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5303B1 -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5303B1
KR100795303B1 KR1020037006972A KR20037006972A KR100795303B1 KR 100795303 B1 KR100795303 B1 KR 100795303B1 KR 1020037006972 A KR1020037006972 A KR 1020037006972A KR 20037006972 A KR20037006972 A KR 20037006972A KR 100795303 B1 KR100795303 B1 KR 100795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polyol
diol
gurbet
polyol composition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6580A (ko
Inventor
알렉산더 엘. 야킨드
로버트 브라이언 피이젤
마이클 토드 렌더
드루브 브라즐알 파레크
Original Assignee
아크조 노벨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EP01200734A external-priority patent/EP1238994A1/en
Application filed by 아크조 노벨 엔.브이. filed Critical 아크조 노벨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03007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7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having heteroatoms in addition to the isocyanate or isothiocyanate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
    • C08G18/78Nitrogen
    • C08G18/79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791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 C08G18/792Nitrogen characterised by the polyisocyanates used, these having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containing isocyanurate groups formed by oligomerisation of aliphatic and/or cycloaliphatic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05Compounds having only one group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2815Monohydroxy compounds
    • C08G18/282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 C08G18/2825Alkanols, cycloalkanols or arylalkanols including terpenealcohols having at least 6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30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32Polyhydroxy compounds; Polyamines; Hydroxyamines
    • C08G18/3203Polyhydroxy compounds
    • C08G18/3206Polyhydroxy compounds alipha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또는 평균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혼합물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바람직한 폴리올은 α, β 디올 및 α,γ 디올이며,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은 매우 낮은 점성도를 나타내어 매우 낮은 VOC의 코팅조성물에 특히 유용하며, 생성된 경화 코팅은 개선된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Guerbet alcohol)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올 및 단일관능성 알콜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은 예를 들어, 특허공보 WO 96/40813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에는 단일관능성 알콜이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고리형 또는 비고리형일 수 있고, 알콜과 티올이 일차, 이차 또는 삼차일 수 있는 일반적인 용어로 개시되어 있다.
코팅조성물의 일부로서, 그리고 다-성분 코팅시스템에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코팅조성물 및 다-성분 코팅시스템은 또한 가교제를 포함한다.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은 코팅조성물 및 다-성분 코팅시스템에 사용할 경우 12개 미만의 탄소원자를 갖는 통상적인 모노알콜 치환체 또는 분지쇄형 모노알콜에 비해, 놀랍게 개선된 특성을 갖는 도장된 코팅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을 형성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도장된 코팅은 보다 나은 유연성을 나타낸다. 또한, 경화되지않은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은 낮은 VOC 함량과 낮은 점성도를 가진다.
발명의 요약
한 구체예에서, 본 발명은 (a)폴리이소시아네이트, (b)폴리올 및 (c)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또는 평균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혼합물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과 가교제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및 코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통상적으로 2 내지 5의 관능가를 가진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변형시킴에 의해, 상업적으로 사용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관능성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일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메틸-1,5-펜탄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12-도데칸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4-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 1,6-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 및 테트라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트리이소시아네이트 관능성 부가물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HDI의 이소시아누레이트)이다.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폴리올의 예로는 α,β 및 α,γ 디올, 예를 들어 2-에틸-1,3-헥산 디올, 1,2-헥산 디올, 1,2-옥탄 디올, 1,2-데칸 디올, 2,2,4-트리메틸-1,3 펜탄 디올 및 2-부틸-2-에틸-2,3-프로판 디올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구르벳 알콜은 두번째 탄소 위치에서 항상 분지쇄 지점과 함께 2개의 직쇄형 탄소 사슬을 갖는 분지쇄형 일차 단일관능성 알콜이다. 구르벳 알콜은 화학적으로 2-알킬-1-알카놀로 기재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구르벳 알콜은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콜 또는 평균 적어도 12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구르벳 알콜은 적어도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콜 또는 평균 적어도 16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사용된 구르벳 알콜은 36개 이하의 탄소원자, 보다 바람직하게 32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콜이다. 가장 바람직한 구르벳 알콜은 2-헥실-1-데카놀, 2-옥틸-1-데카놀, 2-옥틸-1-도데카놀, 2-헥실-1-도데카놀, 2-데실-1-테트라데카놀 및 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구르벳 알콜은 하기 화학식 1에 의해 나타낸다:
(R1)(R2)CHCH2OH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직쇄형 알킬기이며, R2는 직쇄형 알킬기이고, R1과 R2에서 탄소원자의 합이 10 내지 34이며, 및 R1과 R2 둘다 존재함)
구르벳 알콜은 Sasol Chemie GmbH제 Isofol(상표명) 알콜 및 Cognis제 Guerbetol로 상업용으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은 가교제와 조합하여 코팅조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 특정의 히드록실기-반응성 가교제는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 및 다-성분 코팅시스템에 사용가능하며, 그 예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블록된(blocked)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 및 멜라민 수지가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교제 혼합물도 사용될 수 있다. 멜라민 가교제는 단일-포장(one-package) 코팅시스템을 위해 선택되며, 이소시아네이트는 보통 2성분 시스템에 사용된다.
