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617B1 -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617B1
KR100794617B1 KR1020060030119A KR20060030119A KR100794617B1 KR 100794617 B1 KR100794617 B1 KR 100794617B1 KR 1020060030119 A KR1020060030119 A KR 1020060030119A KR 20060030119 A KR20060030119 A KR 20060030119A KR 100794617 B1 KR100794617 B1 KR 100794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ncrete
concrete placing
pres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0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9125A (ko
Inventor
송유섭
Original Assignee
송유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유섭 filed Critical 송유섭
Priority to KR1020060030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617B1/ko
Publication of KR2007009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위에 설치하는 철근 중 상부 철근에 설치하는 기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10-2005-0133613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위 선행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지시하는 표지의 크기가 작아 거기에 콘크리트가 묻을 경우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표지를 넓은 판체로 형성시킴으로서 관찰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판체에 구멍을 형성시켜 타설이 끝나면 콘크리트가 표지를 매몰시키게 하여 바닥으로 표지가 노출되는 양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하고, 나아가 막대를 길게 형성시키고 표지의 암나사부 상부를 개방시켜 막대 상부가 표지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표지 식별을 위한 안내구 역할을 할 수 있게 한 것임.

Description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Concrete placing leveler}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실시예의 분리 단면도
도 3 은 표지(5)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끼움부
2 : 표시부
21 : 나사막대
22 : 암나사부
23 : 충격흡수부
5 : 표지
51 : 구멍
52 : 돌출부
본 발명은 거푸집위에 설치하는 철근 중 상부 철근에 설치하는 기준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자의 선출원인 특허출원 제10-2005-0133613호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위 선행 발명은 콘크리트의 타설 높이를 지시하는 표지의 크기가 작아 거기에 콘크리트가 묻을 경우 식별이 용이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그렇다고 이러한 기준기의 표지부를 넓게 형성시키면 잘 보이기는 할지라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후 콘크리트 바닥면 곳곳에 넓은 표지가 보이게 되는 중대한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발명은 표지를 넓은 판체로 형성시킴으로서 관찰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판체에 많은 구멍을 형성시키고, 또, 판체에 돌출턱을 형성시킴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구멍을 통하여 콘크리트가 올라와 돌출턱 이하의 판체부를 매몰시킴으로서 타설된 바닥면에 설치되는 표지부가 숨겨지게 하며, 나아가 막대를 길게 형성시키고 표지의 암나사부 상부를 개방시켜 막대 상부가 표지 상부로 돌출되게 하여, 이러한 막대 상부가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표지 식별을 위한 안내구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면서도,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면 발로 차서 부러뜨림으로서 이러한 표지부가 보이지 아니하게 한 것인 바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 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철근에 끼워 몸체를 고정되게 하는 끼움부(1)와 끼움부(2)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2)로 구성되고, 끼움부(1)가 자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움부(1)에 회동방지부(3)를 설치하고, 표시부(2)에 평탄작업시 고무래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충격흡수부(4)를 형성시키며, 표시부(2)가 나사막대(21)와 이에 결합되는 암나사부(22)를 가지는 표지(5)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표지부(2)의 나사막대(21)의 길이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보다 2-5cm 길게 형성시키고, 표지(5)의 암나사부(22)를 상측으로 개방시켜 나사막대(21)를 암나사부(22)에 끼우면 나사막대(21)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고, 표지(5)에 다수의 구멍(51)을 형성시키고, 그 상면에 돌출부(52)를 형성시킴으로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콘크리트가 구멍을 타고 올라와 돌출부(52) 상면 이하 부위를 매몰시키게 하여, 콘크리트의 타설 이후에는 표지(5)의 대부분이 매몰되게 한다.
표지(5)에 구멍을 형성시킴에 있어서는 그 구멍(51)을,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색도형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형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지(5)의 크 기를 크게 형성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표지(5)의 상부로 막대(21)가 돌출되어 표지(5)의 식별을 극히 편리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표지를 크게 형성시키고 막대(21) 상단을 돌출시키더라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난 후에는 표지(5)를 이루는 부위 대부분을 매몰시키고, 막대(21) 상단은 이를 부러뜨림으로서, 콘크리트 양생이 끝나고 난 후의 콘크리트 바닥에 표지(5) 부위가 눈에 띄는 양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철근에 끼워 몸체를 고정되게 하는 끼움부와, 끼움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높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로 구성되고, 끼움부가 자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끼움부에 회동방지부를 설치하고, 표시부에 충격흡수부를 형성시키며, 표시부가 나사막대와 이에 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가지는 표지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표지에 구멍을 형성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2. 제1항에 있어서, 표지는 그 상면에 돌출부를 형성시켜서 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3. 제1항에 있어서, 표지부의 나사막대의 길이를 콘크리트 타설 높이보다 2-5cm 길게 형성시키고, 표지의 암나사부를 상측으로 개방시켜 나사막대를 암나사부에 끼우면 나사막대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20060030119A 2006-04-03 2006-04-03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100794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19A KR100794617B1 (ko) 2006-04-03 2006-04-03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0119A KR100794617B1 (ko) 2006-04-03 2006-04-03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8930U Division KR200419902Y1 (ko) 2006-04-04 2006-04-04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125A KR20070099125A (ko) 2007-10-09
KR100794617B1 true KR100794617B1 (ko) 2008-01-15

