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3022B1 -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93022B1 KR100793022B1 KR1020060071496A KR20060071496A KR100793022B1 KR 100793022 B1 KR100793022 B1 KR 100793022B1 KR 1020060071496 A KR1020060071496 A KR 1020060071496A KR 20060071496 A KR20060071496 A KR 20060071496A KR 100793022 B1 KR100793022 B1 KR 1007930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peer
- digital content
- rental
- rental peri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관리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디지털 컨텐츠 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허용된 사용권의 제한적인 권한 양도를 수반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피어(peer)로 전송하고,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제한적인 권한 양도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한 피어(peer)에서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피어들 간의 컨텐츠 대여를 기반으로 컨텐츠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컨텐츠, 피어(peer), 공유, 저작권 관리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저작권을 포함한 컨텐츠 구입 절차를 나타낸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권한의 대여를 적용한 컨텐츠 처리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다른 피어(peer)로부터 대여 요청을 받은 경우의 컨텐츠 처리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다른 피어(peer)에게 대여 요청을 하는 경우의 컨텐츠 처리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권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권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컨텐츠를 대여해 준 기기에서의 권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관리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다양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법들이 도입되고 있다. DRM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불법 복제를 방지하는 기술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제한된 이동, 복사, 사용 등의 권한을 부여하는 관리 기법의 측면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DRM에 근거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기존의 기법들에 의하면,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소유권 및/또는 사용권한을 확보한 사용자의 경우에도 실제로는 사용자의 관점이기 보다는 해당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기의 관점에서 DRM이 관리되고 있는 경우가 적지않다. 이러한 점에서, 사용자는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확보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권한의 행사가 기기에 종속되어 제한된다. 이러한 권한의 제약을 기존의 음악 파일이 수록된 CD(Compact Disc)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살펴보자.
사용자가 정당한 대가를 지불하고 음악 파일이 수록된 CD를 구매하였다고 가정하자. 음악 파일이 수록된 CD를 구매한 사용자는 재생기기에 제한받지 않고 CD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PC를 이용해서 CD 재생을 통해 음악을 청취할 수도 있고, CD 플레이어를 이용해서 음악을 청취할 수도 있다. PC가 자신의 소유이든 아니든, CD 플레이어가 자신의 소유이든 아니든지 상관없이 자유롭게 C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구매한 CD를 제3자에게 유상 혹은 무상을 양도하거나 대여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양도 또는 대여받은 제3자는 새로운 사용자로서 해당 CD를 기기에 제한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그렇지만 기존의 DRM에 근거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기법 하에서는, 컨텐츠의 무단 복제 내지는 배포를 방지하는데 촛점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특정 기기에 저장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그 기기에 대해서만 사용권한(대부분, 재생을 의미한다)을 부여하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러한 권한의 제한된 행사는 DRM에 대한 표준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점, 컨텐츠 제공자 내지는 컨텐츠 배포 등의 권한을 갖는 자가 지원하는 DRM 방식이 서로 달라서 호환성이 보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적지않은 불편함으로 나타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하여 허가되지 않은 복제나 배포 등을 차단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를 DRM이 적용된 새로운 형태(format)로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컨텐츠 형태를 유지하면서, 허가되지 않은 복제나 배포 등을 차단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를 DRM이 적용된 새로운 형태(format)로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컨텐츠 형태를 유지하면서,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 컨텐츠와 컨텐츠 플레이어 간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당하게 획득한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과 사용권한을 갖는 피어(peer)가 자신의 사용권한을 다른 피어(peer)에게 대여해 주고, 대여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피어(peer) 간의 컨텐츠 공유, 컨텐츠와 컨텐츠 플레이어 간의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허용된 사용권의 제한적인 권한 양도를 수반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피어(peer)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제한적인 권한 양도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한 피어(peer)에서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은, 다른 피어(peer)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허용된 사용권의 제한적인 권한 양도를 수반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제한적인 권한 양도의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재생기기는, 디지털 컨텐츠가 저장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저장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피어들(peers) 간 대여를 위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 상기 피어들 간에 대여를 위하여 송신 또는 수신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대여와 