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533B1 - 전구 소켓 - Google Patents

전구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533B1
KR100791533B1 KR1020060056044A KR20060056044A KR100791533B1 KR 100791533 B1 KR100791533 B1 KR 100791533B1 KR 1020060056044 A KR1020060056044 A KR 1020060056044A KR 20060056044 A KR20060056044 A KR 20060056044A KR 100791533 B1 KR100791533 B1 KR 100791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ulb socket
fixed
piece
light bul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6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2350A (ko
Inventor
김선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광하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광하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광하이테크
Priority to DE112007000723T priority Critical patent/DE112007000723T5/de
Priority to CN2007800074431A priority patent/CN101395769B/zh
Priority to US12/223,457 priority patent/US20090311917A1/en
Priority to PCT/KR2007/001060 priority patent/WO2007119923A1/en
Priority to JP2008552245A priority patent/JP2009524905A/ja
Publication of KR20070102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2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18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adapted for axial insertion of a wire e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22Two-pole devices for screw type base, e.g. for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06Riveted connections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나전선의 삽입 접속이 간단해진 전구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이 전구 소켓은, 상면에 요입홈부(101)(301)를 형성한 소켓본체(100)(300);
상기 요입홈부(101)(301)에 삽입/고정됨과 동시에 1개 이상의 입구부(201)(401)를 형성하고, 내측 공간(203)(403)에는 탄성편(230)(430)을 배치고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통전편(240)(440)을 상기 요입홈부(101)(301)에 배치 고정하여 소켓본체(100)(300)와 일체로 결합되는 접속구(200)(400)를 포함하되,상기 접속구(200)(400)의 내측 공간(203)(403) 내벽에는 걸림홈(202)(40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통전편(240)(440)에는 상기 걸림홈(202)(402)에 걸리는 걸림편(243)(4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전구 소켓의 제공으로 나전선의 전원 접속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전구 소켓의 조립은 물론 등갓의 조립과 동시에 안정성이 요구되는 접지도 동시에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었다.
아일릿,소켓,접속구,스크류볼트

Description

전구 소켓{Socket for bulb}
도 1은 종래 전구 소켓의 일예를 타나내는 분해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분해단면도이고,
도 5a,5b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전구 소켓에 등갓이 결합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접속구(400)의 단면도,평면도,저면도,측단면도들이고,
도 10a 내지 10b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소켓본체의 저면도,평면도이고,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단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소켓본체, 101:공간, 102:고정공, 103:안착홈, 104:공간, 105:체결공,
110:스크류소켓, 112:단자편, 113:고정공, 114:체결공, 120:아일릿,
200:접속구, 201:입구부, 202:걸림홈, 203: 내측 공간, 204:걸림탄편,
210:체결돌부, 212:체결공, 220:스크류볼트, 230:탄성편, 231: 걸림부,
232:걸림편, 240:, 242:고정공, 243:걸림편, 300:소켓본체, 301:요입홈부,
302:고정공, 304:공간, 305:체결공, 310:스크류소켓, 313,314:체결공,
400:접속구, 401:입구부, 402:걸림홈, 403:내측 공간, 404:걸림탄편, 405:개구부,
406:삽지홈, 407:보조돌기, 410:체결돌부,411,412:체결공, 420:스크류볼트,
430:탄성편, 431:걸림부, 432:걸림편, 440:고정통전편,442:고정공,
443:걸림편,450:접지통전편, 452:체결공, 453:걸림편,
본 발명은 나전선이 삽입/통전되는 접속구를 소켓몸체와 결합하므로서 나전선의 삽입 접속이 간단해진 새로운 전구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구 소켓은 원통형의 내측에 제1단자용 스크류소켓과, 제2단자용 단자편을 구비하고, 그 후단으로 전선이 연결되는 연결구조를 갖되 상기 스크류소켓과 단자편을 아일릿등으로 연결시켜 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립구조로서 등갓등과 함께 천장등에 설치하여 사용되는 조명기구로 사용된다.
