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643B1 -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643B1
KR100786643B1 KR1020070048397A KR20070048397A KR100786643B1 KR 100786643 B1 KR100786643 B1 KR 100786643B1 KR 1020070048397 A KR1020070048397 A KR 1020070048397A KR 20070048397 A KR20070048397 A KR 20070048397A KR 100786643 B1 KR100786643 B1 KR 100786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river
blocking function
guide rail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8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영
나상진
전선미
Original Assignee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자원공사 filed Critical 한국수자원공사
Priority to KR1020070048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 G01F1/662Constructional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5/00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 G01P5/24Measuring speed of fluids, e.g. of air stream; Measuring speed of bodies relative to fluids, e.g. of ship, of aircraft by measuring the direct influence of the streaming fluid on the properties of a detecting acoustical wa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00Technologies having an indirect contribution to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90/30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유속분포 측정기를 이용한 하천 유량측정에 있어 부유물이 구동장치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하천의 수문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단에 도르래가 구비된 가이드레일; 모터(motor),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나선형홈이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wire drum), 상기 와이어드럼의 일측 나선형 홈으로부터 타측 나선형 홈으로 차례로 감기며, 상기 도르래의 외주면을 따라 폐루프(closed-loop) 형태로 감긴 와이어(wire)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이동 되는 센서활차; 상기 센서활차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청소활차;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와이어드럼에 나선형 홈을 구비함으로써 순차적으로 와이어가 감길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는 가이드레일과 텐션롤러에 의해 곡선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였으며, 부유물이 많을 때에도 구동부의 구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활차 및 레일을 구성하여 하천의 유량정보 및 수질정보(BOD 등) 등을 상시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가이드레일, 구동부, 텐션롤러, 부유물차단케이스, 와이어드럼, 센서활차, 청소활차

Description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The curvedly moving device for hydrological data measurement which has a floating matter blocking function}
도 1은 종래의 하천 유량 측정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의 레일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곡선이동부의 확대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와이어드럼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하부와이어 도르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활차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센서활차와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청소활차와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또 다른 센서활차와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은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 유속분포 측정기를 이용한 하천유량측정에 있어 부유물이 구동장치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하천의 수문관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의 유량을 측정하는 방법 중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등록특허 제10-0497228호(발명의 명칭 : 초음파 유속분포 측정기를 이용한 하천유량 자동측정 시스템)가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불연속점에서도 유속을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유량 보간을 최소화하여 측정단면 대부분을 실제측량하고 보간 구간을 최소화함으 로써 실제유량을 정확하게 산출하도록 하는 초음파 유속분포 측정기를 이용한 하천유량 자동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활차(110)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데 있어서 부유물이나 물이끼가 생기면 활차(110)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고, 홍수기에는 부유물에 의해 활차에 탑재된 센서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곡선레일을 구성하지 못하여 그 설치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는 윈치(winch, 130)의 드럼에 있어서 그 역할이 단순히 와이어를 정역방향으로 감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 와이어의 길이를 측정하는데 부적합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등록특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안출한 것으로 수중에 부유하는 물체가 있을 때에도 하천의 수문관측 장치가 구동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다. 또한 종래 등록특허의 적용범위를 높일 수 있도록 곡선레일을 이용 상하이동할 수 있도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는 모터(motor),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나선형홈이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wire drum), 상기 와이어드럼의 일측 나선형 홈으로부터 타측 나선형 홈으로 차례로 감기며, 상기 도르래의 외주면을 따라 폐루프(closed-loop) 형태로 감긴 와이어(wire)를 포함하는 구동부;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가이드레일;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센서활차; 상기 센서활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정보부; 및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활차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청소활차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어느 하나의 플렌지가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고정되는 H빔, 상기 H빔의 플렌지의 단부들을 감싸는 