관련된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정보 관리부; 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그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DRM이 적용된 새로운 형태(format)로 변경하지 않고 기존의 컨텐츠 형태를 유지하면서 불법 복제 및 배포를 차단하고, 컨텐츠와 컨텐츠 플레이어 간의 호환성을 갖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가를 지불함으로써 갖게 되는 권한을 소유권과 사용권이라고 보았을 때, 소유권과 사용권을 가진 피어(source peer or server peer)가 자신의 사용권을 일정기간 다른 피어(target peer or client peer)에게 대여해 줄 수 있도록 컨텐츠 관리정보를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 피어(peer)는 어떤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하나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는 보통 '사용자'가 장치를 다루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한 사람(사용자)이 컴퓨터(예: PC)와 디지털 오디오 재생기기(예: MP3 재생기기) 2개의 기기를 가지고 두 기기간에 컨텐츠 공유를 하고자 하는 상황을 가정해 보면, 사용자는 한 사람이지만 공유에 참여하는 피어(peer)는 컴퓨터와 MP3 재생기기 각각의 장치가 되는 것이다. 만약, 사람(사용자)을 중심으로 '컨텐츠의 공유'에 접근하게 되면 실제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각각의 장치를 위해서 사용자 수준에서 컨텐츠 복제가 수행되어야 하는데, 이렇게 복제된 컨텐츠가 대가를 지불하지 않은 다른 사람(사용자)들에게 불법으로 배포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의 소유권과 사용권한의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컨텐츠의 사용권한을 특정 조건을 전제로 대여해 주는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과 사용권한을 가진 피어(source peer or server peer)가 자신의 사용권한을 다른 피어(target peer or client peer)에게 일정기간 대여해 줌으로써 다수의 피어(peer)들 간에 해당 컨텐츠를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의 사용권한을 일정기간 대여해 주었다가 다시 돌려받는 개념을 기본으로 하는데, 이 때 소유권만 가진 피어(peer)는 컨텐츠를 사용할 수 없으며, 사용권한만 가진 피어(peer)는 대여받은 컨텐츠를 일정기간 사용한 후에 컨텐츠 사용권한을 소유권을 가진 피어(peer)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대여기간은 유한한 경우와 무한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대여기간이 유한한 경우에는 대여기간 중에는 대여해준 피어에서 해당 컨텐츠의 사용이 제한되며, 대여기간이 만료된 후에는 사용권을 회복하게 되고, 대여를 받은 피어에서는 대여기간 중에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사용권을 갖고 대여기간이 만료된 후에는 해당 컨텐츠의 사용이 금지된다. 무한대여는 해당 컨텐츠의 이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느 한 시점에서 어떤 컨텐츠는 오직 하나의 피어(peer)에서만 사용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컨텐츠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으면서 여러 사용자들과 의 자유로운 공유를 가능하게 한다. 즉, 어떤 컨텐츠의 사용권한은 어느 한 순간에 하나의 피어(peer)에게만 주어지므로 디지털 저작권을 보호하여 무분별한 불법 복제 및 배포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 관점에서의 '대여'라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1에 나타낸 디지털 컨텐츠 재생장치는 오디오 파일 혹은 비디오 파일 등을 재생하는 기기이거나, 혹은 오디오 파일이나 비디오 파일 재생기능을 탑재한 단말기일 수 있다. 전자의 경우는 통상 MP3플레이어,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를 들 수 있고, 후자의 경우는 통상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재생기능을 탑재한 모바일 폰(Mobile Phone)을 들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재생장치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캐쉬 메모리(11)를 포함하며, 컨텐츠 재생 시스템 전체를 관리하는 중앙제어모듈(10),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장치(20), 컨텐츠 재생을 위한 컨텐츠 재생모듈(30), 사용자 인터페이스 처리를 위한 UI모듈(User Interface Module)(40) 및 사용자 입력부(41), 컨텐츠의 송수신을 위한 송수신 모듈(50) 및 전송수단(51), 컨텐츠의 소유권(사용권 포함)을 관리하기 위한 컨텐츠 소유권 관리모듈(60), 소유권(사용권 포함) 및 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베이스부(70), 소유권(사용권 포함)의 변경사항을 알려주기 위한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80), 대여기간의 관리를 위하여 시각(날짜 포함)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기지국 타이머(90)를 포함한다.
중앙제어모듈(10)은 컨텐츠의 획득, 재생, 소유권 및 사용권한의 대여가 적용된 컨텐츠의 송신이나 수신, 관리 등, 기기 전체를 제어한다. 컨텐츠 재생모듈(30)은 컨텐츠를 이용하고자 하는 재생기 등의 응용 프로그램과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출력장치를 포함한다. 이 모듈이 어떤 컨텐츠의 사용권한을 현재 피어(peer)가 갖고 있는지 확인 요청을 해오면 중앙제어모듈(10)이 사용권한의 유무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알려준다.
컨텐츠 저장장치(20)는 기기에 내장된 메모리 장치이거나 외장형으로 연결과 분리가 자유로운 이동식 메모리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컨텐츠의 획득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이루어지거나, 이동식 메모리 장치를 이용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UI 모듈(40)은 사용자와 중앙제어모듈(10)을 연결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사용자에게 보여질 UI 화면을 준비하고 사용자가 실행한 여러가지 요구사항을 중앙제어모듈(10)에 전달하며, 중앙제어모듈(10)로부터 출력된 결과물을 사용자에게 전달해 준다. 사용자 입력부(41)는 예를 들면 키패드 혹은 터치패드 등과 같은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송수신 모듈(50)은 컨텐츠 및 컨텐츠 소유권과 사용권한에 관련된 메타데이터(MetaData), 그리고 다른 장치들과의 소통을 위한 명령어 등을 적절한 포맷으로 만들어서 실질적인 전송매체로 내려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송수단(51)은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통신방식과 수단에 따른다. 전송수단(51)은 이동식 저장매체가 될 수도 있다.
컨텐츠 소유권 관리모듈(60)은 중앙제어모듈(10)로부터 소유권과 사용권한에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넘겨받아 데이터 베이스부(70)에 저장한다. 또한 메타데이터의 유지보수 및 어떤 컨텐츠의 사용과 대여 가능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어떤 컨텐츠의 대여기간이 만료되었을 때 자동으로 대여기간 만료 이벤트가 발생하도록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80)에 해당 컨텐츠를 등록한다.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80)은 대여해 준 컨텐츠의 대여기간이 만료된 경우 혹은 대여해 온 컨텐츠의 사용기간이 반료된 경우 이를 중앙제어모듈(10)로 알려준다. 소유권 이벤트 발생시 중앙제어모듈(10)은 컨텐츠 소유권 관리모듈(60)을 호출하여 발생된 이벤트에 따라 해당 컨텐츠를 사용가능(enable) 혹은 불가능(disable)으로 수정해 준다.
