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1230A -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1230A
KR20220031230A KR1020200112911A KR20200112911A KR20220031230A KR 20220031230 A KR20220031230 A KR 20220031230A KR 1020200112911 A KR1020200112911 A KR 1020200112911A KR 20200112911 A KR20200112911 A KR 20200112911A KR 20220031230 A KR20220031230 A KR 202200312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member
food material
supply
opening
suppl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9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088B1 (ko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10202001129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088B1/ko
Publication of KR20220031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1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30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 B65B1/36Devices or methods for controlling or determining the quantity or quality or the material fed or filled by volumetric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는, 식품재료가 저장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포장용기 제공기,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품재료를 미리 설정된 정량만 수용하는 정량 수용관, 상기 정량 수용관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정량 수용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상부 공급홀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하부 공급홀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정량을 투입한 후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식품재료 공급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QUANTIFICATION SUPPLYING APPARATUS FOR FOOD MATERIAL}
본 발명은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정량을 원활하고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품재료는 포장용기에 미리 설정된 용량으로 포장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식품재료를 한번에 사용되는 용량만 개별 포장하여 필요시 하나씩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차 또는 커피 등과 같은 식품재료는 티백 또는 파우치 등과 같은 소형의 포장용기에 소량을 포장하여 일회용으로 간편하게 사용하고 있다.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미리 설정된 정량으로 투입한 후 해당 포장용기를 밀봉시켜 식품재료의 포장제품을 제작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식품재료의 포장제품을 제작할 경우, 기존에는 정량의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간편하게 공급하기 위한 정량 공급 장치의 사용이 널리 보편화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한국등록신용신안 제20-0335109호(발명의 명칭: 커피분말 정량 공급장치, 등록일: 2003.11.24)에는, 커피자동판매기나 커피자동공급장치에서 커피분말과 설탕 및 크리머 분말을 선택적으로 정량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2558호(발명의 명칭: 분말 정량 공급 시스템, 공개일: 2015.02.04) 및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7620호(발명의 명칭: 분말식품의 정량공급장치, 공개일: 2020.02.19)에는, 분말의 중량을 계측하여 정량을 공급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947300호(발명의 명칭: 무전원 정량공급형 약품투입장치, 등록일: 2010.03.05)에는, 액상 약품을 자동으로 투입하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정량 공급 장치는,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미리 설정된 정량으로 식품재료를 정확하게 공급하는데 한계가 있고, 식품재료의 정량을 공급하는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35109호(2003.11.2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12558호(2015.02.04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947300호(2010.03.05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미리 설정된 정량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간단한 조작 및 작동 방식으로 정량의 식품재료를 안정적으로 포장용기에 공급할 수 있고, 포장용기에 공급되는 식품재료의 정량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식품재료가 저장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포장용기 제공기,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품재료를 미리 설정된 정량만 수용하는 정량 수용관, 상기 정량 수용관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정량 수용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상부 공급홀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하부 공급홀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정량을 투입한 후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식품재료 공급기를 포함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는, 상기 상부 공급홀을 개방시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미리 설정된 정량만 투입할 수 있고, 상기 하부 공급홀을 개방시켜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은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개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는, 상기 상부 공급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일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개폐부재, 상기 하부 공급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개폐부재, 및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이동을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작동 조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조작부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사이에 왕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가 상기 상부 공급홀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 공급홀을 차폐시켜 상기 정량 수용관에 상기 식품재료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가 상기 상부 공급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 공급홀을 개방시켜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상부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하부 삽입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상부 공급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부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부 개폐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하부 공급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하부 