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524B1 -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 Google Patents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524B1
KR100786524B1 KR1020060067487A KR20060067487A KR100786524B1 KR 100786524 B1 KR100786524 B1 KR 100786524B1 KR 1020060067487 A KR1020060067487 A KR 1020060067487A KR 20060067487 A KR20060067487 A KR 20060067487A KR 100786524 B1 KR100786524 B1 KR 100786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height
vertical mov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현
윤주환
유동주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7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5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5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thickness ; e.g. of sheet material
    • G01B11/0608Height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G01V8/12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 G01V8/14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using one transmitter and one receiver using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정수기 등의 액체 분배기(Liquid Dispenser)에 응용 가능한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액체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바(Bar) 또는 스트링(String) 형태의 용기감지부나 광소자를 구비한 용기감지부가 수직으로 이동하며 용기를 감지하기 때문에, 용기의 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용기의 형태나 재질 등에 구애받지 않고 용기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를 제공한다.
냉장고, 액체, 디스펜서, 용기 높이, 발광, 수광, 높이측정

Description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HEIGHT OF CONTAINER AND LIQUID DISPENSER THEREBY}
도 1은 액체 분배기가 적용된 냉장고의 기본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에서, 용기감지부(110)의 다양한 실시 예.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200).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200)에서, 용기감지부(210)의 다양한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300).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40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용기 높이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면 부호에 대한 설명>
12. 용기 안착부 13. 용기
15. 액체투출구
100, 200, 300, 400. 용기 높이 측정장치
110, 210, 310, 410. 용기감지부
120, 220a, 220b, 320a, 320b, 420. 수직이동부
130, 230a, 230b, 330a, 330b, 430. 구동부
119, 219a, 219b, 319a, 319b, 419. 승강부재
111. 바(Bar) 111'. 압전물질로 이루어진 바(Bar)
112, 212. 스프링 113, 213. 전도체
114, 214. 전도성 와이어 115, 215. 외부단자
116, 216. 압전소자 117. 지레축
211. 스트링(String) 214', 막대형 전도체
311a. 발광소자 311b. 수광소자
411. 광소자 440. 반사판
본 발명은 액체 분배기(Liquid Dispens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정수기 등에 구비되는 액체 분배기에서 용기안착부에 안착시킨 용기의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실 및 냉장실로 구성되고 있으며, 냉장실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냉장 보관을 필요로 하는 식품을 보관하게 된다.
그리고 냉장실 내부에 보관중인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냉장실 도어를 열어야 한다.
냉장실 도어를 열 경우에 냉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고, 또한 고온의 외기가 냉장실로 유입되므로 전력소모가 증가하고, 냉장실로 유입되는 고온의 외기에 의해 냉장 보관중인 식품들이 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냉장실의 도어를 개폐시키는 횟수를 줄이기 위하여 냉장실의 내부에 보관중인 물 등과 같은 액체를 취출할 경우에 냉장실의 도어를 열지 않고, 외부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도어(11)에 액체 분배기(liquid dispenser)(12)를 설치함으로써, 외기의 유입으로부터 냉장실(10)의 열효율 저하를 막게 된다.
이와 같은 액체 분배기는 통상적으로 냉장실(10)의 도어(11) 전면에 컵 등과 같은 용기(13)를 안착시키기 위한 용기안착부가 있으며,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용기안착부의 상부에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투출구가 설치된다.