소유권 및 메타데이터 데이터 베이스부(70)는 저작권이 부여된 모든 컨텐츠의 저작권 정보와 기타 관련 메타데이터가 저장되는 곳이다. 저작권이 부여된 컨텐츠를 대여해 왔거나 혹은 대여해 준 경우 관련 내용이 업데이트된다. 또한 컨텐츠를 이용하려고 하는 경우에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컨텐츠 메타데이터를 확인하여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기지국 타이머(90)는 대여기간에 따른 사용권한의 제어를 위한 시각정보(날짜 포함)를 제공한다. 이 것은 도1에 나타낸 컨텐츠 재생기기가 모바일 폰과 같이 무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통신기기이고, 이러한 경우 기지국에서 시각정보(날짜 포함)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기지국에서 전송된 시각정보(날짜 포함)를 통신기기가 수신하여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80)에 전달하고,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 듈(80)에서는 수신된 시각정보(날짜 포함)를 이용해서, 기 등록된 대여된 컨텐츠의 대여기간 정보와 비교해서 기간 만료시 해당 사항(event)을 중앙제어모듈(10)에 전달해 주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대여 관련 정보의 갱신과 관련 관리정보에 따른 컨텐츠 사용권의 금지 혹은 회복 제어를 컨텐츠 소유권 관리모듈(60)에서 실행해 줄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저작권을 포함한 컨텐츠 구입 절차의 예를 보여준다. 도2에 나타낸 컨텐츠 구입과 저장에 이르는 일련의 절차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의 개념에 따르는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는 네트워크를 통한 다운로드의 개념에 따르는 경우를 예로 들어서 설명하고 있지만, 컨텐츠 자체가 수록(저장)된 이동식 저장장치 타입의 매체를 직접 구매한 경우라면 위와 같은 절차는 도1에 나타낸 컨텐츠 재생기기와 별도의 프로세스로 진행될 수 있다. 즉, 후자의 경우는 컨텐츠가 저장된 이동식 저장장치 타입의 매체를 직접 구매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등의 전송절차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는 그 저장매체를 도1에 나타낸 컨텐츠 재생기기에 연결하는 것으로 그 저장매체에 저장된 컨텐츠의 획득과, 저장매체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한 소유권(사용권한 포함)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등의 획득이 송수신 모듈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도2를 참조하여 저자권을 포함한 컨텐츠의 획득 절차에 대해서 살펴보자. 제1단계(S110)는 사용자가 UI모듈(40)과 송수신 모듈(50)을 이용해서 컨텐츠 서버에 접속하고, 컨텐츠A를 구입하고자 대가를 지불하는 단계이다. 대가가 지불됨에 따라 컨텐츠 서버로부터 컨텐츠A를 전송받게 된다. 이는 제2단계(S120)에 해당된다. 컨 텐츠A의 전송은 송수신 모듈(50)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유선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컨텐츠A를 다운로드받는 과정이다. 다음의 제3단계(130)는 송수신 모듈(50)을 통해서 다운로드받은 컨텐츠A를 저장장치(20)에 저장하는 단계이다. 다음의 제4단계(140)는 저장장치(20)에 저장된 컨텐츠에 대하서 그 저작권 정보 및 메타데이터를 소유권 및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부(70)에 등록하는 단계이다. 다음의 제5단계(S150)는 사용자에게 컨텐츠A의 획득과 저장이 완료되었음을 알려주는 단계이며, 이는 UI모듈(40)을 통해서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여 줌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의 절차에 따라 저작권을 갖는 컨텐츠A를 구입하여 컨텐츠 소유권 및 사용권한의 획득이 이루어지는데, 이를 정리하면, 컨텐츠에 대한 대가를 지불하고 소유권 및 사용권한, 그리고 실질적으로 컨텐츠 파일을 저장장치에 다운로드받아 컨텐츠 파일은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저작권 관련 정보와 메타데이터 등은 해당 데이터 베이스부에 저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일련의 처리과정은 중앙제어모듈(10)에 의해서 각 모듈(20,40,50,70)의 제어를 통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위와 같은 일련의 절차에 따라 획득한 컨텐츠에 대해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권한의 대여를 통해 피어(peer)들 간의 컨텐츠 공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권한의 대여를 적용한 컨텐츠 처리방법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본 발명에서 '대여'는 대여기간에 따라 유한대여와 무한대여로 나눌 수 있다. 유한대여는 대여되는 컨텐츠가 서버 피어(server peer or source peer)와 클라 이언트 피어(client peer or target peer)에 모두 존재하지만 서버 피어에서의 컨텐츠 사용은 금지되고 오직 클라이언트 피어에서의 사용만 허용된다. 대여된 컨텐츠는 돌려받게 되므로 대여할 때 삭제하였다가 돌려받을 때 재전송 받는 것 보다는 대여할 때부터 삭제하지 않고 그대로 저장해 두었다가 사용권한의 회복만 시켜주는 기법을 적용한 것이다. 대여시에 컨텐츠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으며, 대여기간이 만료되기 전까지는 서버 피어에서의 컨텐츠 사용은 금지되고 클라이언트 피어에서의 사용권은 보장된다. 대여기간이 만료되어도 컨텐츠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으며, 클라이언트 피어에서의 컨텐츠 사용은 금지되고 서버 피어에서의 사용권한은 회복된다.
