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850B1 -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 Google Patents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850B1
KR100788850B1 KR1020070096720A KR20070096720A KR100788850B1 KR 100788850 B1 KR100788850 B1 KR 100788850B1 KR 1020070096720 A KR1020070096720 A KR 1020070096720A KR 20070096720 A KR20070096720 A KR 20070096720A KR 100788850 B1 KR100788850 B1 KR 100788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air discharge
plate
packag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동진
Original Assignee
오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동진 filed Critical 오동진
Priority to KR1020070096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8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8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00Packaging plastic material, semiliquids, liquids or mixed solids and liquid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3/18Controlling escape of air from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1/00Devices for, or methods of, sealing or securing package folds or closures; Devices for gathering or twisting wrappers, or necks of bags
    • B65B51/10Applying or generating heat or pressure or combin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2Driv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공기배출수단은 내측 벽면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순환 이송작업을 하는 다수의 이송포켓과; 상기 다수의 이송포켓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 링형스프링과; 상기 이송포켓의 절개부를 통하여 내부의 포장재 측면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동부재의 하측부에 힌지로 결합된 공기배출판과; 상기 공기배출판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하는 조절노브와; 상기 조절노브과 동시에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며, 끝단부에 각도조절대이 연결된 연장편과; 상기 공기배출판과 조절노브의 연장편과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각도조절대로 구성되어 액상물을 주입한 후 포장재에 유입된 공기를 밀봉직전에 배출시키도록 하여 포장재의 부피를 최소화함과 아울러 보다 위생적으로 포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조절노브, 포장재, 공기배출판, 고정열판, 압착판

Description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Automatic Liquid Packaging Machine with Air Venting Apparatus for Pouch}
본 발명은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동포장기에 의해 액상물을 일정량씩 주입 포장하는 포장재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밀봉하기 직전에 배출시켜 보다 양호한 포장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약재 및 녹즙액 등과 같은 액상물은 매 복용시 마다 일일이 달이거나 즙을 내어서 복용하기 보다는 한 번에 다량의 액상물을 추출하여 이를 한번에 먹기에 알맞는 분량으로 나누어 포장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의하여 적정량씩 분배되도록 한 다음 낱개의 포장용기에 개별 포장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량으로 균일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휴대하기가 편리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복용할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포장기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한약재나 녹즙액과 같은 액상물이 담수되는 저장수조(12)와 상기 본체부(10)의 케이스(11) 내부로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게 설치되는 작동수단(20)과 상기 작동수단(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이송수단(30) 및 상기 이송수단(30)을 분할 회전시키는 구동수단(40)으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작동수단(20)은 다수의 포장팩을 저장하여 낱개로 공급하는 투입부와 포장팩의 상단부를 개방하고 이의 개방단부에 일정량의 액상물을 주입하는 액주입부 및 일정량의 액이 주입된 포장팩의 개방단부를 실링하는 실링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 구성간의 결합관계 및 작동관계는 일반적인 자동포장기의 기술사상과 동일하다.