연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조작부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모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작동 조작부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투입할 수 있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모두 공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량 수용관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포장용기에 저장되는 상기 식품재료의 용량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용량별로 복수개가 미리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는, 상기 식품재료를 저장한 후 상기 정량 수용관의 내부에 상기 상부 공급홀을 통해 공급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마련된 공급 호퍼, 및 상기 정량 수용관에 저장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상기 하부 공급홀을 통해 공급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된 공급 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장용기 제공기는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측에 상기 포장용기를 하나씩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포장용기 제공기와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의 작동은 서로 연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포장용기 제공기와 상기 정량 수용관 및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는, 상기 상부 공급홀들과 상기 하부 공급홀들의 형성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는, 포장용기 제공기에 의해 제공되는 포장용기에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식품재료를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정량 수용관의 교체를 통해 정량 수용관의 수용 용량을 변경하여 포장용기에 공급되는 식품재료의 정량을 설정할 수 있고, 정량 수용관의 수용 용량에 대응되는 정량의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포장용기에 공급되는 식품재료의 정량을 간편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는, 식품재료 공급기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 왕복 직선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식품재료를 정량 수용관에 정량을 투입한 후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정량의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구조이므로, 간단한 조작 및 작동 방식으로 정량의 식품재료를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포장용기에 공급할 수 있고,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미리 설정된 정량으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는, 식품재료 공급기의 상부 개폐부재와 하부 개폐부재를 왕복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부 프레임의 상부 공급홀 및 하부 프레임의 하부 공급홀을 서로 엇갈리게 개폐시키는 구조이므로, 식품재료 공급기의 작동 조작부를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시키는 간단한 조작에 의해 상부 공급홀과 하부 공급홀을 교대로 개방시켜 식품재료를 포장용기에 간편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는, 전체적인 구조를 간단하게 마련하여 취급 및 사용이 용이할 수 있고, 소규모의 매장에서도 사용하는데 부담 없으며, 다양한 종류의 식품재료를 원하는 정량으로 포장용기에 쉽게 포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과 식품재료 공급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과 식품재료 공급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100)가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100)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130)과 식품재료 공급기(15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와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하부 프레임(140)과 식품재료 공급기(15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100)는, 포장용기 제공기(110), 정량 수용관(120), 상부 프레임(130), 하부 프레임(140), 식품재료 공급기(150), 공급 호퍼(160), 공급 노즐(170), 받침대 프레임(180), 및 지지 기둥(19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식품재료(C)는 자중에 따라 정량 수용관(120)의 내부에 수용되거나 정량 수용관(120)에서 배출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식품재료(C)는 액체 형태, 분말 형태 또는 가루 형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식품재료(C)가 커피 가루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 가루 또는 곡물 가루 등과 같은 분말 형태의 식재료/식품, 찻물 또는 커피액 등과 같은 액체 형태의 식재료/식품, 점성 있는 소스 등이 식품재료(C)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이하에서 언급되는 식품재료(C)는 식품의 원료인 식재료 뿐만 아니라 완성된 형태의 식품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포장용기(10)의 상부에는 식품재료(C)를 투입한 후 밀봉시키기 위한 투입밀봉부(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포장용기(10)의 내부에는 식품재료(C)가 미리 설정된 정량으로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식품재료(C)가 커피 가루이므로, 포장용기(10)는 티백으로 마련될 수 있다. 포장용기(10)에 공급되는 식품재료(C)의 종류와 공급량에 따라 포장용기(10)는 다양한 크기와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포장용기 제공기(110)는, 식품재료(C)를 공급하기 위한 포장용기(10)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포장용기 제공기(110)는 정량 수용관(120)의 하측에 포장용기(10)를 하나씩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포장용기(10)는 공급 노즐(170)을 통해 공급되는 식품재료(C)를 공급 받도록 포장용기 제공기(110)의 내부에 투입밀봉부(12)를 개방시킨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장용기 제공기(110)는, 포장용기(10)들을 일렬로 수용하도록 형성된 용기 트레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트레이(112)는, 상면부를 개방시킨 박스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받침대 프레임(180)의 상면부를 따라 이동하도록 받침대 프레임(180)의 상면부에 안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기 트레이(112)는 포장용기(10)들을 공급 노즐(170)의 하측에 하나씩 차례로 위치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정량 수용관(120)은, 식품재료(C)를 미리 설정된 정량만 수용하도록 마련된 관형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정량 수용관(120)은 포장용기(10)의 상측에 배치되되,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정량 수용관(120)은 포장용기(10)에 공급되는 식품재료(C)의 공급량에 따라 용량별로 복수개가 미리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포장용기(10)에 저장되는 식품재료(C)의 용량에 대응하여 정량 수용관(120)을 적정 용량으로 교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량 수용관(120)은, 식품재료(C)를 수용하기 위한 관 형상의 수용관 본체(122), 수용관 본체(122)의 상단부를 후술하는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공급홀(134)에 장착시키기 위한 상부 장착링(124), 및 수용관 본체(122)의 하단부를 후술하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공급홀(144)에 장착시키기 위한 하부 장착링(126)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관 본체(122)는,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 사이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되되, 식품재료(C)의 수용 용량에 따라 다양한 지름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수용관 본체(122)의 양단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장착링(124)은 수용관 본체(122)의 상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상부 공급홀(134)에 연통되게 연결시키도록 상부 프레임(130)의 하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하부 장착링(126)은 수용관 본체(122)의 하단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하부 공급홀(144)에 연통되게 연결시키도록 하부 프레임(140)의 상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상부 프레임(130)은 정량 수용관(120)의 상부를 지지하기 위한 평판 부재이다. 