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90B1 -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 Google Patents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90B1
KR100786190B1 KR1020070095062A KR20070095062A KR100786190B1 KR 100786190 B1 KR100786190 B1 KR 100786190B1 KR 1020070095062 A KR1020070095062 A KR 1020070095062A KR 20070095062 A KR20070095062 A KR 20070095062A KR 100786190 B1 KR100786190 B1 KR 100786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yndiotactic
isotactic
film layer
breat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5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고팩
이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고팩, 이보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고팩
Priority to KR1020070095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23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 B29C55/026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sing multilayered plates or sheets of preformed plates or sheets coated with a solution, a dispersion or a melt of thermoplast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에 관한 것으로, 2개의 아이소텍틱PP원료 사이에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원료를 배치한 후 공압출을 이용해 3층의 필름층을 형성하는 필름제조단계;와 상기 형성된 필름을 연신시킨 후 연신을 해제하여 2장의 아이소텍틱PP필름은 연신시키고,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필름은 복원되도록 하여, 2장의 아이소텍틱PP필름의 연신된 연신부분이 신디오텍틱PP필름의 복원에 의해 엠보를 형성하도록 하는 엠보형성 단계;로 이루어진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필름간의 복원율을 이용해 엠보를 형성하여 제작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밴드나 붕대, 파스 등에 이용하여 관절부위에 부착을 하여도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엠보, 통기