대여기간의 만료는 클라이언트 피어와 서버 피어 모두에서 각각 발생되며, 앞서 설명한 것처럼 기지국-타이머(90)에서 전송받는 표준 시각정보(날짜 포함)를 이용하여 정확히 같은 시간에 발생된 소유권 만료 이벤트에 따라 두 피어에서 각각 컨텐츠 사용권한이 변경된다. 이 때, 클라이언트 피어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권한이 없어진 컨텐츠는 삭제될 수도 있고, 사용만 금지될 수도 있지만, 사용권한이 없어진 클라이언트 피어에서의 컨텐츠는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한대여는 이전의 의미를 갖는다. 대여되는 컨텐츠가 서버 피어로부터 클라이언트 피어로 완전히 이동되는 방식이다. 사용권한 뿐만 아니라, 소유권까지 옮겨지는 것이다. 무한대여가 성립되어 컨텐츠가 클라이언트 피어로 전달되면 서버 피어에는 더 이상 해당 컨텐츠에 대한 어떠한 데이터도 남아있을 필요가 없다.
본 발명에서 대여가 반드시 요청(클라이언트 피어)에 의한 것일 필요는 없 다. 일방적인 대여(전송)도 가능하다. 즉, 컨텐츠 대여를 제공할 소스 피어(source)에서 컨텐츠 대여를 제공받을 타겟 피어(target peer)로의 일방적인 컨텐츠 대여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대여의 요청과 관련된 절차가 생략된다.
도3에서는 컨텐츠A를 피어A가 30일의 기한으로 피어B에게 대여해 주고, 피어B는 대여받은 컨텐츠A를 10일간 피어C에게 대여해 주는 경우의 피어들 간의 컨텐츠 공유 절차에 대해서 보여준다.
피어A가 2006년 03월 01일 00시를 기해서 피어B에게 30일간 컨텐츠A를 대여해준다. 이러한 대여 절차에 따라 피어A는 30일간 해당 컨텐츠의 사용권한이 금지된다. 즉, 2006년 03월 31일 00시 이전까지는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이 금지된다. 컨텐츠A는 대여해 주었지만 피어A의 저장장치에 남아있다. 피어A의 컨텐츠 소유권 관리모듈(60)에 의해서 대여해준 컨텐츠A에 대한 소유권(사용권한 포함) 및 메타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부(70)에 저장해 둔다. 컨텐츠A를 대여받은 피어B에는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전달받은 컨텐츠A가 저장장치에 저장되며, 대여와 관련된 관리정보 즉, 사용권한-여기서는 대여기간에 관련된 정보가 피어B의 소유권 및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30일간 컨텐츠A의 대여를 받은 피어B는 피어C에게 2006년 03월 11일 00시를 기해서 10일간의 대여를 수행하였다. 그러므로 피어B는 피어C에게 대여해 준 10일간, 즉 2006년 03월 11일 00시부터 2006년 03월 21일 00시까지 컨텐츠A의 사용권한을 갖지 못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피어C가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을 갖게 된다.
이 경우에도 피어B와 피어C의 컨텐츠 소유권(사용권 포함)과 그 것에 관련된 메타데이터 등의 관리정보는 각각의 피어들에 저장되고 또 관리된다.
대여기간의 경과에 따라, 2006년 03월 21일 00시가 되면 기지국 타이머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정보(날짜 포함)에 따라 소유권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 소유권 이벤트에는 피어B와 피어C가 반응한다. 즉, 피어C에서는 대여기간 만료에 해당하는 이벤트이므로 피어C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이 금지된다. 피어C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A는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어B에서는 대여기간 만료에 해당하는 이벤트에 따라 피어B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이 회복된다.
대여기간의 경과에 따라, 2006년 03월 31일 00시가 되면 기지국 타이머로부터 제공되는 시각정보(날짜 포함)에 따라 소유권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 소유권 이벤트에는 피어A와 피어B가 반응한다. 즉, 피어B에서는 대여기간 만료에 해당하는 이벤트이므로 피어B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이 금지된다. 피어B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A는 삭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어A에서는 대여기간 만료에 해당하는 이벤트에 따라 피어A에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이 회복된다.