상부 프레임(130)에는 정량 수용관(120)의 상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상부 공급홀(13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부 프레임(130)은, 제1 상부 프레임(131), 제1 상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된 제2 상부 프레임(132),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의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된 제3 상부 프레임(133),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 및 제3 상부 프레임(1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상부 공급홀(134), 및 후술하는 식품재료 공급기(150)의 상부 개폐부재(15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부 공급홀(134)이 형성된 부위에 홈 형상으로 마련된 상부 삽입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 및 제3 상부 프레임(130)은 층상으로 겹쳐진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삽입부(135)는 제3 상부 프레임(130)의 일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삽입부(135)는 상부 개폐부재(152)의 일단부를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의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키도록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의 사이에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부 공급홀(134)은 상부 프레임(13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상부 공급홀(134)을 상부 프레임(130)에 마련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하부 프레임(140)은, 정량 수용관(12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평판 부재이다. 하부 프레임(140)에는 정량 수용관(120)의 하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하부 공급홀(14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부 프레임(140)은, 제1 하부 프레임(141), 제1 하부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된 제2 하부 프레임(142), 제1 하부 프레임(140)과 제2 하부 프레임(140)의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배치된 제3 하부 프레임(143), 제1 하부 프레임(140)과 제2 하부 프레임(140) 및 제3 하부 프레임(1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하부 공급홀(144), 및 후술하는 식품재료 공급기(150)의 하부 개폐부재(154)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하부 공급홀(144)이 형성된 부위에 홈 형상으로 마련된 하부 삽입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140)과 제2 하부 프레임(140) 및 제3 하부 프레임(140)은 층상으로 겹쳐진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삽입부(145)는 제3 하부 프레임(140)의 일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제1 하부 프레임(140)과 제2 하부 프레임(14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삽입부(145)는 하부 개폐부재(154)의 일단부를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의 사이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시키도록 제1 상부 프레임(130)과 제2 상부 프레임(130)의 사이에 홈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하부 공급홀(144)은 하부 프레임(140)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2개의 하부 공급홀(144)을 하부 프레임(140)에 마련한 것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식품재료 공급기(150)는, 식품재료(C)를 정량 수용관(120)에 정량을 투입한 후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정량의 식품재료(C)를 포장용기(10)에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식품재료 공급기(150)는 상부 공급홀(134)과 하부 공급홀(144)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식품재료 공급기(150)는, 상부 공급홀(134)을 개방시켜 식품재료(C)를 공급 호퍼(160)에서 정량 수용관(120)에 미리 설정된 정량만 투입할 수 있고, 하부 공급홀(144)을 개방시켜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를 포장용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공급홀(134)과 하부 공급홀(144)은 식품재료 공급기(150)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개폐될 수 있다.
참고로, 포장용기 제공기(110)와 정량 수용관(120) 및 식품재료 공급기(150)는, 상부 공급홀(134)과 하부 공급홀(144)이 형성된 2 개의 위치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품재료 공급기(150)는, 상부 공급홀(134)을 개폐시키는 상부 개폐부재(152), 하부 공급홀(144)을 개폐시키는 하부 개폐부재(154), 및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의 이동을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작동 조작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개폐부재(152)의 일단부는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삽입부(135)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상부 개폐부재(152)의 일단부에는 상부 연통홀(153) 및 상부 가이드 돌기(15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연통홀(153)은 상부 개폐부재(152)를 제1 위치(L1)에 배치할 때 상부 공급홀(134)과 대응되는 부위에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가이드 돌기(152a)는 상부 개폐부재(152)의 일단부의 양측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삽입부(135)에는 상부 개폐부재(152)의 이동시 상부 가이드 돌기(152a)가 걸리는 제1 상부 걸림턱(135a)과 제2 상부 걸림턱(135b)이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상부 걸림턱(135a)과 제2 상부 걸림턱(135b) 및 상부 가이드 돌기(152a)는 상부 개폐부재(152)의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를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상부 개폐부재(152)가 제1 위치(L1)를 향해 이동되면 상부 가이드 돌기(152a)가 제1 위치(L1)에서 제1 상부 걸림턱(135a)에 걸려 정지될 수 있고, 상부 개폐부재(152)가 제2 위치(L2)를 향해 이동되면 상부 가이드 돌기(152a)가 제2 위치(L2)에서 제2 상부 걸림턱(135b)에 걸려 정지될 수 있다.
