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796B1 -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796B1
KR100787796B1 KR1020010003175A KR20010003175A KR100787796B1 KR 100787796 B1 KR100787796 B1 KR 100787796B1 KR 1020010003175 A KR1020010003175 A KR 1020010003175A KR 20010003175 A KR20010003175 A KR 20010003175A KR 100787796 B1 KR100787796 B1 KR 1007877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toene
weight
uvb
spf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3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1988A (ko
Inventor
정지헌
이강태
김성우
조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010003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796B1/ko
Publication of KR20020061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1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7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7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피토엔과 일반적인 UVB 차단제를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토엔을 함유함으로써 일광보호인자(SPF)를 상승시켜 자외선으로부터 피부, 모발을 보호하는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Photoprotective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phytoene}
본 발명은 자외선 조사에 대한 피부 또는 모발 보호를 위한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은 피부암, 피부노화 등 피부에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320-400㎚의 장파 자외선(UVA), 280-320㎚의 중파 자외선(UVB), 200-280㎚의 단파 자외선(UVC)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외선에 의해 생성된 활성 산소종에 의해 항산화 시스템이 파괴되어 방어능력이 저하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아 피부 노화 현상 등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UVB는 UVA에 비해 1000배 이상의 강한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서 피부 홍반 및 일광 화상 등과 같은 피부조직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일광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벤질리덴캄포, 신나민산, 2-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벤질살리실레이트와 같은 아크릴레이트, 신나메이트 유도체, 이미다졸 유도체, 살리실레이트 유도체 등의 다양한 UVB 차단제를 사용하고 있 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UVB 차단제는 효능 및 광안정성에 있어서 만족할 만 하지 못하여 광차단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피토엔과 일반적인 UVB 차단제를 함유함으로써 일광보호인자(SPF: Sun Protection Factor)가 향상된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은 피토엔을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해 0.001-10.0중량%, 바람직하게 0.05-5.0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UVB 차단제와 피토엔을 함유함으로써 UVB 광 차단 효과를 상승 개선시키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UVB 차단제는 280-320㎚에서 흡수 최대치를 갖는 물질로 하기와 같다.
- 아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4-메칠벤질리덴캄포(파솔5000), 3-벤질리덴캄포, 캄포벤즈알코늄, 설포벤질리덴캄포, 설포메칠벤질리덴캄포 등
- 신나메이트 유도체, 예를 들면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파솔MCX), 에톡시에틸메톡시신나메이트, 디에탄올아민메톡시신나메이트(파솔하이드로), 이소아밀메톡시신나메이트등 실록산에 결합된 신남산 유도체
- 벤즈말로네이트기를 함유하는 오가노 실록산 화합물
- 안료, 예를 들면 미립자화된 TiO2등. '미립자화된'이란 용어는 약 5-200nm, 특히 15-100nm의 입자 크기를 지칭한다. TiO2입자는 알루미늄 또는 지르코늄 산화물과 같은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올, 메티콘,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알킬실란과 같은 유기 피복물에 의해 피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복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 되어있다.
- 이미다졸 유도체, 예를 들면 2-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 및 그의 염(파솔HS), 2-페닐벤즈이미다졸설폰산의 염은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모폴린염, 아민염 등의 알카리염
- 살리실레이트 유도체, 예를 들면 이소프로필벤젠살리실레이트, 벤질살리실레이트, 부틸살리실레이트 등
- 트리아졸 유도체, 예를 들면 옥틸트리아졸, 디옥틸부트아미도트리아졸 등
- 디벤조일메탄 유도체, 예를 들면 디메톡시디벤조일메탄, 이소프로필디벤조일메탄 등
-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 안료, 예를 들면 미립자화된 ZnO등. '미립자화된'이란용어는 5-200nm, 특히 15-100nm의 입자 크기를 지칭한다. ZnO 입자는 알루미늄, 지르코늄 산화물과 같은 금속산화물 또는 폴리올, 메티콜, 알루미늄스테아레이트, 알킬실란과같은 유기 피복물에 의해 피복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피복물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피토엔은 카로티노이드 화합물의 일종으로 항산화력이 우수할 뿐 아니라 뛰어난 UVB 흡수와 안정성을 나타내며 가시광선에 의한 변색이 없는 물질로 280-320㎚의 UVB 영역에서 흡수 최대치를 갖는다.
