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173B1 -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173B1
KR100786173B1 KR1020060032565A KR20060032565A KR100786173B1 KR 100786173 B1 KR100786173 B1 KR 100786173B1 KR 1020060032565 A KR1020060032565 A KR 1020060032565A KR 20060032565 A KR20060032565 A KR 20060032565A KR 100786173 B1 KR100786173 B1 KR 10078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ens body
fresnel lens
lenticular lens
thermoset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2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1497A (ko
Inventor
오정선
김병일
Original Assignee
오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정선 filed Critical 오정선
Priority to KR1020060032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6173B1/ko
Publication of KR20070101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1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8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discontinuous faces, e.g. Fresnel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1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 regula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7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transmis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2Lenticular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일면이 되는 입사측에는 굴절사면을 가지는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일면에 대하여 타면인 출사측에는 반원형렌즈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 렌티큘러 렌즈체와, 상기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체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투명층으로 구성된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체 또는 렌티큘러 렌즈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렌즈체는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렌즈체만 자외선 열경화재료로 구성될 때에는, 상기 투명층 및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된 면의 타면은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을 개시한다. 또한,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로 된 투명층의 일면에 상기 자외선열경화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가 코팅된 아크릴계 수지를 가열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수지를 프레넬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와 렌티큘러 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의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로울러의 패턴을 상기 전처리된 수지에 전사시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급속 냉각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 상기 경화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넬렌즈 스크린, 렌티큘라렌즈 스크린, 프로젝션, 투사스크린

Description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Transmission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공지된 투과형 스크린의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에 사용되는 로울러 패턴을 펼친 평면도이며,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과형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의 일면이 되는 입사측에는 굴절사면을 가지는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일면에 대하여 타면인 출사측에는 반원형렌즈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 렌티큘러 렌즈체와, 상기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체 사이에 일정 한 두께의 투명층으로 구성된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체 또는 렌티큘러 렌즈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렌즈체는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되며, 어느 하나의 렌즈체만 자외선 열경화재료로 구성될 때에는, 상기 투명층 및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된 면의 타면은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을 개시한다. 또한, 그 제조방법에 있어서, 아크릴계 수지로 된 투명층의 일면에 상기 자외선열경화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가 코팅된 아크릴계 수지를 가열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수지를 프레넬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와 렌티큘러 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의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로울러의 패턴을 상기 전처리된 수지에 전사시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급속 냉각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 상기 경화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대한민국특허출원 10-2004-7011482(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는 투사광이 입사하는 톱니형상의 입사면과 투사광이 출사하는 출사면을 갖는 프레넬 스크린 형상의 굴절 전반사판과, 굴절 전반사판으로부터 출사한 광을 결상하여 투사 화상을 얻는 결상 표시판을 구비하는 투과형 스크린을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출원이 도1을 인용하여 설명한 바에 따르면, [톱니 구조의 성형의 곤란성에 비추어 보고, 평판 형상의 제1 투명 기판(18)의 한 면에, 제1 투명기판(18)과는 다른 재료로 톱니 구조체(19)를 형성하면 적절하며, 이와 같이 하면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고 하 였다. 