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7200B1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Google Patents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87200B1 KR100787200B1 KR1020060088218A KR20060088218A KR100787200B1 KR 100787200 B1 KR100787200 B1 KR 100787200B1 KR 1020060088218 A KR1020060088218 A KR 1020060088218A KR 20060088218 A KR20060088218 A KR 20060088218A KR 100787200 B1 KR100787200 B1 KR 100787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se box
- box terminal
- terminal
- fixing
- fu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60—Mechanical 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 or shock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241—Structural association of a fuse and another component or apparatu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1—Mounting on appliance
- H01H2223/012—Snap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u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use box termina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도.3 is a plan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너트A가 조여지기 전의 구성을 보인 Ⅱ-Ⅱ' 선에 대한 단면도.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showing a configuration before the nut A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ghtened.
도 4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너트A가 조여진 후의 구성을 보인 Ⅱ-Ⅱ' 선에 대한 단면도.Fig. 4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showing the configuration after the nut A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ightened.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배터리 2: 배터리단자 1: battery 2: battery terminal
10: 퓨즈박스 20: 하부커버10: fuse box 20: lower cover
22: 안착부 24: 통공부22: seating portion 24: through hole
26: 펜스 28: 고정부26: fence 28: fixed portion
30: 퓨즈박스터미널 32: 결합링30: fuse box terminal 32: coupling ring
34: 삽입공 35: 연장부34: insertion hole 35: extension part
38: 연결구 40: 조임구38: End Connection 40: Tightening Port
42: 조임공 44: 챔퍼42: fastener 44: chamfer
46,48: 볼트A, 볼트B 47,49: 너트A, 너트B46,48: Bolt A, Bolt B 47,49: Nut A, Nut B
50: 버스바 60: 메인몸체50: busbar 60: main body
70: 상부커버70: top cover
본 발명은 퓨즈박스터미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차량의 퓨즈박스에 결합되는 퓨즈박스터미널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se box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xing structure of the fuse box terminal coupled to the fuse box of the vehicle.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터미널은 상기와 같이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이 인가될 수 있도록 배터리에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수단으로 사용된다. BACKGROUND ART In general, automotive batteries are mounted on vehicles regardless of gasoline or diesel, and are used as power sources for starting, ignition, lighting, and other electrical equipment of an engine. The fuse box terminal is used as an electrical connection means by being coupled to the battery so that power can be applied to the start, ignition, lighting and other electrical equipment through the cable as described above.
또한, 최근에는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퓨즈박스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퓨즈박스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Also, in recent years, as the vehicle is advanced and the electric devices inside the vehicle are complicated, a fuse box has been used a lot. The fuse box is a collection of fuses associated with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and is installed in an automobile, for example, to prevent overcurrent from flowing through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automobile.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는 배터리단자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단자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차량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해, 퓨즈박스와 연결되는 부 분이다.A battery terminal protrudes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The battery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use box to distribute power from the battery to the vehicle interior.
그리고,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는 퓨즈박스가 설치된다. 상기 퓨즈박스는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직접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단자와 연결됨으로써, 차량의 내부로 전원을 분배하게 된다. 상기 퓨즈박스의 외관 및 골격은 하부커버, 메인커버, 그리고 상부커버가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A fuse box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The fuse box is directly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thereby distributing power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he outer box and the skeleton of the fuse box are formed by combining the lower cover, the main cover, and the upper cover.
상기 하부커버는 상기 퓨즈박스의 하부골격 및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에는 퓨즈박스터미널이 장착된다.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은 상기 배터리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The lower cover forms a lower skeleton and an appearance of the fuse box and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 fuse box terminal is mounted inside the lower cover. The fuse box terminal is a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terminal, and is made of a metal material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상기 퓨즈박스 내부에는 버스바가 설치된다. 상기 버스바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함께 상기 하부커버에 안착되어,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하거나 한 시스템 내의 여러 등량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A bus bar is installed inside the fuse box. The busbar is seated on the lower cover together with the fuse box terminal, and serves to connect two or more circuits individually or to connect several isometric points in a system.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은 상기 하부커버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퓨즈박스가 상기 배터리의 상면에 안착됨과 동시에 상기 배터리단자와 결합한다. 이때,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은 별도의 체결구 등에 의해 고정되지는 않는다. The fuse box terminal is mounted inside the lower cover, and the fuse box is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ttery and coupled to the battery terminal. In this case, the fuse box terminal is not fixed by a separate fastener.