이러한 조명용 소켓구조들은 공통적으로 전원선을 고정하기 위하여 후단측에 소켓본체내부로 부터 리벳팅된 볼팅부재에 볼팅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전구 소켓예로는 등록실용신안 20-0404097호의 소켓이 있다. 이것은 자기(磁器)재질의 원통형 소켓본체 내측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전구와의 결합/접속구 조를 갖고, 외측 후단으로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원선이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전원선 연결구조는 피복전선의 단부를 벗겨 나전선을 노출시킨 뒤 일일이 링형의 고리로 볼팅부재에 감아 연결하거나 용접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전구 소켓의 사용시 전원의 연결이 불안정하고. 공정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 전구 소켓의 문제점은 나전선 상태에서 소켓 후단에 접속하는 부분의 접속/연결구조가 불안정함에 따른 것이므로 이를 보다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고, 안정적인 통전구조로 개선함이 필요로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전구 소켓의 나전선 접속구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나전선이 삽입/통전되는 접속구를 소켓몸체와 결합하므로서 나전선의 삽입 접속이 간단해진 새로운 전구 소켓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함과 아울러 간단한 전선의 접속구조를 가짐에 더하여 보다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해지며, 전구 소켓의 조립작업이 편리한 전구 소켓을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은,
걸림편을 형성한 고정통전편이 설치된 소켓본체; 및 나전선이 삽입/접속되는 입구부를 형성하고, 저부는 개구됨과 아울러 내측 공간에 탄성편이 삽지됨과 아울 러 이 탄성편에 대응하여 삽착되도록 상기 고정통전편의 걸림편이 걸리는 걸림홈을 형성한 접속구를 포함하여, 상기 소켓본체와, 접속구가 일체로 결합되는 전구 소켓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상기 소켓본체는 원통형의 외측 상단에 상기 접속구가 결합되는 요입홈부를 형성하며, 그 바닥측에 아일릿이 관통되는 고정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상기 접속구는 체결공을 형성한 체결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소켓본체는 이 체결돌부와 연통하는 체결공을 형성하여 스크류볼트로 체결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상기 접속구는 외측 소정위치에 등갓 결합용 걸림탄편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상기 소켓본체의 요입홈부는 상기 체결돌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을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 상기 접속구는 하방이 개구된 두 개의 공간을 구분 형성하고, 각각의 공간 내벽에는 걸림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는 이 공간과 연통하는 입구부가 형성되며, 바깥쪽 광폭의 양측 수직면에는 체결공을 형성한 체결돌부와 결합시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탄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져 반대 수직면과 대칭하여 체결돌부와 걸림탄편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소켓본체의 안착홈도 이에 대응하여 대칭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상기 탄성편은 나전선 "a2"이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상부는 경사지게 걸림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수직면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편을 형성하고 하부는 직각면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상기 고정통전편은 L자형을 이루되 그 수직면에는 걸림편을 형성하고, 하부는 직각 절곡되면서 고정공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소켓본체의 공간은 전구의 베이스와 나사맞춤 접속되도록 나선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내부 바닥측에 체결공과, 고정공이 천공된 스크류소켓과, 단자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1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2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결합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은 크게 소켓본체(100)와, 접속구(200)로 이루어진다.
소켓본체(100)후단에 결합된 접속구(200)는 입구부(201)를 상단에 형성하고, 소켓본체(100)에 결합한 상태로 제1체결공(212)을 형성한 체결돌부(210)와 걸림탄편(204)을 갖는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분해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라 본 발명 전구 소켓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소켓본체(100)은 원통형의 외측 후단에 상기 접속구(200)가 결합되는 대략 직사각형으로 요입된 요입홈부(101)를 이루며, 이 요입홈부(101)의 바닥은 제2고정공(102)과 제2체결공(105)이 천공되어 소켓본체(100)내 공간(104)과 연통된다.
상기 요입홈부(101)는 안착홈(103)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직사각형의 요입홈부(101)에서 반원형으로 요입되며, 상기 제2고정공(102)은 후술하는 아일릿(120) 고정시 관통되는 구멍이고, 제2체결공(105)은 후술하는 스크류볼트(220)가 체결되는 구멍이다.