코팅조성물은 또한,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내 히드록실기와 가교제의 히드록실-반응성 기 사이의 경화반응을 위한 촉매를 포함한다. 가교제로서의 이소시아네이트는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트리에틸 아민 및 금속 촉매 등이 바람직하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미노플라스트 가교제의 예로는 블록된 도데실 벤젠 설폰산과 같은 설폰산 촉매가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코팅조성물은 또한, 색소를 함유할 수 있다. 유기색소 뿐만 아니라 무기색소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충진제, UV-흡수제, 및 여러 첨가제들과 같은 종래의 첨가제들 및 용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은 어느 기재에나 도포될 수 있다. 기재의 예로는 금속, 플라스틱, 목재, 유리, 세라믹 또는 다른 코팅층이 있다. 다른 코팅층은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다른 코팅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은 클리어 코트, 베이스 코트 및 착색된 탑 코트로서의 특정 용도를 나타낸다. 코팅조성물은 분무 건, 브러시 또는 롤러와 같은 종래의 수단에 의해 도포될 수 있으며, 분무가 바람직하다. 경화온도는 바람직하게 0 내지 130℃, 및 보다 바람직하게 20 내지 120℃이다. 상기 조성물은 기차, 트럭, 버스 및 비행기와 같은 운송수단의 코팅된 금속기재를 제조하는데 특히 적당하다.
수득된 경화 코팅의 유연성때문에, 본 발명의 코팅조성물은 유연성 플라스틱 기재 및 플라스틱과 다른 물질들의 조합인 물품에 특히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비교실시예 1
교반기, 축합기, 가열망태, 열전쌍, 마스터플렉스 연동식 펌프(Masterflex peristaltic pump) 및 질소 입구를 구비한 2ℓ목이 4개인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부틸-2-에틸 프로판 디올 480.0g, n-부틸 아세테이트 228.9g, n-부틸 아세테이트내 10% 용액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0.5g을 채웠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블랭킷하에 70℃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70℃에 도달되었을때, 마스터플렉스 연동식 펌프를 사용하여 이하의 이소시아네이트 용액을 2시간동안 첨가하였다:
Desmodur N-3300(HDI의 이소시아누레이트) 588.0g 및
n-부틸 아세테이트 228.9g.
이소시아네이트 첨가를 완료한후, 반응온도를 70℃에서 2시간동안 더 유지하고, 그 지점에서 잔류 이소시아네이트가 없는지를 푸리에변환 적외선 분광법(FTI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득된 폴리우레탄 폴리올 용액은 66.7%의 비휘발물 함량과 1,420cps의 브룩필드 점도를 갖는 수지용액이었다.
실시예 2
교반기, 축합기, 가열망태, 열전쌍, 적하깔때기 및 질소입구를 구비한 2ℓ 목이 4개인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Desmodur N-3300(HDI의 이소시아누레이트) 588.0g, n-부틸 아세테이트 234.45g 및 n-부틸 아세테이트내 10% 용액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0.5g을 채웠다.
상기 혼합물을 질소블랭킷하에 70℃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70℃에 도달되었을때, 1시간동안 적하깔때기를 통해 2-부틸-1-옥탄올(Sasol Chemie GmbH제 ISOFOL-12) 186.0g을 첨가하였다. 첨가하는중에 반응온도는 70℃ 내지 75℃에서 유지되었다. 첨가후, 수득된 프리폴리머는 70℃에서 1시간동안 더 유지되었다.
교반기, 축합기, 가열망태, 열전쌍, 마스터플렉스 연동식 펌프 및 질소입구를 구비한 분리형 3ℓ 목이 4개인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2-부틸-2-에틸 프로판 디올 320.0g 및 n-부틸 아세테이트 234.45g을 채웠다.
