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212B1 -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 Google Patents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7212B1
KR100787212B1 KR1020060094798A KR20060094798A KR100787212B1 KR 100787212 B1 KR100787212 B1 KR 100787212B1 KR 1020060094798 A KR1020060094798 A KR 1020060094798A KR 20060094798 A KR20060094798 A KR 20060094798A KR 100787212 B1 KR100787212 B1 KR 100787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cut
roll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대왕철강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왕철강 (주) filed Critical 대왕철강 (주)
Priority to KR1020060094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7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7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7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6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 divided sleeve or ring clamping around the pipe-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5/00Corrugating tubes
    • B21D15/04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 B21D15/06Corrugating tubes transversely, e.g. helically annular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파형강관을 수밀이 보장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된 파형강관을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후 양 선단을 평면 가공하여 마감시트로 감은 후 체결밴드로 감아 수밀이 보장되도록 연결하는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파형강관(10)의 양 선단을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의 사이에 공급하여 돌부(11)와 홈부(12)를 연결 평면(14)으로 가공하며, 상기 연결 평면(14)에 마감시트(30)를 감고 체결밴드(20)로 감아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파형강관, 연결 평면, 마감시트, 체결밴드, 절단면

Description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Corrugated steel pipe pipe using connection processing and that a method of coupling}
도 1 은 종래 일반적인 파형강관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일반적인 파형강관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파형강관 연결 평면을 가공하는 상태를 나타낸 가공상태도
도 4 는 본 발명을 파형강관 연결 평면을 가공하는 상태의 측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연결가공이 완료된 상태의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체결밴드의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체결밴드의 분리상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파형강관을 연결한 상태의 일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형강관 11 : 돌부
12 : 홈부 13 : 절단면
14 : 연결 평면 15 : 내부 로울러
16 : 외부 로울러 17 : 안내 로울러
18 : 가이드대 20 : 체결밴드
21 : 채널 22 : 볼트
23 : 너트 30 : 마감시트
일반적으로 강관(Steel Plate)에 나선형 파형을 형성하면서 나선상으로 말아 성형한 파형강관(corrugated steel pipe)은 높은 외압강도와 내구성 및 시공성이 우수하여 각종 생활오수 등의 배출을 안내하는 흄관 대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관은 시공될 길이에 따라 여러 개를 필요로 하므로 시공시에는 생산된 파형강관(10)의 절단면(13)을 마주하도록 하고, 절단면(13)의 양측에 연결부재를 융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으로 연결하였다.
종래의 파형강관 연결방법으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198028호(이중 피이시이트 피복 파형강관 연결용 플랜지 접합구조)와 같이 각각 반쪽으로 분할되어 서로 하나가 될 경우 링 형상을 갖도록 합성수지재로 된 두 개의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두 개의 연결부재로서 파형강관의 연결부인 끝단 바깥둘레면을 서로 마주본 상태로 감싸는 단계와, 상기 파형강관의 안쪽둘레면 중 연결부재쪽 안쪽둘레면을 가열하여 연결부재의 파형강관 접촉부가 용융되면서 융착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로 연결한다.
그러나 연결부재의 성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가며, 분할된 두 개의 연결부재로서 파형강관의 연결부인 끝단 바깥둘레면을 가열할 때 반드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해 두 개의 연결부재를 지지하여 주어야만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두 연결부재가 파형강관에 융착 고정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두 연결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접촉면은 완전히 융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틈새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므로 두 개의 파형강관을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사용할 때 수밀상태가 오래도록 지속하지 못하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번호 제339759호는 파형강관 연결구로, 파형강관 연결구는 연결하고자 하는 양측의 파형강관에 각각 끼워지는 고무재 패킹링과 고무재 패킹링을 지지하는 플라스틱제 이음관 본체들과, 이들을 연결하는 고정덮개를 설치한다.
