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506B1 -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 Google Patents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506B1
KR100794506B1 KR1020060070642A KR20060070642A KR100794506B1 KR 100794506 B1 KR100794506 B1 KR 100794506B1 KR 1020060070642 A KR1020060070642 A KR 1020060070642A KR 20060070642 A KR20060070642 A KR 20060070642A KR 100794506 B1 KR100794506 B1 KR 100794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rounding
mold
assembled
paper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유
Original Assignee
티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제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티제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having several plungers moving in a closed path and cooperating with stationary folding die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명칭]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內壁
Figure 112006505999838-pat00008
) 접지용 금형구조
[구성] 접지기계의 상하이동 바(bar)에 조립되는 연결체(100)와 고정사나(101)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조립구멍(13)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조립구멍(13)의 좌우로는 고정쇠(40)의 대칭형 돌출턱(41)이 조립되는 삽입단(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12)의 하방으로는 탄력누름발(20)이 조립되는 절개틈새(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틈새(11)의 각 좌우에는 고정쇠(40)를 고정나사(50)로 조립시키기 위한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에 조립되는 탄력누름발(20)이 상기 금형 몸체(10)와 함께 하강할 때 이중벽 종이상자의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를 탄력 있게 누른 채 베이스 금형(5)의 안쪽으로 하강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임.
이중벽 종이상자, 접지기계

Description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Folding Device for Double Wall Paper Box}
도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이중벽 종이상자 접지기계를 도시한 참고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횡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6a, 6b, 6c, 6d는 본 발명을 이용하여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를 접지하는 요령을 나타낸 공정도.
도7a, 7b, 7c, 7d는 이중벽 종이상자의 전개에서 완성까지의 형태변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본 발명은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內壁
Figure 112006505999838-pat00009
) 접지용 금형구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접지용 금형구조에서 비롯되었던 불량발생과 기계장치의 트러블 등 을 해결한 특징을 가진다.
이중벽 종이상자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이나 압력으로부터 내용물을 더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특징이 있어 파손이 되기 쉬운 상품이나 비교적 고가의 상품을 담아서 판매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는 도7a, 7b, 7c, 7d와 같이 바닥체(1)와 길이방향 내벽체(1a) 및 폭방향 내벽체(2)로 전개되어 있는 상태에서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가 서로 직각을 유지한 채 끼워 물려서 결국 도7d와 같은 완성품이 제작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이중벽 종이상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거나 유사한 접지기계를 통해 제작이 되는데, 그 제작공정을 살피면 도6a, 6b, 6c, 6d와 같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살피면, 베이스 금형(5)의 위에 도6a와 같은 상태로 전개된 이중벽 종이상자를 올려놓고 접지기계를 작동시키면 도6b와 같이 먼저 길이방향 내벽체(1a)를 접지시키기 위한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A)가 하강하게 되는데, 도6b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A)는 탄력누름발(20)이 상기 내벽체(1a)의 하방 부분을 탄력 있게 누른 채 하강하고 이에 연하여 도7c와 같이 베이스 금형(5) 안으로 최대로 하강을 한 상태에서도 상기 탄력누름발(20)은 상기 내벽체(1a)의 하방 부분을 베이스 금형(5) 쪽으로 누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폭방향 내벽체(2)를 접지시키기 위한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가 하강하면서 폭방향 내벽체(2)를 상술한 설명과 동일한 요령으로 접지시켜 길이방향 내벽체(1a)와 직각을 이루면서 단부끼리 끼워 물려지도록 한다. 