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831B1 -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831B1
KR100785831B1 KR1020070014283A KR20070014283A KR100785831B1 KR 100785831 B1 KR100785831 B1 KR 100785831B1 KR 1020070014283 A KR1020070014283 A KR 1020070014283A KR 20070014283 A KR20070014283 A KR 20070014283A KR 100785831 B1 KR100785831 B1 KR 10078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ube
housing
drum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광철
문정탁
Original Assignee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3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ring, a band or a sleeve being press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 방식을 통해 튜브의 외측에 배치된 와이어를 튜브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와이어의 풀림이 방지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기 위한 작업자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Wire apparatus for repairing pi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튜브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배관 20 : 튜브
30, 35 : 밀폐유닛 40 : 열선
50 : 압축기 60 : 와이어 조임장치
64 : 드럼 65 : 와이어
66 : 회전축 68 : 회전몸체
70 : 기어 72 : 걸림돌기
73 : 핀 80 : 하우징
82 : 원통부 84 : 판부
86 : 레그부 90 : 체결부재
본 발명은 튜브를 밀폐유닛에 고정시키는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조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와이어에 강한 장력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와이어를 간편하게 조일 수 있는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조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관은 빗물이나 생활하수 등을 이동시키는 관으로서, 지하에 매설하여 장착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장시간 매설되어 노후될 경우 관에 균열 등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배관이 노후되면 관의 강도가 저하되고, 관을 연결하는 이음부에 균열이 발생 할 뿐만 아니라, 침하가 발생한 배관에서는 오물의 퇴적현상 등도 발생하여 하수의 이동 흐름을 방해하게 된다.
그래서 이렇게 노후된 배관은 지면을 굴착하여 배관 전체를 교체하거나 그렇지 않을 경우 별도의 과정을 통해 배관을 보수해야 한다. 여기서 배관을 교체하는 방법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현재에는 배관을 굴착하지 않고 보수하는 방법이 주로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INA acquisition crop에서 개발된 SET 공법을 사용하여 배관을 보수해왔고, 상기 SET 공법의 가장 큰 특징은 배관 내부에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된 튜브를 배치한 후, 상기 튜브 내부로 뜨거운 열풍을 불어넣어 상기 튜브를 하수관 내벽에 밀착시킴과 동시에 상기 튜브를 경화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열경화성 수지가 함짐된 튜브를 밀폐유닛에 고정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해 와이어를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간단한 공구만을 통해 튜브를 밀폐유닛에 간편하게 조일 수 있는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조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밀폐유닛과, 상기 밀폐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와이어가 권선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원웨이 클러치 방법으로 상기 기어와 상호 간섭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개구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에는 작업자의 조작력이 가해지는 회전몸체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튜브가 도시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와이어 조임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0)에 삽입되어 경화되는 튜브(20)와, 상기 튜브(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튜브(20) 내부에 소정 압력을 유지시키는 밀폐유닛(30)(35)과, 상기 튜브(20) 내부에 소정 압력을 제공하여 상기 튜브(20)를 상기 하수관(10) 내벽으로 밀착시키는 압축기(50)와, 상기 튜브(20)를 상기 밀폐유닛(30)(35)에 고정시키는 와이어조임장치(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10)은 지하에 매설된 하부배관이나, 도시된 바와 달리 상수도 배관을 대상으로 작업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밀폐유닛(30)(35)은 상기 튜브(20)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튜브(20) 내부를 밀폐시켜 상기 압축기(5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압에 의해 팽창되게 하고, 상기 팽창된 튜브(20)는 상기 배관(10) 내벽에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밀폐유닛(30)(35)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압축기(50)로부터 유체를 공급받기 위한 배관이 형성되며, 상기 배관을 통해 상기 밀폐유닛(30)(35) 내부의 압력 또는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튜브(20)는 액체 또는 젤 상태의 열경화성 수지가 함침되고, 상기 압축기(50)에서 공급된 물 또는 증기 등의 유체에 의해 팽창되어 상기 배관(10)의 내벽 에 밀착된다.
그래서 상기 튜브(20)는 부직포(21)와, 상기 부직포(21)에 설치되는 열선(40)과, 상기 열선(40)과 접촉되게 설치되어 상기 열선(4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부직포(21)에 함침된 상기 열경화성 수지에 균일하게 전달하는 전열체(70)와, 상기 부직포(21)에 부착되어 상기 튜브(20)의 내측면에 위치되는 수지(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직포(21)는 열경화성수지를 보다 많이 함침시킬 수 있는 재질이고, 상기 열선(40)은 상기 부직포(21)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부직포(21)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수지(24)는 원통형의 튜브(20)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가 흐르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상기 튜브(20)의 내면을 이뤄 하수가 흐를 때 저항을 최소화시킨다.