피어B 또는 피어C의 경우는 컨텐츠A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를 빌려온 것 뿐이므로 이 컨텐츠A를 다른 피어에거 '이전'해 줄 수는 없으며, 각자 자신에게 허용된 대여기간 내에서의 다른 피어로의 대여는 가능하다. 물론, 피어A에서 피어B로 컨텐츠A를 대여해 줄 때, 메타데이터로서 피어B가 다른 피어에게 재대여를 할 수 없도록 금지시키는 정보를 포함시켜 주고, 이 정보에 따라 피어B는 재대여가 불가하며 오직 허용된 대여기간 내에서 자신만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을 갖게 하는 실시예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일단, 피어B가 피어C에게 대여해 줄 수 있는 최대한의 기간은 자신에게 허용된 대여기간이다. 대여기간이 만료되면 컨텐츠 사용권한은 파기되고 컨텐츠 자체는 선택적으로 삭제되거나 남겨진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대여해준 컨텐츠의 사용권한은 일반적으로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으로 보면 무난하다. 그렇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대여가 사용권한의 기간을 동반한 양도에 따르는 것은 물론, 사용권한에서 대여된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횟수의 제한을 동반한 양도에 따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제한적인 사용권의 양도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피어A가 컨텐츠A에 대한 '30'회의 재생권한을 구매한 경우, 피어B에게 컨텐츠A를 '10'회 재생할 수 있는 권한을 양도한다. 그러면 피어A는 나머지 최대 '20'회의 재생권한만 갖게 되며, 양도된 '10'회의 재생권한은 피어B에서 사용(재생횟수의 최대 허용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대여기간과 횟수를 동시에 제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대여기간이나 재생횟수에 관련된 정보는 메타데이터로서 각각의 피어에서 관리될 수 있으며, 재생횟수는 재생횟수에 따라 허용된 횟수로부터 감산해 나가는 방법으로 관리될 수 있다. 허용된 재생횟수를 모두 소진한 경우에는 그 피어(peer)에서 해당 컨텐츠의 더 이상의 사용(재생)이 금지되고, 컨텐츠는 삭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 관리 제어는 앞서 설명한 중앙제어모듈과 소유권 관리모듈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다른 피어(peer)로부터 대여 요청을 받은 경우의 컨텐츠 처리방법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피어A가 소유권과 사용권한을 소유하고 있는 컨텐츠A에 대해서 피어B가 xx일 동안 사용하고자 컨텐츠를 대여하는 과정에서 피어A의 수행 절차를 보여준다. 여기서는 피어A가 소유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가 피어B에게 전달되었는지의 여부는 설명하지 않고 있는데, 가능한 방법으로는 알려진 피어(peer) 대 피어(peer) 프로그램, 컴퓨터-단말기 싱크 프로그램, 블루투스 프로그램 등을 이용하거나 기타 브라우징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접근하고자 하는 장치에 저장된 컨텐츠 목록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피어B가 컨텐츠A를 대여하기 위해서는 먼저 컨텐츠A를 얼마 동안 대여할 것인지에 관한 대여기간을 명시해야 한다. 대여기간이 명시된 컨텐츠A에 대한 대여요청을 피어B로부터 피어A가 요청 받는다(S210). 피어A는 대여를 요청받은 컨텐츠A에 대한 소유권 및 사용권한을 확인한다(S212). 피어A가 컨텐츠A를 다른 피어에게 대여해 주어 현재 소유권은 있지만 사용권한이 없다면(diable) 컨텐츠A의 대여요청에 대한 거부 응답을 발송한다(S246).
대여요청을 받은 컨텐츠A에 대한 사용권한을 피어A가 갖고 있는 경우, 컨텐츠A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인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214). 피어A도 컨텐츠A를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라면, 컨텐츠 대여를 요청한 피어B와 컨텐츠A를 피어A에게 대여해준 피어가 동일한지를 확인한다(S232). 대여를 요청한 피어와 대여해준 피어가 동일한 경우에는 컨텐츠 요청 거부 응답을 발송한 다(S248). 즉, 피어A가 대여해 온 컨텐츠A의 소유권을 갖는 피어가 컨텐츠A에 대해서 사용권한(대여)을 요청한 경우에는 피어A에게 대여해준 컨텐츠A를 피어B가 돌려받기를 원하는 것이므로, 피어A는 대여 거부 응답을 보낼 때 거부 이유를 명시하여 피어B로 하여금 컨텐츠A의 소유권이 피어B에게 있음을 알려준다. 이와 같은 특이한 경우는 피어들 간의 협상에 의해서 컨텐츠A를 돌려주거나 원 소유권자에게 재 대여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도 있다.
컨텐츠A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가 아니거나, 혹은 대여를 요청한 피어와 컨텐츠를 대여해준 피어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요청된 대여 기간이 수용 가능한 기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16,S234). 컨텐츠 A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가 아닌 경우에는 피어A의 소유이므로 무한대여가 허용될 수 있고, 컨텐츠A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이고 대여를 요청한 피어가 컨텐츠A를 대여해준 피어가 아닌 경우에는 무한대여의 수용은 불가하다.
컨텐츠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가 아니고, 대여 요청된 기간이 수용 가능하다면, 요청된 대여기간이 무한대여 요청인지 아니면 유한대여 요청인지를 확인한다(S220). 무한 대여는 컨텐츠A의 소유권이 완전히 피어B에게 넘어가게 되어 컨텐츠A가 피어A의 저장장치에서 삭제되는 것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에게 컨텐츠 이전 요청을 알리고 사용자의 동의를 받을 필요가 있다. 적용되는 방식에 따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User Interacton)은 선택적일 수 있지만, 사용자가 컨텐츠 이동을 허가하지 않으면 피어B에게 거부응답 발송을 수행한다.
따라서, 무한 대여 요청인 경우 피어A의 사용자에게 컨텐츠A를 이전해 줄지 의 여부를 확인한다(S222). 이 것은 UI모듈을 이용해서 이루어진다. 피어A의 사용자가 무한 대여 요청에 동의하지 않은 경우 거부 응답을 발송하고(S246), 동의한 경우에는 컨텐츠A를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피어B에게 전송한다(S226). 그리고 전송된 컨텐츠A 및 관련 메타데이터를 삭제한 후, 피어A의 사용자에게 컨텐츠A가 피어B로 이전되었음을 UI모듈을 통해서 알려준다(S228, S230)).
한편, 컨텐츠 A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해 온 컨텐츠가 아니고, 대여기간이 수용 가능하며, 유한 대여 요청인 경우에는 피어A에서 컨텐츠A를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피어B로 전송해 준다(S236). 이 때 대여기간 등에 관련된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컨텐츠A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데, 대여된 컨텐츠이므로 컨텐츠A의 사용이 피어A에서 대여기간 동안 금지상태로 설정되고, 대여 기간이 언제 종료될 것인지에 관련된 관리정보를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에 등록해 준다(S238). 이어서, 피어A의 사용자에게 컨텐츠A가 대여되었음을 UI모듈을 통해서 알려준다(S242).
