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421B1 -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421B1
KR100787421B1 KR1020010063214A KR20010063214A KR100787421B1 KR 100787421 B1 KR100787421 B1 KR 100787421B1 KR 1020010063214 A KR1020010063214 A KR 1020010063214A KR 20010063214 A KR20010063214 A KR 20010063214A KR 100787421 B1 KR100787421 B1 KR 100787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ray tube
cathode ray
base cap
fasten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288A (ko
Inventor
추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421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01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 H05K7/1402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comprising clamping or extracting means for securing or extracting printed circuit 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1CRT monitor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을 고정할 때에 실리콘 본딩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그리고 착탈이 용이하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음극선관의 단부에 리드 핀이 외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에 중공의 돌출부를 가지되, 상기 돌출부의 내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 베이스 캡과, 상기 베이스 캡의 단부 및 상기 리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극선관에 결합될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회로기판용 소켓과, 상기 베이스 캡의 돌출부 내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와, 그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갖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캡의 돌출부와 상기 체결 부재의 몸체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printed circuit board for CRT}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의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의 분해 측단면도.
도 4는 도 3의 고정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극선관 12: 리드 핀
20: 베이스 캡 22: 돌출부
24,54: 나사 홈 30: 회로기판용 소켓
32: 삽입 홀 40: 회로기판
42: 체결구멍 50: 체결부재
52: 몸체 56: 머리부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로기판의 고정시에 실리콘 본딩을 사용하지 않고도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설치 및 분리를 간소화하고, 동시에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회로기판을 고정하는 방법으로는 네크부의 리드핀들을 보호하도록 형성된 베이스 캡과, 이 베이스 캡의 형상에 대응하여 리드핀 및 베이스 캡의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회로기판용 소켓을 이용하였다. 곧, 먼저 회로기판용 소켓을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에 용접, 고정시키고, 네크부에 장착된 베이스 캡을 이 회로기판용 소켓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렇게 베이스 캡과 회로기판용 소켓의 체결만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은 음극선관의 크기가 대형화할 경우에는 적용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게 된다. 곧, 대형 TV 수상기나 모니터 장치용 음극선관의 경우,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에 방열판 등이 부착되어 회로기판의 무게가 늘어나게 되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회로기판용 소켓에 베이스 캡을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서 상기 회로기판이 베이스 캡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회로기판을 부착한 후에 실리콘 본딩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리콘 본딩 공정의 추가는 작업공수를 추가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고정방법 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예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08-96732호에는 베이스 캡의 선단을 갈고리 형으로 하여 이를 회로기판에 미리 형성한 구멍에 삽입시켜 고정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0-233181호에는 베이스 캡의 단부를 회로기판의 구멍에 삽입시키고 회로기판의 반대편에서 걸림핀을 사용하여 체결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에 의하면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베이스 캡과 회로기판을 삽입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나, 상기와 같은 갈고리 형상이나, 걸림핀을 사용할 경우에는 그 체결부의 치수(공차)가 정확히 제어되어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베이스캡과 회로기판 사이에 공간이 떠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하여 회로기판이 흔들릴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들은 체결은 쉬워도 분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연속적으로 착탈을 수행할 경우에는 그 체결부의 피로 및 마모에 의하여 베이스 캡과 회로기판의 고정력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을 고정할 때에 실리콘 본딩을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착탈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단부에 리드 핀이 외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에 중공의 돌출부를 가지되, 상기 돌출부의 내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 베이스 캡과, 상기 베이스 캡의 단부 및 상기 리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극선관에 결합될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회로기판용 소켓과, 상기 베이스 캡의 돌출부 내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와, 그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갖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캡의 돌출부와 상기 체결 부재의 몸체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돌출부 내면의 나사홈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캡의 전체 길이보다 작고,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홈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보다는 크거나 같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 캡의 상기 음극선관에 부착되는 부분의 지름은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의 외부 표면에는 요철 또는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의 몸체는 중공인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음극선관(10)의 단부, 곧 음극선관(10)의 네크부 단부에는 전자총의 각 전극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복수개의 리드 핀(12)이 융착되어 있다. 