또한, [제1 투명 기판(18)과 톱니 구조체(19)의 굴절률은 가능한 한 근사한 것이면 바람직하다]고 개시하고 있다. 더욱이, [투명 기판(18)을 아크릴로 형성하는 것이면, 투명 기판(18)의 입수 또는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고, 제 1 투명 기판(18)을 경량으로 할 수 있다. 제 1 투명 기판(18)을 유리로 형성하면, 투명 기판(18)의 입수 또는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저렴하여, 평면성이 우수한 제 1 투명 기판(18)을 형성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스크린 제조 현상은 복수의 원통형 렌즈의 배열로 이루어지는 제 1 렌티큘러 렌즈부(15)에 대하여도, [성형의 곤란성을 감안하여, 바람직하게는 평판 형상의 제 1의 투명 기판(18)의 한 면에, 제 1 투명 기판(18)과는 다른 재료로 제 1 렌티큘러 렌즈부(15)를 형성하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 예컨대 아크릴로 평판 형상의 제 1 투명 기판(18)을 형성한 경우에는, UV 경화 수지 또는 그 밖의 수지로 제 1 투명 기판(18)의 한 면에 제 1 렌티큘러 렌즈부(15)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투명 기판(18)과 제 1 렌티큘러 렌즈부(15)의 굴절률은 가능한 한 근사한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여, 스크린을 구성하는 톱니구조체(19), 제1투명기판(18), 제1렌티큘러 렌즈부(15)를 3개의 구성으로 하되, 각각의 굴절률이 가능한 한 근사한 것으로 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성형제조의 난이도를 이유로 별도의 재료로 각각 제조하도록 하여 대량생산을 유도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상기의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의 출원에 의하면, 실질적으로 하나의 스크린구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제1투명기판(18)의 양쪽에 톱니구조체(19) 및 제1렌티큘러 렌즈부(15)를 제1투명기판(18)과 서로 다른 재료를 사용하도록 하며, 상기 3가지의 부품을 조립하지 않으면 안되는 제조방법을 선택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것은 제조공정의 복잡성이 매우 크고, 조립시에 어떤 형식으로든 면접촉을 하도록 되어 그 접촉면에 미세 먼지가 들어가거나 접촉면에 부분적으로 기포가 들어가거나, 또는 접촉면상태가 불균일하게 되어 있는 상태 등의 이유로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는 공정상 불량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게 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더욱이, 위 3가지의 부품을 별도 공정으로 각각 제조하도록 유도하여 공정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은 제조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접촉면 상태가 미세먼지 등에 의하여 불균일하게 되어 불량을 야기시키는 공정상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무엇보다도 상기의 제 문제점에 의해서 제조공정비용이 매우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기술이 가지고 있는 제문제점을 개선한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인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은 스크린의 일면이 되는 입사측에는 굴절사면을 가지는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일면에 대하여 타면인 출사측에는 반원형렌즈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 렌티큘러 렌즈체와, 상기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체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투명층으로 구성된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체 또는 렌티큘러 렌즈 체 중 어느 한쪽은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층 및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된 면의 타면은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아크릴계 수지로 된 투명층의 일면에 상기 자외선열경화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가 코팅된 아크릴계 수지를 가열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수지를 프레넬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와 렌티큘러 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의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로울러의 패턴을 상기 전처리된 수지에 전사시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급속 냉각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절단하는 단계,상기 절단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 상기 경화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어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을 도2 및 도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실시예로서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는 개요도이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투 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프레넬렌즈체와 투명층, 그리고 렌티큘러렌즈의 일체화된 형태가 설명될 수 있다. 도2에 따라 제조공정을 크게 구분하여 설명하면, 회전하는 로울러(103,104,106)에 의해 자외선열경화재료(102)를 균일한 두께로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107)에 코팅하는 코팅공정, 일정한 온도로 전처리하는 전처리공정, 렌즈체를 성형하는 성형공정, 그리고 급속냉각, 절단, 자외선조사로 이루어지는 후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에서 자외선열경화재료(102)가 저장되어 있는 디스펜서(101)가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102)를 일정한 속도와 양(量)으로 로울러(103,104)에 흘려보내주면,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102)는 회전하는 로울러(103,104)를 통하여 일정한 두께로 나오게 되며, 이 일정한 두께의 자외선열경화재료(102)는 코팅로울러(106)에 의해 PMMA등의 두께가 5.0±0.1mm의 범위에 있도록 된 아크릴계수지(107)의 일면에 코팅된다. 이때, 코팅되는 자외선열경화재료(102)의 두께가 0.3~0.5mm 범위로 되도록, 상기 디스펜서(101)의 토출량과 상기 로울러(103,104)의 속도 및 상기 아크릴계수지(017)의 이송속도 및 상기 코팅로울러(106)의 속도를 적절하게 조절하여 맞추어 주어야 한다.