그리고 냉장실 내에는 액체저장탱크를 구비하여 액체를 냉장 저장하고, 솔레노이드 밸브 및 펌프 등과 같은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그 액츄에이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액체투출구를 통해 상기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로 투출하게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일반적으로 도어(11)에서 용기안착부(12) 상부에는 액체의 투출을 제어하기 위해 액체투출 키와 투입되는 액체의 높이비율을 설정하기 위해 비율을 상승시키고 하강시키는 복수의 액체 투입높이 조절키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분배기를 구비하고 있는 냉장고 등에 있어서, 액체 분배기의 용기안착부에 안착시키는 용기에 적정량의 액체를 자동으로 투출시키기 위해서는, 용기에 채워지는 액체의 높이를 제어하기에 앞서, 용기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요구에 부합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작단가를 절감할 수 있고, 용기의 형태, 재질 등에 의한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용기 높이를 높은 분해능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장치는,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상기 용기안착부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상기 용기감지부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 초기위치부터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는 용기 높이 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액체 높이 측정장치(100)에 따르면, 상기 용기감지부는 용기안착부의 일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바(Bar); 및 상기 바(Bar)가 용기의 상단에 접촉될 경우에 용기 검출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높이 측정장치(200)에 따르면,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용기안착부의 좌우 양측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감지부는, 상기 양 측면부의 수직이동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상기 양 측면부의 승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링(String); 및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 이동하면서 상기 스트링(String)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될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및 제 2 실시 예에 따른 액체 높이 측정장치(100, 200)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가 접점 스위치 또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액체 높이 측정장치(300)에 따르면,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용기안착부의 좌우 양측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 기감지부는 상기 양 측면부의 수직이동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일 측면부의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타 측면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및 타 측면부의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액체 높이 측정장치(400)에 따르면, 상기 용기감지부는, 용기안착부의 일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용기안착부의 타 측면부에 구비된 반사판; 및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을 향해 광을 방출하며, 상기 반사판을 통해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방법은, 구동부를 구동시켜 수직이동부가 용기감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 초기위치부터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용기감지부가 이동한 거리 값을 통해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한 거리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감지부가 수직이동을 시작하여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소요시간에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 이동속도를 곱하여 거리 값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한 거리 값을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감지 부가 수직이동하여 용기의 상단을 검출할 때까지, 상기 구동부가 발생하는 회전동력의 회전수를 카운트하는 단계; 및 상기 카운트한 회전수에, 상기 회전동력의 1회전당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이동거리를 곱하여 이동한 거리 값을 산출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을 이용한 액체 분배기는, 바닥면에 용기가 안착되는 용기안착부; 상기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로 액체를 투출하는 액츄에이터;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상기 용기안착부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상기 용기감지부를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상기 용기에 투입되는 액체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용기안착부의 상부에 구비된 액체높이검출수단; 및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 초기위치부터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고, 산출된 용기의 높이에 따라 투입할 액체의 높이를 결정하고, 용기에 액체를 투입하되, 상기 액체높이검출수단을 통해 측정된 용기에 투입된 액체의 높이가 상기 결정된 액체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의 구동여부를 제어하는 용기 높이 산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액체높이검출수단은, 용기의 내부로 초음파를 출력하고, 용기에 투입된 액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송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송수신부에서 출력된 초음파가 수신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통해 용기에 투입된 액체의 높이를 계산하는 액체높이계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내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 200, 300, 4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3)를 안착시키는 용기 안착부(12)의 주변에 설치되며, 용기감지부(110), 수직이동부(120), 구동부(130) 및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110)는, 용기안착부(12)의 일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120)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119)와 용기 상단부와 수평하게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119)에 돌출되어 있는 바(Bar)(111) 및 상기 바(Bar)(111)가 용기(13) 상단부에 접촉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안착부(12)의 일 측면부에는 상기 용기감지부(110)의 수직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상기 바(111)가 수직으로 무리없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111)는 액체를 투출시키는 액체투출구(15)와 닿지 않을 정도의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며, 용기(13)와 닿았을 때 구부러지지 않도록 휘어짐이 덜하고, 일정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감지부(11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보다 다양한 실시 예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부(120)는 직선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장치들인 캠, 랙 & 피니언, 유압피스톤, 벨트 또는 기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을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로써, 스크류를 이용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기 용기감지부(110)가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을 예시하였다.