이 리드 핀(12)들은 네크부의 단부에 몰입되어 설치되어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가하여지는 적은 충격에도 리드핀이 몰입된 네크부의 단부가 깨어지거나 리드핀(12)들 상호간의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리드 핀(12)들을 보호하고, 그 절연 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음극선관(10)의 단부에 베이스 캡(20)을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이 베이스 캡(20)이 설치된 음극선관(10)에 회로기판(40)을 고정하기 위하여 베이스 캡(20)에 회로기판용 소켓(30)이 결합된다. 이 때, 회로기판용 소켓(30)은 회로기판(40)에 이미 용접될 수 있으며, 회로기판(40)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42)을 통하여 반대편에서 체결부재(50)가 삽입되어 회로기판용 소켓(30)을 지나 베이스 캡(20)과 체결되어 회로기판(40)을 보다 견고히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베이스 캡(20)은 중심부에 중공의 돌출부(22)를 구비하며, 그 주위를 따라 방사상으로 홀이 천설되어 리드 핀(12)들이 외부로 관통,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 이, 음극선관(10)에 베이스 캡(20)이 결합된 후에는 리드 핀(12)들이 베이스 캡(20)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베이스 캡(20)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는 리드핀을 보호하기 위하여 차단부(26)가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40)에 용접 등에 의하여 부착되는 회로기판용 소켓(30)에는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삽입홀(32)이 형성되며, 이 삽입홀(3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리드 핀(12)들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정 홈(34)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이스 캡(20)에 차단부(26)가 설치될 경우에는 이 차단부(26)에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편(3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삽입 홀(32)의 위치에 대응되어 회로기판(40)에는 체결구멍(42)이 천설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회로기판(40)의 후면으로부터 상기 체결구멍(42)을 통해 체결부재(50)가 삽입되는 데, 체결부재(50)는 원통상의 몸체(52)와 그 일단에 형성된 머리부(56)로 구비될 수 있다. 몸체(52)의 외면에는 상기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에 형성된 나사 홈(24)에 대응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홈(54)이 형성되도록 한다. 몸체(52)는 중공의 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이 체결부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의 후면으로부터 베이스 캡에 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데, 곧,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길이의 몸체(52)의 일단부에 원판상의 머리부(56)를 형성하고, 이 머리부의 외부 표면에는 요철 또는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57)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철 또는 홈(57)은 외부에서 상기 체결부재를 손쉽게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 다. 그리고, 몸체(52)의 표면에는 소정길이의 나사홈(54)을 형성하고, 머리부(56)의 중앙부에는 구멍(58)을 형성할 수 있다. 머리부(56)를 판상으로 형성한 것은 고정된 회로기판(40) 외부로 노출되는 체결부재(50)의 부피가 작도록 함으로써 캐비닛의 내부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체결부재(50)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40)의 체결구멍(42)을 지나 회로기판(40)에 부착된 회로기판용 소켓(30)의 삽입 홀(32)에 삽입되는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에 체결된다. 따라서 회로기판용 소켓(30)의 삽입 홀(32)의 직경은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의 외경보다 커야 한다. 그리고, 회로기판(40)에 형성된 체결구멍(42)의 직경은 체결부재(50)의 몸체(52)의 외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이보다 커야 하고,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돌출부(22)의 외경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회로기판용 소켓(30) 내에서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와 체결부재(50)가 결합된다. 이때,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의 나사홈(24)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L1)는 체결부재(50)의 몸체(52)에 형성된 나사홈(54)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L2)보다 길거나 같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베이스 캡(20)을 회로기판(40)의 후면으로부터 체결부재(50)가 고정시키는 것이므로, 체결부재(50)의 나사 홈(54)의 길이가 더 길어 체결되지 않은 나사 홈 부분이 남게 되면 그 결합이 견고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들 나사 홈부들(24,54)의 길이(L1,L2)는 베이스 캡(20)의 길이(L)보다는 짧게 한다.
체결부재(50)의 머리부(56)의 지름(D2)은 베이스 캡(20)의 하부 최대 지름(D1)과 같거나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체결부재(50)의 몸체(52)는 중공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 내에 음극선관(10)의 배기관(14) 단부 봉입부가 존재하며, 이와의 접촉에 의해 견고한 체결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림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회로기판(40)에 형성된 체결구멍(42)에 맞추어 회로기판용 소켓(30)을 회로기판(40)의 일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하고, 여기에 음극선관(10)에 결합된 베이스 캡(20)이 삽입되어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가 회로기판(40)의 체결구멍(42)에 맞닿거나 체결구멍(42) 내로 삽입되도록 한 후, 체결부재(50)로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체결부재(50)의 몸체(52)에 형성된 나사홈(54)의 길이가 베이스 캡(20)의 돌출부(22) 내부의 나사홈(24)의 길이보다 작거나 같도록 함으로써 결합은 보다 견고히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본딩을 실시하지 않고도 음극선관의 베이스 캡과 회로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둘째, 베이스 캡 및 이 베이스 캡과 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체결부재가 나사식 결합방식을 체택하여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셋째, 체결부재의 나사홈 길이를 베이스 캡의 나사홈 길이보다 짧거나 같도 록 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회로기판을 고정시킬 수 있다.
