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711B1 - 저압주조기 - Google Patents

저압주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711B1
KR100793711B1 KR1020070066071A KR20070066071A KR100793711B1 KR 100793711 B1 KR100793711 B1 KR 100793711B1 KR 1020070066071 A KR1020070066071 A KR 1020070066071A KR 20070066071 A KR20070066071 A KR 20070066071A KR 100793711 B1 KR100793711 B1 KR 10079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lower mold
transfer
fixed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6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민
Original Assignee
(주)삼지콘트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지콘트롤 filed Critical (주)삼지콘트롤
Priority to KR102007006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4Low pressure casting, i.e. making use of pressures up to a few bars to fill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6Mechanisms or devices for locking or open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8/00Pressure casting; Vacuum casting
    • B22D18/08Controlling, supervising, e.g. for safety rea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1/00Casting non-ferrous metals or metallic compounds so far as their metallurgical properties are of importance for the casting procedure; Selection of compositions therefor
    • B22D21/02Casting exceedingly oxidisable non-ferrous metals, e.g. in inert atmosphere
    • B22D21/04Casting aluminium or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23/00Alloys based on magnes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압주조기에 관한 것으로, 용융물을 홀딩로를 통하여 스토크로 공급하도록 형성한 하부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부금형을 형성하고,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모서리부분에 하부티이바고정구를 형성한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금형에 양측으로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하부금형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형성한 하부금형고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티이바고정구에 고정티이바를 상부고정티이바로 고정지지 하도록 상부고정플레이트를 형성한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의 실린더고정부에 양측으로 이송가이드에 가이드 되도록 삽입되는 이송티이바를 형성한 이송실린더를 고정 형성하고, 이송티이바의 하부에 상부금형을 설치하며, 주조물을 취출하는 취출실린더를 상부에 구비한 이송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이송티이바의 상부에 이송실린더의 이송로드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한 상부금형부와, 상기 상부금형부의 이송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브라켓으로 랙기어가 구비된 랙을 결합 형성하고, 랙과 치차결합되는 피니언을 피니언고정구로 상부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 형성하며, 피니언의 일측으로 엔코더를 형성한 위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저압주조기, 하부금형, 상부금형, 위치감지부, 하부금형고정부

Description

저압주조기 {low pressure die casting machine}
본 발명은 저압주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압 주조법은 밀폐된 용탕 또는 도가니의 상부에 놓여진 금형 안에 용탕면을 공기 혹은 불활성가스에 의해 가압해서 중력과 반대방향에 홀딩로가 구비된 배출장치를 통해서 탕을 눌러올려 주탕하고, 금형을 채운 후 거기에 가압력을 올려 압탕 효과를 일정시간 유지하여 제품이 응고해 급탕관내 및 탕구에 접하는 부분이 미 응고의 시기에 압력을 개방하며, 제품을 빼냄과 함께 미 응고 부분이 유지로로 되돌아와서 주조가 끝난다. 한공정이 끝난 후에는 홀딩로의 탕면은 제품으로된 탕의 양만큼 저하한다. 다음의 주조 시에는 그에 상당하는 가압 조건에 보정이 가해진다.
