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934B1 - 환원수 생성장치 - Google Patents

환원수 생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934B1
KR100786934B1 KR1020050057760A KR20050057760A KR100786934B1 KR 100786934 B1 KR100786934 B1 KR 100786934B1 KR 1020050057760 A KR1020050057760 A KR 1020050057760A KR 20050057760 A KR20050057760 A KR 20050057760A KR 100786934 B1 KR100786934 B1 KR 100786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electrode
time
voltage
neg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8764A (ko
Inventor
세이고 마쓰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락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락쿠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락쿠스
Publication of KR20060048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9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cathodic or alkaline water, e.g. for reduc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5Tim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75Electrical pul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중에,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에 대한 교류전원을 구비하고 있는 환원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전극으로서 카본전극을 선택한 것에 기초한 환원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염소이온, 차아염소산 이온, 염소분자가 적은 상태에서 환원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카본 전극에 있어서의 카본 입자가 물 속에 용출하는 것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환원수, 정수, 카본, 염소, 교류, 전극, 이온, 차아염소산

Description

환원수 생성장치{An Apparatus for generating reduced water}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로서, (a)는 쌍방의 전극을 대략 동일한 높이로 설계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b)는 쌍방의 전극을 다른 높이로 설계했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전압으로서, 연속하는 정현파에 의한 교류전압을 채용함과 함께,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하여, 양(+) 직류전압을 중첩하여 인가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3(a)는, 구형파 펄스에 의한 대칭 교류전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도 2(a)에 대응하는 피크치의 이함에 따른 비대칭 교류전압을 형성하는 구형파 펄스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c)는 도 2(b)에 대응하는 시간의 상이함에 따른 비대칭 교류전압을 도시하고 있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의 숫자는, 이하의 구성 부분을 도시한다.
1 : 카본전극
2 : 용기
3 : 교류전원
본 발명은, 교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환원수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환원수를 생성하는 장치는, 이미 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물의 산화환원전위로서, 은-염화은 전극을 사용하여 측정한 것에 의한 산화환원전위의 값(ORP치)이 +200mV를 나타내는 경우가 중간치로 여겨지며, 상기 중간치보다도 낮은 전위에 의한 물은 환원수(reduced water)라 불리고 있다.
종래의 고주파 교류를 채택한 환원수 생성장치에서는, 대부분의 경우, 한 쌍의 전극에 고주파 교류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한 쌍의 전극과는 별도로, 제 3 접지 전극(전위를 영으로 하는 전극)을 사용하고, 또한 상기 한 쌍의 전극과의 사이에서 직류전압 등을 인가하는 구성을 채택하고 있지만, 상기 한 쌍의 전극에 사용하는 소재에 따라서, 환원수 생성장치의 특성이 기본적으로 좌우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일본특허 2000-84560호 공보) 및 특허문헌 2(일본특허 2002-45861 호 공보)에 나타낸 환원수 생성장치의 경우에는, 한 쌍의 전극으로서 백금도금 티탄을 채택하고 있지만, 수돗물 등의 염소를 함유하고 있는 물을 소재로 하여 나타냈을 경우에는, 염소이온, 차아염소산이온, 및 염소분자가 환원수 내에 잔류하여, 음용수로 하기에는 극히 부적합한 결과가 되지 않을 수 없다(새로이 활성탄 등의 필터를 통과시켜 정화하는 것이 필수적이게 된다).