이러한 자동포장기에 의한 액상물을 주입하여 포장팩을 밀봉함에 있어 액상물과 함께 유입된 공기를 포장팩 내부에 그대로 둔 채 밀봉할 경우 포장된 포장팩의 부피가 커지고, 또한 불필요한 공기가 존재함으로서 장기간 보관할 필요가 있을 경우 위생적인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즉 공기중에 존재하는 미생물이 함께 투입되어 내부에서 번식할 경우 부패하여 내용물이 상할 경우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포장팩의 내부에 액상물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진공포장이 바람직하나, 대기상태에서 완전진공포장은 불가능하므로 가능하면 공기의 유입량을 최소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에서는 포장팩의 내부에 내용물을 주입한 다음 열융착으로 밀봉을 하기 직전에 포장팩 내부에 유입되어 있는 공기를 최대한 제거한 다음 밀봉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한약재나 녹즙액과 같은 액상물이 담겨져 저장 공급하는 저장수조와; 낱개의 포장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송포켓 내로 투입하도록 하여 액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투입부와; 상기 저장수조에 담겨진 액상물을 일정량씩 분배하여 포장재 내로 공급하는 액공급부와; 액상물이 담겨진 상기 포장재의 입구를 밀봉하도록 하는 실링부 및; 상기 포장재가 투입된 이송포켓을 액주입단계, 실링단계 및 배출단계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이송부로 이루어진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프레임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크랭크에 의해 일정구간 직선 왕복운동하는 수평작동판의 하측부에 고정설치 되어 연동하며 전면부에 압착판이 구비된 가동부재와; 상기 가동부재의 압착판에 대응하여 포장재를 열융착하도록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별도의 가열히터가 내장된 고정열판과; 상기 가동부재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동시에 작동되며, 이송포켓내의 액상물이 주입된 포장재에 접촉하여 내부의 공기를 실링작업 직전에 배출하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내측 벽면에 절개부가 형성되며 순환 이송작업을 하는 다수의 이송포켓과; 상기 다수의 이송포켓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 링형스프링과; 상기 이송포켓의 절개부를 통하여 내부의 포장재 측면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동부재의 하측부에 힌지로 결합된 공기배출판과; 상기 공기배출판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하는 조절노브와; 상기 조절노브과 동시에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며, 끝단부에 각도조절대이 연결된 연장편과; 상기 공기배출판과 조절노브의 연장편과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각도조절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의 조절노브는 상기 공기배출판의 설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노브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동이 제어되도록 조절노브축에 마찰스프링이 끼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판과 조절노브의 연장편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각도조절대는 완충기능을 갖는 탄성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유동구가 천공되고, 상기 유동구에 끼워져 일정구간 슬라이드되며 일측에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한 가압축과; 상기 가압축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압착판과; 상기 가압축에 끼워져 완충기능 및 균일한 가압력 을 작용하도록 하는 완충스프링과; 상기 완충스프링과 압착판의 사이에 설치되며, 하단에 공기배출판을 설치하는 공기배출판설치대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액상물을 포장재에 주입하여 밀봉을 하기 직전에 포장재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여 공기량을 최소화 한 다음 밀봉하도록 함으로써 액상물의 포장재 부피를 최소화함은 물론 보다 장기간 보관에 유리하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 배치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 배치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한약재나 녹즙액과 같은 액상물을 저장수조로 부터 공급되어 일정량씩 주입된 포장재(32)가 이송포켓(180) 내에 투입된 상태로 실링부에 위치하여 밀봉작업을 하기 직전에 상기 포장재(32)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상기 실링부는 일정구간 직선왕복운동하는 수평작동판(120)과 함께 연동되는 가동 부재(160)와 공기배출수단에 의해 공기배출작업과 밀봉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작동판(120)은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모터(110)와 크랭크(112)에 의해 일정구간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작동판(120)에는 수평장공(121)이 천공되어 있고, 상기 수평장공(121)에 크랭크핀(113)이 삽입되어 작동하면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한다.
즉, 상기 수평작동판(120)이 설치된 고정플레이트(100)의 양측부에는 가이드리브(101)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작동판(120)이 한방향으로만 직선 왕복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가동부재(160)는 상기 수평작동판(120)의 하측부에 고정 설치되어 연동하며 전면부에 압착판(16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160)의 압착판(161)에 대응하여 포장재(105)를 열융착하도록 하는 고정열판(170)은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며 별도의 가열히터(171))가 내장설치되어 있다.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상기 가동부재(160)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동시에 작동되며, 이송포켓(180)내의 액상물이 주입된 포장재(105)에 접촉하여 내부의 공기를 실링작업 직전에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다수의 이송포켓(180)과 링형스프링(190)과 공기배출판(150)과 조절노브(130)와 각도조절대(14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포켓(180)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설치되어 순환하면서 이송하 여 포장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으로 내측 벽면에 절개부(181)가 형성되어 있다.