이때, 상기 구동부(130)는 전원을 인가받으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 회전축의 회전 속도, 방향, 동작 및 정지등을 제어하고 회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의 회전축 둘레에 엔코더(Encoder)와 같은 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의 측정원리는, 바(111)를 구비한 승강부재(119)가 수직으로 하강하다가, 상기 바(111)가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하면, 후술하게 될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가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그 때까지 상기 용기감지부(210)가 수직으로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용기감지부의 초기 위치를 고려하여 용기(13)의 높이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110)가 이동한 거리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 이동 속도와 이동 시간의 검출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30)인 모터의 회전수와 상기 구동부(130)의 1 회전당 용기감지부(110)의 수직 이동 거리를 검출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에서 용기감지부(110)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100)에서 용기감지부(110)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바(Bar)(111)가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하였는데, 상기 센서부는 도 3a 내지 도 3c에서 용기감지부(110)의 내부에 도시된 구조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로 구현할 수 있다.
우선, 도 3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감지부(110)에 구비된 바(111)가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하면 승강부재(119) 내부에 수용된 바 부분이 지레축(117)을 중심으로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구성하여 두 개의 외부단자(115)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접점 스위치를 구성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119) 내부에는 전도체(113)를 이용하여 접점 스위치를 구성하고, 전도성 와이어(114) 등을 통해 바(Bar)에 형성된 전도체와 외부단자(115)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119) 내부에 수용된 바 부분에 회전력이 상쇄되면 다시 원위치할 수 있도록 복원력을 갖는 스프링(11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스프링(112)은 상기 바(111)가 용기 상단부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두 개의 전도체(113)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용기감지부(110)의 구조를 통해 용기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두 개의 외부단자(115) 중 어느 하나의 외부단자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갖는 전기를 인가하고, 나머지 하나의 외부단자에서 전압 또는 전류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용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외부단자(115)중 하나에 전기가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바(111)가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면 상기 전도체로 구성된 접점 스위치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다른 하나의 외부단자에서 전기가 검출되어지게 되며, 따라서, 상기 바(111)와 용기가 접촉했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용기감지부(110)를 이루는 센서부는, 상기와 같이 평상시에 접점이 떨어져 있는 접점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반대로, 평상시에 접점이 붙어 있도록 하는 접점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3b는 용기감지부(110)를 구성하는 센서부로써, 압력을 받으면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116)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찬가지로 바(111)가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하면, 승강부재(119) 내부에 수용된 바 부분이 지레축(117)을 중심으로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이때, 누름부(118)가 압전소자(116)에 압력을 가하면, 압전소자(116)와 전기 적으로 연결된 두 개의 외부단자(115)에 전압이 발생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부단자(115) 간에 전압의 발생 여부를 검출하여 용기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다시 말하자면, 도 3a에서의 용기감지부는 두 개의 전도체로 구성된 접점 스위치의 개폐를 이용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방식이지만, 도 3b에서의 용기감지부(100)는 압력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114)를 이용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참고로, 압전소자는 압전기(壓電氣) 현상을 나타내는 소자로 피에조전기(Piezoelectric) 소자라고도 하는데, 압전성을 갖는 결정판을 일정한 방향에서 압력을 가하면 판의 양면에 외력에 비례하는 양, 음의 전하(電荷)가 나타나는 현상을 이용한 소자이다.