하부 개폐부재(154)의 일단부는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삽입부(145)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하부 개폐부재(154)의 일단부에는 하부 공급홀(155) 및 하부 가이드 돌기(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연통홀(155)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2 위치(L2)에 배치할 때 하부 공급홀(144)과 대응되는 부위에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가이드 돌기(154a)는 하부 개폐부재(154)의 일단부의 양측에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삽입부(145)에는 하부 개폐부재(154)의 이동시 하부 가이드 돌기(154a)가 걸리는 제1 하부 걸림턱(145a)과 제2 하부 걸림턱(145b)이 서로 다른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하부 걸림턱(145a)과 제2 하부 걸림턱(145b) 및 하부 가이드 돌기(154a)는 하부 개폐부재(154)의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를 설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즉, 하부 개폐부재(154)가 제1 위치(L1)를 향해 이동되면 하부 가이드 돌기(154a)가 제1 위치(L1)에서 제1 하부 걸림턱(145a)에 걸려 정지될 수 있고, 하부 개폐부재(154)가 제2 위치(L2)를 향해 이동되면 하부 가이드 돌기(154a)가 제2 위치(L2)에서 제2 하부 걸림턱(145b)에 걸려 정지될 수 있다.
작동 조작부(156)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력이 입력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조작부(156)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의 타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조작부(156)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 및 제2 위치(L2)의 사이에 왕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가 작동 조작부(156)를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위치(L1)에서는 상부 개폐부재(152)가 상부 공급홀(134)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하부 개폐부재(154)가 하부 공급홀(144)을 차폐시켜 정량 수용관(120)에 식품재료(C)를 투입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위치(L2)에서는 상부 개폐부재(152)가 상부 공급홀(134)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하부 개폐부재(154)가 하부 공급홀(144)을 개방시켜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를 포장용기(10)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동 조작부(156)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조작 패널(157), 및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가 파지하도록 조작 패널(157)에 마련된 조작 손잡이(15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손잡이(158)가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에 의해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시켜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 또는 제2 위치(L2)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교대로 배치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급 호퍼(160)는, 식품재료(C)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부 공급홀(134)을 통해 정량 수용관(120)의 내부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공급 호퍼(160)는 상부 프레임(130)의 상면부에 마련되되,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공급홀(134)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 호퍼(160)는, 식품재료(C)를 저장한 후 상부 공급홀(134)로 안내하도록 상부 공급홀(134)을 향해 수렴하는 깔대기 형상으로 마련된 호퍼 본체(162), 및 호퍼 본체(162)의 상부를 덮도록 호퍼 본체(162)에 결합된 호퍼 커버(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공급 노즐(170)은, 정량 수용관(120)에 저장된 식품재료(C)를 포장용기(10)의 내부에 하부 공급홀(144)을 통해 공급하는 노즐 부재이다. 상기와 같은 공급 노즐(170)은 하부 프레임(140)의 하면부에 마련되되,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공급홀(144)과 연통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급 노즐(170)은 하부 공급홀(144)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거나 하부 공급홀(144)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받침대 프레임(180)은, 정량 공급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평판 부재이다. 받침대 프레임(180)은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에 평행하도록 정량 공급 장치(100)의 설치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지지 기둥(190)은,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 및 받침대 프레임(180)을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이다. 지지 기둥(190)은 상부 프레임(130)과 하부 프레임(140) 및 받침대 프레임(18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개에 서로 이격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 기둥(190)들의 상단부에는 상부 프레임(130)이 연결 지지될 수 있고, 지지 기둥(190)들의 중간부에는 하부 프레임(140)이 연결 지지되며, 지지 기둥(190)들의 하단부에는 받침대 프레임(180)이 연결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 방법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식품재료(C)를 공급 호퍼(160)의 내부에 투입 및 저장시키고, 포장용기(10)를 용기 트레이(112)의 내부에 복수개를 배치시킨다.
