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405B1 -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3405B1
KR100793405B1 KR1020060123514A KR20060123514A KR100793405B1 KR 100793405 B1 KR100793405 B1 KR 100793405B1 KR 1020060123514 A KR1020060123514 A KR 1020060123514A KR 20060123514 A KR20060123514 A KR 20060123514A KR 100793405 B1 KR100793405 B1 KR 10079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air
housing
swirl flow
flow forming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영
남철
정의붕
박재현
이경환
이승용
Original Assignee
(주)세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인테크 filed Critical (주)세인테크
Priority to KR1020060123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3405B1/ko
Priority to PCT/KR2007/003619 priority patent/WO200806939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3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5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air conditioning

Abstract

게시된 본 발명은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된 선회류에 정화액을 분사시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수막으로 인해 외부공기의 정화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정화액 분리부에서 외부공기와 정화액이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서 정화액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습부 및 살균부로 인해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살균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하우징, 블로워, 선회류 형성부, 정화액 분사부, 정화액 분리부

Description

공기정화장치{AIR CLEA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에서 바라본 하우징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하우징내에 선회류 형성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제 1선회류 형성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내에 설치된 선회류 형성부에 의해 선회류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정화액 분사부가 선회류에 정화액을 분사시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수막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정화액 분리부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10은 하우징내에 강제적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0a; 유입구,
10b, 30a; 배기구, 10c; 정화액 유입관,
10d; 정화액 배출관, 13; 덮개,
17; 펌프, 19; 수직관;
30; 블로워, 50; 선회류 형성부,
50a; 관통구, 50b; 환형테,
50c, 57c, 90c; 블레이드, 57; 제 1선회류 형성부,
57a; 상부환형테, 57b, 90b; 하부환형테,
59; 제 2선회류 형성부, 70; 정화액 분사부,
73; 정화액, 75; 수막,
90; 정화액 분리부, 90a; 상부판,
90d; 끼움결합부, α; 예각.
본 발명은 수막으로 인해 외부공기의 정화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정화액 분리부에서 외부공기와 정화액이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서 정화액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습부 및 살균부로 인해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살균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란 오염된 공기를 맑고 깨끗하게 전환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써, 공기의 오염도가 비교적 높은 장소에 설치된다.
한편, 축사 및 돈사 등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기정화기로 분무식 공기정화기가 있다.
여기서, 상기 분무식 공기정화기는 크게,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에 스프레이식으로 정화액을 분사하는 정화액 분사부와; 상기 하우징상에 설치되어 정화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축사 및 돈사 등의 공기가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액 분사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정화액을 스프레이식으로 분사하게 되는데, 이때 정화액에 의해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가 제거된다.
이와 같이 정화액에 의해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가 제거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정화액은 하중에 의해 낙하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로 인해, 축사 및 돈사 등에 깨끗하고 악취가 없는 공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정화액 분사부에서 스프레이식으로 분사되는 정화액입자와 공기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정화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수막으로 인해 외부공기의 정화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정화액 분리부에서 외부공기와 정화액이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서 정화액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제습부 및 살균부로 인해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살균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된 선회류에 정화액을 분사시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선회류 형성부를 경유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을 분리시키는 정화액 분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정화액 분리부에 의하여 정화액이 분리된 외부공기는 상기 블로워에 의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회류 형성부는 관통구가 형성된 환형테와; 상기 환형테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에 의해 강제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블로워에 형성된 흡입부와 기밀하게 결합되는 수직관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류 형성부는 관통구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부환형테와, 관통구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소만큼 작게 형성된 하부환형테와, 상기 상부환형테와 상기 하부환형테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상부환형테, 상기 하부환형테 및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선회류 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블로워에 형성된 배기부와 연통되어 상기 블로워의 배기부로부터 배기되는 외부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와 연통되어 수분이 제거된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에서 바라본 하우징(10)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하우징(10)내에 선회류 형성부(50)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공기정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 블로워(30), 선회류 형성부(50), 정화액 분사부(70) 및 정 화액 분리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우징(10)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0a)와, 상기 유입구(10a)와 연통되는 배기구(1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손잡이부가 형성된 덮개(13)가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술할 정화액(73)이 상기 정화액 분사부(70)로 유입되도록 하는 정화액 유입관(10c)과, 정화액(73)이 배출되는 정화액 배출관(10d)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정화액(73)은 펌프(17)의 구동으로 상기 정화액 유입관(10c)을 통해 상기 정화액 분사부(70)로 유입될 수 있으나, 반드시 상기 펌프(17)를 사용하여 상기 정화액 분사부(70)로 정화액(73)을 유입시켜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내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0a)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는 선회류 형성부(50)가 설치된다.
더불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에는 상기 선회류 형성부(50)에 의하여 형성된 선회류에 정화액(73)을 분사시키는 정화액 분사부(70)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길이의 수직관(19)이 형성되는데, 상기 수직관(19)의 하단부는 후술할 상기 블로워(30)의 흡입부에 기밀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하우징(1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유입구(10a), 상기 배기구(10b), 상기 정화액 유입관(10c) 및 상기 정화액 배출관(10d)을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선회류 형성부(50) 및 상기 정화액 분사부(70)를 설치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부호 10d1H, 10d2H, 10d3H 및 10d4H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형성된 4개의 상기 정화액 배출관(10d1, 10d2, 10d3, 10d4)이 각각 연통 결합되는 정화액 배출공이다.
다음으로, 상기 블로워(30)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유입구(10a)로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배기구(10b)에 기밀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블로워(3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공기를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유입구(10a)로 강제적으로 유입시키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직관(19)이 기밀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워(30)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유입구(10a)로 강제적으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30a)가 더 형성된다.
즉, 외부공기는 상기 블로워(30)의 상기 흡입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로 유입된 후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배기구(10b)로 이동하여 상기 블로워(30)의 상기 배기구(30a)를 통해 배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블로워(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배기구(10b)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0a)로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선회류 형성부(50)는 상기 블로워(3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유입구(10a)에 강제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상기 선회류 형성부(50)가 상기 하우징(10)내에 설치된다.
단, 상기 선회류 형성부(50)가 상기 하우징(10)내에 반드시 2개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 선회류 형성부(50)가 상기 하우징(10)내에 2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회류 형성부(50)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관통구가 형성된 환형테(50b)와, 상기 환형테(50b)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α)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유입구(10a)로 강제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5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구에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수직관(19)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환형테(50b)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하우징(10)내에 상기 선회류 형성부(50)가 보다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선회류 형성부(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블로워(30)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유입구(10a)에 강제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상기 선회류를 형성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10)내에 2개로 설치된 상기 선회류 형성부(50)는 각각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루어지는데 자세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제 1선회류 형성부(57)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하우징(10)내에 설치된 선회류 형성부(50)가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액 분사부(70)가 선회류에 정화액(73)을 분사시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수막(75)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구(50a)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19)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부환형테(57a)와, 상기 관통구(50a)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19)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소만큼 작게 형성된 하부환형테(57b)와, 상기 상부환형테(57a)와 상기 하부환형테(57b)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57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57c)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예각(α)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블로워(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로 유입된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0a)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예각(α)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57c)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57c)의 내부에 선회류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되, 후술할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는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동일하게 구성됨으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단,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의 상측에 