그 밖에 다른 구성요소들의 역할이나 작동원리에 대해서는 도 3a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도 3c의 용기감지부(11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의 바(Bar)와 달리 압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진 바(11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시 말해서, 바(Bar)(111')를 압전물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바(Bar) 자체만으로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하기 위한 수단과 더불어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 사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압전물질로 바(111')를 형성하면,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 시 물리적인 압력에 의해 승강부재(119) 내부에 수용된 바(111') 부분에 구비된 전도체(113)에 전압이 발생하게 되며, 전도성 와이어(114)를 통해 바(1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단자(115)에서 이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와 같은 전압의 발생 여부를 통해 용기와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바(111')는 도 3a 및 도 3b에서 승강부재(119) 내부에 수용되는 바(Bar) 부분이 지레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구성한 것과 같이 유동적으로 구성하게 되면, 용기와 접촉시 감지되는 압력이 상쇄되고 검출되는 전압도 약해져 용기의 감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Bar)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승강부재(119) 내부에서 단단하게 고정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센서부를 구현하기 위해서 앞의 실시 예에서처럼 승강부재(119)의 내부를 복잡하게 구성할 필요가 없이 상기와 같은 단순한 구성으로 용기를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200)도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3)를 안착시키는 용기 안착부(12)의 주변에 설치되며, 용기감지부(210), 수직이동부(220a, 220b), 구동부(230a, 230b) 및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210)는, 용기안착부(12)의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220a, 220b)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승강부재(219a, 219b); 용기(13) 상단부와 수평하게 접촉 가능하도록 상기 승강부재(219a, 219b)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링(String)(211); 및 상기 스트링(String)(211)이 용기(13) 상단부에 접촉하면 이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미도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용기안착부(12)의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는 상기 용기감지부(210)의 수직이동에 따라 함께 움직이는 상기 스트링(211)이 수직으로 무리없이 지나다닐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재(219a, 219b)는 상기 스트링(211)이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고, 초기 높이는 상기 스트링(211)이 액체를 투출시키는 액체투출구(15)와 닿지 않을 정도의 높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트링(211)은 용기(13)와의 접촉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서 팽팽한 장력을 갖고 상기 승강부재(219a, 219b)와 결합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감지부(210)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 5a 내지 도 5c에서 보다 다양한 실시 예로써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동부(220a, 220b)는 직선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초적인 장치들인 캠, 랙 & 피니언, 유압피스톤, 벨트 또는 기어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을 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5a 내지 도 5d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수직이동부로써, 스크류를 이용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따 라 상기 용기감지부(210)가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을 예시하였다.
상기 구동부(230a, 230b)는 전원을 인가받으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인 것이 바람직하며, 모터 회전축의 회전 속도, 방향, 동작 및 정지등을 제어하고 회전상태를 검출하기 위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모터의 회전축 둘레에 엔코더(Encoder)와 같은 장치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200)의 측정원리는, 스트링(211)으로 연결된 승강부재(219a, 219b)가 수직으로 하강하다가, 상기 스트링(211)이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하면, 후술하게 될 센서부에서 이를 감지한 감지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가 상기 감지신호를 입력받고, 그 때까지 상기 용기감지부(210)가 수직으로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용기감지부의 초기 위치를 고려하여 용기(13)의 높이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210)가 이동한 거리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 이동 속도와 이동 시간의 검출을 통해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230a, 230b)인 모터의 회전수와 상기 구동부(230a, 230b)의 1 회전당 용기감지부(210)의 수직 이동 거리를 검출하여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두 개의 구동부(230a, 230b)을 이용하는 경우의 예를 들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벨트와 풀리, 기어 등의 기계적인 장치 등을 이용해서 하나의 구동부만 사용하여 상기 용기감지부(210)가 상 기와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얼마든지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230a, 230b)는 상기 용기감지부(210)에 설치된 상기 스트링(211)이 수평을 유지하며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각각 동일한 구동속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200)에서 용기감지부(210)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용기감지부(2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류 형태의 수직이동부(220a)의 회전에 따라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219a)와 용기의 상단부와 접촉하기 위한 스트링(211), 승강부재(219a) 내부에 스트링(211)과 용기의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스트링(211)이 용기의 상단부에 접촉하면, 상기 스트링(211)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승강부재(219a) 내부의 우측 막대형 전도체(214')가 잡아 당겨지게 되고, 이를 통해 외부단자(215)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 여부가 결정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체(213)와 막대형 전도체(214')를 이용하여 구성된 접점 스위치를 말한다.