한편, 특허문헌 3(일본특허 2002-273431 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산화물을 전극하는 고주파 교류를 사용한 환원수 생성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금속산화물이 물속에 용출 하는 것에 상관없이, 상기 용출을 구체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상기와 같은 결점을 극복하고, 첫째로는 염소이온, 차아염소산이온, 및 염소분자가 잔류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환원수를 생성할 수 있는 것, 둘째로는 전극을 구성하는 소재가 물속에 용출하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는 환원수 생성장치의 구성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 발명의 기본 구성은,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중에,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에 대한 교류전원을 구비하며, 또한 산화환원전위를 200mV보다 낮은 전위로 하는 것이 가능한 환원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전극으로서 카본전극을 선택하고, 반파정류회로와 적분회로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2세트 준비하고, 이 2세트의 직렬회로를 상호간에 접속함으로써,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 및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으로의 각 인가시간에 있어서의 인가전압의 시간적분치를 측정한 경우,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가, 음(-)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가, 음(-)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로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2) 내에 한 쌍의 카본전극(1)을 설치하고, 한 쌍의 카본전극(1) 사이에 양(+)이 되는 전 압과 음(-)이 되는 전압을 교대로 인가할 수 있는 교류전압 전원을 설치하고 있다.
한 쌍의 전극의 배치로서는, 예를 들면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동일 높이로 하는 설계, 및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전극이 다른 한쪽의 전극보다도 높은 위치로 하도록 하는 설계가 가능하며, 쌍방의 전극간의 배치 형태가 반드시 특정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a), (b)에 도시한 실시형태와 같이, 한 쌍의 카본 전극(1) 만에 의해 환원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종전의 환원수 생성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그 외에 접지 전극을 설치하는 구성을 특히 배제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삭제
카본전극(1)의 경우에는, 결정을 구성하고 있는 카본입자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고 있으며, 상기 공극 사이에 물속의 염소이온, 차아염소산이온 및 염소분자가 흡착된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서 환원수 속에 염소이온, 차아염소산이온, 염소분자가 잔류하는 정도를 다른 전극의 경우에 비하여, 저감시키는 것이라고 풀이된다.
삭제
삭제
삭제
구체적인 시간은, 인가전압 및 사용하는 카본전극(1)을 구성하는 카본의 밀도에 따라서도 상이하지만, 비교적 많이 채택되고 있는 카본 복합(composite)전극에 있어서, 양 전극의 전압의 피크치를 10V로 하는 교류의 경우, 상기 교류의 반주기(半周期)로서 50∼200sec로 설정하는 경우가 많다.
통상의 정현파에 의한 교류의 경우와 같이, 양(+)이 되는 반주기와 음(-)이 되는 반주기에 의한 전압파형이, 영(零)전위를 중심으로, 대칭이 되고 있는 통상의 교류전압(이하 "대칭 교류전압"이라 약칭한다)를 인가했을 경우에는, ORP치로서 약 0mV 정도의 환원수를 얻을 수 있다.
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에는, 전극의 주위 또는 용기(2) 속에 있어서,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이 개략적으로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와 같이, 환원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속에서 발생한 수소이온(H+)과 수산이온(OH_)중에서, 수소이온이 물속의 용존산소와 결합하여 새롭게 물을 형성하는데 비하여, 수산이온은 용존산소와 결합하여 히드록시움 이온(HO3-)을 형성할 확률이 부족하고, 물속에 잔존하는 것에 기초한 것이라고 해석된다.
그러나, 상기 기본구성과 같이, 양(+)이 되는 기간과, 음(-)이 되는 기간에 의한 전압파형이, 영전압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상태가 아니며, 더욱이 특정의 한쪽의 전극에 있어서, 양(+)이 되는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가 음(-)이 되는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보다 크고, 다른 한쪽의 전극에 있어서, 양(+)이 되는 전압의 시간적분치가 음(-)이 되는 전압의 시간적분치보다도 작아지는 교류(이하 이러한 교류를 "비대칭 교류전압"이라 약칭한다)를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 형태를 채용했을 경우에는, 더욱 ORP치를 저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기본구성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파정류회로와 적분회로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2세트 준비하고, 이 2세트의 회로를 각각 개별로 접속함으로써, 양(+)으로 되는 전압 및 음(-)으로 되는 전압의 각 적분치를 얻는 것이 가능하고, 소정의 시간에 있어서의 각 전압의 적분치의 대소관계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기본 구성을 실현하는 것은 당업자의 상식에 해당한다.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서 환원전위를 저하시킬 수 있는 근거는 반드시 분명하지는 않다.