스크류소켓(110)은 대략 원통형을 이루고, 내저부 바닥에는 제3고정공(113)과, 제3체결공(1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다른 극성의 단자편(112)이 위치하도록 바닥일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주벽면은 나선을 이루며, 소켓본체(100)내 공간(104)에 넣어져 아일릿(120)으로 고정된다.
즉, 소켓본체(100)의 제3고정공(113)에 아일릿(120)을 관통시켜 소켓본체(100)내 제2고정공(102)을 거쳐 후술하는 고정통전편(240)의 제1고정공(242)를 관통한 뒤 사이에 압착/절곡시켜 고정하는 조립구조를 갖는다.
접속구(200)는 하방이 개구된 두 개의 내측 공간(203)을 형성한 직육면체로서 각각의 내측 공간(203) 내벽에는 대략 같은 위치에서 마주보게 혹은 대향하여 하향 경사진 걸림홈(202)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면으로 이 내측 공간(203)과 연통하는 입구부(201)가 각각의 내측 공간(203)에 형성되며, 바깥쪽 광폭의 양측 수직면에는 제1체결공(212)을 형성한 체결돌부(210)를 형성하고, 등갓(A)의 조립시 이탈을 방지하도록 걸림탄편(204)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양측 수직면에 형성된 체결돌부(210)와 걸림탄편(204)은 접속구(20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수직면의 아래부분에서 대칭적으로 위치하고 있다.
접속구(200)내 내측 공간(203)에는 나전선"a2"이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탄성편(230)이 삽착/지지되어 있다.
즉, 상부는 경사지게 나전선 압착용의 걸림부(231)를 형성하고, 그 수직면은이탈방지용 걸림편(232)을 절취/형성하고, 하부는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직각면을 이룬다.
이 탄성편(230) 역시 걸림편(232)에 의하여 상기 걸림홈(202)에 걸려져 접속구(200)로 부터 이탈이 방지되고, 입구부(201)를 통과한 나전선이 걸림부(231)에 의하여(고정통전편(240)과 대응 접촉하여) 이탈 방지됨과 아울러 전원의 통전/접속이 이루어진다.
고정통전편(240)은 L자형을 이루되 그 수직면에는 걸림편(243)을 절취/형성하고, 하부는 수평방향 직각/절곡된 직각면에 제1고정공(242)을 형성하여 소켓본체(100)의 제2고정공(102)과 스크류소켓(110)의 제3고정공(113)을 통과한 아일릿(120)에 의하여 소켓본체(100)에 수직 고정된다.
첨부 도면중 도 5a,5b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단면도이며, 이 도면과 상기 도면들에 의거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조립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켓본체(100)의 하부 공간(104)에 스크류소 켓(110)과 단자편(112)을 위치시키고, 외측 상부에는 고정통전편(240)을 위치시킨 뒤 소켓본체(100)의 저부로 부터 아일릿(120)을 통하여 스크류소켓(110),단자편(112)을 고정한다.
이때 아일릿(120)들은 제3고정공(113), 제2고정공(102) 및 공간(101)바닥에 위치한 고정통전편(240)의 제1고정공(242)을 차례로 관통한 뒤 제1고정공(242)으로 돌출된 아일릿(120) 상단을 압착하여 고정한다.
한편, 접속구(200)는 내측 공간(203)으로 걸림부(231)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직면이 형성된 이탈방지용 걸림편(232)을 형성한 탄성편(230)을 집어넣어 접속구(200)의 중심 가로벽의 양측 걸림홈(202)에 걸림편(232)이 걸려지도록 삽착/지지한다.
이렇게 소켓본체(100)와 접속구(200) 각각의 내부조립이 끝나면 접속구(200)를 소켓본체(100)의 상면 공간(101)에 집어넣어 접속구(200)가 소켓본체(100)에 결합되게 한다.