이때, 상기 막대형 전도체(214')들은 외부단자(215)들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막대형 전도체(214') 자체가 상기 승강부재(219a) 외부로 직접적으로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트링(211)이 용기의 상단부에 접촉하는 시점을 제외하고, 상 기 전도체(213)들이 접점을 이루며 외부단자(215)들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이 유지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1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프링(212)은 상기 막대형 전도체(214')들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전도성이 없는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전도성이 없는 접합제를 사용하여 접합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상기 용기감지부(210)는 두 개의 외부단자(215) 중 어느 하나의 외부단자에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갖는 전기를 미리 인가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외부단자에서 전압 또는 전류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용기와 상기 스트링(211)의 접촉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용기감지부(210)를 이루는 센서부는, 상기와 같이 평상시에 접점이 붙어있는 접점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도 5b에서와 같이 평상시에 접점이 떨어져 있도록 하는 접점 스위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b에서 용기감지부(210)는 도 5a에서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전도체(213)와 두 개의 막대형 전도체(214')를 이용하여 접점 스위치를 구성하고 있지만, 도 5a에서와 다르게, 평상시에 두 개의 전도체(213)가 이루는 접점이 떨어져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구성되어 있다는데 특징이 있다.
즉, 스트링(211)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여 압력을 받을 때는 승강부재(219a) 내부의 좌측 막대형 전도체가 우측 방향으로 당겨져 두 개의 전도체(213) 가 이루고 있는 접점이 붙으면서 전기적인 연결이 일어나지만, 스트링(211)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하는 상황을 제외하고는 항상 전기적으로 단락되어 있어서, 두 개의 외부단자(215) 중 어느 하나에 전기를 인가한다고 해도, 다른 하나에서는 검출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만일 다른 하나의 외부단자에서 전기가 검출된다면 스프링(211)이 용기의 상단부와 접하고 있다는 것을 반증하기 때문에, 이로써 용기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는, 막대형 전도체(214')의 상호 간에 복원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하지 않은 대신 앞서 언급하였듯이 막대형 전도체(214') 자체가 복원력 또는 탄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c는 용기감지부(210)를 이루는 센서부에 압전소자(216)를 이용하는 데 특징이 있다.
즉, 도시된 용기감지부(210)는, 스트링(211)이 용기와 접촉하게 되면, 스트링(211)에 수평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발생하여, 승강부재(219a)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압전소자(216)가 횡으로 변형되어지게 되며, 이때, 상기 압전소자(216)는 그 변형시키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전도체(213)에서 전압을 발생시키며, 전도성 와이어(214)를 통해 상기 전도체(2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단자(215)를 통해 전압을 검출하여 용기의 감지 여부를 알 수 있으며, 압전소자가 센서부로써 역할을 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5a와 도 5b에서의 용기감지부(210)를 이루는 센서부로써, 두 개의 전도체와 막대형 전도체로 구현된 접점 스위치의 개폐를 이용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방식이지만, 여기서 용기감지부(210)는 압력에 따라 전압을 발생시키는 압전소자(216)를 이용하여 용기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도 5d는 도 4에 도시한 우측 승강부재(219b)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측 승강부재(219b)는 스트링(211)을 단순히 수용한 상태로 고정시키고 있으며, 스크류 형태의 우측 수직이동부(220b)와 결합하여 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수직이동할 수 있도록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앞의 도 5a 내지 도 5c에서 좌측 승강부재(219a)의 구성물들을 우측 승강부재(219b)로 적용시키고, 좌측 승강부재(219a)는 도 5d에 도시된 우측 승강부재(219b)와 같이 단순히 스트링(211)을 고정시키는 역할만 하도록 할 수도 있고, 양측 승강부재(219a, 219b)에 용기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을 갖도록 충분히 응용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300)도, 앞에서 설명한 실시 예들과 마찬가지로, 수직이동부(320a, 320b)와, 구동부(330a, 330b),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를 가지며, 용기(13)를 안착시키고,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투출구(15)를 구비하고 있는 용기안착부(12)의 양측면부에 각각 발광소자(311a)와 수광소자(311b)가 마주보도록 구비하는 용기감지부(3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310)는 용기안착부(12)의 마주보는 양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320a, 320b)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결합된 승강부재(319a, 319b)와 일 측면부의 승강부재(319a)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타 측면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311a) 및 타 측면부의 승강부재(319b)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311a)에서 