상기와 같은 용기 트레이(112)는 포장용기(10)를 공급 노즐(170)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받침대 프레임(180)의 상면부를 따라 적정 위치에 이동시킨다.
도 1과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가 작동 조작부(156)를 제1 위치(L1)를 향해 이동시켜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에 배치시킨다.
즉,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는, 작동 조작부(156)에 의해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삽입부(135) 및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삽입부(145)를 따라 제1 위치(L1)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가 제1 위치(L1)로 이동되면, 상부 개폐부재(152)의 상부 가이드 돌기(152a)가 상부 삽입부(135)의 제1 상부 걸림턱(135a)에 걸려 상부 개폐부재(152)의 제1 위치(L1)를 설정하고, 하부 개폐부재(154)의 하부 가이드 돌기(154a)가 하부 삽입부(145)의 제1 하부 걸림턱(145a)에 걸려 하부 개폐부재(154)의 제1 위치(L1)를 설정한다.
이때, 상부 개폐부재(152)의 상부 연통홀(153)은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공급홀(13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상부 공급홀(134)을 개방시키고, 하부 개폐부재(154)의 하부 연통홀(155)은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공급홀(144)과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여 하부 공급홀(144)을 차폐시킨다.
따라서, 공급 호퍼(160)에 저장된 식품재료(C)는 정량 수용관(120)의 내부 공간에 완전히 채워질 때까지 상부 공급홀(134)을 통해 정량 수용관(120)에 투입되고, 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정량의 식품재료(C)가 정량 수용관(120)의 내부에 수용된다. 다만, 하부 공급홀(144)은 차폐된 상태이므로, 정량 수용관(120)의 내부에 투입된 식품재료(C)가 공급 노즐(170)로 배출되지 않는다.
도 1과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가 작동 조작부(156)를 제2 위치(L2)를 향해 이동시켜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2 위치(L2)에 배치시킨다.
즉,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는, 작동 조작부(156)에 의해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삽입부(135) 및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삽입부(145)를 따라 제2 위치(L2)를 향해 슬라이딩 이동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가 제2 위치(L2)로 이동되면, 상부 개폐부재(152)의 상부 가이드 돌기(152a)가 상부 삽입부(135)의 제2 상부 걸림턱(135b)에 걸려 상부 개폐부재(152)의 제2 위치(L2)를 설정하고, 하부 개폐부재(154)의 하부 가이드 돌기(154a)가 하부 삽입부(145)의 제2 하부 걸림턱(145b)에 걸려 하부 개폐부재(154)의 제2 위치(L2)를 설정한다.
이때, 상부 개폐부재(152)의 상부 연통홀(153)은 상부 프레임(130)의 상부 공급홀(134)과 어긋나는 위치에 배치하여 상부 공급홀(134)을 차폐시키고, 하부 개폐부재(154)의 하부 연통홀(155)은 하부 프레임(140)의 하부 공급홀(144)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하여 하부 공급홀(144)을 개방시킨다.
따라서, 정량 수용관(120)에 저장된 정량의 식품재료(C)는 하부 공급홀(144)과 공급 노즐(170)을 통해 포장용기(10)의 내부에 모두 공급된다. 다만, 상부 공급홀(134)은 차폐된 상태이므로, 공급 호퍼(160)에 저장된 식품재료(C)가 정량 수용관(120)의 내부에 투입되지 않는다.
한편, 정량 공급 장치(100)의 사용자는 작동 조작부(156)를 이용하여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와 제2 위치(L2) 사이에 반복적으로 왕복 이동시키되, 그와 함께 용기 트레이(112)를 이동시켜 빈 상태의 포장용기(10)를 공급 노즐(170)의 하측에 순차적으로 위치시키면서 정량의 식품재료(C)를 복수개의 포장용기(10)에 각각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정량의 식품재료(C)가 공급된 포장용기(10)들의 투입밀봉부(12)를 밀봉시켜 식품재료(C)의 포장 제품을 완성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200)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7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100)과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200)이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식품재료(C)의 정량 공급 장치(100)와 상이한 점은, 식품재료(C)의 원활한 공급을 위한 구조가 공급 호퍼(260)에 추가로 마련된다는 점이 상이하고, 아울러 포장용기 제공기(210)와 식품재료 공급기(250)의 작동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 호퍼(260)는 호퍼 본체(162), 호퍼 커버(164), 및 호퍼 피더(262)를 포함할 수 있다.
