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14B1 -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 Google Patents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14B1
KR100793714B1 KR1020060121973A KR20060121973A KR100793714B1 KR 100793714 B1 KR100793714 B1 KR 100793714B1 KR 1020060121973 A KR1020060121973 A KR 1020060121973A KR 20060121973 A KR20060121973 A KR 20060121973A KR 100793714 B1 KR100793714 B1 KR 10079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minutes
var
prepared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19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경
Original Assignee
박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경 filed Critical 박순경
Priority to KR1020060121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수는 섬백리향과 차조기 성분이 천연방부제 및 천연향료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합성방부제나 향료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보존성이 우수하고 향기가 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수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의 성분이 항균, 항염 작용을 하므로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화장수, 아토피성 피부염,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

Description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Skin lotion with plant extract}
본 발명은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으로부터 추출한 천연 식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에 관한 것이다.
식물 추출물은 각종 비타민과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들을 함유하여 항균, 항염, 미백 등의 효과를 나타내므로 화장품의 원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아토피성 피부염이나 여드름과 같은 질환이 있는 피부에 사용하는 화장품의 경우, 피부 자극의 원인이 되는 인공합성물질의 사용을 최대한 배제하고,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가 우수한 천연성분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다.
천연 식물성분을 함유하는 화장품과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011584호 아토피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감초, 창이자, 홍화, 돈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토피성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한방 조성물을 제공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3659호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고삼, 백급, 지모, 소엽백문동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부 제특2002-0061963호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에 서는 청자소엽, 자소엽의 물 추출물과 소금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였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특2002-0044266호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맥문동, 건강, 계피, 당귀, 상기생, 상백피, 깻잎, 천문동, 계지, 오미자, 오가피, 복분자, 백작약, 숙지황, 감국, 천궁, 백하수오, 두충, 목통, 독활, 백출, 택사, 백복령, 의이인, 홍화자, 포공영, 산조인, 우슬, 산수유, 차전차, 소엽, 황기, 형개, 애엽, 익모초, 알로에베라 및 음양곽의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였다.
상기의 방법들을 이용하여 제조한 화장품은 자극이 적으면서도 항균, 항염의 효과를 갖는 성분들로 이루어져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역할은 할 수 있으나, 기능만을 지나치게 강조한 나머지 화장품의 향이나 보존성과 같은 부수적인 부분은 제대로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화장품을 선택함에 있어서 향이나 질감 등은 기능 못지 않게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선택의 기준이므로, 실제로 제품화하기 위해서는 화장품의 기능은 물론이고 향이나 질감, 보존성 등의 부수적인 면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부자극의 원인이 되는 합성향료나 합성보존제의 사용을 배제하고, 항염, 항균작용과 함께 천연 향료 및 천연 방부제의 역할을 하는 성분으로 이루어져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를 지닌 화장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화장수에 관한 것으로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 성분을 함유한다.
쇠뜨기(horsetail)는 양치류 속새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땅속줄기가 길게 뻗는 식물이다. 규산이 많이 함유되어 3-16%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방 및 민간에서는 뿌리까지 모두 채취하여 약으로 사용한다. 성질은 차고 맛은 쓴 특징이 있으며, 이뇨효과 및 상처나 알레르기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선한 쇠뜨기를 사용하거나 여름에 전초(全草)를 채취하여 그늘에서 말린 후 잘게 썰어 보관한 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끓인 직후의 뜨거운 물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쇠뜨기 10-15g을 넣고 5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거른 추출액을 사용한다.
환삼덩굴은 삼과의 덩굴성 풀로 율초라고도 부른다. 환삼덩굴에는 어혈을 없애고 혈압을 낮추며 독성을 제거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한방에서는 열매는 고미건위제(苦味健胃劑), 전초는 이뇨제(利尿劑) 등으로 처방하며, 줄기는 섬유의 원료로 사용된다. 또한, 환삼덩굴은 약리실험을 통해 그램양성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름과 가을 사이에 전초를 채취하고 햇볕에 말려 보관하였다가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환삼덩굴 10-15g을 넣고 3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거른 추출액을 사용한다.
차조기는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소엽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차조기는 특유 의 향기와 단맛, 색과 함께 방부효과까지 지니고 있으므로 식품에 첨가하는 향미료로 이용된다. 또한, 차조기는 염증을 가라앉히고 혈액순환을 좋게 할 뿐 아니라, 진통작용, 식용증진작용, 정신안정작용, 이뇨작용, 해독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한방에서는 약재로 사용한다. 차조기는 신선한 풀을 사용하거나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고 그늘에서 말려 보관하였다가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차조기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거른 추출액을 사용한다.
섬백리향은 꿀풀과의 식물로 꽃과 전초에는 Thymol, p-Cymenepinene, Linaool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특유의 아름다운 향기를 내며, 한방 및 민간에서는 기관지염, 백일해 등에 거담제로 사용하고, 위통, 류마티스, 치통 등에 진통제로도 사용한다. 또한 섬백리향은 소염작용, 살균작용, 방부작용 및 진정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선한 풀을 사용하거나 6-7월에 전초를 채취하고 그늘에 말려 보관한 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에탄올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섬백리향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거른 추출액을 사용한다.
상기에서 용매의 양과 시간은 천연식물성분을 충분한 농도로 추출하기에 적합한 용매의 양과 시간으로, 용매의 양이 적거나 추출시간이 짧으면 천연식물성분이 제대로 추출되지 못하며, 추출시간이 길어도 추출양은 늘지 않고 대량의 용매를 사용하면 추출성분의 농도가 낮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한 식물추출성분들은 찬물에서는 용출되지 않으므로, 쇠뜨기의 경우 뜨거운 물을 이용하여 추출하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은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여 뜨 거운 물에 의해 향이 손실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화장수는 쇠뜨기 추출액 100에 대하여, 부피비 40-50의 환삼덩굴 추출액, 부피비 40-50의 차조기 추출액, 부피비 10-15의 섬백리향 추출액, 부피비 40-50의 글리세린을 혼합하여 제조한다.
상기에서 물용매 추출액의 양이 많으면 사용 시 청량감이 떨어지고 에탄올용매 추출액의 양이 많으면 피부가 건조해지며, 섬백리향 추출액은 다량 첨가하면 향이 너무 강할 수 있으므로, 상기 비율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세린은 보습력을 더하기 위해 첨가하는데, 글리세린을 지나치게 많이 첨가할 경우 점성으로 인하여 질감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쇠뜨기 추출액 100에 대하여 부피비 40-50의 글리세린을 혼합한다.
[실시예]
[실시단계 1] 재료의 준비
갓 끓인 물 100ml에 건조된 쇠뜨기 12g을 넣고 5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쇠뜨기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100ml에 건조된 환삼덩굴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환삼덩굴 추출액을 제조하고, 에탄올 100ml에 건조된 차조기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차조기 추출액을 제조하고, 에탄올 100ml에 건조된 섬백리향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섬백리향 추출액을 제 조하였다.
[실시단계 2] 화장수 제조
상기에서 제조한 쇠뜨기 추출액 70ml, 환삼덩굴 추출액 30ml, 차조기 추출액 30ml, 섬백리향 추출액 10mL와 글리세린 30ml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화장수는 황색의 반투명한 액체의 형태이다. 본 발명의 화장수는 섬백리향과 차조기 성분이 천연방부제 및 천연향료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합성방부제나 향료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보존성이 우수하고 향기가 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수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의 성분이 항균, 항염 작용을 하여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수는 섬백리향과 차조기 성분이 천연방부제 및 천연향료의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합성방부제나 향료를 첨가하지 않더라도 보존성이 우수하고 향기가 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수는 피부에 자극이 적고 쇠뜨기, 환삼덩굴, 차조기, 섬백리향의 성분이 항균, 항염 작용을 하므로 아토피성 피부염, 여드름과 같은 피부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쇠뜨기 추출액 100에 대하여, 부피비 40-50의 환삼덩굴 추출액, 부피비 40-50의 차조기 추출액, 부피비 10-15의 섬백리향 추출액, 부피비 40-50의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화장수.
  3. 제2항에 있어서, 쇠뜨기 추출액은 뜨거운 물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쇠뜨기 12g을 넣고 5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제조하고, 환삼덩굴 추출액은 에탄올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환삼덩굴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제조하며, 차조기 추출액은 에탄올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차조기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제조하고, 섬백리향 추출액은 에탄올 100ml에 대하여 건조된 섬백리향 10-15g을 넣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체로 걸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수.
KR1020060121973A 2006-12-05 2006-12-05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KR10079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73A KR100793714B1 (ko) 2006-12-05 2006-12-05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973A KR100793714B1 (ko) 2006-12-05 2006-12-05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714B1 true KR100793714B1 (ko) 2008-01-10