방출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311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발광소자(311a)는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소자(311a)는 하나의 면광원(Electro luminescence sheet)을 사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광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330a, 330b)들은 상기 승강부재(319a, 319b)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며 수직으로 동시에 이동할 수 있도록 연동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안착부(12)의 양 측면부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소자(311a)와 수광소자(311b)가 용기안착부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용기감지부(310)는 상기 발광소자(311a)에서 방출된 광이 수광소자(311b)로 입사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용기의 존재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상기 발광소자(311a)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광을 방출하게 되면, 방출된 광은 경로가 차단되지 않는 이상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수광소자(311b)로 수렴되게 되고, 상기 수광소자(311b)에서는 수렴된 광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류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13)가 안착된 용기안착부(12) 내에서, 구동부(330a)를 구동하여, 상기와 같이 전원이 인가된 발광소자(311a)와 수광소자(311b)가 구비된 승강부재(319a, 319b)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용기에 의한 광 경로가 차단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수광소자(311b)에서 발생하는 전류 값에 변화가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한 전류 값의 변화는 용기의 상단부 지점에서 일어나므로, 상기한 전류 값의 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 승강부재(319a, 319b)가 이동한 거리를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에서 계산하면 용기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319a, 319b)가 이동된 거리, 또는 용기감지부(310)가 이동된 거리는 구체적으로, 상기 시점까지 용기감지부(310)의 이동된 시간과 상기 용기감지부(310)의 시간당 수직 이동 거리의 곱을 통해서 구하거나, 상기 시점까지 상기 구동부(330a, 330b)의 구동된 회전수와 상기 구동부의 1 회전당 상기 용기감지부(310)의 수직 이동 거리의 곱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참고로, 수직이동부(320a, 320b)는 스크류 형태로 회전을 통해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써, 앞에서 계속적으로 설명하였기 때문에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였다.
앞서 예시한 바(Bar)나 스트링(String)을 이용하는 경우는, 용기 상단부와의 직접적으로 접촉을 통해 용기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용기감지부를 하강시키는 방법으로밖에 구현할 수 없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300)는, 앞의 실시 예와 달리 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용기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강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도 용기를 감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400)는, 수직이동부(420a, 420b)와, 구동부(430a, 430b),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를 가지며, 용기(13)를 안착시키고, 액체를 투출하는 액체투출구(15)를 구비하고 있는 용기안착부(12)의 일 측면부에 광소자(411)가 구비된 용기감지부(4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410)는, 용기안착부(12)의 일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420)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419)와 용기안착부(12)의 타 측면부에 구비된 반사판(440) 및 상기 승강부재(419)에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440)을 향해 광을 방출하며, 상기 반사판(440)을 통해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소자(41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러한 승강부재(419)를 상, 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직이동부(420)은 앞에서와 마찬가지로 스크류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용기안착부(12)의 일 측면부에는 광소자(411)가 용기안착부(12) 내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감지부(410)는 상기 광소자(411)에서 방출된 광이 반사판(440)을 반사하여 다시 광소자(411)로 입사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용기의 존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소자(411)는 발광과 수광 기능을 모두 갖는 소자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소자(41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광을 방출하게 되면, 방출된 광은 경로가 차단되지 않는 이상 마주보게 설치된 상기 반사판(440)을 반사하여 다시 광소자(411)로 수렴되며, 수렴된 광의 크기에 비례하여 전류가 발생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13)가 안착된 용기안착부(12)에서 상기와 같이 전원이 인가된 광소자(411)가 구비된 승강부재(419)를 수직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용기에 의한 광 경로의 차단 여부에 따라서, 광소자에서 발생되는 전류 값에 변화가 일어난다.