Family

ID=3880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0119A KR100794617B1 (ko) 2006-04-03 2006-04-03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6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67B1 (ko) * 2008-03-21 2010-08-18 이현 앙카용 지지부재
KR20190002319U (ko) 2018-03-09 2019-09-18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3416B2 (ja) * 2013-08-05 2016-03-15 株式会社国元商会 天端ポインター取付け金具
US11332936B1 (en) 2019-11-12 2022-05-17 Newtonoid Technologies, L.L.C. Rebar support chai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1162U (ja) 1983-05-21 1984-12-03 大関 弘幸 レベル用治具
JP2001124290A (ja) * 1999-10-28 2001-05-11 Takata Corp 座板の設置構造および座板設置床構造の施工方法
KR200410794Y1 (ko) * 2005-12-30 2006-03-08 송유섭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1162U (ja) 1983-05-21 1984-12-03 大関 弘幸 レベル用治具
JP2001124290A (ja) * 1999-10-28 2001-05-11 Takata Corp 座板の設置構造および座板設置床構造の施工方法
KR200410794Y1 (ko) * 2005-12-30 2006-03-08 송유섭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767B1 (ko) * 2008-03-21 2010-08-18 이현 앙카용 지지부재
KR20190002319U (ko) 2018-03-09 2019-09-18 박서연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125A (ko) 2007-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617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US2886370A (en) Re-usable hoisting insert for concrete slab
KR101789320B1 (ko) 콘크리트 타설 이동 칸막이폼
KR100833841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WO2005111332A3 (en) A load plate and method of casting adjacent slabs of concrete
CN109610341A (zh) 一种薄壁空心墩墩顶实心段施工方法
KR200419902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JP2009046849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天端定規
KR200410794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JP4928411B2 (ja) 天端ポイント
KR20200120392A (ko) 프레타이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KR20180116058A (ko) 콘크리트 타설용 높이 표시기구
AU2015101587A4 (en) A Mould for a Skimmer Box Lid
KR20150071124A (ko) 콘크리트 벽체 모서리 시공용 성형바
KR200431038Y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200445586Y1 (ko) 콘크리트 타설용 레벨 스페이서
JP7149571B2 (ja) レベル表示具、調節補助具及び調節具
KR200418865Y1 (ko)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KR101220220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의 높이 표시 막대
CN204940349U (zh) 一种可倒灌井盖
CN208280596U (zh) 一种楼板上孔洞预埋装置
KR200282362Y1 (ko) 이탈방지용 스페이서
CN206248184U (zh) 一种无盖板式汽车衡
KR20110053142A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KR200408120Y1 (ko) 콘크리트 타설시 건축물의 바닥 수평 표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