단, 비대칭 교류전압에 기초하여, 양(+) 전압이 더 많이 인가되는 한쪽의 전극에 있어서는, 수산이온(OH-)보다 수소이온(H+)이 많이 밀집화하는데 비하여, 음(-)의 전위가 더 많이 인가되는 다른 한쪽의 전극에 있어서는, 수소이온(H+)보다 수산이온(OH-)이 많이 밀집하고, 한쪽 전극에 있어서는, 대칭 교류전압의 경우보다도, 수소이온(H+)이, 용존산소와의 결합에 의해서 새롭게 물이 생성되는 경우가 많고, 이에 비하여, 다른 한쪽의 전극에 있어서는, 대칭 교류전압의 경우보다도, 밀집한 수산 이온(OH_)이, 수소이온(H+)과 결합하지 않고 잔존하는 경우가 많아진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경우, 도 1(b)의 배치 형태를 채용하고, 또한 양(+)이 되는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가 음(-)이 되는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보다 큰 것에 의한 전압이 인가된 전극을 아래쪽에 배치했을 경우에는, 상기 전극에서 발생한 비교적 다량의 수소이온(H+)중, 물속의 수산 이온(OH_)과 결합하지 않았던 부분이, 신속하게 수소원자(H2)가 되어 공중에 방출되지 않고, 물속의 용존산소와 결합할 수 있기 때문에,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하는 경우에는, 도 1(b)와 같은 배치 형태를 선택하며, 아래쪽의 전극에 상기와 같은 전압의 인가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본구성에 있어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으로서, 연속하는 정현파에 의한 교류전압을 채용함과 함께,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하여, 양(+) 직류전압을 중첩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태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삭제
인가하는 교류전압의 파형은, 도 2와 같은 정현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형파 펄스를 채택하는 경우가 많다.
도 3(a)는, 구형파 펄스에 의한 대칭 교류전압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도 2(a)에 대응하는 피크치의 이함에 따른 비대칭 교류전압을 형성하는 구형파 펄스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c)는 도 2(b)에 대응하는 시간의 상이함에 따른 비대칭 교류전압을 도시하고 있지만, 구형파 펄스의 경우에는, 비대칭 교류전압의 생성 및 인가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ORP치가 낮은 환원수의 생성에 편리하다.
즉, 상기 기본구성에 있어서, 타임스위치기능에 의하여 개별의 시간폭을 두고, 2개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회로를 채용하고, 양(+)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와, 음(-)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를 채용하며,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방향의 각 펄스와, 음(-)방향의 각 펄스의 파고치, 단위펄스 시간폭, 및 펄스마다의 시간간격을 각각 동일하게 설정해 놓고,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인가시간이 음(-)펄스의 인가시간보다 길게 설정하고, 반대로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인가시간보다 음(-)펄스의 인가시간을 길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 3(b)에 대응하는 실시형태,
또는, 타임스위치 기능에 의하여 개별의 시간폭을 두고, 2개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회로를 채용하여, 양(+)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와, 음(-)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를 채용하며,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방향의 각 펄스와, 음(-)방향의 각 펄스의 단위펄스 시간폭, 펄스마다의 시간간격, 인가시간을 각각 동일하게 설정해 놓고,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파고치를 음(-)펄스의 파고치보다 크게 설정하고, 반대로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파고치보다 음(-)펄스의 파고치의 쪽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 3(c)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효율적으로 ORP치를 저하할 수 있다.