Description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MANUFACTURING METHOD FOR VENTILATION-TYPE FLEXIBLE FILM AND VENTILATION-TYPE FLEXIBLE FILM}
본 발명은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복원율이 다른 필름층으로 인하여 엠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엠보 형성에 따른 통기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신축이 가능하여 밴드나 붕대, 파스 등에 이용하여 관절부위에 부착을 하여도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처가 났을 때에 신체에 붙이는 밴드는 PVC재질인 필름으로 이루어져 있되, 그 표면에는 상처부위가 덧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간격으로 타공을 한 형태의 밴드와 그 내측으로는 가제를 덧대어 사용하고 있다.
한편, 파스의 경우도 상처부위가 덧나지 않도록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상처부위가 덧나지 않도록 제작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PVC재질의 밴드는 후공정에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통기구멍을 형성함에 따라 가공단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밴드나 파스는 신축성이 없기 때문에, 관절과 같이 이완/수축이 자주 발생하는 신체부위에 부착하였을 때에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상처부위로 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PVC재질인 밴드의 필름인 경우 다이옥신과 같은 환경호르몬의 문제로 인해 사용을 규제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만한 필름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한 문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은 2개의 아이소텍틱PP원료 사이에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원료를 배치한 후 공압출을 이용해 3층의 필름층을 형성하는 필름제조단계;와 상기 형성된 필름을 연신시킨 후 연신을 해제하여 2장의 아이소텍틱PP필름은 연신시키고,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필름은 복원되도록 하여, 2장의 아이소텍틱PP필름의 연신된 연신부분이 신디오텍틱PP필름의 복원에 의해 엠보를 형성하도록 하는 엠보형성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은 필름간의 복원율 이 다른 필름층으로 인하여 필름을 연신시키는 작업만으로 엠보를 형성하여 통기성이 있는 필름을 제작함으로써, 통기구멍을 형성하는 후공정에 따른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비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된 통기성 신축 필름은 밴드나 붕대, 파스 등에 이용하게 되면 아이소텍틱PP필름에 의해 일정한 신축성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관절부위에 부착하였을 때에는 80%의 복원율을 가진 아이소텍틱PP필름에 의해 관절부위를 움직이더라도 밴드나 붕대, 파스의 일부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통기성 신축필름(50)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80%의 복원율을 형성하고 있는 신디오텍틱PP필름층(10)과; 상기 신디오테틱PP필름층(10)의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되 표면에 주름형상의 엠보(E)를 형성한 제1, 2 아이소텍틱PP필름층(20, 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80%의 복원율을 가진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의 상, 하측으로 제1, 2 아이소텍틱PP필름층(20, 30)을 공압출을 이용하여 3층의 필름층을 제조한다.(S10)
여기서,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10)과 제1, 2 아이소텍틱PP필름층(20, 30)에는 돌가루와 같은 다공성 물질(1)을 더 함유시켜 각각의 필름층에서 공기가 통과 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3층의 필름층을 연신시키되, 80%의 복원율을 가지고 있는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의 복원한계점이 넘지 않는 한도에서 연신하도록 한다.
이는,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의 복원한계점을 넘게 되면,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이 영구변형되면서 자체 복원율에 의해 다시 복원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 후, 연신작업이 완료되면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의 80% 복원율에 의해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은 일부가 늘어난 상태에서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의 상, 하측에 합지되어 있던 제1, 2 아이소텍틱PP필름층(20, 30)이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10)보다 더 연신된 상태로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의 복원에 의해 늘어난 부위가 그대로 주름형상의 엠보(E)를 형성하면서 복원되어 진다.(S20)
여기서,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은 80%의 복원율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일부가 늘어나게 되면서, 필름층이 두꺼워 지고, 이와는 반대로 제1, 2 아이소텍틱(20, 30)의 경우에는 연신되면서 두께가 작아지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10)과 합지되어 있는 제1, 2 아이소텍틱(20, 30)은 신디오텍틱PP필름층(10)에 붙어있는 상태로 복원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주름형상의 엠보(E)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에, 본 발명의 통기성 신축필름(50)의 사용 용도에 따라 상기 연신되는 길이를 조절하게 되면, 엠보(E)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통기성 신축필름(50)은 상처를 감싸기 위한 밴드나 붕대, 파스 등에 이용하게 되면, 복원율에 의해 쉽사리 인체부위에서 탈락되지 않게 되며, 특히 통기를 위해 파스나 밴드에 타공을 하지 않고도 엠보(E)에 의해 통기가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상처부위가 관절부였을 경우 사용자가 관절을 움직이게 되면 80%의 복원율을 가진 아이소텍틱PP필름층(10)에 의해 상처부위에서 떨어지지 않으면서, 상처부위에 붙은 면이 주름이 발생하거나 일부분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예컨대, 복원율이 100%인 필름을 가지고 파스나 밴드, 붕대를 형성하여 관절부위에 붙였을 경우, 복원율 100%의 필름이 계속적인 압박을 가하기 때문에 상처부위의 피가 통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와는 반대로 복원율이 없거나 또는 80%이하였을 경우에는 관절부위의 이완/수축에 의해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복원율 80%인 아이소텍틱PP필름층(10)을 이용함으로써, 관절 부위의 이완/수축이 발생하더라도 최초 꽉 조여서 붙어 있던 붕대나 파스, 밴드가 일정 시간이 지나게 되면, 80% 복원율을 형성하고 있는 아이소텍틱PP필름층(10)이 어느정도 늘어나면서 상처부위를 꽉 조이지 않는 한도에서 상처부위에 들뜨는 현상 없이 붙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아이소텍틱PP필름층(10)과 제1, 2 신디오텍틱PP필름층(20, 30)에 다공성 물질(1)을 함유시킴으로써, 다공성 물질에 의한 통기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합지된 필름의 연신시 다공성 물질과 필름간의 기공(2)의 발생으로 인해 통기성을 더 원활히 할 수 있게 되며, 이때에 상기 연신시 발생하는 기공의 경우는 연신되는 길이에 의해 정해짐은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 것이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은 한도에서 변형 가능한 것은 본 발명에 속해 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축필름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기성 신축필름의 연신 전,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공성 물질 2 : 기공
10 : 신디오텍틱PP필름층 20 : 제1 아이소텍틱PP필름층
30 : 제2 아이소텍틱PP필름층 M: 엠보
50 : 통기성 필름

Claims (6)