자외선열경화재료(102)가 코팅된 아크릴계수지(107)가 가열 전처리부에 이송되면, 자외선열경화재료(102)의 점도가 1,000~4,000 CP 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아크릴계수지(107)의 용융점 이하인 어느 온도를 선택하여 가열 전처리 하면, 성형을 위한 준비상태(110)가 된다. 이로써, 코팅된 자외선열경화재료(108)를 가지는 일면과 아크릴계수지(107)만으로 된 상기 일면에 대응되는 타면에 렌티큘라 렌즈패턴 로울러(111) 및 프레넬 렌즈 패턴 로울러(112)의 틈새를 통과하면서 각각의 렌즈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3의 도3A 내지 도3D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에 사용되는 로울러 패턴을 펼친 평면도이며,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스크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즉, 도3A 및 도3C는 렌티큘라렌즈 패턴 로울러(111)를 평면에 펼쳐놓았을 때의 도면이며,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렌티큘라렌즈체의 사시도이다. 같은 방식으로 도3B 및 도3D는 프레넬렌즈 패턴 로울러(112)를 평면에 펼쳐놓았을 때의 도면이며, 동시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프레넬렌즈체의 사시도이다.
최종의 투과형 스크린의 구조 및 목적에 따라, 상기 일면과 타면은 서로 바꾸어 제작할 수도 있음은 그 방식에 있어 당연하며, 목적에 따라 상기 일면과 타면 모두에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108)을 코팅한 후 렌즈 패턴을 형성하는 성형공정을 적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108)를 가지는 일면에 프레넬렌즈체 패턴을 형성하고, 타면에 렌티큘라렌즈체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는 투과형 스크린의 구조 및 목적에 따라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코팅공정 및 가열 전처리공정 까지 만을 상기 아크릴계수지(107)의 일면에 수행하여 일정한 온도로 냉각한 다음, 상기 일면의 대응되는 타면에 상기 코팅공정 및 가열 전처리공정을 반복하여 수행하여 패턴형성공정을 수행하므로서 상기 아크릴계수지(107)의 양면에 자외선열경화재료(108)를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유추할 수 있는 기술이다.
상기와 같이 렌즈패턴이 형성된 투과형 스크린(이하, 중간생성물이라 칭한 다)은 급속냉각기(115)의 통로를 지나면서 15~40℃/min 의 속도로 상온까지 급속 냉각된 후, 투과형 스크린의 크기 또는 상기 렌티큘라 렌즈패턴 로울러(111) 및 프레넬 렌즈 패턴 로울러(112)의 원주 길이에 맞추어 절단된다.(도시하지 않음) 이것은 상기 패턴 로울러(111,112)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패턴이 하나의 투과형 스크린에 대응되도록 한 경우이며, 상기 패턴 로울러에 스크린 패턴을 다수개 넣을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수 만큼의 속도로 절단되어야 한다.
절단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에 자외선조사기(116)로 조사에너지 120~6,000 W/cm 의 범위에서 조사하여 자외선열경화재료를 완전히 경화시키며, 이후 온도범위 70~100℃에서 5~30min 동안 열처리하여 완성된 투과형 스크린을 사용시 사용시간이 증가함에 따른 변형을 최소화시킴으로서 투과형 스크린을 완성한다.