이어서 즉시 길이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A)와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 형 어셈브리(10a)는 도6d와 같이 동시에 상승을 하게 되고 이때 탄력누름발(20)에 의해 눌려져 있던 길이방향 내벽체(1a)의 하방부분과 폭방향 내벽체(2)의 하방부분은 순간적으로 벌어지면서 도6d와 같이 외부 벽체와 평행을 이루게 되고 이로써 서로 안정되게 끼워져 물리게 되어 도7d와 같이 완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접지기계의 길이방향 내벽체(1a) 접지용 금형과 폭방향 내벽체(2) 접지용 금형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서 탄력누름발(20) 구성이 없이 단순히 한몸으로 된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 즉, 본 발명의 도2에서 탄력누름발(20)과 탄발스프링(30) 그리고 고정쇠(40) 구성이 없이 단순히 직사각 형태만을 띠고 있는 금형 몸체만이 하강하여 도6a, 6b, 6c, 6d와 같은 공정을 수행토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접지용 금형이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를 도6b, 6c와 같이 베이스 금형(5) 안으로 하강시킬 때 본 발명과 같이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의 하방 부분을 탄력 있게 눌러주지 못하기 때문에, 자체 두께가 두꺼워서 복원하려고 하는 힘이 비교적 세게 작용하고 있는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의 하방 부분이 벌어지기 때문에 각 상자를 구성하기 위한 내벽체끼리의 결합부분이 순조롭게 끼워져 물리지 못하고 찌그러지거나 풀려버리는 등의 불량이 발생되는 예가 속출하게 되었고 이는 접지기계의 가치를 하락시킴과 아울러 사용자는 손해를 입게 되는 문제를 야기 시키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내벽체 접지금형에서 비롯되었던 문제를 해결한 접지금형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 그 과제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대향하는 길이방향 내벽체(1a) 및 대향하는 폭방향 내벽체(2)를 가지는 바닥체(1)를 접지기계의 베이스 금형(5) 위에 위치시킨 후 하강하여 이중벽 종이상자를 제작하는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접지기계의 상하이동 바(bar)에 조립되는 연결체(100)와 고정사나(101)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조립구멍(13)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조립구멍(13)의 좌우로는 고정쇠(40)의 대칭형 돌출턱(41)이 조립되는 삽입단(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12)의 하방으로는 탄력누름발(20)이 조립되는 절개틈새(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틈새(11)의 각 좌우에는 고정쇠(40)를 고정나사(50)로 조립시키기 위한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와; 상기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의 삽입단(12)에 삽입되며 탄력누름발(20)과 탄발스프링(30)을 동시에 조립시키기 위한 핀(45)이 관통하는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41)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의 나사구멍(14)에 조립되는 고정나사(50)가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는 하방돌출부(43)를 가지는 2개 1조의 고정쇠(40)와; 상기 고정쇠(40)의 돌출턱(41) 안쪽으로 삽입되어 핀(45)에 의해 힌지식으로 조립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부(23)가 상측 좌우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3)의 사이에는 탄발스프링(30)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틈새(24)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23)와 연하여 하방으로 예각을 유지한 채 절곡되는 하방절곡부(21)의 끝에는 상기 금형 몸체(10)의 배면에 걸 려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상기 금형 몸체(10)와 함께 하강할 때 이중벽 종이상자의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를 탄력 있게 누른 채 베이스 금형(5)의 안쪽으로 하강시키는 2개 1조의 탄력누름발(20)과; 상기 고정쇠(40)와 탄력누름발(20)사이에 조립된 채 탄력누름발(20)의 하방 부분이 항상 상기 금형 몸체(10)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전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발스프링(30)을 포함하여 조립구성된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內壁
Figure 112006505999838-pat00010
) 접지용 금형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이중벽 종이상자 접지기를 표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이해할 수 있다. 이어서 도2는 본 발명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인데, 이는 도1과 같이 접지기에 4개 1세트로 조립되어 길이방향 내벽체(1a)는 물론 폭방향 내벽체(2)를 불량 없이 정상적으로 접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1에서 앞쪽의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는 도법 상 생략되기 때문에 도시되지 않았고 뒤쪽으로 보이는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 만이 도시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는 도1에 표현한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의 구조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도1을 기준하여 보면 도2의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는 길이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에 해당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는 도1과 같이 접지기의 구동 부에 조립된 상하이동 바(bar)의 하방에 조립되고 동시에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5와 같이 연결체(100)가 고정나사(101)를 통해 조립이 되어 있어서 종이상자의 사이즈별로 본 발명의 금형 몸체(10)를 간단히 교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가 도7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도6a와 같이 베이스 금형(5)의 위로 위치토록 하는 것은 접지기에 있어서 공지의 기술이므로 베이스 금형(5) 및 그 조립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히 도시하지 않았다.