호퍼 본체(162) 및 호퍼 커버(164)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호퍼 본체(162) 및 호퍼 커버(164)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호퍼 피더(262)는 호퍼 본체(162)의 내부에 저장된 식품재료(C)를 상부 공급홀(134)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커피 가루와 같은 식품재료(C)는, 호퍼 본체(162)의 내부에 장시간 저장되거나 습기가 외부에서 침투됨에 따라 호퍼 본체(162)의 내부에 덩어리 형태로 뭉쳐져 고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식품재료(C)가 호퍼 본체(162)에서 정량 수용관(120)으로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퍼 피더(262)는, 호퍼 본체(162)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이송 스크류(264), 및 이송 스크류(264)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호퍼 커버(164)의 내부에 마련된 스크류 모터(2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스크류(264)는 호퍼 피더(262)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부 공급홀(134)의 상측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 모터(266)는 호퍼 커버(164)의 내부에 배치되되, 이송 스크류(264)의 상단부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스크류(264)가 스크류 모터(266)에 의해 회전되면, 호퍼 본체(162)의 내부에 저장된 식품재료(C)가 이송 스크류(264)에 의해 강제적으로 상부 공급홀(134)에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호퍼 피더(262)는 이송 스크류(264)와 스크류 모터(266)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량 공급 장치(200)의 설계 조건 및 식품재료(C)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호퍼 피더(262)는 호퍼 본체(162)의 내부에 저장된 식품재료(C)에 진동을 제공하기 위한 진동 발생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호퍼 피더(262)는 호퍼 본체(162)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포장용기 제공기(210)는 용기 트레이(112) 및 트레이 이송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트레이(112)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용기 트레이(112)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트레이 이송부(212)는 용기 트레이(112)를 적정 시점에 원하는 방향으로 자동 이송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트레이 이송부(212)는 용기 트레이(112)를 이송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송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트레이 이송부(212)는, 용기 트레이(112)의 하부와 연결되고 용기 트레이(112)의 이송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 이송 벨트(214), 및 이송 벨트(214)를 작동시키도록 이송 벨트(214)에 마련된 이송 풀리(216)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트레이(112)는, 이송 벨트(214)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고, 이송 풀리(216)의 작동시 이송 벨트(214)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식품재료 공급기(250)는 상부 개폐부재(152), 하부 개폐부재(154), 및 작동 조작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개폐부재(152) 및 하부 개폐부재(154)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상부 개폐부재(152) 및 하부 개폐부재(154)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그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작동 조작부(252)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작동 조작부(156)와 다르게 외부 동력을 이용하여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 또는 제2 위치(L2)에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작동 조작부(252)에는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구동부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 조작부(252)가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작동 조작부(252)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의 타단부와 연결되는 조작 패널(253), 조작 패널(253)에 마련된 조작 돌기(254), 작동 조작부(252)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255), 및 구동 모터(255)의 구동력을 조작 돌기(254)로 전달하는 구동 링크(25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링크(256)는 구동 모터(255)의 회전축(255a)와 조작 돌기(254)의 선단부 사이에 동력 전달 가능하게 마련된 복수개의 링크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구동 모터(255)는 작동 조작부(252)와 트레이 이송부(212)를 서로 연동시키도록 트레이 이송부(212)와 연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구동 모터(255)의 회전축(255a)에는 연동 풀리(257)이 마련될 수 있고, 연동 풀리(257)와 이송 풀리(216)에는 연동 벨트(258)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트레이 이송부(212)는 작동 조작부(252)의 작동에 대응하여 용기 트레이(112)를 적절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조작부(252)의 작동을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의 이동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즉, 작동 조작부(252)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설정 시간을 기준으로 작동을 제어하거나,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를 감지하기 위한 용량 감지기(259)를 이용하여 용량 감지기(259)의 감지값을 기준으로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작동 조작부(252)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2 위치(L2)에서 제1 위치(L1)로 이동시킨 후 제1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정량의 식품재료를 정량 수용관(120)에 투입할 수 있고,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에서 제2 위치(L2)로 