부유물차단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은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된 기둥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렌지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기 절개부에는 솔브러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는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는 내면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싱(slide bushing)이 구비된 활차보호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의 레일조립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곡선이동부의 확대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와이어드럼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부 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하부와이어 도르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활차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센서활차와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청소활차와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마지막으로,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에서 또 다른 센서활차와 가이드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내지 도 4, 및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상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는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하단에 도르래(23)가 구비된 가이드레일(40); 모터(motor, 21), 상기 모터(21)에 의해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나선형홈(26)이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wire drum, 25), 상기 와이어드럼(25)의 일측 나선형 홈으로부터 타측 나선형 홈으로 차례로 감기며, 상기 도르래(23)의 외주면을 따라 폐루프(closed-loop) 형태로 감긴 와이어(wire, 29)를 포함하는 구동부(winch, 20);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29)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상하이동 되는 센서활차(50a, 50b);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10); 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내지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곡선이동형 레일에서 곡선부는 하기하는 활차(50)와 케이블(29)의 운동을 어렵게 하는 요소이다. 따라서 경사면을 따라 활차(50)가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롤러(24a)를 구비하여 활차(50) 및 케이블(29)의 이동경로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구동부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고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motor, 21), 상기 모터(21)에 의해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나선형홈(26)이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wire drum, 25), 상기 와이어드럼(25)의 일측 나선형홈으로부터 타측 나선형홈으로 차례로 감기며, 상기 도르래의 외주면을 따라 폐루프(closed-loop) 형태로 감긴 와이어(wire, 29)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21)는 서보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감속기(미도시)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와이어드럼(25)의 외주면에 나선형홈(26)이 구비되어 있어 와이어(29)가 감기는데 나란히 감길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드럼에 와이어가 순차적으로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하여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후 풀린정도를 유관으로 식별할 수 있으므로 상술할 활차(50a, 50b, 50c)의 상하이동높이를 예측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또한, 서보모터를 사용함으로써 제어부(10)에서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서보모터의 회전수에 따라 활차(50a, 50b, 50c)의 상하이동높이를 예측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29)는 상기 와이어드럼(25) 및 상기 도르래(23)를 연결하는 폐루프(closed-loop)형태로 감겨져 있어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가 강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가이드레일(40)사이로 와이어(29)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29)와 가이드레일(40)간의 마찰로 인한 와이어 및 가이드레일의 손상방지 및 와이어의 장력(tension)유지를 위하여 가이드레일의 직선부 및 곡선부에 다수의 텐션롤러(24, 24a, 49)를 구비한다(도3, 도5, 도11 참조).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의 하단부에 도르래(23)가 구비되며, 와이어(29)의 장력(tension)을 유지하기 위한 텐션롤러(28)를 더 구비한다. 수중의 부유물로부터 상기 도르래를 보호할 수 있도록 보호플레이트(27)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보모터(21)의 동력을 와이어드럼(25)에 전달함에 있어서 벨트전동, 체인전동 등의 다양한 동력전달매체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상술할 청소활차(50c)의 원활한 기능수행을 위해 상기 와이어드럼(25) 및 모터(21)의 일측에 스프로킷(22)을 구비함으로서 체인전동을 사용한 도면을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세 가지 형태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이에 따른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의 형상을 상술하도록 한다. 먼저 공통적으로 암벽 또는 교량의 교각과 같은 기존의 구조물을 따라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교각을 따라 설치 하는 것이 보다 용이하겠다.
첫째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어느 하나의 플렌지(47)가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고정되는 H빔, 상기 H빔의 플렌지의 단부들을 감싸는 부유물차단케이스(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H빔을 고정할 수 있도록 지지대(41)를 이용하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41)에 H빔의 어느 하나의 플렌지(47) 중앙에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후 부유물 차단케이스(46)를 H빔의 양 플렌지(47, 48)의 단부를 감싸도록 구비한다. 또한, 상기 부유물 차단케이스(46)는 지지대(41)와 연결되지 않은 타측 플렌지(48)와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있으며, 일부가 절개된 형태로 구비되어 있다.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면에 솔브러쉬(46a) 등을 부착하여 부유물이 레일 내부로 침투하거나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하천의 수중에 떠다니는 부유물을 차단함으로써 활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부유물 차단케이스(46)를 설치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이다.