일정간격을 이격되어 형성된 이유는 외부공기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를 경유한 뒤 선회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로 이동할 시 보다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상접(相接)하게 되면 선회류에 의해 상승된 외부공기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에 막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로 이동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에서 형성된 상기 선회류로 인해 상승하여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로 이동된 외부공기 역시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의 내부에서 선회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화액 분사부(70)는 선회류에 정화액(73)을 분사시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수막(75)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개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액 분사부(70)는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의 방향으로 정화액(73)을 각각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정화액 분사부(70)에서 분사된 정화액(73)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에서 선회하는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75)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정화액 분사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 방향으로 정화액(73)을 분사시켜 수막(75)을 형성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정화액 분리부(90)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C - C선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는 상기 선회류 형성부(50) 즉,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를 경유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73)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8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판(90a)과; 상기 상부판(90a)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α)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블레이드(90c)와; 상기 블레이드(90c)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구(50a)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19)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소만큼 작게 형성된 하부환형테(90b)와; 상기 하부환형테(90b)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관(19)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끼움결합되는 끼움결합부(9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에 의해 제 1선회류 형성부(57)와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를 경유한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73)이 분리되는데, 이에 대한 사항은 설명의 편의상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 및 도 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73)을 분리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10은 하우징(10)내에 강제적으로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편, 상기 블로워(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 ->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이동하게 된다.
단,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 즉 이동경로를 도 10에서는 ① 내지 ⑦로 도시하였음을 밝히는 바이다.
이하, 도 10에 도시된 ① 내지 ⑦을 참조하여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유입된 외부공기의 이동경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공기는 상기 블로워(30)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강제적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로 이동된 외부공기는 ②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를 구성하는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57c)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의 상기 블레이드(57c)의 내부에 선회류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액 분사부(70)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방향으로 정화액(73)을 분사하게 되는데, 이때 정화액(73)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의 상기 블레이드(57c)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외부공기와 접촉하여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방향으로 분사된 정화액(73)은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의 상기 블레이드(57c)의 내부에서 선회하는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75)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수막(75)으로 인해 정화액(73)과 외부공기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정화액(73)이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외부공기의 정화율이 종래보다 더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정화액(73)으로 물과 황산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정화액(73)으로 물을 사용하여 수막(75)을 형성할 경우 수막(75)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이 흡착되기 때문에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반면에, 정화액(73)으로 황산을 사용하여 수막(75)을 형성할 경우 수막(75)과 황산이 화학반응을 일으켜 외부공기에 포함된 암모니아 등의 요소를 제거하기 때문에 외부공기를 용이하게 탈취할 수 있게 된다.
단, 정화액(73)으로 상기 물과 황산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상기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에서 선회하는 외부공기는 수막(75)을 형성하는 정화액(73)과 접촉하여 1차적으로 정화된 뒤 ③에서 보는 바와같이 선회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동되는 외부공기에는 외부공기를 1차적으로 정화한 정화액(73)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57)에서 형성된 선회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동하는 외부공기는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과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동하는 외부공기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과 접촉하게 되면 외부공기를 1차적으로 정화한 정화액의 일부(73a)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정화액의 일부(73a)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에 형성된 상기 정화액 배출관(도 1의 10d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10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의 상기 하부환형테(90b)의 저면에는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수직관(19)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동 중인 외부공기의 일부가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로 이동한 외부공기는 ④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를 구성하는 복수의 블레이드의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게 되는데, 이로써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의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도 선회류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화액 분사부(70)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방향으로 정화액(73)을 분사하게 되고, 이로써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의 상기 블레이드의 내부에도 앞서 설명한 수막(75)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를 2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에서 선회하는 외부공기는 수막(75)을 형성하는 정화액(73)과 접촉하여 2차적으로 정화된 뒤 ⑤에서 보는 바와같이 선회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이동하는 외부공기에는 외부공기를 2차적으로 정화한 정화액이 함께 포함되어 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상기 제 2선회류 형성부(59)에서 형성된 선회류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이동하는 외부공기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과 접촉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외부공기를 2차적으로 정화한 정화액의 일부(73b)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내측벽을 따라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린 뒤 상기 정화액 배출관(도 1의 10d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이동하는 외부공기는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의 상기 블레이드(90c) 내부로 유입되어 선회하게 되는데, 이때 원심력에 의해 외부공기와 외부공기를 2차적으로 정화한 정화액(73c)이 각각 분리된다.
여기서,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의 상기 상부판(90a)이 밀폐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에서 선회하는 외부공기가 상기 상부판(90a)에 막혀 상승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에 의해 분리된 외부공기는 ⑥ 및 ⑦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19)의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배기구(10b)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정화액 분리부(90)에 의해 분리된 정화액(73c)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관(19)의 내측벽을 따라 흘러내림과 동시에 상기 하우징(10)의 외주연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정화액 배출관(도 1의 10d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상술한 상기 정화액 분리부(90)로 인해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73)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관(19)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배기구(10b)방향으로 이동된 외부공기는 상기 블로워(30)의 상기 배기구(30a)를 통해 제습부로 배기된다.
여기서, 상기 제습부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블로워(30)의 상기 배기구(30a)와 연통되어 상기 블로워(30)의 상기 배기구(30a)로부터 배기되는 외부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공기에 포함된 상기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습부의 내부에 실리카겔 등의 제습제를 구비시켜 상기 수분을 제거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공기에 포함된 상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습부에 의해 수분이 제거된 외부공기는 살균부로 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살균부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습부와 연통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살균부는 수분이 제거된 외부공기에 함유된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살균부를 공지된 광촉매와 자외선램프로 구성하여 외부공기에 함유된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살균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공기에 함유된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살균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로써,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살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수분 및 세균 등의 유해물질이 제거된 외부공기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살균부의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이때, 상기 살균부의 상기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기되는 외부공기에는 먼지 등의 미세물질, 암모니아 등의 요소도 제거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공기정화장치는 축사, 돈사, 비료공장 등에서 폭넓게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히는 바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정화액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정화액이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여 수막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막으로 인해 상기 정화액과 외부공기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됨으로써, 외부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미세물질과 암모니아 등의 요소를 종래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외부공기의 정화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정화액 분리부가 상기 선회류 형성부를 경유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외부공기에서 정화액을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선회류 형성부의 상기 환형테의 저면에 형성된 상기 블레이드가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유입구를 통해 강제적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보다 용이하게 선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제습부가 상기 블로워에 형성된 상기 배기부와 연통되어 상기 블로워의 상기 배기구로부터 배기되는 외부공기의 수분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살균부가 수분이 제거된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함으로써, 외부공기에 포함된 수분 및 세균 등의 유해물질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 및 살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되고 도면에서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5)