그리고, 상기한 전류 값의 변화는 용기의 상단부 지점에서 일어나므로, 상기 한 전류 값의 변화가 발생되는 시점까지 용기감지부(410)가 이동한 거리를 용기 높이 산출부(미도시)에서 계산하면 용기의 높이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용기감지부(410)가 이동한 거리는 구체적으로, 상기 시점까지 용기감지부(410)의 이동된 시간과 상기 용기감지부(410)의 시간당 수직 이동 거리의 곱을 통해서 구하거나, 상기 시점까지 상기 구동부(430)의 구동된 회전수와 상기 구동수단의 1 회전당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 이동 거리의 곱을 통해서 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4 실시 예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장치(400)는, 제 3 실시 예에 언급한 바와 같이 광학적인 방법에 의해 용기 상단부의 감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하강시키는 방법뿐만 아니라 상승시키는 방법으로도 용기 높이 측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높이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우선,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구동부를 구동시켜 용기감지부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501)
이때, 상기 구동부는 상기 용기감지부가 용기를 감지할 때까지 구동되어지며(S502), 용기가 감지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이동시간을 검출한다.(S503)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용기감지부의 수직이동 평균속도와 수직이동시간의 연산을 통해, 상기 용기감지부가 용기를 감지할 때까지 이동한 거리를 산출한다.(S504)
마지막으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상기 용기감지부의 초기 설정된 위치를 고려하여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게 된다.(S505)
참고로, 구동부가 회전축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모터인 경우, 용기감지부가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모터 회전축의 1 회전당 용기감지부의 수직 이동 거리와 모터의 회전수 검출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모터의 회전수는 엔코더(Encoder)라는 장치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에 따른 마이크로 프로세서(6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우선, 액체 투출신호 발생부(601)에서 발생된 액체 투출신호를 마이크로 프로세서(600)에서 입력받으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0)가 용기 높이 측정장치의 구동수단(602)에 구동 명령을 내린다.
이때, 상기 액체 투출신호 발생부(601)에서 발생된 투출신호는 액체 분배기에 설치된 액체 투출 명령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발생시킨 신호일 수도 있고, 액체 분배기의 용기안착부에 설치된 압력센서, 중량센서 등에 의해 용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발생된 신호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602)에 의해 수직으로 이동하는 용기감지부(603)에서 용기가 감지되면, 그때까지의 용기감지부(603)가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여, 용기의 높이를 판단하고, 적정량의 액체 투출 높이를 결정한다.
이와 같이 액체 투출 높이가 결정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0)는 액츄에이터(604)를 구동시켜 용기에 액체를 투출하면서, 용기에 투입되는 액체의 높이를 액체높이검출수단(605)을 통해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액체높이검출수단(605)을 통해 측정된 액체의 높이가 상기 결정된 액체 투출 높이 이상이 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600)는 액츄에이터(604)의 액체 투출을 정지 명령을 내려 액체 투출 작업을 종료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높이검출수단(605)은, 용기의 내부로 초음파를 출력하고, 용기에 투입된 액체에서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송수신부; 및 상기 초음파 송수신부에서 출력된 초음파가 수신될 때까지 걸린 시간을 통해 용기에 투입된 액체의 높이를 계산하는 액체높이계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을 이용한 액체 분배기에 따르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용기를 감지하므로 용기의 높이를 보다 해상도 높게 측정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투입할 액체의 높이를 보다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용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바(Bar) 또는 스트링(String)을 용기와 직접적으로 접촉시키는 방법이나, 광소자에 의한 광학적인 방법을 이용하기 때문에 구조가 비교적 단순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용기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광을 이용한 방법의 경우 직접적인 접촉을 하지 않아도 용기 높이의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용기의 형태, 재질 등에 구애받지 않고 정밀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12)

  1.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상기 용기안착부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상기 용기감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 초기위치부터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는 용기 높이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용기안착부의 좌우 양측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감지부는,
    상기 양 측면부의 수직이동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상기 양 측면부의 승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스트링(String); 및
    상기 승강부재가 하강 이동하면서 상기 스트링(String)이 용기 상단부에 접촉될 경우에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센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접점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압전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