대여를 요청받은 컨텐츠A가 다른 피어로부터 대여받은 컨텐츠이고, 대여를 요청한 피어가 컨텐츠A를 피어A에게 대여해 준 피어가 아닌 경우에는 대여 기간의 수용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S234). 이 경우에는 피어A가 컨텐츠A를 대여받아 다른 피어에게 재차 대여하는 경우이므로 무한대여의 수용은 불가하다. 수용 가능한 대여 기간인 경우에는 컨텐츠A를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피어B로 전송해 준다(S236). 이 때 대여기간 등에 관련된 관리정보를 업데이트하며 컨텐츠A의 상태를 업데이트하는데, 대여된 컨텐츠이므로 컨텐츠A의 사용이 피어A에서 대여기간 동안 금지상태로 설정되고, 대여 기간이 언제 종료될 것인지에 관련된 관리정보를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에 등록해 준다(S238). 이어서, 피어A의 사용자에게 컨텐츠A가 대여되었음을 UI모듈을 통해서 알려준다(S242).
한편, 요청된 대여기간이 수용 불가능한 기간인 경우에는 대여기간 협상 프로세스(S218)를 진행한다. 대여기간 협상 프로세스(S218)는 대여기간의 수용 가능한 상태로의 조정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협상에 실패하였다면 대여는 거부되고, 협상에 성공한 경우라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의 대여 절차를 수행한다. 컨텐츠A에 대한 대여 가능한 기간은 결국 대여를 해 줄 피어(peer)가 갖는 최대한의 기간 이내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 단계(S218)에서, 대여기간 협상을 가능하게 할 것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대여요청을 거부할 것인지는 적용되는 시스템에 따라 선택적일 수 있으며, 대여할 피어와 대여를 요청한 피어간의 협상 방법은 제한받지 않는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다른 피어(peer)에게 대여 요청을 하는 경우의 컨텐츠 처리방법을 보여준다. 피어A가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는 컨텐츠A에 대해서 피어B가 xx일 동안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피어B에서의 대여 요청과 대여 처리 절차를 보여준다.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부와 UI모듈을 통해서 컨텐츠A에 대한 대여 요청을 받고, 이 때 컨텐츠 A의 대여기간(xx)을 포함하여 대여 요청을 피어A로 발송한다(S310, S312). 대여 요청 발송에 따라 피어A로부터 대여 요청의 허용 여부에 대한 회신을 송수신 모듈을 통해서 전달받아 허용하였는지 거부하였는지를 확인한다(S314). 피어A가 대여 요청을 허용하였다면, 컨텐츠A를 피어A로부터 송수신 모듈 과 전송수단을 통해서 전달받아 컨텐츠A와 컨텐츠A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한다(S316, S318). 즉, 피어A로부터 받은 컨텐츠A를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하고, 관련된 메타데이터를 소유권 및 메타데이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그리고, 대여기간이 유한한지의 여부를 확인한다(S320). 대여기간이 유한한 경우에는 대여기간의 종료 이벤트를 소유권 이벤트 발생모듈에 등록하고 사용자에게 컨텐츠A를 기간(xx) 동안 대여받았음을 UI모듈을 통해서 알려준다. 대여기간이 무한한 경우에는 대여기간 종료 이벤트 등록절차 없이, 사용자에게 컨텐츠A를 무한대여받았음을 UI모듈을 통해서 알려준다. 즉, 컨텐츠를 유한 기간 동안 대여해 온 경우에는 컨텐츠A의 대여기간 만료를 알리기 위해서 소유권 이벤트 발생 모듈에 이벤트를 등록하며, '이전'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벤트 등록과정이 생략되는 것이다.
한편, 피어A가 대여요청을 허용하지 않았다면 피어A가 대여요청을 거부한 것인지, 아니면 대여기간의 협상이 요구되는지를 확인한다(S326). 대여기간의 협상이 요구된 경우라면 대여기간 협상 프로세스(328)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고 대여 자체를 거부하였다면 피어B의 사용자에게 UI모듈을 통해서 대여 요청이 거부되었음을 알려준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소유권(사용권 포함) 이전을 위해서는 기존의 저작권 관리를 위한 DRM 이외에, 현재의 소유권 정보와 소유권 이전에 관한 이력(history) 정보를 나타내는 소유권 이전 로그(LOG) 정보, 그리고 현재의 소유권이 유효한 기간, 즉 소유권을 반납해야 하는 시간 정보를 포함한 유효 소유권 기간 정보의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정보는 컨텐츠 재생기기 내부의 메타데이터 데이터 베이스부에 기록되어 컨텐츠별로 일괄 관리하는 방법과, 컨텐츠 객체 자체에 관리정보를 포함시켜 컨텐츠와 관리정보가 함께 이전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권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메타 데이터 베이스에 관리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하는 경우를 보여준다. 메타 데이터 베이스부(110)에 해당 컨텐츠의 메타데이터(112)를 일괄적으로 저장하여 관리하는데, 메타데이터(112)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현재 소유권 정보(114), 소유권 이전 로그정보(116), 유효 소유권 기간정보(118)가 포함된다. 이와는 별도로 해당 컨텐츠(120)가 DRM(122)을 포함하여 컨텐츠 데이터(124)로서 컨텐츠 저장장치에 저장된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 데이터 자체는 기존의 DRM 이외에는 소유권 이전을 위한 추가적인 메타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소유권(사용권한 포함) 이전시 장치에 의해 메타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이 업데이트되어 관리되며, 컨텐츠 데이터만 소유권(사용권한 포함)을 이전할 장치로 전송된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권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컨텐츠 데이터 자체에 소유권 관리를 위한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컨텐츠(210)는 메타데이터(220)와 컨텐츠 데이터(230)로 이루어지며, 메타데이터(220)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현재 소유권 정보(222), 소유권 이전 로그정보(224), 유효 소유권 기간정보(226)가 포함되고, DRM(232)과 컨텐츠 데이터(234)가 컨텐츠(210)에 포함된다. 이 경우에는 소 유권(사용권한 포함)을 이전해 주거나 이전받는 장치에서 컨텐츠 데이터에 포함된 메타데이터 정보를 읽어서 컨텐츠의 대여나 이전과 관련된 사항들을 확인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대여가 이루어지는 경와 같이 필요에 따라 메타데이터(소유권 현황, 대여기간 등)를 업데이트하여 다시 그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로서 저장한다. 컨텐츠 데이터가 전송될 때 컨텐츠의 한 부분으로서 메타데이터가 함께 전송되는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에서, 컨텐츠를 대여해 준 기기에서의 권한 관리를 위한 데이터 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에 나타낸 데이터 구조는 앞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자체가 관리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포함하는 경우, 대여해 준 피어(대여 해 준 Terminal)에서 관리되어야 할 정보를 보여준다.