상기와 같은 저압주조기의 가압력과 공정소요기간은 제품과 양산되는 금속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주로 알루미늄 주물의 제조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동합금, 마그네슘 합금, 저융점 합금에도 적용되고 있다. 주형으로써는 금형의 사용이 많은데 이 이외의 주형재료의 주형도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종래의 알루미늄 주물 및 저용융합금에 사용되는 저압주조기는 홀딩 로에서 용융된 용융금속을 금형의 내부에 저압으로 주입하여 성형하는 것으로, 하부금형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금형을 합형한 상태로 내부에 용융물이 주입됨에 따라 하부금형과 상부금형의 고정력이 저하되면 가압된 용융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저압주조기는 상부금형을 이송하여 하부금형과 합형되는 하부금형를 고정하도록 측부에 형성된 실린더의 로드 부분이 고온의 용융물이 가압 주입되는 하형과 접촉됨에 따라 열전달에 의한 로드의 가열로 인하여 실린더와 결합된 패킹부분에 변형이 발생하여 유압이 누출되거나, 고무재 패킹이 경화되어 로드의 손상으로 인해 잦은 교체와 보수가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저압주조기는 하부금형을 고정하는 실린더가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여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의 합형과 분리 시에 이송속도와 합형압력이 저하됨으로써, 합형된 금형 내부에 주입된 용융물이 누출되어 저압주조기에 손상을 가함에 따라 보수에 따른 막대한 비용의 손실이 발생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저압주조기는 상부금형을 이송하여 하부금형과 합형한 상태에서 홀딩로의 용융물을 가압 주입시켜 주조물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금형의 이송위치를 접촉되는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를 제어함에 따라 금형 교환 시에 접촉되는 센서 전체를 보정하여야 함에 따라 공정의 시간이 증대되고, 고온의 금형 생산에 따라 센서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저압주조기의 하부금형을 고정하는 고정실린더의 고정로드를 고온의 영향이 없도록 가이드바로 연결하여 외측으로 작동되도록 형성하고, 상부금형의 이송위치를 랙과 피니언으로 치차 결합된 위치감지부의 회전속도에 따라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고온의 영향이 적어 수명을 증대하고,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는 용융물을 홀딩로를 통하여 스토크로 공급하도록 형성한 하부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부금형을 형성하고,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모서리부분에 하부티이바고정구를 형성한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금형에 양측으로 가이드바로 가이드되면서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하부금형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형성한 하부금형고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티이바고정구에 고정티이바를 상부고정티이바로 고정지지 하도록 상부고정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부고정플레이트의 중앙으로 실린더고정부를 형성하며, 상부고정플레이트에 복수의 이송가이드를 형성한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의 실린더고정부에 양측으로 이송가이드에 가이드 되도록 삽입되는 이송티이바를 형성한 이송실린더를 고정 형성하고, 이송티이바의 하부에 상부금형 을 설치하며, 주조물을 취출하는 취출실린더를 상부에 구비한 이송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이송티이바의 상부에 이송실린더의 이송로드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한 상부금형부와, 상기 상부금형부의 이송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브라켓으로 랙기어가 구비된 랙을 결합 형성하고, 랙과 치차결합되는 피니언을 피니언고정구로 상부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 형성하며, 피니언의 일측으로 피니언의 회전수로 이송플레이트에 설치된 상부금형의 위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형성한 위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금형고정부는 가이드부가 구비된 고정블럭을 형성하고, 고정블럭의 일측으로 가이드부에 삽입된 가이드바로 지지되어 하부금형을 고정하도록 형성한 고정브라켓의 타측으로 가이드바에 지지되는 이송브라켓을 형성하며, 고정블럭의 타측에 고정실린더를 형성하고, 고정실린더의 고정로드를 이송브라켓에 연결 형성하여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로드가 동작하면서 고정브라켓을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바로 지지하면서 이송하여 하부금형을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고정로드가 고정되는 하부금형과 이격되어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금형고정부의 고정실린더에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바에 감지구를 형성하고, 감지구와 접촉하면서 