  6.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상기 용기안착부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상기 용기감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 초기위치부터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는 용기 높이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직이동부는, 상기 용기안착부의 좌우 양측면부에 구비되고,
    상기 용기감지부는,
    상기 양 측면부의 수직이동부에 각각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일 측면부의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마주보는 타 측면부로 광을 방출하는 발광소자; 및
    타 측면부의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소자에서 방출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
  7. 용기안착부에 안착된 용기의 상단을 감지하는 용기감지부;
    상기 용기안착부의 적어도 일 측면부에 상기 용기감지부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수직이동부;
    상기 수직이동부를 구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용기감지부가 이동 초기위치부터 용기의 상단을 감지할 때까지의 이동 거리를 계산하여 용기의 높이를 산출하는 용기 높이 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용기감지부는,
    용기안착부의 일 측면부에 구비된 수직이동부와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승강부재;
    용기안착부의 타 측면부에 구비된 반사판; 및
    상기 승강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반사판을 향해 광을 방출하며, 상기 반사판을 통해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광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높이 측정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067487A 2006-07-19 2006-07-19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KR100786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487A KR100786524B1 (ko) 2006-07-19 2006-07-19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487A KR100786524B1 (ko) 2006-07-19 2006-07-19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524B1 true KR100786524B1 (ko) 2007-12-17

Family

ID=39147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487A KR100786524B1 (ko) 2006-07-19 2006-07-19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5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93B1 (ko) * 2009-05-11 2012-03-19 (주)지엠지 적설량계 및 그 계측방법
KR20130102444A (ko) * 2012-03-07 2013-09-17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9621A (ja) * 1988-08-25 1990-02-28 Asahi Breweries Ltd 飲料びんの入味線高さ測定方法
JPH04292122A (ja) * 1991-03-20 1992-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湯沸かし器
JPH091267A (ja) * 1995-06-20 1997-01-07 Mitsubishi Materials Corp 缶の高さ測定装置
JP2000213905A (ja) 1999-01-20 2000-08-04 Mitsutoyo Corp ハイトゲ―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59621A (ja) * 1988-08-25 1990-02-28 Asahi Breweries Ltd 飲料びんの入味線高さ測定方法
JPH04292122A (ja) * 1991-03-20 1992-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湯沸かし器
JPH091267A (ja) * 1995-06-20 1997-01-07 Mitsubishi Materials Corp 缶の高さ測定装置
JP2000213905A (ja) 1999-01-20 2000-08-04 Mitsutoyo Corp ハイトゲ―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4593B1 (ko) * 2009-05-11 2012-03-19 (주)지엠지 적설량계 및 그 계측방법
KR20130102444A (ko) * 2012-03-07 2013-09-17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KR101947996B1 (ko) * 2012-03-07 2019-02-14 코웨이 주식회사 자동추출장치 및 자동추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8192C (en) Dispenser for liquids
US20200003202A1 (en) Pump based fluid flow meter
CN1576228A (zh) 冰箱及其自动液体配送器
EP2674701A2 (en) Refrigerator
US9896321B2 (en) Auto water dispenser cutoff
US20100126267A1 (en) Level sensor system for propane tanks and or the likes
JP2018512272A (ja) 手の大きさに基づいた吐出装置の吐出
KR100786524B1 (ko) 용기 높이 측정장치 및 방법과 그를 이용한 액체 분배기
KR100816149B1 (ko) 자동 액체 분배기
CA3005264C (en) Optical liquid level measurement system for dispensing apparatus
KR2009000416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9901219B2 (en) Method for control of an electronic liquid dispenser and associated dispenser system
WO2023043692A1 (en) Fluid dispenser and method of use
US4623264A (en) Temperature sensing using ultrasonic system and movable target
KR100845858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73603A (ko) 디스펜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083103A1 (zh) 制冰装置中用于检测冰位的传感器组件
CA2644410C (en) Level sensor system for propane tanks or the likes
JP2004184308A (ja) 流量計
CN114152308A (zh) 一种液位测量逻辑控制电路及液位测量装置
KR100755142B1 (ko) 액체 분배 제어장치 및 방법
CN219613625U (zh) 一种可自动注水的饮水机
CN111219916A (zh) 制冰装置及冰检测方法
US20090151795A1 (en) Ice tray with water level detecting device
KR102336128B1 (ko) 쌀 보관량을 센싱하는 조리 기기 및 이의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