상기 혼합물을 70℃로 가열하고, 그후 마스터플렉스 연동식 펌프를 사용하여 2시간동안 상기 제조된 프리폴리머를 첨가하였다. 반응온도는 70℃ 내지 75℃에서 유지되었다. 프리폴리머 첨가를 완료한후, 반응온도는 70℃에서 2시간동안 더 유지하고, 이 지점에서 잔류 이소시아네이트가 나타나지않는지를 FTIR에 의해 측정하였다.
수득된 폴리우레탄 폴리올의 특성은 표 2에 보고되어 있다.
실시예 3-6 및 비교실시예 7-10
실시예 3-6 및 비교실시예 7-10의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을 표 1에 개시된 반응물질과 양을 사용하여 실시예 2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각 실시예에서 사용된 n-부틸아세테이트의 전체 양은 표 1에 개시되어 있다. 각 실시예에서, 전체 양의 반이 프리폴리머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고, 나머지 반은 폴리우레탄 폴리올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전체 모노알콜 치환체들은 동일한 몰 수준이다. 수득된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특성들은 표 2에 보고되어 있다.
비교실시예 11
코팅산업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자유라디칼 중합으로 아크릴 폴리올을 제조하였다. 수득된 아크릴 폴리올의 특성들은 표 2에 개시되어 있다.
코팅조성물
클리어 코트 코팅조성물은 Cytec Industries제로 상업용으로 사용가능한 멜라민 수지 Cymel 303과 하기 배합에 따른 비교실시예 1, 7, 8 및 11 및 실시예 2-6의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에 의해 제조하였다:
폴리우레탄 폴리올(수지고체 기준부) 70.0g
Cymel 303(수지고체 기준부) 28.9g
블록된 도데실벤젠 설폰산(활성분자기준부) 1.0g
Byk 310, 실리콘 유동제(silicone flow agent)(활성분자기준부) 0.1g
시험패널의 제조 및 코팅특성:
#44 드로오 다운 바아(draw down bar)를 사용하여, ACT Laboratories제 상업용으로 사용가능한 4"×12"(10.16㎝~30.48㎝) Bonderite 1000 스틸 패널위에 클리어코트를 도포한후, 121℃에서 30분간 구웠다. 목표 건조막 두께는 1.0±0.1mil(25.4±2.5마이크론)이었다. 구운후, 이하의 특성들을 패널위에서 시험하였다:
·실온 원뿔형 맨드릴 유연성 : GM 9503P
(Room Temperature Conical Mandrel Flexibility)
[1/4"~2"(0.635㎝~5.08㎝) 맨드릴 직경]
·역충격(Reverse Impact)(40인치-파운드) : Chrysler LP-463PB-19-01
또한, 산 에치 시험을 이하와 같이 진행하였다:
#44 드로오 다운 바아를 사용하여 3"×18"(7.62㎝×45.72㎝) 흑색 E-코팅된 스틸 패널위에 클리어 코트를 도포하고, 그후 250F(121℃)에서 30분동안 구웠다. 목표 건조막 두께는 1.0±0.1mil(25.4±2.5마이크론)이었다. 구운후, 상기 패널을 60℃ 내지 90℃의 구배온도 바아위에 놓았다. 구배 바아에 의해 패널이 열 평형에 도달했을때, 수성 황산의 10% 용액을 3℃ 증가량으로 패널을 따라 떨어뜨렸다. 이 패널을 산과 온도구배에 30분동안 노출시킨후,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첫번째 에칭 징후가 보인 온도와 77℃에서의 에치 피해도(severity)를 보고하였다.
표 3은 상기 시험결과들을 요약하고 있다. 비교실시예 7 및 8의 폴리올을 사용하여 클리어 코트 배합물이 1일동안 침강(sitting)후 결정화되었다는 것도 주목해야 한다.