도3은 상기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스크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즉, 스크린의 일면이 되는 입사측에는 굴절사면을 가지는 프레넬렌즈체(도3B)와 상기 일면에 대하여 타면인 출사측에는 반원형렌즈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 렌티큘러 렌즈체(도3A)와, 상기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체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투명층(상기 도3A와 도3B의 중간층으로 도시하지 않음)으로 구성된 투과형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 렌즈체(도3B) 또는 렌티큘러 렌즈체(도3A) 중 어느 한쪽은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층 및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된 면의 타면은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 프레넬렌즈체(도3B)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레넬렌즈 패턴은 동심원으로 구성되어, 프레넬렌즈체(도3B)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레넬렌즈 패턴(도3B)은 그 패턴간 거리가 일정하며 도1의 11,16 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굴절사면의 각도가 서로 인접한 렌즈 굴절사면의 각도와 다르며, 프레넬렌즈체(도3B)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레넬렌즈 패턴(도3B)의 동심원 중심은 장방향의 스크린을 반분하는 중심선에 놓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렌티큘라 렌즈체(도3A)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는 원주형상을 반분하는 면이 스크린을 이루는 면과 맞닿으면서 평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렌티큘라 렌즈체(도3A)는 스크린의 장방향과 상기 반분된 원주형상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3C 및 도3D에 따르면, 상기 렌티큘라 렌즈체(도3C)가 스크린의 장방향과 상기 반분된 원주형상의 길이방향이 수직하도록 한 것으로 이외의 모든 구성은 상기 도3A 및 도3B와 같은 것으로 대응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거하여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의 구성 및 그 제조방법의 단순 성이 간단히 설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3부품이 면접촉을 하도록 조립을 유도하는 종래기술과 대비하여 일체화된 형태의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스크린의 단면 중앙에는 PMMA 등의 아크릴계수지가 놓이며, 상기 아크릴계수지의 외부면 중 일면에는 렌티큘라렌즈체, 타면에는 프레넬렌즈체가 구성됨에 있어 코팅 및 성형공정에 의해 종래 기술과 같은 불량발생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공정이 단순화되므로서 제조공정비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실질적으로 단판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면접촉에 의한 밝기 저하 등이 있을 수 있는 종래기술에 대비하여 영상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3장으로 결합되어 있는 스크린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한 장 한 장의 스크린 각 구성품의 변형으로 인해 영상초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게 되었다. 또한, 관찰자 측의 스크린 면을 자외선경화재료로 처리한 경우에는 표면경도가 약 6H의 경도를 가지게 되어 종래 제품의 스크래치(Scratch)방지를 위한 보호판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도 얻게 되었다. 또한, 일관 생산 공정 및 설비를 적용할 수 있게 되므로서, 미세먼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그로 인한 불량을 야기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도 있게 되었다. 무엇보다, 종래기술에서 유도하고 있는 상기 3부품을 조립할 때의 문제를 완전히 일소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은 일체화된 형태의 구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단순화되고 불량률을 감소하게 되는 제조방법에 의해 보다 낮은 가격의 스크린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면서, 부가적으로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사용 중 스크린 교환 등의 사후 처리에 있어서도 보다 간 편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었다.

Claims (16)

  1. 삭제
  2. 스크린의 일면이 되는 입사측에는 굴절사면을 가지는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일면에 대하여 타면인 출사측에는 반원형렌즈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 렌티큘러 렌즈체와, 상기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체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투명층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넬 렌즈체 또는 렌티큘러 렌즈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층 및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된 면의 타면은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로 되며,
    상기 프레넬렌즈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레넬렌즈 패턴은 동심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렌즈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레넬렌즈 패턴은 그 패턴간 거리가 일정하며 렌즈 굴절사면의 각도가 서로 인접한 렌즈 굴절사면의 각도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넬렌즈체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프레넬렌즈 패턴의 동심원 중심은 장방향의 스크린을 반분하는 중심선에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5. 스크린의 일면이 되는 입사측에는 굴절사면을 가지는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일면에 대하여 타면인 출사측에는 반원형렌즈가 균일하게 배열되도록 한 렌티큘러 렌즈체와, 상기 프레넬렌즈체와 상기 렌티큘러 렌즈체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투명층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넬 렌즈체 또는 렌티큘러 렌즈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투명층 및 자외선열경화 재료로 구성된 면의 타면은 PMMA등의 아크릴계 수지로 되며,
    상기 렌티큘라 렌즈는 원주형상을 반분하는 면이 스크린을 이루는 면과 평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체는 스크린의 장방향과 상기 반분된 원주형상의 길이방향이 평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렌티큘라 렌즈체는 스크린의 장방향과 상기 반분된 원주형상의 길이방향이 수직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과형 스크린.