고정실린더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일측에 형성하여 고정실린더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는 저압주조기의 하부금형을 고정하는 고정실린더의 고정로드를 고온의 영향이 없도록 가이드바로 연결하여 외측으로 작동되도록 형성하고, 상부금형의 이송위치를 랙과 피니언으로 치차 결합된 위치감지부의 회전속도에 따라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고온의 영향이 적어 수명을 증대하고,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공정의 속도를 향상시킴에 따라 생산성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는 용융물을 스토크로 가압 공급하는 홀딩로가 하부에 형성된 하부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부금형의 양측으로 고정실린더를 설치한 고정블럭을 형성하고, 고정블럭의 양측으로 형성된 가이드부에 삽입 지지되는 가이드바의 일측으로 하부금형을 고정하는 고정블라켓을 형성하며, 가이드바의 타측으로 고정로드에 고정되어 고정실린더의 동작으로 이송되는 이송블라켓을 형성하여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열이 발생되는 하부금형을 간접적으로 고정 및 해제함에 따라 고온의 용융물이 주입되는 하부금형과 이격거리를 유지하여 열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 하여 변형과 파손을 방지함으로써, 수명을 증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는 하부금형의 양측으로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하부금형을 고정하는 하부금형고정부를 형성하되, 고정실린더는 이송바에 결합된 이송브라켓을 작동하여 고정브라켓으로 하부금형을 고정시킴으로써, 고온이 발생되는 하부금형을 간접작용으로 고정 및 해제함에 따라 열변형 없이 고정력을 일 정하게 유지하여 고정력 변화에 따른 용융물의 유출을 방지함에 따라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는 상부고정부에 고정된 이송실린더의 작동으로 이송티이바에 하부에 상부금형을 설치한 이송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이송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을 하강하도록 형성하고, 이송플레이트의 양측으로 결합브라켓으로 랙기어가 구비된 랙을 고정 설치하며, 상부고정부의 상부고정플레이트의 양측으로 피니언고정구로 고정된 피니언을 랙과 치차 결합하여 형성하고, 피니언의 일측으로 회전량에 따른 위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형성하여 이송플레이트의 설치된 상부금형을 하강시키면 랙이 하강하면서 치차결합된 피니언이 회전하고, 회전되는 회전량을 엔코더로 감지하여 상부금형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부금형의 상하강에 따른 위치를 기어의 회전비로 정확하게 감지함에 따라 주조작업을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는 상부금형의 이송을 랙과 피니언의 치차로 결합된 회전량을 엔코더의 감지에 의해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상부금형의 하강위치를 파악하여 상부금형의 합형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고속으로 하강하고, 상부금형의 합형위치에 도달하면 저속으로 진행하여 합형에 따른 충격량을 최소화 하면서 합형속도를 향상시켜 공정의 신속성을 증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에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100)는 용융물을 가압 공급하는 홀딩로(113)를 하부에 형성하여 하부금형(111)을 하부고정플레이트(112)에 설치한 하부금형부(110)와, 상기 하부금형부(110)의 하부금형(111) 양측으로 고정실린더(126)의 조작으로 하부금형(111)을 고정시키는 하부금형고정부(120)와, 상기 하부금형부(110)의 상부에 고정티이바(132)로 고정 지지하는 상부고정플레이트(131)를 형성한 상부고정부(130)와, 상기 상부고정부(130)에 고정되어 상부금형(141)을 상하로 이송하는 이송실린더(143)가 형성된 상부금형부(140)와, 상기 상부금형부(140)의 상부금형(141)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한 위치감지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하부금형부(110)는 용융물을 홀딩로(113)를 통하여 스토크(114)로 공급하도록 형성한 하부고정플레이트(112)의 상부에 하부금형(111)을 형성하고, 하부금형(111)의 외측으로 모서리부분에 하부티이바고정구(11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하부금형고정부(120)는 하부금형부(110)의 하부금형(111)에 양측으로 가이드바(124)로 가이드되면서 고정실린더(126)의 작동으로 하부금형(111)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123)을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하부금형고정부(120)는 가이드부(122)가 구비된 고정블럭(121)을 형성하고, 고정블럭(121)의 일측으로 가이드부(122)에 삽입된 가이드바(124)로 지지되어 하부금형(111)을 고정하도록 형성한 고정브라켓(123)의 타측으로 가이드바(124)에 지지되는 이송브라켓(125)을 형성하며, 고정블럭(121)의 타측에 고정실린더(126)를 형성하고, 고정실린더(126)의 고정로드를 이송브라켓(125)에 연결 형성하여 고정실린더(126)의 작동으로 고정로드(127)가 동작하면서 고정브라켓(123)을 가이드부(122)에서 가이드바(124)로 지지하면서 이송하여 하부금형(111)을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고정로드(127)가 