따라서, 차량의 운행 중에 발생하는 진동 등의 외력이 퓨즈박스터미널의 결합구조에 전해지면 퓨즈박스터미널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이 상기 퓨즈박스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거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회전이 발생하여 상기 퓨즈박스터미널과 상기 배터리단자 사이의 전기적 접촉이 끊 어지거나 스파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vibration generated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use box terminal, the flow of the fuse box terminal may occur. That is, the fuse box terminal flows vertically in the fuse box, or rotation occurs due to relative movement, thereby causing electrical contact between the fuse box terminal and the battery terminal to be broken or sparkin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박스터미널이 배터리단자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o allow the fuse box terminal to be firmly coupled with the battery terminal.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퓨즈박스터미널이 안착되는 안착부와,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이 상기 안착부에 고정되도록 퓨즈박스터미널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의 타측을 퓨즈박스에 고정시키는 체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seating portion to which the fuse box terminal is seated, and the fuse box terminal is fixed to the seating portion And a fastener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fuse box terminal to the fuse box.
상기 고정부는 그 재질 및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퓨즈박스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여 고정한다.The fixing part may be elastically deformed due to its material and shape, and protrudes downward from the inside of the fuse box to support and fix one side of the fuse box terminal.
상기 고정부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의 길이방향의 중심축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The fixing part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entral axi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use box terminal.
상기 안착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에 대응하여 그 일측을 감싸도록 펜스가 형성된다.A fence is formed at an edge of the seating portion so a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se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use box terminal.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은 내측에 삽입공이 형성되고, 두 개가 층을 이루어 나란히 형성되는 일단이 트인 원호형상의 결합링과, 상기 결합링의 말단으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상기 삽입공의 직경을 조절하도록 유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을 감싸 상기 퓨즈박스터미널을 상기 퓨즈박스 내부에 전 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장부의 일측을 걸어 상기 연장부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임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use box terminal has a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inner side, and two ends are formed in parallel to form a circular arc-shaped coupling ring, and the step is extended from the end of the coupling ring to control the diameter of the insertion hole An extension part formed to be possible,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use box terminal to the inside of the fuse box surrounding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and a fastener for adjust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xtension parts by walking one side of the extension par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링의 일측을 지지하고, 상기 체결구는 상기 연결구의 일측을 상기 퓨즈박스 내부에 고정한다.The fixing part supports one side of the coupling ring, and the fastener fixes one side of the connector inside the fuse box.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터미널의 고정구조에 따르면, 배터리와 퓨즈박스의 조립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퓨즈박스터미널의 유동이 방지되어 퓨즈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며, 퓨즈박스터미널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체결구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작업성이 좋아지고 제조비용이 낮아지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ixing structure of the fuse box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assembly of the battery and the fuse box, the flow of the fuse box terminal is prevented to increase the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fuse box, fixing the fuse box terminal For this purpose,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fastener, which improves workability and lowers manufacturing costs.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se box termina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퓨즈박스터미널의 너트가 결합되기 전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a 및 도 4b에는 각각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너트A가 조여지기 전·후의 구성을 보인 Ⅱ-Ⅱ' 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use box termina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constitute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before the nut of the fuse box terminal is coupled is shown in a plan view, Figure 4a and Figure 4b is a line II-II 'showing the configuration before and after the nut A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A cross section is shown.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차량에는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부품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1)에는 상기 전장부품 측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배터리단자(2)가 외부로 돌출되어 구비 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a