실시예 2 및 3의 폴리우레탄 폴리올에 기초한 단일성분 멜라민 경화된 클리어코트 조성물을 플라스틱 기재(TPO)위에 도포하였다. 클리어코트를 도포하기 전에, 각 TPO 기재를 접착촉진제와 단일성분 베이스코트에 의해 코팅하였다. 코팅된 기재를 굽힌후, 시각적인 관찰에 의해 유연성 기재위 상기 코팅조성물이 균열에 대해 놀라운 저항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물질 단일 관능성 알콜내 n-탄소 단일 관능성 알콜 없음 변형된 구르벳 알콜(분지쇄형) 변형된 직쇄형 알콜
비교 실시예 1 (gms) 실시예 2 (gms) 실시예 3 (gms) 실시예 4 (gms) 실시예 5 (gms) 실시예 6 (gms) 비교 실시예 7 (gms) 비교 실시예 8 (gms) 비교 실시예 9 (gms) 비교 실시예 10 (gms)
2-부틸-1-옥탄올 C-12 186.0
2-옥틸-1-데카놀 C-18 275.9
2-옥틸-1-도데카놀 C-20 298.0
2-데실-1-테트라데카놀 C-24 354.0
테트라데실 옥타데카놀 C-32 470.0
4-데카놀 C-10 158.3
1-옥틸 데카놀 C-18 270.0
1-에이코산올 C-20 298.6
데실테트라 데카놀 C-24 365.2
Desmodur N3300 588.0 588.0 588.0 588.0 588.0 588.0 588.0 588.0 588.0 588.0
디부틸 틴 디라우레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0.05
2-부틸-2-에틸 프로판 디올 480.0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320.0
n-부틸 아세테이트 457.7 468.9 507.4 516.9 540.9 590.6 457.0 504.9 517.1 545.7
특성 단일 관능성 알콜 없음 변형된 구르벳 알콜(분지쇄형) 변형된 직쇄형 알콜 아크릴 폴리올
비교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 실시예 7 비교 실시예 8 비교 실시예 9 비교 실시예 10 비교 실시예 11
비휘발율(%) 66.7 67 66.8 69.2 69.5 70.2 69.7 71.5 73.4 72.4 74.8
브룩필드 점도(cps)50rpm,#4 스핀들, 20℃ 1420 1160 704 928 728 604 1460 Wax Wax Wax 6450
OH가 (㎎ KOH/g) 157.6 102.6 94.8 93 88.9 81.4 105.3 95.2 93 88.2 130.8
Mn 2519 1868 2752 2098 2167 2311 1598 2102 2140 2257 3250
Mw 4836 3070 3835 3214 3213 3269 2108 3163 3190 4190 8979
다분산도 (Mw/Mn) 1.9 1.6 1.4 1.5 1.5 1.4 1.3 1.5 1.5 1.9 2.8
클리어코트 배합물에 사용된 폴리우레탄 폴리올 DFT (mil) +22℃에서의 맨드릴 굽힘 (Mandrel bend) -22℃에서의 역충격 산 에치의 첫번째 징후가 보이는 온도 (℃) 77℃에서의 산 에치의 피해도
비교실시예 1 1.0 실패 실패 81 에치 없음
실시예 2 0.9 성공 실패 81 에치 없음
실시예 3 1.0 성공 실패 85 에치 없음
실시예 4 0.9 성공 성공 77 약간
실시예 5 1.0 성공 성공 78 약간
실시예 6 1.0 성공 성공 81 에치 없음
비교실시예 7 0.9 실패 실패 81 에치 없음
비교실시예 8 0.9 성공 실패 70 심각함
비교실시예 9 왁스질 굳기로 인해 시험되지않음
비교실시예 10 왁스질 굳기로 인해 시험되지않음
비교실시예 11 0.9 실패 실패 68 심각함

Claims (16)

  1. 하기의 반응 생성물 (a), (b) 및 (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a) 폴리이소시아네이트;
    (b) 폴리올; 및
    (c)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Guerbet alcohol) 또는 평균 12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혼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구르벳 알콜은 16개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또는 평균 16개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구르벳 알콜은 2-헥실-1-데카놀, 2-옥틸-1-데카놀, 2-옥틸-1-도데카놀, 2-헥실-1-도데카놀, 2-데실-1-테트라데카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α,β 디올, α,γ 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2-에틸-1,3-헥산 디올, 1,2-헥산 디올, 1,2-옥탄 디올, 1,2-데칸 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 디올, 2-부틸-2-에틸-2,3-프로판 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7.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12개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프리폴리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프리폴리머를 폴리올과 반응시켜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구르벳 알콜은 16개 내지 3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구르벳 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구르벳 알콜은 2-헥실-1-데카놀, 2-옥틸-1-데카놀, 2-옥틸-1-도데카놀, 2-헥실-1-도데카놀, 2-데실-1-테트라데카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α,β 디올, α,γ 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폴리올은 2-에틸-1,3-헥산 디올, 1,2-헥산 디올, 1,2-옥탄 디올, 1,2-데칸 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 디올, 2-부틸-2-에틸-2,3-프로판 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이소시아누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의 제조 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과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14.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과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15. 제 13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블록된(blocked)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아미노플라스트, 멜라민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팅 조성물.
  16. 제 13 항에 따른 코팅 조성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성 기재(flexible substrate).