그래서 상기 수지(24)는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테르 등의 재질로 형성한다.
상기 열선(40)은 인가된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튜브(20)의 축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되 상기 축 방향에 대하여 나선형으로 감겨져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열선(40)은 인가된 전류에 의해 발열되는 전열선인바, 외부로 전류가 누전되는 것을 차단하는 누전 방지코팅이 이루어지고, 상기 열선(40)의 끝단에는 전원의 연결을 위한 소켓(45)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열체(70)는 상기 열선(4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열선(40) 사이의 상기 튜브(20)에 전달하는 바, 상기 전열체(70)는 상기 열선(40)과 교차되게 설치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열체(70)는 금속 재질 또는 비 금속재질로 형성된 와이어이고, 씨줄과 날줄이 교차된 메쉬 형태로 구성된다.
그래서 상기 전열체(70)는 상기 튜브(20)의 전 면적에 분포되고, 상기 전열체(70)와 접촉되어 상기 열선(40)이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전열체(70)는 상기 열선(40)과 접촉되어 구성된다고 설명하였으나, 이는 열의 전도가 보다 효율적으로 발생되기 위한 구성이고, 상기 열선(40)과 분리되어 설치된 후, 부직포(21)에 함침된 열경화성 수지로부터 열을 전달받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전열체(70)는 상기 부직포(21) 내부에 위치되는 바, 상기 튜브(20)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상기 열선(40)으로부터 전도된 열을 축적한 후 방출함으로써, 상기 열경화성 수지가 경화되는 시간 동안 상기 튜브(20) 내부의 온도를 보다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와이어 조임장치(60)는 상기 튜브(20)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튜브(20)를 상기 밀폐유닛(30)에 밀착시키는 하우징(80)과, 상기 하우징(80) 내부에 배치되고 와이어(65)가 권선된 드럼(64)과, 상기 드럼(64)에 고정된 드럼축(66)과, 상기 드럼축(66)에 고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몸체(68)와, 상기 드럼축(66)에 고정되는 기어(70)와, 상기 하우징(80)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기어(70)와 한쪽 방향으로만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는 걸림돌기(72)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80)은 상기 드럼(64)이 삽입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된 원통부(82)와, 상기 원통부(82)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원형의 판부(84)와, 상기 원통부(82)와 조립되고 상기 튜브(20)를 상기 밀폐유닛(30)에 밀착시키는 레그부(86)를 포함한다.
상기 원통부(82)는 상기 드럼(64)의 와이어(65)가 인출될 수 있도록 개구부(82a)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상기 걸림돌기(72)가 삽입되는 걸림돌기 홈(82b)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82)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82c)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72)는 상기 힌지부(82c)에 배치된 후, 핀(73)이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기(72)가 회전되게 배치된다.
또한 상기 원통부(82)는 상기 레그부(86)와 조립되기 위한 조립부(82d)가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레그부(86)와 상기 원통부(82)는 상기 조립부(82d)에 체결되는 체결부재(90)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레그부(86)는 상기 밀폐유닛(30)의 곡률반경에 따라 교체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판부(84)는 원통부(82)에 용접 또는 코깅 등의 방법을 통해 서로 결합된다.
상기 드럼축(66)에는 상기 기어(70), 상기 드럼(64) 및 상기 회전몸체(68)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몸체(68)의 회전 시 상기 고정된 부재도 같이 회전되고, 상기 판부(84)와 상기 회전축(66)은 서로 고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걸림돌기(72)는 상기 걸림돌기 홈(82b)를 관통하여 상기 원통부(82)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기어(70)와 치합되고, 상기 기어(70)의 회전 방향 중 한쪽 방향에 대해서만 상호 걸림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72)는 상기 핀(73)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바, 상기 기어(70)와의 상호 걸림을 발생시키지 않기 위해서, 상기 걸림돌기 홈(82b) 밖으로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기어(70) 및 상기 걸림돌기(72)는 원웨이 클러치의 일종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의 설치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밀폐유닛(30)(35)은 동일한 구조인 바, 하나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먼저, 상기 밀폐유닛(30)의 외측을 감싸도록 상기 튜브(20)를 배치하고, 상기 튜브(20) 위에 상기 와이어조임장치(6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드럼(64)에 권선된 와이어(65)를 풀어 상기 튜브(20)의 둘레를 수회 감은 후, 상기 와이어(65)의 끝단을 상기 하우징(80)에 걸어 고정시킨다.
여기서 하우징(80)에는 상기 와이어(65)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65)의 끝단은 상기 고정부에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해 매듭 또는 고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65)가 상기 드럼(64)에서 풀리기 위해 상기 걸림돌기 (72)는 상기 기어(70)와의 상호 걸림을 해제시키고, 상기 와이어(65)가 풀릴 때 상기 드럼(64), 회전축(66), 기어(70) 및 회전몸체(68)가 회전된다.