퓨즈박스(10)는 상기 배터리단자(2)와 연결된다. 상기 퓨즈박스(10)는 여러 전장부품과 관련된 퓨즈를 집합시켜 놓은 것으로, 예를 들어 자동차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각종 전장부품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하부커버(20)는 상기 퓨즈박스(10)의 하부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부커버(20)는 상기 배터리(1)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기 배터리단자(2)와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이 연결되도록 한다.The
상기 하부커버(20)에는 안착부(2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는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이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퓨즈박스터미널(30)의 하면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부(22)의 일측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후술할 결합링(32)이 위치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의 중앙에는, 통공부(24)가 형성되어, 이를 관통하여 상기 배터리단자(2)가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과 결합된다.A
상기 안착부(22)에는 펜스(2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펜스(26)는 상기 안착부공간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펜스(26)는 후술할 결합링(3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퓨즈박스터미널(30)이 안착부(22)에 안착되면 결합링(32)의 외주면을 감싸 퓨즈박스터미널(30)이 회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A
상기 하부커버(20)에는 고정부(28)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8)는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퓨즈박스(10) 내 부에서 퓨즈박스터미널(30)이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고정부(28)는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이 버스바(50)와 결합되는 위치의 타측, 다시 말해 후술할 결합링(32)의 일측을 지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은 일측은 후술할 버스바(50)와의 결합에 의해, 그리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28)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하방향의 유동이 방지되어 운행 중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퓨즈박스터미널(30)과 상기 배터리단자(2) 사이의 연결이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x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이 상기 안착부(22)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28)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의 길이방향 중심축 상에, 혹은 길이방향 중심축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28)는 다수 개가 형성되어, 후술할 결합링(32)을 여러 위치에서 고정할 수도 있다.Preferably, the fixing
이때, 상기 고정부(28)는 프로그래시브금형에 의해 상기 하부커버(20)의 일측으로부터 하방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고정부(28)는 그 재질 및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퓨즈박스터미널(30)은 상기 고정부(28)를 탄성병형시키면서 상기 안착부(22)에 안착되고, 안착된 후에는 다시 원상으로 복귀된다. 따라서, 퓨즈박스터미널(30)은 상기 퓨즈박스(10)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고, 장착된 후에는 상기 고정부(28)에 걸려 상기 안착부(22)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된다.At this time, the fixing
상기 안착부(22)에는 퓨즈박스터미널(30)이 장착된다. 상기 퓨즈박스터미 널(30)은 상기 배터리단자(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전기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The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는 두 개의 결합링(32)이 구비된다. 상기 두 결합링(32)은 서로 층을 이루어 나란히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각각 배터리단자(2)가 삽입되는 삽입공(34)이 형성된다. 이때,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결합링(32)은 일단이 트인 원호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트인 부분으로부터 일측으로 단차지게 연장되는 연장부(35a,35b)를 갖는다. The
상기 연장부(35a,35b)는 각각 그 말단이 조여지거나 혹은 벌어짐으로써, 상기 삽입공(34)의 직경이 작아지거나 혹은 커지도록 하여 상기 배터리단자(2)와 퓨즈박스터미널(30) 사이의 결합을 조절하게 된다. 즉, 후술할 조임구(40)에 의해 상기 연장부(35a,35b) 중 일측이 타측에 가깝게 좁혀짐에 따라, 상기 삽입공(34) 사이에 상기 배터리단자(2)가 압입된다.The
이때,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하측에 위치한 연장부(이하 연장부A라 한다)(35a)는 후술할 연결구(38)에 의해 감싸져 고정된다. 즉, 상기 연장부A(35a)는 상기 결합링(32)으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되어, 연결구(38)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At this time, when view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xtended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extension portion A) 35a located on the lower side is wrapped and fixed by the
그리고, 도면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연장부(이하 연장부B라 한다)(35b)는 후술할 조임구(40)의 절곡부(40')에 의해 그 일측이 감싸져 상기 연장부A(35a)를 향해 좁혀지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연장부B(35b)는 조임구(40)가 이동함에 따라, 고정되어 있는 상기 연장부B(35b)와의 간격이 좁혀지고, 그에 따라 상기 삽 입공(34)에 삽입된 배터리단자(2)는 조여지게 된다. 상기 연장부B(35b) 역시 상기 연장부A(35a)와 마찬가지로 상기 결합링(32)으로부터 단차지게 형성되어, 후술할 절곡부(40')에 의해 감싸진다. In addition, an extension par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tension part B) 35b positioned at an upper sid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is surrounded by a bent part 40 'of the
이때, 상기 연장부A(35a)에는 관통공(36)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36)은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볼트A(46)가 삽입되어 죄어진다. At this time, the through