Family

ID=39217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973A KR100793714B1 (ko) 2006-12-05 2006-12-05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7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3439A (zh) * 2011-10-28 2013-05-08 刘维 一种由中药合成的蜂毒解毒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61963A (ko) * 2001-01-19 2002-07-25 학교법인 호서학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KR20040011584A (ko) * 2004-01-14 2004-02-05 장창호 아토피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513659B1 (ko) * 2003-08-01 2005-09-08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266A (ko) * 2000-12-05 2002-06-15 양봉철 복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61963A (ko) * 2001-01-19 2002-07-25 학교법인 호서학원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KR100513659B1 (ko) * 2003-08-01 2005-09-08 주식회사 에스티씨나라 식물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040011584A (ko) * 2004-01-14 2004-02-05 장창호 아토피 피부질환에 효과적인 한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3439A (zh) * 2011-10-28 2013-05-08 刘维 一种由中药合成的蜂毒解毒剂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284656B1 (ko)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765832B1 (ko) 항균성 에센셜 오일
CN104814908A (zh) 一种具有抗皱嫩肤功效的面膜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74778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73033B1 (ko) 마사지팩용 화장료 조성물
CN106727014A (zh) 一种野生藤婆茶提取物的复合物及其应用
KR20110110995A (ko) 초정 광천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KR20090060981A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KR20070068881A (ko) 천연 식물 소재를 이용한 염모제용 조성물
KR101009763B1 (ko) 한방 복합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용조성물
KR100793714B1 (ko) 식물추출성분을 함유하는 화장수
KR10171255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451720B1 (ko) 피부진정, 피지억제, 가려움 완화 또는 피부보습 효과를 갖는 황금, 로즈마리, 어성초, 사철쑥 및 카렌둘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복합 기능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045410B1 (ko) 올리브유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8320B1 (ko) 고보습 및 피부정화 효과를 갖는 포레스트 릴렉싱 스킨케어조성물
KR102095988B1 (ko) 식물 복합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용 보라색 화장료 조성물
CN106619308A (zh) 一种美白滋润组合物
KR10168486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 함유 목욕용제
KR102497510B1 (ko) 모발성장 및 탈모예방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