즉, 메타데이터 정보가 컨텐츠에 저장되어 있더라도, 소유권을 이전해 준 장치는 소유권을 이전받은 장치가 만기 후 다시 소유권을 돌려줄 것만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소유권 만기시 소유권을 이전 받은 장치에게 소유권 반환을 알려줄 수 있는 최소한의 정보를 갖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소유권 이전시 이전할 장치는 메타 데이터베이스(310)에 메타데이터로서, 대여 만료 기간 정보(314)와 대여 대상 주소 정보(316), 즉 소유권을 이전 받을 장치의 주소 또는 ID(Identification) 정보와 만기일 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전달한다.
본 발명은 저작권이 부여된 컨텐츠에 대해서 다수의 피어(peer)들 간의 컨텐 츠 공유를 합법적인 기반에서 가능하게 한다.
Claims (19)
-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권을 컨텐츠 항목과 관련시켜 제한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양수에 대한 제한을 결정짓는 권리정보에 근거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근거하여 피어(peer) 대 피어(peer) 간의 디지털 컨텐츠 전송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허용된 사용권의 대여기간에 관한 정보를 수반하여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피어(peer)로 전송하는 단계;상기 전송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여기간에 따라 대여기간 중에 피어(peer) 자신의 해당 컨텐츠 사용금지 및, 대여기간 종료 후의 해당 컨텐츠 사용권 회복에 관한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한 피어(peer)에서 대여기간 중에는 해당 컨텐츠의 사용을 금지시키고, 대여기간 종료 후에 사용권이 회복되면 해당 컨텐츠의 사용을 허용하는 컨텐츠 사용권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대여기간 중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과 사용권 중의 어느 하나의 권한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한 피어(peer)나 제공받은 피어(peer) 중의 어느 하나의 피어(peer)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디지털 컨텐츠의 사용권을 컨텐츠 항목과 관련시켜 제한하거나 디지털 컨텐츠의 양도, 양수에 대한 제한을 결정짓는 권리정보에 근거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근거하여 피어(peer) 대 피어(peer) 간의 디지털 컨텐츠 전송에 따른 디지털 저작권을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다른 피어(peer)로부터 전송되는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사용이 허용되는 대여기간에 관한 정보를 수반하는 디지털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수신측 피어(peer)에서 상기 수신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대여기간에 관한 정보에 따라 대여기간 중에 해당 컨텐츠의 사용허가 및, 대여기간 종료 후의 해당 컨텐츠 사용금지에 관한 관리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상기 관리정보에 따라 대여가 허용된 기간 중에는 해당 컨텐츠의 사용을 허용하고, 대여기간 종료 후에는 해당 컨텐츠의 사용을 금지시키는 컨텐츠 사용권 제어 단계;를 포함하여, 대여기간 중에는 디지털 컨텐츠의 소유권과 사용권 중의 어느 하나의 권한만 디지털 컨텐츠를 제공한 피어(peer)나 제공받은 피어(peer) 중의 어느 하나의 피어(peer)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기간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허용된 사용기한 내의 일부 사용기한이거나 사용기한 전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은 디지털 컨텐츠 대여 요청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 관리정보에 근거하여 대여 여부를 판별하고 대여를 허락한 경우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컨텐츠의 전송은 유선통신, 무선통신, 저장매체 중의 어느 하나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정보는 해당 디지털 컨텐츠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삭제
- 삭제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기간 중에 허용되는 디지털 컨텐츠 사용권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해서 허용된 재생 횟수 내의 일부 재생 횟수이거나 재생 횟수 전부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496A KR100793022B1 (ko) | 2006-07-28 | 2006-07-28 |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71496A KR100793022B1 (ko) | 2006-07-28 | 2006-07-28 |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93022B1 true KR100793022B1 (ko) | 2008-01-08 |
Family
ID=39217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71496A KR100793022B1 (ko) | 2006-07-28 | 2006-07-28 |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93022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9637A1 (zh) * | 2012-04-26 | 2013-10-31 | 华为技术有限公司 | 数字化服务内容的发送、借出方法和服务器 |
KR20150023976A (ko) * | 2013-08-23 | 2015-03-06 | 주식회사 케이티 | 전자책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KR101575115B1 (ko) * | 2013-08-14 | 2015-12-08 | 주식회사 케이티 | 콘텐츠 유통 방법 |
KR20180061734A (ko)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디지털 컨텐츠 대여 방법 및 서버 |
WO2019172462A1 (ko) * | 2018-03-06 | 2019-09-12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콘텐츠의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2600A (ja) | 2001-08-08 | 2003-06-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ライセンス情報変換装置 |
KR20030096255A (ko) * | 2001-06-07 | 2003-12-24 |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 권리 청약 및 허여 |
KR20040058197A (ko) * | 2001-10-31 | 2004-07-03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컨텐츠 정보 양도 장치 및 컨텐츠 정보 양수 장치 |
KR20050084386A (ko) * | 2002-12-17 | 2005-08-26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콘텐트 공유를 허용하는 시스템 |
KR20050087873A (ko) * | 2002-12-30 | 2005-08-3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인가 도메인에서의 분할된 권리 |
-
2006