삭제
도 2, 및 도 3에 의한 전압은, 한 쌍의 전극사이에 있어서의 전압을 나타내고 있으며, 쌍방의 전극의 전위가 도 2, 도 3과 같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까지 필요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한 쌍의 전극 중의 한쪽 전극에 대하여, 도 2, 도 3과 같은 전위로, 다른 한쪽의 전극의 설치에 의해서 영전위가 되도록 하는 설계도 또한 당연히 채택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환원수 생성장치와 정수기를 결합했을 경우에는, 잔류 염소이온 및 잔류 소분자가 적고, 또한 중성 또는 약알칼리성의 정수된 물을 음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는, 도 3(b)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하여, 8∼20V의 파고치를 가지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2000∼4000μsec로 하고, 100∼150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30∼6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고, 동일한 구형파 펄스를 동일한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60∼12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인가시간의 상이함에 따른 비대칭 교류전압인 구형파 펄스에 대하여, 전압 및 각 인가시간을 상기와 같은 수치 한정의 범위를 채택했을 경우에는, 잔류 염소이온 또는 염소분자가 적고, 또 ORP치가 낮은 환원수를 얻을 수가 있다.
이하, 실험 결과에 입각하여 설명한다.
[실험]
파고치를 12V로 하고,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3000μsec로 하여, 125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4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한 후, 동일한 구형파 펄스를 동일한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8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에 의한 구형파 펄스에 의한 비대칭 교류전압을 선택하고 더욱이,
(a) 사전에 수돗물을 활성탄 필터에 통과시키고 나서, 한 쌍의 백금도금 티탄 전극만을 채택하고, 접지 전극을 채택하지 않은 환원수 생성장치에 수용하여, 상기 선택에 따른 구형파 펄스에 의한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
(b) 사전에 수돗물을 활성탄 필터를 통과시키지 않고, 백금도금 티탄전극에 의한 한 쌍의 전극 및 접지 전극을 가진 환원수 생성장치에, 40khz의 주파수를 가지며, 파고치를 26V로 하는 구형파 펄스에 의한 고주파 대칭 교류전압을 20분 인가했을 경우,
(c) 사전에 수돗물을 활성탄 필터에 통과시키고 나서, 한 쌍의 카본 복합(composite) 전극만을 채택하고, 접지 전극을 채택하지 않은 환원수 생성장치에, 상기 선택에 따른 구형파 펄스에 의한 비대칭 교류전압을 12분 인가했을 경우에 대하여, 잔류 염소농도 및 환원전위를 측정한 결과는 이하와 같다.
삭제
표 1
시험대상 (1) (2) (3)
시험의 종류 잔류염소농도 (ppm)※ ORP치 (mV) 잔류염소농도 (ppm)※ ORP치(mV) 잔류염소농도 (ppm)※ ORP치(mV)
샘플 1 1.0 -127 0.8 -88 0.2 -140
2 1.3 -138 0.6 -97 0.1 -139
3 1.0 -139 0.8 -106 0.2 -148
평균 1.1 -134.7 0.7 -97 0.17 -142
※ 상기 잔류 염소농도는, 염소이온의 경우와 염소분자의 경우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도 명백하듯이, 종래의 백금 도금성 티탄 전극을 채용했을 경우에는, 상기 (a) 및 (b)의 대비로부터도 명백하듯이, 접지 전극을 사용하지 않고도,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환원 전위를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지만, 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와 비교하여, 염소이온 및 염소분자의 잔류의 정도에서 상당히 뒤떨어지고 있다.