고정되는 하부금형(111)과 이격되어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부금형고정부(120)의 고정실린더(126)에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바(124)에 감지구(128)를 형성하고, 감지구(128)와 접촉하면서 고정실린더(126)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29)를 일측에 형성하여 고정실린더(126)의 동작상태 를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부고정부(130)는 하부금형부(110)의 하부티이바고정구(115)에 고정티이바(132)를 상부고정티이바(132)로 고정지지 하도록 상부고정플레이트(131)를 형성하고, 상부고정플레이트(131)의 중앙으로 실린더고정부(135)를 형성하며, 상부고정플레이트(131)에 복수의 이송가이드(134)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상부금형부(140)는 상부고정부(130)의 실린더고정부(135)에 양측으로 이송가이드(134)에 가이드 되도록 삽입되는 이송티이바(146)를 형성한 이송실린더(143)를 고정 형성하고, 이송티이바(146)의 하부에 상부금형(141)을 설치하며, 주조물을 취출하는 취출실린더(147)를 상부에 구비한 이송플레이트(142)를 형성하고, 이송티이바(146)의 상부에 이송실린더(143)의 이송로드(144)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부플레이트(145)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위치감지부(150)는 상부금형부(140)의 이송플레이트(142)의 양측에 결합브라켓(151)으로 랙기어(153)가 구비된 랙(152)을 결합 형성하고, 랙(152)과 치차결합되는 피니언(154)을 피니언고정구(155)로 상부고정플레이트(131)의 양측에 고정 형성하며, 피니언(154)의 일측으로 피니언(154)의 회전수로 이송플레이트(142)에 설치된 상부금형(141)의 위치를 감지하는 엔코더(156)를 형성하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저압주조기에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금형부(110)의 홀딩로(113)에서 용융물을 공급하도록 스토크(114)의 상부에 하부금형(111)을 설치한 상태에서 하부금형(111)의 양측으로 고정블 럭(121)에 고정된 고정실린더(126)를 작동하여 고정브라켓(123)을 이송하여 하부금형(111)을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블럭(121)의 가이드부(122)에 삽입 가이드되는 가이드바(124)에 일측으로 하부금형(111)을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23)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이송브라켓(125)을 형성하며, 고정블럭(121)에 고정실린더(126)를 고정한 상태에서 고정로드(127)를 이송브라켓(125)에 연결 형성하여 고정실린더(126)를 작동하면 가이드바(124)로 가이드되면서 이송브라켓(125)을 이송하면 가이드바(124)로 연결된 고정브라켓(123)이 이송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고열을 발생시키는 하부금형(111)을 고정하도록 작동되는 고정로드(127)가 하부금형(111)과 이격되어 이송브라켓(125)을 작동으로 가이드바(124)에 결합된 하부금형(111)과 접촉되어 고정하는 고정브라켓(123)을 이송 작동시킴에 따라 고열의 영향을 최소화함에 따라 열변형에 의한 파손을 최소화 하여 수명을 증대시키고, 고정력을 유지하여 합형압력을 유지함으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이렇게, 하부고정플레이트(112)에 설치된 하부금형(111)을 하부금형고정부(120)의 고정실린더(126)의 작동으로 고정시키면 가이드바(124)에 일측에 형성된 감지구(128)가 감지센서(129)를 작동시켜 고정을 확인한 상태로 상부고정부(130)의 상부고정플레이트(131)에 실린더고정부(135)에 고정된 상부금형부(140)의 이송실린더(143)를 작동시키면 이송로드(144)의 결합된 이송플레이트(142)를 하강시켜 이송플레이트(142)에 결합된 이송티이바(146)를 하강하고, 이송티이바(146)의 하부에 상부금형(141)이 설치된 이송플레이트(142)가 하강한다.
이때, 이송플레이트(142)의 양측으로 위치감지부(150)의 결합브라켓(151)으로 랙기어(153)를 구비한 랙(152)을 형성하고 상부고정플레이트(131)의 양측에 피니언고정구(155)로 고정된 피니언(154)과 랙(152)을 치차결합한 상태로 하강하면 랙(152)이 하강하면서 치차 결합된 피니언(154)이 회전되고 회전되는 피니언(154)의 일측에 형성된 엔코더(156)로 회전수에 따른 위치변화를 감지하여 상부금형(141)의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한다.
상기와 같이, 이송실린더(143)의 작동에 의해 상부금형(141)이 하강하면 위치감지부(150)에서 위치를 감지하여 하부금형(111)에 합형되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고속으로 하강하고, 합형위치에 상부금형(141)이 도달하면 저속으로 하강하여 이송플레이트(142)에 설치된 상부금형(141)을 하부금형(111)에 합형시킨다.
이렇게, 상부금형(141)을 하부금형(111)에 가압하여 합형한 상태로 홀딩로(113)를 작동시켜 가압된 용융물을 스토크(114)를 통하여 공급하면 합형된 금형의 내부에 용융물을 주입한 상태에서 성형되고, 성형을 마치면 하부금형고정부(120)의 고정실린더(126)를 작동하여 하부금형(111)의 고정을 해제하여 감지센서(129)로 해제를 확인한 상태로 이송실린더(143)를 작동시켜 상부금형(141)을 취출위치로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이, 상부금형(141)을 취출위치로 상승시킨 상태에서 취출실린더(147)를 작동하여 주조물을 취출하고, 이송실린더(143)로 상부금형(141)을 원위치하는 작업 반복하여 주조물을 생산한다.