링형스프링(190)은 상기 절개부(181)가 형성된 다수의 이송포켓(18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포켓(180)의 내부에 투입된 포장재(32)이 상기 절개부(181)를 통하여 쓸어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 공기배출판(150)은 상기 이송포켓(180)의 절개부(181)를 통하여 내부의 포장재(105) 측면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동부재(160)의 하측부에 힌지(151)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조절노브(130)는 상기 공기배출판(150)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노브(130)와 동시에 회동하도록 설치된 연장편(141)은 각도조절대(140)에 의해 연결된 공기배출판(15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각도조절대(140)는 상기 공기배출판(150)과 조절노브(130)의 연장편(141) 끝단과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연장편(141)의 회전각도에 따라 공기배출판(150)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공기배출판(150)과 조절노브(130)의 연장편(133)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각도조절대(140)는 완충기능을 갖는 탄성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배출수단의 조절노브(130)는 상기 공기배출판(150)의 설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노브(130)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회동이 제어되도록 조절노브축(162)에 마찰스프링(132)이 끼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160)는 가압축(163)과 압착판(161)과 완충스프링(162) 및 공기배출판설치대(164)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축(163)은 충격을 완화하면서 선단부에 고정된 압착판(161)과 고정열판(170)과의 밀착시 충격을 완화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구간 슬라이드되도록 유동구(165)에 끼워져 설치되며, 상기 가압축(163)에 끼워져 완충기능 및 균일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하는 완충스프링(162)이 끼워져 있고, 상기 가압축(163)이 일정구간 슬라이드되면서 이탈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에는 이탈방지부(16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기배출판설치대(164)는 상기 완충스프링(162)과 압착판(161)의 사이에 설치되며, 하단에 공기배출판(150)이 힌지(151)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살펴본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a)는 포장팩의 공기를 배출하기 전 상태이고, b)는 포장팩의 공기를 배출하여 밀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밀봉작업을 하기 전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노브(130)를 회전시켜 공기배출판(150)의 적정한 각도로 조절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조절노브(130)를 회전시키면 동시에 연장편(141)이 회전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연장편(141)의 끝단부에 연결된 각도조절대(140)에 의해 공기배출판(150)의 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상기 조절노브(130)는 조절노브축(131)에 끼워 설치된 마찰스프링(132)에 의해 설정된 각도에 위치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조절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순환 작동되는 이송포켓(180)의 내부 에 포장재(32)가 투입된 상태에서 작동수단의 구동모터(110)의 회전력에 의해 크랭크(112)가 회전하면 상기 크랭크(112)의 크랭크핀(113)에 수평장공(121)에 끼워진 수평작동판(120)은 고정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돌설된 가이드리브(101)에 의해 안내되어 일정 구간 직선 왕복운동을 하면서 밀봉작업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작업과 동시에 포장재(32)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판(150)에 의해 먼저 접촉하여 포장재(32)의 측면을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포장재(32)의 내부 공기가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조절노브(130)의 조작은 포장재(32)의 내용물 주입량과 포장재의 크기 등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적정하게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약재나 기타 녹즙 등의 액상물을 밀봉 포장하기 위하여 포장재에 액상물의 공급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생활이 윤택해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한약, 건강보양식품 등을 다수의 액상물을 이용하는 추세이므로 다수의 수요를 창출할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기술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 배치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로서,
a)는 포장팩의 공기를 배출하기 전 상태이고,
b)는 포장팩의 공기를 배출하여 밀봉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임.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프레임 32: 포장재
100: 고정플레이트 110: 구동모터
111: 감속기 112: 크랭크
113: 크랭크핀 120: 수평작동판
121: 수평장공 130: 조절노브
131: 조절노브축 132: 마찰스프링
140: 각도조절대 141: 연장편
150: 공기배출판 151: 힌지
160: 가동부재 161: 압착판
162: 완충스프링 163: 가압축
164: 공기배출판설치대 165: 유동구
166: 이탈방지부 170: 고정열판
171: 가열히터 180: 이송포켓
181: 절개부 182: 스프링걸림나사
190: 링형스프링

Claims (5)