이때 접속구(200)의 내측 공간(203)내 비어 있는 걸림홈(202)에 고정통전편(240)의 걸림편(243)이 삽입과 동시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접속구(200)와 고정통전편(240)이 일체로 연결되게 되므로 소켓본체(100)와 접속구(20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탄성편(230)과 고정통전편(240)이 각각의 내측 공간(203)내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므로 나전선"a2"는 삽입에 의하여 걸림부(231)와 고정통전편(240)사이에서 밀착/지지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 전구 소켓은 접속구(200)일체의 소켓본체(100)의 결합력을 보강하기 위하여 소켓본체(100)의 저부에서 스크류볼트(220)하나를 스크류소켓(110)의 제3체결공(114)과 제2체결공(105)을 따라 차례로 집어넣고 접속구(200)의 체결돌부(210)의 제1체결공(212)과 결합하므로서 접속구(200)와 소켓본체(100)가 보다 강하게 결합된다.
이후 등갓"A"와의 결합을 위하여 등갓에 형성된 구멍위에서 다른 스크류볼트(220)로서 제1,제2체결공(212)(105)에 체결/고정하므로서 등갓"A" 일체의 소켓결합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6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이 등갓과 함께 결합된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과 도면 도 5a, 도 5b들에 의거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전선"a2"를 입구부(201)에 삽입시켜 고정통전편(240)과 탄성편(230)의 걸림부(231)사이에 삽입/지지되도록 하므로서 고정통전편(240)을 따라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고정통전편(240)을 통한 전원은 아일릿(120)을 통하여 각각 스크류소켓(110) 및 단자편(112)에 통전되어 나사맞춤된 전구로의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2를 첨부 도면들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7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제 2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제2 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접속구(400)의 단면도,평면도 및 저면도들이고, 도 10a 내지 10b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소켓본체의 저면도와,평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은 크게 소켓본체(300)와 접속구(400)로 이루어지고, 접속구(400)내부에 장착되는 탄성편(430)과, 고정통전편(440)과, 접지통전편(450)으로 이루어지며, 스크류볼트(420)와 아일릿(320)과 같은 체결부재들로 조립되며, 등갓(A)은 개구부(a1)를 통하여 접속구(400)에 삽착지지되며, 나전선(a2)들이 입구부(401)를 통하여 삽입/접속된다.
소켓본체(300)는 하부 공간(304)에 단자편(312)과 함께 아일릿(320)으로 고정되는 스크류소켓(310)을 구비하고, 상부에는 후술하는 걸림편(443)를 형성한 고정통전편(440)이 고정되는 요입홈부(301)를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소켓본체(300)는,
상기 접속구(400)가 결합되는 요입홈부(301) 바닥측에 아일릿(320)이 관통되는 고정공(302)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돌부(410)와 연통하는 체결공(305)을 형성하여 스크류볼트(420)로 체결된다.
상기 소켓본체(300)의 요입홈부(301)는 상기 접속구(400)의 체결돌부(410)에 대응하도록 전체적으로 십자형을 이룬다.
접속구(400)는 나전선"a2"이 삽입/접속되는 입구부(401)를 형성하고, 저부는 개구됨과 아울러 내측 공간(403)에 탄성편(430)이 삽지됨과 아울러 이 탄성편(430)에 대응하여 삽착되도록 상기 고정통전편(440)의 걸림편(443)이 걸리는 걸림 홈(402)을 형성하고, 체결공(411)(412)을 형성한 체결돌부(410)를 양측 중간부에 형성하여서 된다.
특히, 상기 접속구(400)는,
하방을 개구시켜 적어도 3개의 내측 공간(403)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내측 공간(403) 내벽에는 걸림홈(402)들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내측 공간(403)은 상기 입구부(401)들에 연통되며, 바깥쪽 광폭의 양측 수직면에는 체결돌부(410)와 결합시 이탈이 방지되는 걸림탄편(404)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등갓 조립시 걸림탄편에 의해 고정된 등갓(A)의 고정상태를 보완하기 위한 보조돌기(407)가 형성되어있다.
탄성편(430)은,
나전선"a2"이 삽입되어 걸려지도록 상부는 경사지게 걸림부(431)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수직면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편(432)를 형성하고 하부는 직각면을 형성하여서 된다.
고정통전편(440)은,
L자형을 이루되 그 수직면에는 걸림편(443)를 형성하고, 하부는 직각 절곡되면서 고정공(442)을 형성하여서 된다.