상기 피토엔은 화장료 총중량에 대해 0.001-10.0중량%, 바람직하게 0.05-5.0중량%로 함유됨으로써 일반적인 UVB 차단제의 보호효과를 증가시킨다.
상기 UVB 차단제와 피토엔을 함유하는 광차단 조성물은, 특히 피부 보호용 제조물 및 매일 쓰는 화장품용 일광 차단물의 제조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하기와 같이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피토엔은 파솔 1789, 티노소브 M, ZnO등의 통상적인 UVA 차단제와 조합될 수 있고, 이를 혼입하는 동안 UVB 차단제와도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10중량%의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함유하는 일광 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10중량%의 옥틸메톡시 신나메이트(파솔MCX)를 함유하는 일광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25중량%의 미립자화된 TiO2를 함유하는 일광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4중량%의 4-메틸벤질리덴캄포(파솔5000)를 함유하는 일광 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10중량%의 2-에틸헥실-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옥토크릴렌,파솔340)를 함유하는 일광 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5중량%의 파솔 1789를 함유하는 일광 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10중량%의 티노소브 M을 함유하는 일광 차단 조성물
-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0.5-10중량%의 피토엔과 0.5-20중량%의 미립자화된 ZnO를 함유하는 일광차단 조성물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아래의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표 1은 실시예에서 선택된 약어 및 상표명으로 다음과 같다. 배합량은 중량%로 나타낸다.

아라셀 P135 ICI 판매 글리세롤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아라몰 E ICI 판매 PEG-30 디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아라몰 HD ICI 판매 헵타메틸노난
BHT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브리즈(BRIJ)72 ICI 판매 POE-2-스테아릴알콜
세티올 LC 헨켈판매 카프릴레이트
세틸알코올 헨켈판매
쿠티나(CUTINA)HR 헨켈팜매 수소화 피마자유
에데타(EDETA)BD 바스프 판매 EDTA-2Na
엘라코스C26 악조노벨판매 하이드록시옥타코스아닐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핀솔 TN 피네텍스판매 C12-15 알킬벤조에이트
켈트롤 켈코판매 크산탄검
라네트 헨켈판매 스테아릴알콜
니파긴 M 니파판매 메틸파라벤
PEG2 스테아레이트 크로라판매 디에틸렌글리콜모노스테아레이트
페물렌 TR-1 굿리치판매 아크릴레이트 가교중합체
페트롤륨젤리 위트코판매 페트롤락텀
사톨 기바우단-루르판매 올레일알콜
실시예: 일광차단용 O/W 로션의 제조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아라몰 E 5.00 5.00 5.00 5.00 5.00 5.00 5.00
아라몰 HD 5.00 5.00 5.00 5.00 5.00 5.00 5.00
브리즈 72 3.00 3.00 3.00 3.00 3.00 3.00 3.00
브리즈 721 2.00 2.00 2.00 2.00 2.00 2.00 2.00
UV 필터 피토엔 5.00 - 2.5 - 2.5 - 2.5
파솔MCX - 5.00 2.5 - - - -
TiO2 - - - 5.00 2.5 - -
폴리실록산A - - - - - 5.00 2.5
아라셀 P135 0.50 0.50 0.50 0.50 0.50 0.50 0.50
라네트 5.00 5.00 5.00 5.00 5.00 5.00 5.00
스테아르산 1.50 1.50 1.50 1.50 1.50 1.50 1.50
실비옹오일 1.00 1.00 1.00 1.00 1.00 1.00 1.00