KR1020037006972A 2000-12-22 2001-12-17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KR100795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747100P 2000-12-22 2000-12-22
US60/257,471 2000-12-22
EP01200734.0 2001-02-28
EP01200734A EP1238994A1 (en) 2001-02-28 2001-02-28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PCT/EP2001/014985 WO2002051901A1 (en) 2000-12-22 2001-12-17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6580A KR20030076580A (ko) 2003-09-26
KR100795303B1 true KR100795303B1 (ko) 2008-01-15

Family

ID=26076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972A KR100795303B1 (ko) 2000-12-22 2001-12-17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1343831B1 (ko)
JP (1) JP2004524391A (ko)
KR (1) KR100795303B1 (ko)
CN (1) CN1226324C (ko)
AT (1) ATE353926T1 (ko)
AU (1) AU2002237243B2 (ko)
BR (1) BR0116448A (ko)
CA (1) CA2432526C (ko)
DE (1) DE60126653T2 (ko)
ES (1) ES2281455T3 (ko)
WO (1) WO2002051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6564A1 (en) 2009-03-24 2010-10-06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a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 and nanoparticle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FR2981648B1 (fr) * 2011-10-20 2014-12-26 Soprema Plastifiant polymerisable, composition de resine polyurethane liquide comprenant ledit plastifiant et ses utilisations
CA2850290C (fr) * 2011-10-20 2021-06-08 Soprema Composition de resine polyurethane liquide, stable, prete a l'emploi et ses utilisations
FR2981649B1 (fr) 2011-10-20 2013-11-22 Soprema Polyisocyanate masque et ses utilisations
ITMI20120862A1 (it) * 2012-05-18 2013-11-19 Gianluigi Guidetti Sistema verniciante poliuretanico a bassa emissione di composti organici volatili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40813A1 (en) * 1995-06-07 1996-12-19 Akzo Nobel N.V. Polyurethane polyols and coatings thereof having reduced viscos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40813A1 (en) * 1995-06-07 1996-12-19 Akzo Nobel N.V. Polyurethane polyols and coatings thereof having reduced viscos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32526C (en) 2009-04-07
BR0116448A (pt) 2003-10-07
CN1226324C (zh) 2005-11-09
WO2002051901A1 (en) 2002-07-04
ATE353926T1 (de) 2007-03-15
ES2281455T3 (es) 2007-10-01
EP1343831A1 (en) 2003-09-17
CA2432526A1 (en) 2002-07-04
DE60126653T2 (de) 2007-11-22
EP1343831B1 (en) 2007-02-14
DE60126653D1 (de) 2007-03-29
CN1481402A (zh) 2004-03-10
JP2004524391A (ja) 2004-08-12
KR20030076580A (ko) 2003-09-26
AU2002237243B2 (en) 2006-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20987C (en) Polyurethane polyols and high solids coatings therefrom
EP0409301B1 (en) Acid etch resistant coatings
EP3763793B1 (en) Polyaspartic coating composition, coating film, and coating article
US6624277B2 (en)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DE69825272T2 (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basierend auf einem hydroxygruppen enthaltenden filmbildenden polymer, einer polyisocyanatverbindung und einem diol
EP0455291B1 (en) Acid etch resistant coatings
US5238999A (en) Environmental etch resistant, one-component, coating composition, method of coating therewith, and coating obtained therefrom
US6828405B1 (en) Polyimine/polyisocyanate coating composition
KR100795303B1 (ko) 폴리우레탄 폴리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DE60320569T2 (de) Eine spiro-ortho silikatgruppenverbindung enthaltende beschichtungszusammensetzung
KR100799453B1 (ko) 비시클로-오르토에스테르-작용기 화합물,이소시아네이트-작용기 화합물 및 티올-작용기 화합물을포함하는 코팅 조성물
EP1650243B1 (en) Biuretized polyisocyanates and blocked biuretized polyisocyanates
EP1922347B1 (en) Melamine polyols and coatings thereof
US6548617B2 (en) Coating composition comprising a bicyclo-orthoester-functional compound, an isocyanate-functional compound, and a thiol-functional compound
US6538096B2 (en) Storage-stable polyisocyanates
US6566481B2 (en) Polyisocyanates with allophanate groups derived from alicyclic alkanediols
AU2002237243A1 (en) Polyurethane polyol compositions and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RU2279446C2 (ru) Полиуретанполиольные композиции для покрытия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100728461B1 (ko) 방향족 폴리우레탄 폴리올을 사용하는 기재 코팅 방법
EP0661316A1 (en) Reactive urea/urethane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