본 발명은 실시예1과 달리 상기 체결돌부(410)중 어느 하나에는 가운데 입구부(401)의 상부로 부터 절개된 개구부(405)와 삽지홈(406)이 연통되어 체결공(452)와 걸림편(453)을 형성한 접지통전편(450)이 삽착/지지된다.
그외에도 알려진 스크류소켓(310),단자편(312),아일릿(320)들,스크류볼 트(420)들이 본 발명 전구소켓의 나머지 조립부품을 이룬다.
본 고안의 조립은,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켓본체(300)의 하부 공간(304)에 스크류소켓(310)과 단자편(312)을 위치시키고, 외측 상부에는 고정통전편(440)을 위치시킨 뒤 소켓본체(300)의 저부로 부터 아일릿(320)을 통하여 스크류소켓(310),단자편(312)을 고정하여서 된다.
이때 아일릿(320)들은 제3고정공(313), 제2고정공(314) 및 공간(301)바닥에 위치한 고정통전편(440)의 제1고정공(442)을 차례로 관통한 뒤 제1고정공(442)으로 돌출된 아일릿(320) 상단을 압착하여 고정하여 소켓을 조립한다.
한편, 접속구(400)는 내측 공간(403)으로 걸림부(431)을 형성함과 아울러 수직면을 이루되 그 중간에 이탈방지용 걸림편(432)을 형성한 탄성편(430)을 집어넣어 접속구(400)의 중심 가로벽의 양측 걸림홈(402)에 걸림편(432)이 걸려지도록 삽착/지지한다.
이렇게 소켓본체(300)와 접속구(400) 각각의 내부조립이 끝나면 접속구(400)를 소켓본체(300)의 상면 공간(301)에 집어넣어 접속구(400)가 소켓본체(300)에 결합되게 한다.
이때 접속구(400)의 내측 공간(403)내 비어 있는 걸림홈(402)에 고정통전편(440)의 걸림편(443)이 삽입과 동시에 걸려지게 하므로서 접속구(400)와 고정통전편(440)이 일체로 연결되게 되므로 소켓본체(300)와 접속구(400)가 일체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합으로 인하여 탄성편(430)과 고정통전편(440)이 각각의 내측 공간(403)내에서 서로 마주보고 위치하므로 나전선"a2"는 삽입에 의하여 걸림부(431)와 고정통전편(440)사이에서 밀착/지지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등갓"A"와의 결합을 위하여 등갓에 형성된 구멍위에서 다른 스크류볼트(420)로서 체결공(411)(302)들을 동시에 체결/고정하므로서 등갓"A" 일체의 소켓결합구조를 제공하게 된다.
첨부 도면중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 전구 소켓의 단면도들이다.
상기 도면과 도면 도 11a, 도 11b들에 의거 본 발명 전구 소켓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a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나전선"a2"을 입구부(401)에 삽입시켜 고정통전편(440)과 탄성편(430)의 걸림부(431)사이에 삽입/지지되도록 하므로서 고정통전편(440)을 따라 전원의 공급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고정통전편(440)을 통한 전원은 아일릿(320)을 통하여 각각 스크류소켓(310) 및 단자편(312)에 통전되어 나사맞춤된 전구의 베이스를 통하여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그동안 알려진 전구소켓들과 다른 나전선 접속구를 갖춘 전구 소켓을 새롭게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소켓본체 후단의 볼트머리,아일릿에 나전선을 둥글게 링형으로 감은 뒤 볼트조임으로 연결하는 방식의 피복 전선 접속구조 를 개선하여 피복 전선의 단부를 벗긴 나전선의 접속/결합이 간단해진 효과를 갖는다.