이동시킨 후 제2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를 포장용기(10)에 모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조작부(252)는 제1 설정시간과 제2 설정시간을 통해 정량 공급 장치(2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조작부(252)는,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2 위치(L2)에서 제1 위치(L1)로 이동시킨 후 식품재료(C)의 투입량을 감지하여 정량의 식품재료(C)를 정량 수용관(120)에 투입할 수 있고, 상부 개폐부재(152)와 하부 개폐부재(154)를 제1 위치(L1)에서 제2 위치(L2)로 이동시킨 후 식품재료(C)의 수용량을 감지하여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를 포장용기(10)에 모두 공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 조작부(252)는 용량 감지기(259)의 감지값을 통해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의 수용량을 측정하여 정량 공급 장치(200)의 작동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용량 감지기(259)는 정량 수용관(120)에 수용된 식품재료(C)의 수용량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로서, 식품재료(C)의 종류에 따라 광센서, 초음파 센서, 수위 센서, 정전용량센서, 중량센서 등에서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포장용기
100, 200: 정량 공급 장치
110, 210: 포장용기 제공기
120: 정량 수용관
130: 상부 프레임
140: 하부 프레임
150, 250: 식품재료 공급기
160, 260: 공급 호퍼
170: 공급 노즐
180: 받침대 프레임
190: 지지 기둥
L1: 제1 위치
L2: 제2 위치
C: 식품재료

Claims (11)

  1. 식품재료가 저장되는 포장용기를 제공하는 포장용기 제공기;
    상기 포장용기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식품재료를 미리 설정된 정량만 수용하는 정량 수용관;
    상기 정량 수용관의 상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정량 수용관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상부 공급홀이 형성된 상부 프레임;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연통되게 연결되기 위한 하부 공급홀이 형성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마련되고,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정량을 투입한 후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공급하는 식품재료 공급기;
    를 포함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는, 상기 상부 공급홀을 개방시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미리 설정된 정량만 투입하고, 상기 하부 공급홀을 개방시켜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로 공급하며,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은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에 의해 서로 엇갈리게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는,
    상기 상부 공급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일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 개폐부재;
    상기 하부 공급홀을 개폐시키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단부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하부 개폐부재; 및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이동을 위한 조작력이 입력되는 작동 조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작부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제1 위치 및 제2 위치의 사이에 왕복 이동시키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가 상기 상부 공급홀을 개방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 공급홀을 차폐시켜 상기 정량 수용관에 상기 식품재료를 투입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가 상기 상부 공급홀을 차폐시킴과 아울러 상기 하부 개폐부재가 상기 하부 공급홀을 개방시켜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상부 삽입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기 위한 하부 삽입부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개폐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가 상기 제1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상부 공급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상부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개폐부재의 일단부에는 상기 하부 개폐부재가 상기 제2 위치에 배치될 때 상기 하부 공급홀과 대응되는 부위에 하부 연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작부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1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투입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제2 설정시간 동안 배치하여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모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조작부는,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식품재료의 투입량을 감지하여 정량의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정량 수용관에 투입하고,
    상기 상부 개폐부재와 상기 하부 개폐부재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식품재료의 수용량을 감지하여 상기 정량 수용관에 수용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에 모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 수용관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포장용기에 저장되는 상기 식품재료의 용량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용량별로 복수개가 미리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재료를 저장한 후 상기 정량 수용관의 내부에 상기 상부 공급홀을 통해 공급하도록 상기 상부 프레임에 마련된 공급 호퍼; 및