공개특허 제2003-775505호에는 흄관 파이프 연결구로, 내측면이 흄관의 형상을 갖도록 요철을 형성하는 돌출부를 갖고 외측면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며 돌출부를 따라서 수축판이 삽입되어 가열 수축되면서 흄관 파이프를 연결하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이 파형강관(흄관 포함)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는 단순히 외주면에 연질의 패킹을 가압하여 결합력 및 밀착력을 제공하고 있으나, 외주면에 굴곡을 갖는 홈부(12)와 돌부(11)에 균일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누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연결된 파형강관에 패킹을 삽입하고 이를 가압하여 결합하게 되므로 시공성이 좋지 못하고, 연결부품 간의 결합구조가 견고하지 못하여 지반변화로 인 한 부등침하, 진동, 열에 의한 팽창 및 수축, 높은 수압과 워터해머 등에 의해 강관의 길이방향으로 가압이나 비틀어짐이 발생하면 쉽게 이탈되는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생산된 파형강관의 양 선단을 평면으로 성형한 후 절단면을 서로 맞대기하여 마감시트로 감아 놓고서 체결밴드로 감아 마감시트의 접촉면이 평활하게 성형되어 수밀이 보장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파형강관의 양 선단에 형성한 홈부와 돌부를 평면으로 가공하는 가공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코일로 감겨진 철판을 공급하여 파형강관 성형장치로부터 돌부(11)와 홈부(12)가 나선형으로 성형하여 파형강관(10)을 성형한다.
성형한 파형강관(10)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면(13)과 같이 절단하여 다음 과정으로 공급한다.
다음 과정으로 공급한 파형강관(10)은 외부 로울러(16)와 내부 로울러(15)의 사이에 공급하되, 가공할 깊이만큼 공급한다.
상기 외부 로울러(16)는 내부 로울러(15)에 비하여 더 크게 설치되어 있으며, 내부 로울러(15)의 양측면에서 상측으로 안내 로울러(17)를 설치하되 가이드대(18)에 의하여 지지가 되도록 하는 평면 성형장치(19)를 설치한다.
상기 안내 로울러(17)는 파형강관(10)이 공급된 후 가이드대(18)에 의하여 이동되어 파형강관(10)의 내경을 외측으로 지지하여 원주방향으로 안정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평면 성형장치(19)에 의하여 성형하는 파형강관(10)의 연결 평면(14)은 외부 로울러(16)와 내부 로울러(15)를 통하여 돌부(11)와 홈부(12)가 평활하게 성형하는 것이다.
연결 평면(14)을 평활하게 성형하면 절단면(13)이 도금되지 않은 부분이 노출되므로 주변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한 페인팅 또는 코팅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성형한 파형강관(10)은 보관하는 것이며, 사용하기 위한 용도로 매설하는 경우에는 파형강관(10)의 절단면(13)을 맞대기하고 연결 평면(14)에 열수축시트 또는 부드러운 재질의 마감시트(30)를 감고 열수축시트의 경우 가열하여 열수축이 되도록 하고 그 외측으로 체결밴드(20)를 감아 채널(21)에서 다수의 볼트(22)와 너트(23)로 체결하여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코일로 공급하는 강판을 공급하여 강관 성형장치에서 돌부(11)와 홈부(12)가 나선형으로 성형 되도록 하여 파형강관(10)을 성형한다.
파형강관(10)은 연속해서 성형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소정의 길이로 절단면(13)을 절단한다.
절단한 파형강관(10)은 다음 공정의 평면 성형장치(19)에 공급하여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의 선단면 일부를 도 3 과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한다.
파형강관(10)을 삽입하면 내부 로울러(15)를 하강시켜 파형강관(10)의 내경을 지지하고, 양측의 가이드대(18)에 연결한 안내 로울러(17)를 이송시켜 파형강관(10)의 내경 양쪽을 지지하도록 세팅한다.
이와 같이 세팅이 완성되면 내부 로울러(15) 또는 외부 로울러(16) 및 내, 외부 로울러(15, 16)를 모두 회전시키면서 내부 로울러(15)를 하측으로 이송시키면 돌부(11)와 홈부(12)의 요철이 서서히 펼쳐지게 되며, 결국에는 연결 평면(14)과 같이 일자형태로 평활하게 펼쳐지게 된다.