상기 연장부A(35a)에는 연결구(38)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38)는 상기 연장부A(35a)와 후술할 버스바(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부분으로써, 상기 연장부A(35a)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38)의 내부에는 상기 연장부A(35a)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8)의 상면에는 후술할 조임구(40)가 이동가능하도록 안착되어, 후술할 너트A(47)를 조임에 따라 상기 연결구(38)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한다.The
상기 연결구(38)의 일측에는 체결공A(39)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A(39)는 상기 연장부A(35a)에 형성된 관통공(36)과 동축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볼트A(46)가 삽입되어 죄어진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38)의 상기 체결공A(39)이 형성된 타측에는 체결공B(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공B는 후술할 버스바(50)와의 결합을 위해 볼트B(48)가 삽입되는 부분이다. A
상기 연장부(35a,35b)에는 조임구(40)가 결합된다. 상기 조임구(40)는 상기 연장부A(35a) 및 연장부B(35b)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교하게 연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조임구(40)는 상기 연장부A(35a)를 걸어 상기 연장부B(35b)를 향해 조임으로써, 상기 배터리단자(2)를 퓨즈박스터미널(30)에 견고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 기 조임구(40)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과 마찬가지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구(40)는 상기 연장부A(35a)를 감싸도록, 상기 조임구(40)가 연장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40')를 갖는다. 즉, 상기 절곡부(40')의 내측으로 상기 연장부A(35a)가 위치하여, 후술할 너트A(47)가 조여지면 상기 연장부A(35a)는 상기 연장부B(35b)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As shown in FIG. 4A, the
이때,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조임구(40)의 상면에는 조임공(42)이 형성된다. 상기 조임공(42)은, 도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통공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너트A(47)를 조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조임공(42)의 일단은 후술할 볼트A(46)와 접하도록 형성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3, the tightening
상기 조임공(42)의 가장자리에는 챔퍼(44)가 형성된다. 도 4a에서 보듯이, 상기 챔퍼(44)는 후술할 너트A(47)에 형성된 경사부(47c)와 접하는 부분으로써, 너트A(47)가 조여져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부(47c)에 안내되어, 상기 조임구(40)가 이동하도록 한다.A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에는 볼트A(46)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A(46)는 헤드부(46a)와 상기 헤드부(46a)로부터 연장되는 몸체부(46b)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헤드부(46a)는 상기 연결구(38)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몸체부(46b)는 상기 헤드부(46a)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관통공(36), 체결공A(39), 그리고 조임공(42)을 차례로 관통한다. The
상기 볼트A(46)의 몸체부(46b)의 말단에는 너트A(47)가 결합된다. 상기 너트A(47)에는 스패너(미도시)등의 기구로 조여지는 대략 육각형의 헤드부(47a)가 형성 된다. 상기 헤드부(47a)의 하단에는 상기 조임구(40)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판(47b)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판(47b)은 상기 조임공(42)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조임구(40)의 상면에 지지된다.The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판(47b)의 하부에는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도록 경사부(47c)가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47c)는 상기 챔퍼(44)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너트A(47)가 조여짐에 따라 상기 챔퍼(44)를 가압하여, 상기 너트A(47)가 조여지는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상기 조임구(4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ure 4a, the
상기 연결구(38)는 별도의 체결구에 의해 상기 퓨즈박스(10) 내부에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체결구는 볼트B(48) 및 너트 B(49)로 구성되고, 상기 볼트B(48)에는 너트B(49)가 체결되어, 상기 연결구(38)와 후술할 버스바(5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상기 연결구(38)의 일측에는 버스바(50)가 결합된다. 상기 버스바(50)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과 함께 상기 하부커버(20)에 안착되어, 2개 이상의 회로를 개별적으로 연결하거나 한 시스템 내의 여러 등량점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버스바(50)는 상기 볼트B(48) 및 너트B(49)에 의해 상기 연결구(38)와 결합된다.The
상기 하부커버(20)에는 메인몸체(60)와 상부커버(70)가 결합되어 각종 실장부품을 차폐하고 퓨즈박스(10)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The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use box termina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먼저, 퓨즈박스터미널(30)을 하부커버(20)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부커버(20)에 형성된 안착부(22)에 퓨즈박스터미널(30)을 안착시키기 위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을 상기 하부커버(20)의 상방으로부터 삽입시킨다. 이때,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은 너트A(47) 및 너트B(49)에 의해 조여지지 않은 상태이다.First, a process of fixing the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을 안착부(22)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의 일측은 상기 고정부(28)와 접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28)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을 안착부(22)를 향해 더욱 밀게 되면, 상기 고정부(28)는 탄성변형되고,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이 통과한 뒤에는 다시 복원된다. 그리고 복원된 고정부(28)는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의 일측, 더욱 정확하게는 상기 결합링(32)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이 상하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별도의 체결구 없이도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의 일측이 고정될 수 있다.In the process of moving the
이때, 상기 결합링(32)은 상기 안착공간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링(32)의 외주면은 상기 펜스(26)에 의해 감싸지게 되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은 좌우측으로 회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At this time, the