  1.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한약재나 녹즙액과 같은 액상물이 담겨져 저장 공급하는 저장수조와; 낱개의 포장재를 하나씩 순차적으로 이송포켓 내로 투입하도록 하여 액상물을 담을 수 있도록 준비하는 투입부와; 상기 저장수조에 담겨진 액상물을 일정량씩 분배하여 포장재 내로 공급하는 액공급부와; 액상물이 담겨진 상기 포장재의 입구를 밀봉하도록 하는 실링부 및; 상기 포장재가 투입된 이송포켓을 액주입단계, 실링단계 배출단계로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포장이송부로 구성된 액상물 자동포장기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프레임(10)에 설치된 구동모터(110)와 크랭크(112)에 의해 일정구간 직선 왕복운동하는 수평작동판(120)의 하측부에 고정설치되어 연동하며 전면부에 압착판(161)이 구비된 가동부재(160)와;
    상기 가동부재(160)의 압착판(161)에 대응하여 포장재(32)를 열융착하도록 프레임(10)에 고정 설치되며 별도의 가열히터(171))가 내장된 고정열판(170)과;
    상기 가동부재(160)의 하측부에 설치되어 동시에 작동되며, 이송포켓(180)내의 액상물이 주입된 포장재(32)에 접촉하여 내부의 공기를 실링작업 직전에 배출하도록 하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은
    내측 벽면에 절개부(181)가 형성되며 순환 이송작업을 하는 다수의 이송포켓(180)과;
    상기 다수의 이송포켓(18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된 링형스프링(190)과;
    상기 이송포켓(180)의 절개부(181)를 통하여 내부의 포장재(32) 측면에 접촉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동부재(160)의 하측부에 힌지(151)로 결합된 공기배출판(150)과;
    상기 공기배출판(150)의 각도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하는 조절노브(130)와;
    상기 조절노브(130)과 동시에 회동하여 각도가 조절되며, 끝단부에 각도조절대(140)가 연결된 연장편(141)과;
    상기 공기배출판(150)과 조절노브(130)의 연장편(141)과의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각도조절대(140)를 포함하는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의 조절노브(130)는
    상기 공기배출판(150)의 설정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절노브(130)에 마찰 력이 작용하여 회동이 제어되도록 조절노브축(162)에 마찰스프링(132)이 끼워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판(150)과 조절노브(130)의 연장편(133) 사이를 상호 연결하는 각도조절대(140)는 완충기능을 갖는 탄성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160)는 유동구(165)가 천공되고, 상기 유동구(165)에 끼워져 일정구간 슬라이드되며 일측에는 이탈방지부(166)를 구비한 가압축(163)과;
    상기 가압축(163)의 선단부에 고정설치된 압착판(161)과;
    상기 가압축(163)에 끼워져 완충기능 및 균일한 가압력을 작용하도록 하는 완충스프링(162)과;
    상기 완충스프링(162)과 압착판(161)의 사이에 설치되며, 하단에 공기배출판(150)을 설치하는 공기배출판설치대(164)을 포함하는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KR1020070096720A 2007-09-21 2007-09-21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KR100788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720A KR100788850B1 (ko) 2007-09-21 2007-09-21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720A KR100788850B1 (ko) 2007-09-21 2007-09-21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8850B1 true KR100788850B1 (ko) 2007-12-27

Family

ID=3914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720A KR100788850B1 (ko) 2007-09-21 2007-09-21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8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131A (ja) 1997-07-07 1999-03-23 L'air Liquide 低温液体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と低温バルブ、および製品をパッケージするための低温プラント
KR100301349B1 (ko) 1998-03-20 2001-10-19 안용순 액상물포장장치의포장지회전공급장치
KR200255338Y1 (ko) 1999-05-31 2001-12-13 안용순 액상물 포장기의 포장재 이송장치
KR200375303Y1 (ko) * 2004-08-14 2005-03-11 주식회사 두성 액상물 자동포장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9131A (ja) 1997-07-07 1999-03-23 L'air Liquide 低温液体を分配するための装置と低温バルブ、および製品をパッケージするための低温プラント
KR100301349B1 (ko) 1998-03-20 2001-10-19 안용순 액상물포장장치의포장지회전공급장치
KR200255338Y1 (ko) 1999-05-31 2001-12-13 안용순 액상물 포장기의 포장재 이송장치
KR200375303Y1 (ko) * 2004-08-14 2005-03-11 주식회사 두성 액상물 자동포장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9205C (zh) 用食物填充箔衬袋的装置和方法
JP2012516815A (ja) 自浄式チップ
KR20180025850A (ko) 약제 포장 장치 및 약제 공급 장치
KR20180050602A (ko) 약제 반송 장치
KR100788850B1 (ko) 포장재 공기배출장치를 구비한 액상물 자동포장기
KR20200037499A (ko) 스텐드형 파우치 공급장치가 개선된 파우치 연속포장기
CN105050460A (zh) 具有阻隔性能的分配装置
KR20220031230A (ko)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KR101038600B1 (ko) 직수식 한약 추출물 자동 포장장치
JP2690864B2 (ja) 不活性ガス封入包装機
KR101004502B1 (ko) 액상물 자동포장기의 액상물 정량 토출튜브
KR20130020359A (ko) 가루약 분배 장치
KR102089855B1 (ko) 내용물 동시 주입 및 복수개의 파우치 연속 포장기
KR102582505B1 (ko) 파우더 저장 및 분배장치
KR950010540B1 (ko) 액체 한약제의 자동포장장치
KR100686898B1 (ko) 스트로우 내장형 파우치 포장장치
KR101335986B1 (ko) 파우치 포장 장치
KR102500492B1 (ko) 개인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장치
CN220147883U (zh) 一种农药瓶
EP2919597B1 (en) Tobacco processing system
JP2735823B2 (ja) 水剤分包機
EP2452563B1 (en) Apparatus for filling a bakery product and its use
KR20120010611A (ko)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KR20090116258A (ko) 진공포장기
KR20010090671A (ko) 레토르트 파우치 제조장치의 내용물 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