파형강관(10)의 한쪽에 연결 평면(14)이 형성되면 평면 성형장치(19)를 해체하고 반대편에서 또 다른 평면 성형장치를 이용하여 파형강관(10)의 반대쪽에서 연결 평면(14)을 성형한다.
연결 평면(14)이 성형 되면 파형강관(10)의 내경이나 외경은 생산시부터 부식이 방지되도록 도금 또는 코팅이 이루어진 것이므로 절단면(13)의 주변에 부식을 방지하는 도금 또는 코팅작업을 수행하여 보관한다.
파형강관(10)의 매설시에는 터파기를 한 후 절단면(13)을 맞대기하여 그 외측으로 마감시트(30)를 감고 체결밴드(20)를 감아 채널(21)에서 볼트(22)와 너 트(23)로 체결하는 것이다.
상기 체결밴드(20)는 채널(21)을 하나 또는 3개까지의 범위에서 자유롭게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파형강관 성형과정
코일로 감겨진 금속판을 공급하여 파형강관 성형장치에서 돌부(11)와 홈부(12)를 나선형으로 성형한 파형강관(10)을 성형한다.
(2). 절단과정
나선형으로 성형한 파형강관(10)을 절단장치에서 필요한 소정의 길이(일반적으로 6m)로 절단면(13)과 같이 절단한다.
(3). 연결 평면 성형과정
절단한 파형강관(10)을 평면 성형장치(19)에 공급하여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의 사이에 파형강관(10)의 선단부를 공급한 후 내, 외부 로울러(15, 16)를 회전시키면서 내부 로울러(15)를 눌러 돌부(11)와 홈부(12)가 평활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연결 평면(14)을 파형강관(10)의 양측면에 성형한다.
여기서 평면 성형장치(19)는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의 사이에 파형강관(10)을 공급하고 안내 로울러(17)가 파형강관(10)의 양측을 내경에서 지지하므로 돌부(11)와 홈부(12)가 사라지고 연결 평면(14)을 성형한다.
(4). 절단면 부식 방지과정
절단면(13)이 절단되어 노출되므로 부식이 쉽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면(13)의 주변을 페인팅한다.
(5). 마감시트 감는 과정
파형강관(10)을 연결하는 경우 절단면(13)이 맞닿도록 하여 마감시트(30)를 감는다.
(6). 체결과정
마감시트(30)의 외측으로 체결밴드(20)를 감아 채널(21)의 양측을 볼트(22)와 너트(23)로 체결하여 조임력을 가해서 파형강관(10)을 연결한다.
본 발명은 생산된 파형강관의 양 선단을 평면으로 성형한 후 절단면을 서로 맞대기하여 마감시트로 감아 놓고서 체결밴드로 감아 마감시트의 접촉면이 평활하게 성형 되므로 마감시트가 평면 상태에서 체결되므로 수밀이 안전하게 보장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파형강관의 양 선단에 형성한 홈부와 돌부를 평면이 되도록 가공하는 가공방법을 통하여 파형강관을 평활한 부분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연결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3)

  1.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돌부(11)와 홈부(12)가 나선형으로 성형 되며 절단면(13)을 절단하여 연결하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10)의 양 선단을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의 사이에 공급하여 돌부(11)와 홈부(12)를 연결 평면(14)으로 가공하며, 상기 연결 평면(14)에 마감시트(30)를 감고 체결밴드(20)로 감아 수밀이 유지되도록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2.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돌부(11)와 홈부(12)가 나선형으로 성형 되며 절단면(13)을 절단하여 연결하는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절단한 파형강관(10)을 평면 성형장치(19)에 공급하여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의 사이에 파형강관(10)의 선단부를 공급한 후 내, 외부 로울러(15, 16)를 회전시키면서 내부 로울러(15)를 눌러 돌부(11)와 홈부(12)가 평활하게 펼쳐지도록 하여 연결 평면(14)을 파형강관(10)의 양측면에 성형하는 연결 평면 성형과정과;
    절단면(13)이 절단되어 노출되므로 부식이 쉽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절단면(13)의 주변을 페인팅하는 절단면 부식 방지과정과;
    파형강관(10)을 연결하는 경우 절단면(13)이 맞닿도록 하여 마감시트(30)를 감는 과정과;
    마감시트(30)의 외측으로 체결밴드(20)를 감아 채널(21)의 양측을 볼트(22)와 너트(23)로 체결하여 조임력을 가해서 파형강관(10)을 연결하는 체결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의 연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 평면 성형과정은 내부 로울러(15)와 외부 로울러(16) 사이에 공급한 파형강관(10)의 내경 양측에서 가이드대(18)에 연결한 안내 로울러(17)로 지지하면서 연결 평면(14)을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의 연결방법.