간단한 전선의 접속구조를 가짐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이 가능해지며, 특히, 전구 소켓의 조립작업이 신속하고 동시에 요구되는 기구와의 접지도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3)

  1. 전구 소켓에 있어서,
    상면에 요입홈부(101)(301)를 형성한 소켓본체(100)(300);
    상기 요입홈부(101)(301)에 삽입/고정됨과 동시에 1개 이상의 입구부(201)(401)를 형성하고, 내측 공간(203)(403)에는 탄성편(230)(430)을 배치고정하고, 이에 대응하는 고정통전편(240)(440)을 상기 요입홈부(101)(301)에 배치 고정하여 소켓본체(100)(300)와 일체로 결합되는 접속구(200)(400)를 포함하되,
    상기 접속구(200)(400)의 내측 공간(203)(403) 내벽에는 걸림홈(202)(40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통전편(240)(440)에는 상기 걸림홈(202)(402)에 걸리는 걸림편(243)(44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100)(300)는,
    공간(104)(304)에서 단자편(112)(312)과 함께 아일릿(120)(320)으로 고정되는 스크류소켓(110)(31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200)(400)는 체결공(212)(411)을 형성한 체결돌부(210)(41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200)(400)의 외측 양측면에는 등갓(A)의 결합용 걸림탄편(204)(40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400)는 3개 입구부(401)를 이루되 그 양측의 내측 공간(403)에는 탄성편(430)과 고정통전편(440)이 각각 대응하여 삽지됨과 아울러 중간 입구부(401)는 그 일측면에서 내부와 연통하도록 체결돌부(410)의 상면에 이르도록 개구부(405)와 삽지홈(406)을 형성하여 탄성편(430)과 접지통전편(450)이 삽지/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100)의 요입홈부(101)에는 안착홈(103)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300)는 상기 접속구(400)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십자형 요입홈부(30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230)(430)은,
    나전선"a2"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도록 경사진 걸림부(231)(431)을 형성함과 아울러 그 수직면에는 이탈방지용 걸림편(232)(432)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통전편(230)(440)은,
    L자형을 이루되 그 수직면에는 걸림편(243)(443)를 형성하고, 하부는 직각 절곡되면서 고정공(242)(4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100)(300)의 체결공(105)(305)와 체결돌부(210)(410)의 체결공(212)(411)(412)을 스크류볼트(220)(420)로 체결/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12. 제1항 및 제 2항, 제 4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본체(300)는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소켓.
  13. 제1항 및 제 2항, 제 4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부(101)(301) 바닥측에 아일릿(120)(320)이 관통되는 고정공(102)(30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 소켓.
KR1020060056044A 2006-04-14 2006-06-21 전구 소켓 KR100791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12007000723T DE112007000723T5 (de) 2006-04-14 2007-03-02 Lampenfassung
CN2007800074431A CN101395769B (zh) 2006-04-14 2007-03-02 灯泡插座
US12/223,457 US20090311917A1 (en) 2006-04-14 2007-03-02 Socket for Bulb
PCT/KR2007/001060 WO2007119923A1 (en) 2006-04-14 2007-03-02 Socket for bulb
JP2008552245A JP2009524905A (ja) 2006-04-14 2007-03-02 電球ソケ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34014 2006-04-14
KR1020060034014 2006-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2350A KR20070102350A (ko) 2007-10-18
KR100791533B1 true KR100791533B1 (ko) 2008-01-04

Family

ID=38817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6044A KR100791533B1 (ko) 2006-04-14 2006-06-21 전구 소켓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90311917A1 (ko)
JP (1) JP2009524905A (ko)
KR (1) KR100791533B1 (ko)
CN (1) CN101395769B (ko)
DE (1) DE112007000723T5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54B1 (ko) 2008-01-12 2010-08-03 신창욱 직부등의 전원연결구 조립구조
KR200482605Y1 (ko) * 2015-10-07 2017-02-13 김용석 작업등용 소켓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5266B (en) * 2011-07-19 2018-08-08 Hydrogarden Wholesale Supplies Ltd Horticultural lighting
KR102018477B1 (ko) * 2019-01-18 2019-10-14 양우석 방수등용 전구 소켓 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67Y1 (ko) 1996-11-21 1999-06-15 박병하 접지 처리가 용이한 시알티 소켓
KR20000005114U (ko) * 1998-08-22 2000-03-15 오길식 원터치조립식으로된 형광등소켓
JP2001076528A (ja) * 1999-08-31 2001-03-23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照明装置
KR200290932Y1 (ko) 2002-07-06 2002-10-07 오기순 형광등용 전선 접속구의 접속단자 구조
KR200387596Y1 (ko) 2005-04-04 2005-06-20 주식회사 연합조명 단자 커버캡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3087A (en) * 1901-05-02 1902-02-11 Johannes Wilhelmus Huyberts Uytenbogaart Socket for incandescent electric lamps.