BHT 0.10 0.10 0.10 0.10 0.10 0.10 0.10
페노닙 0.60 0.60 0.60 0.60 0.60 0.60 0.60
탈염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크산검1%용액 6.00 6.00 6.00 6.00 6.00 6.00 6.00
프로필렌글리콜 4.00 4.00 4.00 4.00 4.00 4.00 4.00
우모단 P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제조 방법:
1) UV필터를 함유하는 유기상을 75℃로 가열하고, 상기 유기상에 75℃로 예비 가열된 수성상을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2) 생성된 유화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시험예: 일광보호인자 측정
본 발명의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과 기존의 UVB 차단제에 대해 일광보호인자(SPF)를 측정하여 광 차단 정도에 대해 알아보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일광보호인자는 디피 및 롭슨의 문헌(J. SOC. COSME. CHEM 40, 127-133, 1989)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UV필터 시험관내 SPF 예상 SPF 상승
실시예 1 피토엔 5% 15.2
실시예 2 파솔MCX 5% 11.3
실시예 3 피토엔 2.5%+파솔MCX 2.5% 19.8 13.3 49%
실시예 4 TiO2 5% 1.3
실시예 5 피토엔 2.5% +TiO2 2.5% 16.0 8.3 94%
실시예 6 폴리실록산A 5% 3.4
실시예 7 피토엔 2.5%+폴리실록산A 2.5% 12.3 9.3 32%

※ 시험관내 SPF: 5회 측정의 평균값
예상 SPF: 피토엔을 함유한 실시예 1과 일반적인 UVB 차단제를 함유한 실시예 2, 4, 6의 시험관내 SPF 값을 더하고 2로 나누어 계산한 값
상승: 예상 SPF로부터 시험관내 SPF의 편차(%)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토엔과 UVB 차단제를 조합한 실시예의 SPF는 각각의 SPF에 비례하지 않는 증가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필터 조합물의 SPF는 단일 필터의 성능으로부터 계산된 값에 매우 가깝게 나타나나,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3, 5,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 UVB 차단제에 피토엔을 함유함으로써 SPF가 상승,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즉, 피토엔을 함유함으로써 일반적인 UVB 차단제의 보호 효과를 놀랍게 증가시킴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수중 유적형 일광 차단 로션
부분 성 분 % W/W
A 브리즈 72 3.00
브리즈 721 2.00
PEG2 스테아레이트 0.25
피토엔 2.50
파솔 MCX 7.50
세틸알콜 1.00
세티올 LC 7.00
에데타 BD 0.10
페노닙 0.60
B 탈염수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5.00
니파긴 M 0.15
KOH(10%용액) pH7로 조절하는 양
제조 방법:
1) UV필터를 함유하는 유기상 A를 75℃로 가열하고 이어서 75℃로비 가열된 수성상 B를 교반하면서 첨가한다.
2) 10% KOH 용액으로 pH 7로 조정하고, 생성된 유화액을 주위 온도로 냉각시킨다.
제조예 2: 실리콘중 물 일광 차단 유화액
부 분 성 분 % W/W
A 실리콘 1401 10.00
실리콘 3225C 10.00
B 피토엔 5.00
TiO2 5.00
ZnO 2.00
핀솔브 TN 5.00
에데타 BD 0.10
페노닙 0.60
C 탈염수 To 100
프로필렌글리콜 3.00
염화나트륨 4.00

제조 방법:
1) 부분 A의 성분을 실온에서 혼합한다.
2) 균질해질 때 상기 1)에 부분 B의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하면서 85℃로 예비 가열한다.
3) 상기 2)에 부분 C의 성분을 첨가하고 온화한 터빈 교환 후에 빠른 터빈을 교반하면서 천천히 점진적으로 75℃로 예비 가열한 후 전체 혼합물을 40℃로 냉각시킨다.
4) 수분 손실량을 보충하고 주위 온도로 냉각시키면서 교반을 계속 하고, 제조물을 균질화기에 3회 통과시킨다.