다른 한편, 상기 (a)와 (c)의 대비로부터도 명백하듯이, 동일한 구형파 펄스에 의한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에 있어서, 종래예에 의한 티탄전극의 경우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인 카본전극(1)이 약간 낮은 ORP치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잔류 염소농도에서 명백하게 카본전극(1)이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상기 (b)와 (c)의 대비로부터도 명백하듯이, 종래예의 같이, 티탄전극을 채택하고 또한 구형파 펄스에 의한 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보다도,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카본전극(1)에 있어서 구형파 펄스에 의한 비대칭 교류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쪽이 ORP치 및 잔류염소농도의 어느 쪽에서도, 낮은 값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는, 도 3(b) 및 도 3(c)에 대응하는 실시형태에 있어서, 다른 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해, 8∼20V의 파고치를 가지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2000∼4000μsec로 하고, 100∼150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30∼6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고, 15∼40V의 파고치를 가지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2000∼4000μsec로 하고, 100∼150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100∼20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양(+)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전극에 있어서, 발생하는 수소이온(H+) 및 음(-)의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전극에 있어서 발생하는 수산 이온(OH-)의 양은, 각 전압의 적분치에 비례하는 이상, 실시예 2에 있어서도, 실시예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의 실험의 경우에 준하여, 파고치를 12V로 하며, 펄스의 시간폭을 3000μsec로 하고, 125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4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한 후, 파고치를 23V로 하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3000μsec로 하고, 125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12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비대칭 교류전압을 선택하고, 본 발명의 한 쌍의 카본 전극에 인가했을 경우에는, 실시예 1의 실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잔류염소이온 또는 염소분자가 적고, 또한 ORP치가 낮은 환원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당연히 추정할 수 있는 바이다.
발명에 있어서는, 염소이온, 차아염소산 이온, 염소 분자가 적은 상태에서 환원수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기 중에, 한 쌍의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전극에 대한 교류전원을 구비하며, 또한 산화환원전위를 200mV보다 낮은 전위로 하는 것이 가능한 환원수 생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극으로서 카본(carbon)전극을 선택하고, 반파정류회로와 적분회로를 직렬로 접속한 회로를 2세트 준비하고, 이 2세트의 직렬회로를 상호간에 접속함으로써,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 및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으로의 각 인가시간에 있어서의 인가전압의 시간적분치를 측정한 경우,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가, 음(-)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가, 음(-)의 전압에 의한 시간적분치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으로서, 연속하는 정현파에 의한 교류전압을 채용함과 함께,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하여, 양(+) 직류전압을 중첩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타임스위치기능에 의하여 개별의 시간폭을 두고, 2개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회로를 채용하고, 양(+)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와, 음(-)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를 채용하며,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방향의 각 펄스와, 음(-)방향의 각 펄스의 파고치, 단위펄스 시간폭, 및 펄스마다의 시간간격을 각각 동일하게 설정해 놓고,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인가시간이 음(-)펄스의 인가시간보다 길게 설정하고, 반대로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인가시간보다 음(-)펄스의 인가시간을 길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타임스위치 기능에 의하여 개별의 시간폭을 두고, 2개의 회로를 선택할 수 있는 선택회로를 채용하여, 양(+)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와, 음(-)방향의 구형파 펄스를 발생하는 플립플롭회로를 채용하며,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방향의 각 펄스와, 음(-)방향의 각 펄스의 단위펄스 시간폭, 펄스마다의 시간간격, 인가시간을 각각 동일하게 설정해 놓고,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다른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파고치를 음(-)펄스의 파고치보다 크게 설정하고, 반대로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한 양(+)펄스의 파고치보다 음(-)펄스의 파고치의 쪽을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하여, 8∼20V의 파고치를 가지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2000∼4000μsec로 하고, 100∼150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30∼6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고, 동일한 구형파 펄스를 동일한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60∼12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파고치를 