US803246A (en) * 1904-05-18 1905-10-31 Harris M Fletcher Electric-lamp socket.
US4257664A (en) * 1979-03-08 1981-03-24 Eagle Electric Mfg. Co., Inc. Screw socket for an electric lamp
JPS57133883U (ko) * 1981-02-14 1982-08-20
US4804343A (en) * 1988-04-11 1989-0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Lamp socket assembly
US5208516A (en) * 1991-06-24 1993-05-04 Jacob Saidian Touch controlled electric light socket with high current tolerance
JPH08180947A (ja) * 1994-12-22 1996-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バルブソケット
EP0939460A3 (en) * 1998-02-25 2000-09-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a bulb socket and an electric wire
US6250970B1 (en) * 1999-06-04 2001-06-26 Osram Sylvania Inc. Angled IDC lamp socket assembly
JP3875515B2 (ja) * 2001-06-13 2007-01-3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バルブソケット
DE10163056B4 (de) * 2001-12-21 2004-07-08 Bjb Gmbh & Co.Kg Lampenfassung
CN2556823Y (zh) * 2002-08-07 2003-06-18 瑞格电子股份有限公司 电子安定器本体与固定座分离装置
FR2875063B1 (fr) * 2004-09-07 2009-05-15 Valeo Vision Sa Douille equipee d'un anneau de centrage pour lampe a culot en verre
KR200404097Y1 (ko) 2005-09-29 2005-12-19 안효숙 전구소켓용 절연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5567Y1 (ko) 1996-11-21 1999-06-15 박병하 접지 처리가 용이한 시알티 소켓
KR20000005114U (ko) * 1998-08-22 2000-03-15 오길식 원터치조립식으로된 형광등소켓
JP2001076528A (ja) * 1999-08-31 2001-03-23 Bio Oriented Technol Res Advancement Inst 照明装置
KR200290932Y1 (ko) 2002-07-06 2002-10-07 오기순 형광등용 전선 접속구의 접속단자 구조
KR200387596Y1 (ko) 2005-04-04 2005-06-20 주식회사 연합조명 단자 커버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54B1 (ko) 2008-01-12 2010-08-03 신창욱 직부등의 전원연결구 조립구조
KR200482605Y1 (ko) * 2015-10-07 2017-02-13 김용석 작업등용 소켓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7000723T5 (de) 2009-04-02
CN101395769B (zh) 2010-10-06
US20090311917A1 (en) 2009-12-17
KR20070102350A (ko) 2007-10-18
CN101395769A (zh) 2009-03-25
JP2009524905A (ja)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6247A (en) Electrical fitting for panel construction
CA2537609C (en) Lamp socket
KR100791533B1 (ko) 전구 소켓
CN208138963U (zh) 一种台灯
US7387522B2 (en) Bayonet connection for knock-down fixtures and portables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US5357414A (en) Modular cantilevered electrical light fixture
US6840651B2 (en) Lamp rod assembly of detachable ceiling lamp
US20030119356A1 (en) Device for rapidly assembling lamp rod and lamp seat
US5848916A (en) Christmas lamp socket
US4105276A (en) Lampholder-socket for circline fluorescent lamp
CN101282015B (zh) 用于壁式安装的插塞连接器系统
US5797766A (en) Lamp mounting device
KR101449847B1 (ko) 간편한 형광등 소켓
WO2007119923A1 (en) Socket for bulb
KR100564294B1 (ko) 천장 전기 단자함
RU2313728C1 (ru) Термопара для контроля пламени с газовым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м клапаном
CN217978550U (zh) 吸顶灯
KR200358287Y1 (ko) 천장용 단자함
US20070164179A1 (en) Apparatus providing both structural support and electrical conductor connection for a lighting fixture
CN211574917U (zh) 一种简易拆装驱动盒的灯具
KR200411219Y1 (ko) 천정매입등의 소켓 결합구조
KR200285370Y1 (ko) 형광등용 소켓
JPH09223410A (ja) 照明器具
KR200404097Y1 (ko) 전구소켓용 절연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