제조예 3: 립스틱
성 분 % W/W
피토엔 2.00
파솔 MCX 2.00
사톨 20.00
리시놀 12.00
쿠티나 HR 3.00
텍스왁스 MH181 30.00
바셀린오일 To 100
페트롤륨젤리 11.00
실리콘 200/100cs 3.50
프로필렌글리?? 3.00
BHT 0.02
에데타 BD 0.02
제조 방법:
1)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성분을 교반하면서 85℃로 가열한다.
2) 균질해질 때까지 고온의 제조물을 주형에 붓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은 일반적인 UVB 차단제에 피토엔을 함유함으로써 광 차단 효과가 상승 개선되어 자외선 조사에 따른 피부 노화, 피부 홍반, 일광 화상 등을 감소시켜 피부 및 모발을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광차단 조성물에 있어서,
    화장용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내에 옥틸메톡시신나메이트, 산화티탄, 폴리실록산A 중 하나의 중파자외선(UVB) 차단제와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피토엔은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해 0.001-10.00중량%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3. 삭제
  4. 삭제
KR1020010003175A 2001-01-19 2001-01-19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KR1007877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175A KR100787796B1 (ko) 2001-01-19 2001-01-19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3175A KR100787796B1 (ko) 2001-01-19 2001-01-19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988A KR20020061988A (ko) 2002-07-25
KR100787796B1 true KR100787796B1 (ko) 2007-12-21

Family

ID=27692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3175A KR100787796B1 (ko) 2001-01-19 2001-01-19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7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98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1198A (ko) * 2001-01-15 2002-07-24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레티놀과 카로티노이드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1988A (ko) 2002-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0442B2 (ja) 新規な不溶性s−トリアジン誘導体とuv遮蔽剤としてのその用途
EP1025836A1 (en) Cosmetic light screening composition
KR101061289B1 (ko) 무기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642842T3 (es) Compuestos de éster de ácido benzoico, usos y procedimientos relacionados con los mismos
US8858922B2 (en) Broad spectrum UVA stable, non-toxic, zinc oxide based complex
ES2126410T7 (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 4-terc-butil-4'metoxidibenzoilmetano, un derivado de 1,3,5-triazina y un (alfa-ciano)-beta-difenil-acrilato de alquilo y sus usos.
JP2003510453A (ja) 光感受性遮蔽剤のuv照射に対する安定性を改良する方法
KR20090014336A (ko) 자외선 차단 화장료
US10485748B2 (en) Composition comprising cyclodextrin as uv- and ir-radiation screen agent
US6518451B2 (en) Diesters of naphthalene dicarboxylic acid
ES2452694T3 (es) Composiciones que contienen un derivado de triazina y un derivado de benzoato de arilalquilo; utilización en cosmética
US20210000704A1 (en)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itanium dioxide particles for ir protection
JPH11292748A (ja) ジベンゾイルメタン、ベンゾフェノン及びトリアジンの各誘導体を含む日焼け防止化粧品組成物
KR100684367B1 (ko) 자외선차단 폴리실세스퀴옥산 구형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RU2138245C1 (ru) Космет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защиты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от ультрафиолетовых лучей, способ косметической защиты кожи и/или волос от ультрафиолетового излучения, агент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фотопос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ей пигменты диоксида титана,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фотопосинения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ей пигменты на основе диоксида титана
EP0832641A2 (en) Derivatives of bezoxazole useful as uv stabilizers
EP3463259B1 (en) Sunscreen compositions
KR100787796B1 (ko) 피토엔을 함유하는 화장용 광 차단 조성물
EP2938320B1 (en) A sunscreen composition comprising fatty acid and non-ionic linear polymer
US5639446A (en) Derivatives of benzoxazole useful as UV stabilizers
US6165451A (en) Cosmetic light screening composition
US20170007519A1 (en) Sunscreen composition
EP2313069B1 (en) Novel cosmetic or dermatological compositions
EP2042158A1 (en) Use of alpha olefin copolymers as photostabilizing agents in sunscreen compositions
US20090053154A1 (en) Mixtures of ethylhexyl p-methoxycinnamate and ethylhexyl salicy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