    상기 정량 수용관에 저장된 상기 식품재료를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에 상기 하부 공급홀을 통해 공급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마련된 공급 노즐;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 제공기는 상기 정량 수용관의 하측에 상기 포장용기를 하나씩 연속적으로 공급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포장용기 제공기와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의 작동은 서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11.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급홀과 상기 하부 공급홀은,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포장용기 제공기와 상기 정량 수용관 및 상기 식품재료 공급기는, 상기 상부 공급홀들과 상기 하부 공급홀들의 형성 위치에 각각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KR1020200112911A 2020-09-04 2020-09-04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KR1024380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11A KR102438088B1 (ko) 2020-09-04 2020-09-04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911A KR102438088B1 (ko) 2020-09-04 2020-09-04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1230A true KR20220031230A (ko) 2022-03-11
KR102438088B1 KR102438088B1 (ko) 2022-08-29

Family

ID=8081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911A KR102438088B1 (ko) 2020-09-04 2020-09-04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0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367A (ko) * 2022-02-04 2023-08-11 전병진 식료품 자동 분배장치
CN116986044A (zh) * 2023-09-26 2023-11-03 河南裕农食品有限公司 一种定量分装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352A (ko) * 1996-12-10 1998-09-15 김영귀 정량의 재료 투입 및 배출장치
KR200299019Y1 (ko) * 2002-10-04 2003-01-14 주식회사 아이에프 포장기의 내용물 정량 공급장치
KR200335109Y1 (ko) 2003-09-20 2003-12-03 민태희 커피분말 정량 공급장치
KR100947300B1 (ko) 2009-03-13 2010-03-11 (주)진보엔지니어링 무전원 정량공급형 약품투입장치
KR20150012558A (ko) 2013-07-25 2015-02-04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분말 정량 공급 시스템
KR102052546B1 (ko) * 2018-03-07 2019-12-05 이익재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5352A (ko) * 1996-12-10 1998-09-15 김영귀 정량의 재료 투입 및 배출장치
KR200299019Y1 (ko) * 2002-10-04 2003-01-14 주식회사 아이에프 포장기의 내용물 정량 공급장치
KR200335109Y1 (ko) 2003-09-20 2003-12-03 민태희 커피분말 정량 공급장치
KR100947300B1 (ko) 2009-03-13 2010-03-11 (주)진보엔지니어링 무전원 정량공급형 약품투입장치
KR20150012558A (ko) 2013-07-25 2015-02-04 (주) 루켄테크놀러지스 분말 정량 공급 시스템
KR102052546B1 (ko) * 2018-03-07 2019-12-05 이익재 분배공급물 분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18367A (ko) * 2022-02-04 2023-08-11 전병진 식료품 자동 분배장치
CN116986044A (zh) * 2023-09-26 2023-11-03 河南裕农食品有限公司 一种定量分装装置
CN116986044B (zh) * 2023-09-26 2023-12-19 河南裕农食品有限公司 一种定量分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088B1 (ko) 202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4017B2 (ja) フォイル・バッグに食品を充填する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2438088B1 (ko) 식품재료의 정량 공급 장치
US9540123B2 (en) Packaging machine and method for filling bags
KR102334364B1 (ko) 맞춤형 커피의 혼합물을 얻기 위한 장치 및 방법
RU2012139428A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фейного напитка, картридж упаковки молотого кофе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такой системой,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посредством упомянутой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 подачи молотого кофе из упомянутого картриджа упаковки молотого кофе
CN104587862B (zh) 配肥机
JP2012140181A (ja) 少なくとも2つの製品、特に顆粒状の医薬製品をカプセルなどに充填する充填方法及び充填機
CN106821063A (zh) 佐料机
US20190357720A1 (en) Apparatuses for loading portafilters of espresso coffee machines with doses of ground coffee having predetermined weights and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coffee, according to given recipes
KR101086279B1 (ko) 떡 정량 포장장치
EP3592649B1 (en) Dosing device for feeding an infusion product
KR20170119024A (ko) 얇은 가쓰오부시의 소용량 포장장치 및 그 포장방법
US6595245B1 (en) Method and a machine for metering products, in particular liquids, and for filling containers with the metered products
KR101243461B1 (ko) 물티슈 포장 장치
KR101519306B1 (ko) 시럽 약제 포장장치
EP1908687A1 (en) Vertical packaging machine with high-speed volumetric batching unit
CN208947643U (zh) 包装装置及鲜米机
KR200477545Y1 (ko) 화장품용 파우더 충전장치
CN219707367U (zh) 一种瓜蒌子定量包装装置
RU38726U1 (ru) Роторный дозатор
RU2259313C1 (ru) Шнековый дозатор
SU1613379A1 (ru) Способ объемного дозирован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KR101340655B1 (ko) 소포장 분말제품의 자동판매 장치
SU1009903A1 (ru) Объемный дозатор дл сыпучих и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EP2452563B1 (en) Apparatus for filling a bakery product and its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