다시 도6a의 상태에서 도2, 3, 4,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길이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A)가 도6b와 같이 좌우에서 동시에 하강을 하게 되는데, 이때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에 조립된 탄력누름발(20)의 돌출된 부분이 길이방향 내벽체(1a)의 하방 부분(벌어진 부분)을 탄력 있게 눌러서 벌어진 부분이 없도록 한 상태를 유지시키고 연이어 도7c와 같이 완전히 베이스 금형(5) 안으로 하강한 상태에서도 탄력누름발(20)은 길이방향 내벽체(1a)의 하방 부분이 벌어지지 않도록 눌러주고 있다. 도7c의 상태에서는 탄력누름발(20)은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의 절개틈새(11) 안으로 밀려서 들어가 있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가 도6b, 6c와 동일한 요령에 따라 하강하여 폭방향 내벽체(2)를 접지시키게 되고 연이어 길이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A)와 함께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는 동시에 상승을 하게 된다. 한편, 길이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A)와 함께 폭방향 내벽체 접지용 금형 어셈브리(10a)가 동시에 상승을 하기 전의 상태는 도6c의 상태이며, 이때 길이방향 내벽체(1a)의 하방부분과 폭방향 내벽체(2)의 하방 부분은 도6c와 같이 탄력누름발(20)의 누르는 힘에 의해 눌려져 있게 되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금형 어셈브리(10a)(A)가 동시에 상승을 하게 될 때 탄력누름발(20)은 누름압력을 가한 채 상승을 하기 때문에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는 자체적으로 복귀하려는 탄성작용에 더하여 탄력누름발(20)의 누르는 힘에 의해 도6d와 같이 하방 부분이 외벽체와 평행하게 되도록 펼쳐지게 되고 이로써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 끼리의 조립단부는 안정되게 불량이 없이 조립이 되어 완성이 되는데, 종래의 금형 어셈브리는 본 발명의 금형 어셈브리와 같이 탄력누름발(20) 기술이 적용되어 있지 않아서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의 하방 부분이 베이스 금형(5) 안에서 접지될 때 본 발명의 실시에서와 같이 외벽체 쪽으로 밀려서 이동하지 못하고 도6d의 상태와 같이 외벽체와 평행한 상태만을 유지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금형 어셈브리들이 상승을 함과 거의 동시에 즉시 벌어져서 서로 잘 끼워져 물리지 못하고 벌어지거나 찌그러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에 탄력누름발(20)을 구성시켜 베이스 금형(5) 안으로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 그리고 사방의 외벽체를 동시에 하강시켜 접지시키고 다시 상승을 할 때까지 길이방향 내벽체(1a)들과 폭방향 내벽체(2)들의 하방 부분을 외벽체 쪽으로 눌러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에 탄력 누름발(20)을 구성시켜 베이스 금형(5) 안으로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 그리고 사방의 외벽체를 동시에 하강시켜 접지시키고 다시 상승을 할 때까지 길이방향 내벽체(1a)들과 폭방향 내벽체(2)들의 하방 부분을 외벽체 쪽으로 눌러서 벌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서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고, 이에 따라 불량 발생률 제로와 최상의 종이상자를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1)

  1. 대향하는 길이방향 내벽체(1a) 및 대향하는 폭방향 내벽체(2)를 가지는 바닥체(1)를 접지기계의 베이스 금형(5) 위에 위치시킨 후 하강하여 이중벽 종이상자를 제작하는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에 있어서,
    접지기계의 상하이동 바(bar)에 조립되는 연결체(100)와 고정사나(101)를 통해 고정시킬 수 있는 나사조립구멍(13)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나사조립구멍(13)의 좌우로는 고정쇠(40)의 대칭형 돌출턱(41)이 조립되는 삽입단(12)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단(12)의 하방으로는 탄력누름발(20)이 조립되는 절개틈새(11)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틈새(11)의 각 좌우에는 고정쇠(40)를 고정나사(50)로 조립시키기 위한 나사구멍(14)이 형성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태의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와;
    상기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의 삽입단(12)에 삽입되며 탄력누름발(20)과 탄발스프링(30)을 동시에 조립시키기 위한 핀(45)이 관통하는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는 돌출턱(41)이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벽체 접지용 금형 몸체(10)의 나사구멍(14)에 조립되는 고정나사(50)가 관통하는 구멍(44)이 형성되어 있는 하방돌출부(43)를 가지는 2개 1조의 고정쇠(40)와;
    상기 고정쇠(40)의 돌출턱(41) 안쪽으로 삽입되어 핀(45)에 의해 힌지식으로 조립되도륵 하기 위한 힌지부(23)가 상측 좌우에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23)의 사이에는 탄발스프링(30)이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틈새(24)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 (23)와 연하여 하방으로 예각을 유지한 채 절곡되는 하방절곡부(21)의 끝에는 상기 금형 몸체(10)의 배면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하지 못하도록 하는 걸림턱(22)이 형성되어 상기 금형 몸체(10)와 함께 하강할 때 이중벽 종이상자의 길이방향 내벽체(1a)와 폭방향 내벽체(2)를 탄력 있게 누른 채 베이스 금형(5)의 안쪽으로 하강시키는 2개 1조의 탄력누름발(20)과;
    상기 고정쇠(40)와 탄력누름발(20) 사이에 조립된 채 탄력누름발(20)의 하방부분이 항상 상기 금형 몸체(10)의 전방으로 노출되어 전진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탄발스프링(30)을 포함하여 조립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內壁
    Figure 112006505999838-pat00011
    ) 접지용 금형구조.