그래서 상기 와이어(65)의 끝단이 상기 하우징(80)에 결속되면, 작업자는 상기 걸림돌기(72)를 회전시켜 상기 기어(70)와 상호 간섭을 발생시킨 후, 렌치 또는 스페너 등을 통해 상기 회전몸체(68)를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회전몸체(68)는 상기 기어(70) 및 상기 걸림돌기(72)와의 상호 간섭에 의해 와이어가 감기는 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이후, 상기 작업자는 상기 와이어(65)를 감아 장력을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튜브(20)를 상기 밀폐유닛(30)의 외측에 밀착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튜브(20) 내부를 밀폐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조임장치는 작업자가 일반적으로 구비할 수 있는 공구를 사용하여 드럼(64)에 배치된 와이어(65)를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진 않았으나, 상기 회전몸체(68)에 레버(미도시) 등을 설치하여 별도의 공구를 구비하지 않고도 상기 회전몸체(68)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조임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당업자에 의해 응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원웨이 클러치 방식을 통해 튜브의 외측에 배치된 와이어를 튜브에 밀착시키기 때문에, 와이어의 풀림이 방지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기 위한 작업자의 작업성이 대폭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조임장치와 밀페유닛이 분리되기 때문에, 모든 구경의 배관에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상기 원웨이 클러치 방식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튜브 내부에 고압이 형성되어도 상기 와이어가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밀폐유닛과,
    상기 밀폐유닛의 외측에 배치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와이어가 권선된 드럼과,
    상기 드럼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된 기어와,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원웨이 클러치 방법으로 상기 기어와 상호 간섭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하우징에 힌지 연결되어 고정되는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와이어가 인출되는 개구부가 더 형성된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작업자의 조작력이 가해지는 회전몸체가 더 배치된 배관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KR1020070014283A 2007-02-12 2007-02-12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KR10078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83A KR100785831B1 (ko) 2007-02-12 2007-02-12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283A KR100785831B1 (ko) 2007-02-12 2007-02-12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831B1 true KR100785831B1 (ko) 2007-12-13

Family

ID=39141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283A KR100785831B1 (ko) 2007-02-12 2007-02-12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26400A (zh) * 2022-02-17 2022-05-24 国家石油天然气管网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清管器解卡装置
KR20220157789A (ko) * 2021-05-21 2022-11-29 한국과학기술원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856A (ko) * 2002-08-12 2004-02-18 박기종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4856A (ko) * 2002-08-12 2004-02-18 박기종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789A (ko) * 2021-05-21 2022-11-29 한국과학기술원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KR102590547B1 (ko) * 2021-05-21 2023-10-18 한국과학기술원 출입구 차단막, 통풍구 차단막, 음압기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압 격리 시스템
CN114526400A (zh) * 2022-02-17 2022-05-24 国家石油天然气管网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清管器解卡装置
CN114526400B (zh) * 2022-02-17 2024-05-07 国家石油天然气管网集团有限公司 一种管道清管器解卡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115A (en) Method for remote lining of side connections
US5108533A (en) Method and combination for installing a liner within a service pipe transversely connected to a main pipe
US620604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obotic repairing of an underground pipe junction with removable heating element
CA2275793C (en) Testing of plumbing installations and plumbing tool
US66883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obotic repairing of an underground pipe junction with a flexible patch mechanism
CN101865349B (zh) 用于管道和管线的内部修复的装置和方法
US1043637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a liner in a pipe
US6085794A (en) Pipe lining method
CA2856181C (en) Method of installing and curing a liner in a sewer pipe
KR100785831B1 (ko) 배관 보수를 위한 와이어 조임장치
US20130156506A1 (en) Method for Renewal or Rehabilitation of Water Supply Pipelines and Plug Arrangement for use in Said Method
KR101024577B1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WO2021027981A1 (en) Method of installing a pipe cable clamp with repeated tensioning of the clamping strap and a related installation device for its performance
GB2096265A (en) Lining of side connections
KR100719439B1 (ko) 배관 보수장치의 튜브
KR100719436B1 (ko) 배관 보수장치 및 그에 따른 보수공법
KR100719438B1 (ko) 배관 보수장치 및 열선유닛
JP3667190B2 (ja) 管ライニング工法
KR100719437B1 (ko) 배관 보수장치
WO2009028751A1 (en) Conduit regenerating liner, heat generating unit, and conduit lining apparatus
JP4530935B2 (ja) マンホールの防水管補修工法及びマンホールの防水工法
EP0875710A1 (en) An end termination for pipes
CA3097790A1 (en) Pipe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 pipe connection
JP4625165B2 (ja) 下水管の取付管接続部の更生工法
KR102611649B1 (ko) 하수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수관로 보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