넷째, 회로기판을 그 후면에서 고정시키는 체결부재의 머리부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캐비닛 내부길이를 줄임으로써 최종제품의 고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음극선관의 단부에 리드 핀이 외부로 관통되도록 결합되고 중앙부에 중공의 돌출부를 가지되, 상기 돌출부의 내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된 베이스 캡;
    상기 베이스 캡의 단부 및 상기 리드 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음극선관에 결합될 회로기판에 부착되는 회로기판용 소켓; 및
    상기 베이스 캡의 돌출부 내면에 형성된 나사 홈에 대응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 홈이 외면에 형성된 몸체와, 그 단부에 형성된 머리부를 갖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 캡의 돌출부와 상기 체결 부재의 몸체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에 형성된 구멍을 사이에 두고 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내면의 나사홈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 캡의 전체 길이보다 작고, 상기 체결부재의 나사홈이 형성된 부분의 길이보다는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캡의 상기 음극선관에 부착되는 부분의 지름은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의 지름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머리부의 외부 표면에는 요철 또는 직경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는 판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의 몸체는 중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KR1020010063214A 2001-10-13 2001-10-13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KR100787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214A KR100787421B1 (ko) 2001-10-13 2001-10-13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214A KR100787421B1 (ko) 2001-10-13 2001-10-13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88A KR20030031288A (ko) 2003-04-21
KR100787421B1 true KR100787421B1 (ko) 2007-12-26

Family

ID=29564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214A KR100787421B1 (ko) 2001-10-13 2001-10-13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4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769A (ja) * 1993-12-27 199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固定構造および組立て方法
JPH11111415A (ja) * 1997-08-11 1999-04-23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陰極線管のソケットと、そのソケットを採用した陰極線管組立体
JPH11298827A (ja) * 1998-04-10 1999-10-29 Nec Data Terminal Ltd ブラウン管の固定構造および方法
KR20010001933A (ko) * 1999-06-09 2001-01-05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소켓의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3769A (ja) * 1993-12-27 1995-07-28 Mitsubishi Electric Corp 表示装置ならびにその固定構造および組立て方法
JPH11111415A (ja) * 1997-08-11 1999-04-23 Samsung Display Devices Co Ltd 陰極線管のソケットと、そのソケットを採用した陰極線管組立体
JPH11298827A (ja) * 1998-04-10 1999-10-29 Nec Data Terminal Ltd ブラウン管の固定構造および方法
KR20010001933A (ko) * 1999-06-09 2001-01-05 구자홍 영상표시기기의 브라운관과 영상부 기판과의 연결을 위한 소켓의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288A (ko) 2003-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2756B1 (ko) 차량 루프 안테나 장착용 조립체
KR930004800B1 (ko) 회로기판 설치장치
US6142788A (en) Cable connector and monitor equipped with the same
KR100787421B1 (ko) 음극선관용 회로기판의 고정장치
JP3976335B2 (ja) 可撓性ケーブルを円筒開口部に取り付ける装置と、その装置を備えた高圧変圧器
US6325340B1 (en) Spacer and mounting structure for lead wire employing the same
JP3340788B2 (ja) 電子部品
JPS6039993Y2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におけるブラウン管基板の保持装置
KR200363143Y1 (ko) 모니터의 수상관네크 고정장치
CN217591406U (zh) 一种固定装置和电子设备
CN110164668B (zh) 绝缘终端
CN216478369U (zh) 低压断路器用紧固螺栓
US20060280576A1 (en) Boss assembly having multiple spinning parts, a method of mounting the boss assembly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boss assembly
KR200200896Y1 (ko) 음극선관용 지지장치
KR200156665Y1 (ko) 음극선관의 베이스 캡
KR0138113Y1 (ko) 튜너 보호용 케이블 고정구
JP3972458B2 (ja) 係止構造及び部品取付具
CN109616813B (zh) 一种侧装结构及其安装方法及接地环侧装的刻蚀装置
KR960006263Y1 (ko) 텔레비젼의 음극선관 지지구
KR1006837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277850Y1 (ko) 씨알티 소켓
KR200245532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유동방지구조
JP3343669B2 (ja) フライバックトランス固定構造
KR200157896Y1 (ko) 플라이백 트랜스포머의 페라이트 코아 고정장치
KR100425131B1 (ko) 영상표시소자의 인쇄회로기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