따라서, 하부금형(111)의 양측으로 형성된 하부금형고정부(120)에 고정로드 (127)를 양측으로 가이드바(124)가 설치된 이송브라켓(125)의 작동으로 고정 브라켓(123)을 구동하여 하부금형(111)을 고정하는 것으로, 하부금형(111)의 고정 시에 고정로드(127)가 간접 작동시켜 열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고, 상부금형부(140)의 양측으로 위치를 치차 결합된 랙(152)과 피니언(154)의 회전량에 따른 위치를 엔코더(156)로 감지하는 것으로 정확한 위치를 감지하여 이송효율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저압주조기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저압주조기 110 : 하부금형부
111 : 하부금형 112 : 하부고정플레이트
113 : 홀딩로 114 : 스토크
115 : 하부티이바고정구 120 : 하부금형고정부
121 : 고정블럭 122 : 가이드부
123 : 고정브라켓 124 : 가이드바
125 : 이송브라켓 126 : 고정실린더
127 : 고정로드 128 : 감지구
129 : 감지센서 130 : 상부고정부
131 : 상부고정플레이트 132 : 고정티이바
133 : 상부티이바고정구 134 : 이송가이드
135 : 실린더고정부 140 : 상부금형부
141 : 상부금형 142 : 이송플레이트
143 : 이송실린더 144 : 이송로드
145 : 상부플레이트 146 : 이송티이바
147 : 취출실린더 150 : 위치감지부
151 : 결합브라켓 152 : 랙
153 : 랙기어 154 : 피니언
155 : 피니언고정구 156 : 엔코더

Claims (3)

  1. 용융물을 홀딩로를 통하여 스토크로 공급하도록 형성한 하부고정플레이트의 상부에 하부금형을 형성하고, 하부금형의 외측으로 모서리부분에 하부티이바고정구를 형성한 하부금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금형에 양측으로 가이드바로 가이드되면서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하부금형의 측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브라켓을 형성하고, 가이드부가 구비된 고정블럭을 형성하고, 고정블럭의 일측으로 가이드부에 삽입된 가이드바로 지지되어 하부금형을 고정하도록 형성한 고정브라켓의 타측으로 가이드바에 지지되는 이송브라켓을 형성하며, 고정블럭의 타측에 고정실린더를 형성하고, 고정실린더의 고정로드를 이송브라켓에 연결 형성하여 고정실린더의 작동으로 고정로드가 동작하면서 고정브라켓을 가이드부에서 가이드바로 지지하면서 이송하여 하부금형을 고정하도록 형성하여 고정로드가 고정되는 하부금형과 이격되어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하도록 형성한 하부금형고정부와,
    상기 하부금형부의 하부티이바고정구에 고정티이바를 상부고정티이바로 고정지지 하도록 상부고정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부고정플레이트의 중앙으로 실린더고정부를 형성하며, 상부고정플레이트에 복수의 이송가이드를 형성한 상부고정부와,
    상기 상부고정부의 실린더고정부에 양측으로 이송가이드에 가이드 되도록 삽입되는 이송티이바를 형성한 이송실린더를 고정 형성하고, 이송티이바의 하부에 상부금형을 설치하며, 주조물을 취출하는 취출실린더를 상부에 구비한 이송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이송티이바의 상부에 이송실린더의 이송로드가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부플레이트를 형성한 상부금형부와,
    상기 상부금형부의 이송플레이트의 양측에 결합브라켓으로 랙기어가 구비된 랙을 결합 형성하고, 랙과 치차결합되는 피니언을 피니언고정구로 상부고정플레이트의 양측에 고정 형성하며, 피니언의 일측으로 피니언의 회전수로 이송플레이트에 설치된 상부금형의 위치를 감지하는 엔코더를 형성한 위치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주조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형고정부의 고정실린더에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바에 감지구를 형성하고, 감지구와 접촉하면서 고정실린더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일측에 형성하여 고정실린더의 동작상태를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압주조기.