KR1020060070642A 2006-07-25 2006-07-25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KR100794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42A KR100794506B1 (ko) 2006-07-25 2006-07-25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0642A KR100794506B1 (ko) 2006-07-25 2006-07-25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506B1 true KR100794506B1 (ko) 2008-01-16

Family

ID=39218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0642A KR100794506B1 (ko) 2006-07-25 2006-07-25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4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11B1 (ko) 2010-05-24 2012-06-21 주식회사 나다이노베이션 성형용 금형 및 이를 갖는 성형 시스템
CN105856627A (zh) * 2016-05-20 2016-08-17 东莞市龙行胜纸品科技有限公司 带有可拆分软体工作面的纸盒内面纸折入模具
CN113635597A (zh) * 2021-08-14 2021-11-12 湖州德清永桦包装有限公司 全自动纸盒成型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657A (ja) * 1992-09-04 1994-04-19 Futagami Tekkosho:Kk テーパ函製函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657A (ja) * 1992-09-04 1994-04-19 Futagami Tekkosho:Kk テーパ函製函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511B1 (ko) 2010-05-24 2012-06-21 주식회사 나다이노베이션 성형용 금형 및 이를 갖는 성형 시스템
CN105856627A (zh) * 2016-05-20 2016-08-17 东莞市龙行胜纸品科技有限公司 带有可拆分软体工作面的纸盒内面纸折入模具
CN113635597A (zh) * 2021-08-14 2021-11-12 湖州德清永桦包装有限公司 全自动纸盒成型机
CN113635597B (zh) * 2021-08-14 2023-12-29 湖州德清永桦包装有限公司 全自动纸盒成型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506B1 (ko) 이중벽 종이상자의 사방 내벽체 접지용 금형구조
JP6430126B2 (ja) 折り畳みシートの製函方法及びその装置
JP6370506B1 (ja) 留め具
JP2003346957A (ja) 端子金具
US710025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door hinge pins
TW201834340A (zh) 連接器移除工具
US20070259543A1 (en) Pressure device for test socket
CN105789943A (zh) 电联接端子结构
KR102084429B1 (ko) 버튼을 누르면 책이 나오는 책꽂이
US7549520B1 (en) Spring structure of a multi-joint luggage pull-rod
CN108547525B (zh) 助力开门装置和具有其的冰箱
JP5671490B2 (ja) 包装用箱
US7789290B2 (en) Portfolio
CN204992062U (zh) 插座
CN104470383A (zh) 用于填塞香烟套管的装置
CN104466526A (zh) 一种插座
US2559847A (en) Grommet inserting mechanism
JP2021086811A (ja) 電気部品用ソケット
JP3393040B2 (ja) プラグ
CN207906748U (zh) 摄影支架中杆体一与杆体二的连接机构
US2733893A (en) Segal
JP2010123328A (ja) ヒューズプラー
CN212887424U (zh) 一种芯片起拔器
CN211766489U (zh) 一种建筑材料的捆扎装置
CN215410170U (zh) 一种消防灭火机器人用的密封条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