KR1020060094798A 2006-09-28 2006-09-28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KR100787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798A KR100787212B1 (ko) 2006-09-28 2006-09-28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798A KR100787212B1 (ko) 2006-09-28 2006-09-28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7212B1 true KR100787212B1 (ko) 2007-12-21

Family

ID=39147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798A KR100787212B1 (ko) 2006-09-28 2006-09-28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721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749263B1 (ko) * 2015-09-02 2017-06-22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단부 삽입형 연결구조
KR101885149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1885151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일체형 고정부재를 갖는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85152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2581533B1 (ko) 2023-03-01 2023-09-25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4526B1 (ko) 2023-06-14 2024-05-10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517U (ko) 1979-09-22 1981-05-06
JPH04339522A (ja) * 1991-05-15 1992-1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金属パイプの端部の縮径加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0517U (ko) 1979-09-22 1981-05-06
JPH04339522A (ja) * 1991-05-15 1992-11-2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金属パイプの端部の縮径加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334B1 (ko) * 2012-03-07 2012-08-10 영남산업 주식회사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1749263B1 (ko) * 2015-09-02 2017-06-22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관 단부 삽입형 연결구조
KR101885149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1885151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일체형 고정부재를 갖는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제조방법
KR101885152B1 (ko) 2018-02-27 2018-09-10 대왕철강 (주)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KR102581533B1 (ko) 2023-03-01 2023-09-25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연결구조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4526B1 (ko) 2023-06-14 2024-05-10 주식회사 성훈테크 수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7212B1 (ko) 연결가공을 이용한 파형강관 및 그 연결방법
CN112549522B (zh) 一种内衬塑料管的制造设备及方法
CN101394952B (zh) 机械扩管机以及无缝钢管的制造方法
TWI702358B (zh) 端口增強環內襯塑膠管承插式金屬管的製作方法
KR20100083682A (ko) 라이닝 피복형 이중 파형강관과 라이닝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30076022A1 (en) Pipe tee
KR20110033548A (ko) 나선형 파형관용 이음장치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EP2700861B1 (en) Connection method for thin wall metal pipe and pipe joint
JP5944570B1 (ja) 薄肉パイプの接続方法およびパイプねじ形成装置
KR20100125559A (ko) 배관 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85152B1 (ko) 고정부재 일체형 폴리우레아수지 코팅 파형강관과 그 성형장치
JP4213721B2 (ja) フレア加工用管継手と該管継手を用いた鋼管の接続工法
KR101267031B1 (ko)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KR20220114200A (ko) 플랜지형 피복파형강관의 제조방법
KR101267032B1 (ko) 플랜지 일체형 파형 강관과 그 성형장치
US20010045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bends in thermoplastic pipes
CN201041270Y (zh) 具有竖直加强肋的钢塑复合管连接结构
KR20200112232A (ko) 신축부재가 형성되는 관 연결구
KR102555361B1 (ko) 말단이 확장된 분배관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9171732U (zh) 一种大口径柔性管道电熔焊接施工防变形紧固装置
KR20100120060A (ko) 원추형 플랜지 파형강관, 원추형 연결밴드와 원추형 플랜지 제조기 및 이들의 제조방법
WO2017098327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polymer lined pipes
KR200337783Y1 (ko) 배관재의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