둘째로, 도 7(b)또는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또 다른 가이드레일(40)은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측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된 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절개면에 솔브러쉬(46a)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가이드레일에 따른 활차의 형상을 첨부한 도면에서 도 8(a) 및 도 11을 참고로 상술하도록 한다. 센서활차(50a)는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양 플렌지(47, 48)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롤러(53a)가 구비된 센서활차(50a)는 H빔에 있어서 플렌지(47, 48)의 내면을 따라 구름이동하게 된다. 상기 센서활차(50a)에 있어서 플레이트(51a)는 플렌지(48)의 상면과 부유물차단케이스(46)의 배면사이에 위치하여 상하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부유물차단케이스(46)의 절개면사이로 정보부(3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브라켓(52a)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센서활차(50a)는 상기 브라켓(52a)의 양측 단부에 청소용판(55a)를 더 구비함으로써 상하이동시 청소의 기능을 더 갖춘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이에 따른 센서활차(50b) 및 청소활차(50c)는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서활차(50b) 및 청서활차(50c)는 내면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싱(slide bushing, 56b, 56c)이 구비된 활차보호케이스(55b, 55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8(b) 및 도 9(a)에 도시(점선으로 된 부분)된 바와 같이, 센서 활차보호케이스(55b)의 상면은 상기 센서의 신호가 활차보호케이스(55b)를 투과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계열의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청소활차(50c)는 플레이트(51c) 사이로 다수의 롤러(53c)가 구비되며, 하기하는 바와 같이 와이어(29)에 연결되어 구동부(20)의 구동에 따라 구름이동할 수 있도록 와이어 연결판(54c)이 구비되어 있음은 상기한 상기 센서활차(50b)와 극히 유사하다. 다만, 상기 청소활차(50c)는 상기 센서활차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전방에 구비되어 활차보호케이스 지지부(57)에 연결되어 활차보호케이스(55c)가 구비된 상기 청소활차(50)의 구름이동만으로 자연스럽게 레일상에 센서활차의 운동을 방해하는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정보부(30)가 불필요한 점은 상기 센서활차(50b)와는 상이하다.
각 활차(50a, 50b, 50c)에는 와이어(29)와 연결할 수 있는 와이어 연결판(54a, 54b, 54c)이 구비되어 있어 구동부(20)의 구동에 따라 각각의 활차(54a, 54b, 54c)가 상하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활차는 플레이트(51b, 51c)의 사이에 다수의 롤러(53a, 53b, 53c)를 구비함으로써 가이드레일(45a, 45b, 45c)을 따라 구름이동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슬라이드부싱(56b, 56c)은 다양한 재질로 만들 수 있을 것이나, 상기 활차(50b, 50c)와 가이드레일(45b)간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우레탄계열의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활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정보부(30)는 센서, 비디오(미도시), CCTV(미도시)중 어느 하나이며, 교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하천의 수중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또한 수중에 비디오, CCTV 등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수중 관측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와이어드럼에 나선형 홈을 구비함으로써 와이어가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가이드레일이 곡선부에도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레일에 텐션롤러를 설치하는 한편 물이끼가 생기더라도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센서활차 전방에 청소활차를 구비하여 센서활차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였다. 또한 와이어를 폐루프로 구성하여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를 강제 이동시킬수 있도록 하여 활차의 구동을 원활하게 하였다. 또한, 부유물에 따른 활차의 파손을 방지하게 위하여 활차보호케이스를 구비하거나, 활차에 부유물 차단케이스를 설치하는 등 상시 하천의 유량정보 및 수질정보(BOD 등) 등을 측정할 수 있도 록 하였다.

Claims (8)

  1. 모터(motor, 21),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그 외주면에 나선형홈이 구비되는 와이어 드럼(wire drum, 25), 상기 와이어드럼의 일측 나선형 홈으로부터 타측 나선형 홈으로 차례로 감기며, 가이드레일(40)의 하천 수중 하부측에 구비된 도르래(23)의 외주면을 따라 폐루프(closed-loop) 형태로 감긴 와이어(wire, 29)를 포함하는 구동부(20);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와이어(29)의 이동경로를 유도하는 가이드롤러(24a)를 포함하는 가이드레일(40);
    상기 와이어(29)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가이드레일(4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하는 센서활차(50a 또는 50b);
    상기 센서활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정보부(30); 및