12V로 하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3000μsec로 하고, 125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고, 4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한 후, 동일한 구형파 펄스를 동일한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8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다른 한쪽의 전극으로부터 한쪽의 전극에 대하여, 8∼20V의 파고치를 가지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2000∼4000μsec로 하고, 100∼150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30∼6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고, 15∼40V의 파고치를 가지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2000∼4000μsec로 하고, 100∼150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100∼200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파고치를 12V로 하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3000μsec로 하고, 125μsec의 시간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양(+)의 전압으로 하여, 4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한 후, 파고치를 23V로 하며, 펄스의 단위시간폭을 3000μsec로 하고, 125μsec의 시간 간격에 의해서 차례로 발생하는 구형파 펄스를 음(-)의 전압으로 하여, 125sec의 인가시간에 의하여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원수 생성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50057760A 2004-08-27 2005-06-30 환원수 생성장치 KR1007869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47836A JP4085084B2 (ja) 2004-08-27 2004-08-27 還元水生成装置
JPJP-P-2004-00247836 2004-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764A KR20060048764A (ko) 2006-05-18
KR100786934B1 true KR100786934B1 (ko) 2007-12-17

Family

ID=36108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760A KR100786934B1 (ko) 2004-08-27 2005-06-30 환원수 생성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085084B2 (ko)
KR (1) KR100786934B1 (ko)
CN (1) CN100354212C (ko)
TW (1) TW2006077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06A1 (ko) * 2018-11-21 2020-05-28 유대현 살균 전극 및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0644B2 (ja) * 2007-12-28 2012-11-14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還元水生成装置および還元水生成方法
WO2010035707A1 (ja) 2008-09-25 2010-04-0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還元水ミスト発生装置及び電気機器
JP6239489B2 (ja) * 2014-11-13 2017-11-29 横浜マシンサービス有限会社 水溶性切削・研削液生成用還元電位の発生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85Y1 (ko) 1999-07-23 2000-02-15 문유환 농업용 강전해수 생성장치의 새로운 구조
JP2003220389A (ja) * 2002-01-30 2003-08-05 Kosumosu Enterp:Kk 還元水生成装置
KR200371538Y1 (ko) 2004-08-18 2005-01-07 김찬구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5361A (ja) * 1997-02-26 1998-09-08 Konica Corp 多孔質炭素電極再生式浄水器及びその再生方法
TW546257B (en) * 1999-09-01 2003-08-11 Nihon Tri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lectrolytic reduced water
CN2458288Y (zh) * 2000-12-19 2001-11-07 贺佳国 淡水电子处理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885Y1 (ko) 1999-07-23 2000-02-15 문유환 농업용 강전해수 생성장치의 새로운 구조
JP2003220389A (ja) * 2002-01-30 2003-08-05 Kosumosu Enterp:Kk 還元水生成装置
KR200371538Y1 (ko) 2004-08-18 2005-01-07 김찬구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6006A1 (ko) * 2018-11-21 2020-05-28 유대현 살균 전극 및 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85084B2 (ja) 2008-04-30
CN1762840A (zh) 2006-04-26
KR20060048764A (ko) 2006-05-18
JP2006061840A (ja) 2006-03-09
CN100354212C (zh) 2007-12-12
TW200607766A (en)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934B1 (ko) 환원수 생성장치
JP2623204B2 (ja) 水の改質方法
US6572902B2 (en) Process for producing improved alkaline drinking water and the product produced thereby
CN101468832A (zh) 电解装置、方法及包括该电解装置的洗涤设备
JP2615308B2 (ja) 水の改質方法
US20030057107A1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CN203938505U (zh) 日常用水电解制取装置及应用该装置的设备
JP3753987B2 (ja) 還元水生成装置
JP2611080B2 (ja) 水の改質方法
KR20060007369A (ko) 고전기장 전해 전지
WO2006042741A1 (en) Improved cod abatement process for electrochemical oxidation
JP2008516762A5 (ko)
JP4599369B2 (ja) 還元水生成装置
KR20130081578A (ko) 전기 재생 연수 장치 및 이의 운전방법
JP4511204B2 (ja) 還元水の生成装置
JPH11147092A (ja) 殺菌用電解槽
JP2007185613A (ja) 還元水生成装置
KR100349793B1 (ko) 오폐수 정화용 전해처리장치
KR970006466B1 (ko) 수질개선 방법 및 그 장치
KR200371538Y1 (ko) 카트리지형 수소환원수 생성장치
JP2005213620A (ja) 次亜塩素酸生成方法及び該装置
JP2547402Y2 (ja) 飲料水の改質装置
JP2006026578A (ja) 電解水生成方法及び電解水生成装置
JP2003245671A (ja) 電解水生成装置
JP3600822B2 (ja) 飲料用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