  1. 2개의 아이소텍틱PP원료 사이에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원료를 배치한 후 공압출을 이용해 3층의 필름층을 형성하는 필름제조단계;
    상기 형성된 필름을 연신시킨 후 연신을 해제하여 2장의 아이소텍틱PP필름은 연신시키고,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필름은 복원되도록 하여, 2장의 아이소텍틱PP필름의 연신된 연신부분이 신디오텍틱PP필름의 복원에 의해 엠보를 형성하도록 하는 엠보 형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제조단계에서 상기 2장의 아이소텍틱PP원료와 복원율이 80%인 신디오텍틱PP원료에는 다공성 물질을 더 포함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물질은 돌가루인 것에 특징이 있는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단계에서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의 복원한계점 이하까지 연신 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단계에서 사용용도에 따라 아이소텍틱PP필름의 연신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엠보의 굵기를 조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6.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작된 통기성 신축필름에 있어서,
    80%의 복원율로 이루어진 신디오텍틱PP필름층;과 상기 신디오텍틱PP필름층의 상, 하측에 형성되며, 표면에 엠보를 형성한 제1, 2 아이소텍틱PP필름층으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통기성 신축필름.
KR1020070095062A 2007-09-19 2007-09-19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KR100786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62A KR100786190B1 (ko) 2007-09-19 2007-09-19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5062A KR100786190B1 (ko) 2007-09-19 2007-09-19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6190B1 true KR100786190B1 (ko) 2007-12-18

Family

ID=39147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5062A KR100786190B1 (ko) 2007-09-19 2007-09-19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140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소재의맥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083A (ja) * 1994-06-10 1995-12-19 Furukawa Kagaku Kogyo Kk シートにしぼ模様を付与する方法
KR20020062335A (ko) * 1999-12-14 2002-07-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착용자의 윤곽에 영구적으로 정합가능한 통기성 라미네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9083A (ja) * 1994-06-10 1995-12-19 Furukawa Kagaku Kogyo Kk シートにしぼ模様を付与する方法
KR20020062335A (ko) * 1999-12-14 2002-07-25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착용자의 윤곽에 영구적으로 정합가능한 통기성 라미네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140A (ko) 2015-07-29 2017-02-08 주식회사 소재의맥 불규칙 패턴의 미세 홈을 포함하는 통기성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1165B2 (en) Wound dressing
JP5235381B2 (ja) 複合材ベルトとその製造方法
JP4668944B2 (ja) 複数の引き伸ばし工程によって調製された弾性フィルム積層体
KR100872474B1 (ko) 일회용 기저귀 및 이것에 이용되는 신축성 시트의 제조방법
US20140142490A1 (en) Self-adhesive wound care product
JP2007154144A (ja) 粘着加工シート及び粘着剤付剥離紙
JP5371292B2 (ja) 粘着テープもしくはシート
KR100786190B1 (ko) 통기성 신축필름 제조방법 및 통기성 신축필름
JP2005170047A (ja) 特に弾性的なおむつ用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59603A (ja) 積層シート
WO2019223360A1 (zh) 多层式弹性透气材料结构
AU2005264848B2 (en) Water resistant undercast padding
CN207429268U (zh) 弹性透气打孔医用绷带
CN112220614A (zh) 透气性伸缩薄膜制造方法及透气性伸缩薄膜
JP3203717U (ja) 透湿耐水性を有する易引裂性複合層構造
TWI660753B (zh) 多層式彈性透氣材料結構
JP2007181611A (ja) シーツ類、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0071207A1 (ja) 粘着テープの製造方法および粘着テープ
JPH07276358A (ja) プリプレグシート
CN215385184U (zh) 一种反复粘贴的敷料贴
CN209751384U (zh) 一种鸡眼贴
WO2015199186A1 (ja) 使い捨て着用物品の製造方法
JP3108052U (ja) 絆創膏
TWM565125U (zh) 多層式彈性透氣材料結構
JP2006052193A (ja) 貼付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