    상기 모터(21)의 회전방향 및 회전수를 제어하는 제어부(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천 수문관측 장치는 상기 센서활차의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와이어(29)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레일(40)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청소활차(50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어느 하나의 플렌지(47)가 하천의 깊이방향으로 고정되는 H빔, 상기 H빔의 플렌지의 단부들을 감싸는 부유물차단케이스(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은 일측면이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된 기둥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는 구동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플렌지의 내측 벽면을 따라 구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40)의 상기 절개부에는 솔브러쉬(46a)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활차 및 청소활차는 내면에 한 쌍의 슬라이드 부싱(slide bushing, 56b, 56c)이 구비된 활차보호케이스(55b, 55c)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활차의 상면에 구비되는 정보부(30)는 센서, 비디오, CCTV 중 어느 하나이며, 교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차단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KR1020070048397A 2007-05-18 2007-05-18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KR100786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97A KR100786643B1 (ko) 2007-05-18 2007-05-18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8397A KR100786643B1 (ko) 2007-05-18 2007-05-18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643B1 true KR100786643B1 (ko) 2007-12-21

Family

ID=39147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8397A KR100786643B1 (ko) 2007-05-18 2007-05-18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64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CN108663532A (zh) * 2017-03-30 2018-10-16 上海捷辰仪器有限公司 一种链式adcp多普勒测流仪固定装置
CN109883499A (zh) * 2019-03-11 2019-06-14 郝敬伟 一种便携式水文测流装置
KR102135418B1 (ko) * 2020-02-04 2020-07-17 김해동 수로형 부상스크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807A (ja) 1982-04-23 1983-10-29 Hitachi Zosen Eng Kk 水面上の傾斜面における台車の昇降制御装置
JPH02264825A (ja) * 1989-04-05 1990-10-29 Sumitomo Metal Ind Ltd 筒形溶解炉における湯面レベル検出方法
JPH06160153A (ja) * 1992-11-18 1994-06-07 Nitsuku:Kk 深井戸等の水位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H11183234A (ja) 1997-12-18 1999-07-09 Meidensha Corp 超音波式液面測定装置
EP0992767A1 (en) 1998-10-09 2000-04-12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Variable height sensor tre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5807A (ja) 1982-04-23 1983-10-29 Hitachi Zosen Eng Kk 水面上の傾斜面における台車の昇降制御装置
JPH02264825A (ja) * 1989-04-05 1990-10-29 Sumitomo Metal Ind Ltd 筒形溶解炉における湯面レベル検出方法
JPH06160153A (ja) * 1992-11-18 1994-06-07 Nitsuku:Kk 深井戸等の水位の測定方法及び測定装置
JPH11183234A (ja) 1997-12-18 1999-07-09 Meidensha Corp 超音波式液面測定装置
EP0992767A1 (en) 1998-10-09 2000-04-12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Variable height sensor tre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8724B1 (ko) * 2015-02-27 2018-03-14 우도영 친환경 수상구조물
CN108663532A (zh) * 2017-03-30 2018-10-16 上海捷辰仪器有限公司 一种链式adcp多普勒测流仪固定装置
CN109883499A (zh) * 2019-03-11 2019-06-14 郝敬伟 一种便携式水文测流装置
KR102135418B1 (ko) * 2020-02-04 2020-07-17 김해동 수로형 부상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643B1 (ko) 부유물 차단 기능이 있는 곡선이동형 하천 수문관측 장치
US4410297A (en) Marine continuous pipe laying system
RU2331790C2 (ru) О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держания морской 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и
US8122913B2 (en) High pressure hose protector
CA2420241C (en) Control gates
EP2971366B1 (en) Flood guard barrier lifting system
IE46678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port ramp for access to a roll-on roll-off ship
US6463800B2 (en) Energy conserving moored buoyant ocean profiler
IT201900002105A1 (it) Sistema per l’intercettazione e la raccolta di rifiuti galleggianti in corsi d’acqua
KR20060106853A (ko) 조력 발전 장치
CN210513318U (zh) 一种水文监测用水位流速检测设备
JP6473480B2 (ja) 重錘式自動緊張装置及び汚泥掻寄機
RU2006125406A (ru) Швартовный комплекс, содержащий плавучие подвижные системы для перемещения бонов
CN210597433U (zh) 一种用于地下连续墙施工的施工装置
JP4495999B2 (ja) 可動水路床を有するゲート設備
JP3972027B2 (ja) 遮水膜昇降式選択取水設備
KR102519834B1 (ko) 수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CN219737537U (zh) 一种水利工程用闸口位水下流速检测装置
JPH01131734A (ja) 作業船のスパッド装置
KR20110130621A (ko) 친환경 연동식 에스컬레이터형 가변어도가 구비된 가동보
KR102532232B1 (ko) 무인 계측선 자동 횡단장치 및 무인 계측선 관리시스템
KR102087096B1 (ko) 고정식 해파리 포획 장치
CA1058891A (en) Under ice pipelaying
JP3518747B2 (ja) フロート式選択取水設備
JP4198165B2 (ja) 地山切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