  8. 삭제
  9. 아크릴계 수지로 된 투명층의 일면에 자외선열경화 재료를 일정한 두께로 코팅하는 단계,
    상기 자외선열경화재료가 코팅된 아크릴계 수지를 가열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수지를 프레넬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와 렌티큘러 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의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로울러의 패턴을 상기 전처리된 수지에 전사시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제작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급속 냉각하는 단계,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절단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 및
    상기 경화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로 구비하며,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 된 투명층의 일면에 상기 자외선열경화 재료를 0.3~0.5mm의 두께로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코팅된 아크릴계 수지를 가열하여 전처리하는 단계에 있어서, 가열온도범위가 아크릴계 수지의 용융점 이하의 온도이면서, 동시에 자외선열경화 재료가 점도 1,000~4,000 CP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된 수지를 프레넬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와 렌티큘러 렌즈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로울러의 사이를 통과시켜 상기 로울러의 패턴을 상기 전처리된 수지에 전사시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제작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로울러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린 패턴은 적어도 한 장 이상의 투과형 스크린에 대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급속 냉각하는 단계에 있어서, 냉각속도는 15~40℃/min 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하는 단계에 있어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에너지는 120~6,000W/cm 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된 스크린 중간생성물을 일정한 온도로 열처리하는 단계에 있어서, 열처리 온도는 70~100℃, 시간은 5~30 min 이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 된 투명층의 두께는 5.0±0.1mm의 범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제조방법.
  16. 삭제
KR1020060032565A 2006-04-11 2006-04-11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10078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565A KR100786173B1 (ko) 2006-04-11 2006-04-11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2565A KR100786173B1 (ko) 2006-04-11 2006-04-11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497A KR20070101497A (ko) 2007-10-17
KR100786173B1 true KR100786173B1 (ko) 2007-12-17

Family

ID=38816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2565A KR100786173B1 (ko) 2006-04-11 2006-04-11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61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280B1 (ko) * 2011-09-27 2012-12-07 김재진 초단초점 프로젝터용 반사형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319233A (zh) 2021-07-20 2023-05-16 日商東洋紡股份有限公司 積層體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9626A (ja) * 1987-12-16 1989-06-22 Sony Corp 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KR900702409A (ko) * 1986-12-25 1990-12-07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702409A (ko) * 1986-12-25 1990-12-07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JPH01159626A (ja) * 1987-12-16 1989-06-22 Sony Corp 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9280B1 (ko) * 2011-09-27 2012-12-07 김재진 초단초점 프로젝터용 반사형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1497A (ko) 2007-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602B1 (ko) 광학시트 제조방법 및 광학시트
JP2007047757A (ja) 透過型スクリーンの製造方法、その製造装置および透過型スクリーン
CN101498859A (zh) 多功能光学薄板及其制造方法
JP4277536B2 (ja) 光学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画像投影スクリーン
KR100786173B1 (ko) 프로젝션 영상기기의 투과형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20150022761A1 (en) Light guide plate transfer molding method, light guide plate, and planar light source apparatus
JP2004322566A (ja) 成型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6823381B2 (ja) 回折光学素子、回折格子を備えた光学機器及び回折格子を備えたカメラ
JP5957865B2 (ja) 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樹脂被覆賦型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光学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50092450A (ko) 렌티큘러 렌즈 시트, 배면 투사형 스크린 및 배면 투사형프로젝션 장치, 그리고 렌티큘러 렌즈 시트의 제조방법
JP3959392B2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背面投射型スクリーン及び背面投射型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並びに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の製造方法
TWI701148B (zh) 積層光學膜的製造方法、及積層光學膜的製造裝置
KR100583225B1 (ko) 광확산 집광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01125202A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679944B2 (ja) 複合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H08278404A (ja) レンズ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0250237A (ja) レンズシート製造方法
WO2011162165A1 (ja) 光拡散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当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光拡散フィルム、ならびに当該光拡散フィルムを備えた表示装置
JP4510529B2 (ja) 光造形方法および装置
JPH02196201A (ja) マイクロレンズアレイの製造方法
JP2597192B2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5732622B2 (ja) 光学部材の製造装置
JP7020405B2 (ja) 光学素子版構造及び光学素子の製造方法
JP2012014059A (ja) 光学シート、面光源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4252292A (ja) レンズシートの成形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