  1.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배기구에 기밀하게 설치되어 외부공기를 강제적으로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키는 블로워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상기 블로워에 의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선회류를 형성시키는 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선회류 형성부에 의하여 형성된 선회류에 정화액을 분사시켜 선회류와 함께 선회하는 수막을 형성시키는 정화액 분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형성부를 경유한 외부공기를 선회시켜 외부공기에 포함된 정화액을 분리시키는 정화액 분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정화액 분리부에 의하여 정화액이 분리된 외부공기는 상기 블로워에 의하여 외부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류 형성부는 관통구가 형성된 환형테와;
    상기 환형테의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예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블로워에 의해 강제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선회시키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블로워에 형성된 흡입부와 기밀하게 결합되는 수직관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류 형성부는 관통구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상부환형테와, 관통구의 내경이 상기 수직관의 외경과 동일하거나 미소만큼 작게 형성된 하부환형테와, 상기 상부환형테와 상기 하부환형테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 1선회류 형성부와;
    상기 상부환형테, 상기 하부환형테 및 복수의 상기 블레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선회류 형성부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선회류 형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의 공기정화장치와;
    상기 공기정화장치의 블로워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되어 상기 블로워의 배기구로부터 배기되는 외부공기의 수분을 제거하는 제습부와;
    상기 제습부와 연통되어 수분이 제거된 외부공기의 유해물질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시스템.
KR1020060123514A 2006-12-07 2006-12-07 공기정화장치 KR10079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514A KR100793405B1 (ko) 2006-12-07 2006-12-07 공기정화장치
PCT/KR2007/003619 WO2008069395A1 (en) 2006-12-07 2007-07-27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514A KR100793405B1 (ko) 2006-12-07 2006-12-07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3405B1 true KR100793405B1 (ko) 2008-01-11