KR1020070066071A 2007-07-02 2007-07-02 저압주조기 KR100793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71A KR100793711B1 (ko) 2007-07-02 2007-07-02 저압주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6071A KR100793711B1 (ko) 2007-07-02 2007-07-02 저압주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711B1 true KR100793711B1 (ko) 2008-01-10

Family

ID=39217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6071A KR100793711B1 (ko) 2007-07-02 2007-07-02 저압주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37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124A (ko) * 2018-10-31 2020-05-08 일 김 바텀플레이트의 평면화수단와 열에너지회수수단을 구비한 투 캐비티형 저압 주조기 시스템
KR20210150797A (ko) * 2020-06-04 2021-12-13 김환기 저압 주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5415A (ja) * 1992-04-30 1993-11-19 Nissan Motor Co Ltd 低圧鋳造装置
JPH06106328A (ja) * 1992-02-21 1994-04-19 Sintokogio Ltd 低圧鋳造設備の型締め確認装置
JPH10263788A (ja) 1997-03-21 1998-10-06 Nissan Motor Co Ltd 低圧鋳造装置
JP2005324223A (ja) 2004-05-13 2005-11-24 Isuzu Seisakusho:Kk 低圧鋳造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6328A (ja) * 1992-02-21 1994-04-19 Sintokogio Ltd 低圧鋳造設備の型締め確認装置
JPH05305415A (ja) * 1992-04-30 1993-11-19 Nissan Motor Co Ltd 低圧鋳造装置
JPH10263788A (ja) 1997-03-21 1998-10-06 Nissan Motor Co Ltd 低圧鋳造装置
JP2005324223A (ja) 2004-05-13 2005-11-24 Isuzu Seisakusho:Kk 低圧鋳造機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124A (ko) * 2018-10-31 2020-05-08 일 김 바텀플레이트의 평면화수단와 열에너지회수수단을 구비한 투 캐비티형 저압 주조기 시스템
KR102166443B1 (ko) 2018-10-31 2020-11-04 김일 바텀플레이트의 평면화수단와 열에너지회수수단을 구비한 투 캐비티형 저압 주조기 시스템
KR20210150797A (ko) * 2020-06-04 2021-12-13 김환기 저압 주조 장치
KR102346741B1 (ko) 2020-06-04 2022-01-03 김환기 저압 주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ITRM970067A1 (it) Metodo per dirigere e controllare il flusso di un materiale di plasti- ca in una cavita' di stampo per stampare un articolo di plastica.
KR20040100980A (ko) 다이 캐스팅에 의해 금속 부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JP5798444B2 (ja) ブロー型ユニット、ブロー成形機及びブロー型ユニットの交換方法
JP5327605B2 (ja) ダイカスト装置及びダイカスト方法
CN109689249B (zh) 铸造装置用的注射装置及铸造方法
CN111328301B (zh) 模具铸造装置
KR100793711B1 (ko) 저압주조기
KR102426984B1 (ko) 수지 성형 금형 및 수지 성형 장치
KR20210116565A (ko) 다이캐스트 머신, 금형 구비 다이캐스트 머신, 다이캐스트 머신용 제어 장치 및 다이캐스트 방법
CN201437151U (zh) 卧式压铸机
WO2017013724A1 (ja) ワックス型射出成型用のクランプ装置
JP6830846B2 (ja) 射出成形機
KR20220071779A (ko) 차압 주조 설비의 용탕 공급 장치
KR100736690B1 (ko) 다이캐스팅 금형 이젝팅 장치
JP5724700B2 (ja) 無枠造型注湯冷却ラインにおけるジャケット緩め方法及びジャケット緩め装置
KR100876362B1 (ko) 용탕 단조 성형장치
CN113943097A (zh) 一种玻璃成型装置及方法
KR200437975Y1 (ko) 저압주조기
KR101326167B1 (ko) 알루미늄 휠의 게이트 커팅장치
KR20050036081A (ko) 수직진공 스퀴즈 캐스팅기의 제품성형방법 및 그 장치
CN113811407B (zh) 模铸机
CN113618040A (zh) 一种变速箱阀板压铸模具、压铸方法及模具保养方法
JP4918429B2 (ja) プリフォーム射出成形装置
JP2020104464A (ja) 射出成形機の組立方法、および射出成形機
CN208437597U (zh) 一种汽车转向器臂轴部件立式热模锻造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