraldehyde: a review and recent observations
CN111093611B (zh) 用于在降低或预防体味时应用的短杆菌素及其制剂
Yagil Cosmeceuticals: Camel and Other Milk–Natural Skin Maintenance
CN109289042A (zh) 一种除臭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Mahto The skincare bible: your no-nonsense guide to great skin
CN101822621B (zh) 一种消除狐臭的外用液
JP2000290163A (ja) 保湿クリーム
CN100370985C (zh) 一种抑汗、除臭外用喷雾剂
Rothman Drugs in cosmetics
Satish et al. An Exploratory Insight into Public'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Mouthwash during COVID-19 Pandemic
Bilovol et al. Сosmetology: textbook for the 2nd-year dentistry students (English medium)
JPS5883612A (ja) 防臭防汗用塗布剤
Waterman et al. PSA: Unpleasant odours: Under odours
Stattkus Help! I'm Sweating!: Causes, Phenomena, Therapies
JP2007106719A (ja) 新生児由来成分を用いたストレス改善用組成物
Bailey Stress Sweat v Regular Sweat; Why it smells worse and how to manage it
Tindall et al. Practical Pharmacotherapy of Drugs Used to Treat Psychiatric Disorders
DE102016006816A1 (de) Antitranspirante Lösung ohne lösliche Aluminiumsalze
DE202016003503U1 (de) Antitranspirante Lösung ohne lösliche Aluminiumsalze
KR20050072899A (ko) 항균비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