Family

ID=3921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514A KR100793405B1 (ko) 2006-12-07 2006-12-07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793405B1 (ko)
WO (1) WO20080693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81B1 (ko) 2011-07-05 2013-10-02 주식회사 선테크 더스트 포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0939A (zh) * 2020-03-04 2021-09-07 区万林 水帘过滤消毒空气纯化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954A (en) 1995-08-11 1998-01-06 Takagi; Hideaki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40077001A (ko) * 2003-02-27 2004-09-04 한국배연탈황탈질(주) 분사 및 사이클론을 이용한 실내형 유해가스 제거기
KR200391730Y1 (ko) * 2005-05-19 2005-08-08 정종대 실내 공기 정화장치
KR20060056080A (ko) * 2004-11-19 2006-05-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살균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4954A (en) 1995-08-11 1998-01-06 Takagi; Hideaki Air purification apparatus
KR20040077001A (ko) * 2003-02-27 2004-09-04 한국배연탈황탈질(주) 분사 및 사이클론을 이용한 실내형 유해가스 제거기
KR20060056080A (ko) * 2004-11-19 2006-05-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공기살균정화장치
KR200391730Y1 (ko) * 2005-05-19 2005-08-08 정종대 실내 공기 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181B1 (ko) 2011-07-05 2013-10-02 주식회사 선테크 더스트 포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69395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3635B1 (ko) 가압 탈취용액운회전식 탈취장치
KR101918005B1 (ko) 다단 탈취 필터를 구비한 하이브리드형 2단 세정 탈취 장치
CN105627451A (zh) 一种自清洁空气净化装置
KR101999165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382140B1 (ko) 분진 세정 및 가스 흡수가 효율적인 다기능 대기오염처리장치
KR101055592B1 (ko) 수벽 회전식 오염공기 정화장치
KR101997185B1 (ko) 촉매산화수 발생장치를 이용한 약액 세정 탈취장치
KR102025152B1 (ko) 와류형 세정집진장치
KR102001359B1 (ko) 악취가스 저감 장치
KR100793405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494845B1 (ko) 악취처리 시스템
CN219682162U (zh) 一种碳封存用废气处理装置
KR200309268Y1 (ko) 물세척 공기정화기
CN210332216U (zh) 一种采用微分接触逆流式酸雾喷淋吸收塔
KR102560591B1 (ko) 공기정화장치
CN211274147U (zh) 一种具有废气预处理装置的组合式废气净化一体机
CN219399566U (zh) 脱硫脱硝除尘一体设备
CN212548978U (zh) 一种脱硫脱硝除尘净化塔
CN217312712U (zh) 一种环保型工业废气净化装置
CN214075909U (zh) 一种喷淋旋流组合脱硫装置
CN215196257U (zh) 一种化工工业生产用的烟雾除毒装置
WO2022267090A1 (zh) 一种废气处理装置
KR102446019B1 (ko) 체류탈취구조를 갖는 유해가스 정화용 탈취장치
CN218774587U (zh) 一种烟气脱硝设备
CN215388380U (zh) 一种钨精矿烘干除尘除异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