상기 하부커버(20)에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이 장착되면, 상기 버스바(50)를 상기 연결구(38)와 결합시킨다. 즉, 상기 버스바(50)의 말단이 상기 연결구(38)에 안착되도록 한 후에, 상기 너트B(49)를 조여 상기 버스바(50)와 연결구(38)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버스바(50)와 퓨즈박스터미널(30) 역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버스바(50)에 의해 상기 연결구(38)가 지지되므로,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 역시 퓨즈박스(10) 내부에 고정된다. When the
다음으로,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 및 버스바(50)가 장착된 상기 하부커버(20)를 상기 배터리(1)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배터리단자(2)가 상기 통공부(24)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링(32)에 형성된 삽입공(34)에 삽입되도록 한다. Next, the
상기 하부커버(20)가 상기 배터리(1)의 상면에 안착되면, 상기 너트A(47)를 조여준다. 이때,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A(46)는 그 헤드부(46a)가 상기 연결구(38)의 내부에 위치하여 고정되어 있는데 반해, 상기 조임구(40)는 상기 연결구(38)의 상면에서 이동가능한 상태로 구비된다. When the
따라서, 상기 너트A(47)를 조이게 되면 상기 너트A(47)는 상기 볼트A(46)의 몸체부(46b)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너트A(47)의 경사부(47c)와 상기 챔퍼(44)가 상대이동을 하여, 상기 조임구(40)는, 도면을 중심으로 보았을 때 우측으로, 다시 말해 상기 너트A(47)가 조여지는 방향과 직교하게 이동된다. Accordingly, when the
결과적으로, 상기 절곡부(40')에 의해 감싸져 있는 상기 연장부B(35b)는 상기 연장부A(35a)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삽입공(34)의 직경이 줄어들게 되어 배터리단자(2)는 상기 삽입공(34)에 압입된다.As a result, the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퓨즈박스터미널(30)은 일측은 버스바(50)와 결합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고정부(28)에 의해 고정되어 상하방향의 유동이 방지된다. 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하부커버(20)에 메인몸체(60)와 상부커버(70)를 차례로 결합시 켜 마무리한다. Then, the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박스터미널 고정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fuse box terminal fix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퓨즈박스의 내부에 고정부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는 퓨즈박스터미널의 일측을 걸어 고정시킴으로써, 퓨즈박스터미널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퓨즈박스터미널과 배터리단자 사이의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보장되어, 퓨즈박스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is formed to protrude inside the fuse box. The fixing part is fixed by hooking one side of the fuse box terminal, thereby preventing the fuse box terminal from flowing. Therefore, a stabl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use box terminal and the battery terminal is ensured, thereby increas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the fuse box.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체결구 없이, 퓨즈박스에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에 의해 퓨즈박스터미널이 고정되므로, 작업성이 좋아지고 제조비용이 낮아지는 효과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use box terminal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formed to enable elastic deformation in the fuse box without a separate fastener, workability is improved and manufacturing cost is also reduce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8218A KR100787200B1 (en) | 2006-09-12 | 2006-09-12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088218A KR100787200B1 (en) | 2006-09-12 | 2006-09-12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87200B1 true KR100787200B1 (en) | 2007-12-21 |
Family
ID=39147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88218A KR100787200B1 (en) | 2006-09-12 | 2006-09-12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8720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7808U (en) * | 1996-09-24 | 1998-07-06 | 김광호 | Fuse lock |
KR200345712Y1 (en) * | 2003-12-31 | 2004-03-25 | 신민식 | Fuse holder |
-
2006
- 2006-09-12 KR KR1020060088218A patent/KR10078720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17808U (en) * | 1996-09-24 | 1998-07-06 | 김광호 | Fuse lock |
KR200345712Y1 (en) * | 2003-12-31 | 2004-03-25 | 신민식 | Fuse holde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88441B2 (en) | Switching device | |
KR20130069858A (en) | Battery terminal with current sensor | |
JP5299698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100755031B1 (en) | Fuse box mounting structure for battery | |
US9130360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JP4412256B2 (en) | Electrical junction box | |
KR100787200B1 (en)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
KR101869547B1 (en) | Junction box | |
KR200357920Y1 (en) | structure of jig | |
KR200436538Y1 (en) | Mounting structure of busbar in fusebox | |
KR200439074Y1 (en) | Fusebox | |
JP2012038643A (en) | Battery direct-mounting fuse | |
KR102664643B1 (en) | Power supply with improved enerzization performance | |
KR101462663B1 (en) | Box for car | |
KR200429701Y1 (en)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
KR200427969Y1 (en) | Structure of fixing a fusebox terminal | |
KR100823337B1 (en) | Mounting structure of busbar | |
KR200408484Y1 (en) | Structure of joining a connection bracket | |
KR20090004245U (en) | Fuse box | |
KR102053273B1 (en) | Junction block | |
KR101909058B1 (en) | Junction box | |
KR20090063007A (en) | Battery cable terminal for vehicle | |
KR102029380B1 (en) | Junction block | |
KR200438076Y1 (en) | Structure of fixing a nut in a box | |
JP2011093400A (en) | Electrical connection box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