- 2006-07-28 KR KR1020060071496A patent/KR1007930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96255A (ko) * | 2001-06-07 | 2003-12-24 | 콘텐트가드 홀딩즈 인코포레이티드 | 권리 청약 및 허여 |
JP2003162600A (ja) | 2001-08-08 | 2003-06-06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ライセンス情報変換装置 |
KR20040058197A (ko) * | 2001-10-31 | 2004-07-03 |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 컨텐츠 정보 양도 장치 및 컨텐츠 정보 양수 장치 |
KR20050084386A (ko) * | 2002-12-17 | 2005-08-26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콘텐트 공유를 허용하는 시스템 |
KR20050087873A (ko) * | 2002-12-30 | 2005-08-3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인가 도메인에서의 분할된 권리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3159637A1 (zh) * | 2012-04-26 | 2013-10-31 | 华为技术有限公司 | 数字化服务内容的发送、借出方法和服务器 |
US9118622B2 (en) | 2012-04-26 | 2015-08-25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nd server for sending and lending digital service content |
US9390409B2 (en) | 2012-04-26 | 2016-07-12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Method and server for sending and lending digital service content |
KR101575115B1 (ko) * | 2013-08-14 | 2015-12-08 | 주식회사 케이티 | 콘텐츠 유통 방법 |
KR20150023976A (ko) * | 2013-08-23 | 2015-03-06 | 주식회사 케이티 | 전자책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180061734A (ko) * | 2016-11-30 | 2018-06-08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디지털 컨텐츠 대여 방법 및 서버 |
KR102618484B1 (ko) * | 2016-11-30 | 2023-12-27 | 주식회사 넥슨코리아 | 디지털 컨텐츠 대여 방법 및 서버 |
WO2019172462A1 (ko) * | 2018-03-06 | 2019-09-12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콘텐츠의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
KR20200118412A (ko) * | 2018-03-06 | 2020-10-15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콘텐츠의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
JP2021520532A (ja) * | 2018-03-06 | 2021-08-19 | ライン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LINE Plus Corporation | コンテンツの使用権限管理方法および装置 |
JP7145959B2 (ja) | 2018-03-06 | 2022-10-03 | ライン プラス コーポレーション | コンテンツの使用権限管理方法および装置 |
KR102614458B1 (ko) * | 2018-03-06 | 2023-12-15 | 라인플러스 주식회사 | 콘텐츠의 사용 권한 관리 방법 및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509024B1 (en) | Method for sharing rights objects between users | |
KR101401818B1 (ko) | 하나 이상의 사용자 장치들에 대한 콘텐츠 배포 방법 및 시스템 | |
US7984506B2 (en) | Digital right management system, content server, and mobile terminal | |
US8571994B2 (en) |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access to digital media content | |
JP4333455B2 (ja) |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 |
US9256602B2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providing recommendations related to playable content to a user based on information extracted from one or more playback devices of the user | |
KR20050045883A (ko) | 컨텐츠 공유 시스템, 컨텐츠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프로그램, 기록 매체, 및 컨텐츠 공유 방법 | |
US20080040283A1 (en) | Conten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secure sharing of copy-protected content | |
US20050049886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digital rights and content assets | |
US20090260067A1 (en) | Method and system for legitimate lending and sharing of digital copyrighted content items over a data network | |
KR20060046621A (ko) | 콘텐츠 재생 장치, 프로그램, 콘텐츠 재생 제어 방법 | |
WO2007101166A2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tected distribution of applications and media content | |
US2008010398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lling Used Contents | |
US20080155648A1 (en)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 |
KR100717253B1 (ko) | 멀티미디어 파일의 사용 권리를 처리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 | |
WO2014153295A1 (en) | Providing a market for digital goods | |
KR100793022B1 (ko) | 디지털 컨텐츠 관리방법과 장치 | |
EP1848177A1 (en) | Method for managing user domain | |
US20090158439A1 (en) | Method for protecting unprotected content in drm and device thereof | |
JP2007043389A (ja) | 情報管理方法、情報管理システム、情報管理用サーバ装置及び記録媒体 | |
EP2834958B1 (en) |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access to digital media content | |
TW200419412A (en) | Digital-rights management | |
US20090064344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digital rights management rights objects | |
JP2003076805A (ja) |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貸し出しを管理するためのシステム、サーバ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ジタルコンテンツを使用可能に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 |
KR101265458B1 (ko) | 라이센스 중심의 콘텐츠 소비를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